KR100625368B1 -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368B1
KR100625368B1 KR1020040071393A KR20040071393A KR100625368B1 KR 100625368 B1 KR100625368 B1 KR 100625368B1 KR 1020040071393 A KR1020040071393 A KR 1020040071393A KR 20040071393 A KR20040071393 A KR 20040071393A KR 100625368 B1 KR100625368 B1 KR 10062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handse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538A (ko
Inventor
최원상
김주일
오승석
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to KR102004007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3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리모콘, 송수화기,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이 탑재된 셋탑 박스, 및 TV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셋탑 박스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TV를 통해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선택을 위한 G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선택하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버디리스트에서 혹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한 후,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음성채널,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영상채널을 여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작성된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여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미디어, 통신, 셋탑 박스, 카메라, 인스턴스 메세징

Description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METHOD TO SUPPLY MULTI-MEDIA SERVICE USING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GRATED SETTOP-BOX}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의 내부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110 : 카메라 120 : 리모콘
130 : 송수화기 140 : 셋탑 박스
141 :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 142 : 미들웨어
143 : JVM 144 : RTOS
150 : TV 310 : 발신측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320 : IP망 접속장치 330 : 서비스망
340 : 인터넷망 350 :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360 : 호처리 서버 370 : 전화망
380 : 착신측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리모콘, 송수화기, 셋탑 박스, 및 TV로 이루어지고 셋탑 박스에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VoIP 화상 전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초고속 네트워크 서비스의 보급으로 전화 통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음성이나 화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VoIP 전화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VoIP 전화 서비스는 종래의 공중 전화망 대신에 인터넷이라는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기 위해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패킷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패킷의 송수신으로 화상 통화를 가능케 한다.
한편,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전용 VoIP TV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식과 PC 단말기에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VoIP 전화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전용 VoIP TV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고가인 전화 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C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PC 단말기의 전원을 항상 켜 놓아야 하고, 전화 통화를 위해 별도의 헤드셋이나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익숙한 사용자들에게는 상당한 인터페이스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을 방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렴하고 편리한 형태로 VoIP 화상 전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구현하여 서비스의 이용을 확대시킬 수 있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카메라, 리모콘, 송수화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시 인터넷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탑재한 셋탑 박스, 및 TV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되, 상기 셋탑 박스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TV를 통해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선택을 위한 G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를 선택하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회원의 접속상태정보를 포함한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버디리스트에서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호처리 서버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호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인터넷망으로 송신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TV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선택하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상기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버디리스트에서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한 후,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음성채널,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영상채널을 여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에서 음성채널과 영상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작성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해당되는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여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송수화기는 무선 혹은 유선 형태를 포함하는데, 무선 형태일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블루투스, RF, 및 무선랜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와 통신할 수 있으며, 유선 형태일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USB, IEEE-1394, 및 시리얼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와 셋탑 박스는 적어도 USB, COMPOSITE, S-VIDEO, D-SUB, LAN, DVI, 및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셋탑 박스가 수신자 거부리스트를 관리하면서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거부리스트에 존재하면 수신을 제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셋탑 박스가 수신자 관리리스트와 그에 따른 수신자별 소리와 영상을 관리하면서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관리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TV를 통해 해당 수신자에 설정된 소리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운영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카메라(110), 리모콘(120), 송수화기(130), 셋탑 박스(140), 및 TV(15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이렇게 구성된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나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메세지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세지, 및 인스턴스 메세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10)와 TV(150)는 셋탑 박스(1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120)은 무선 형태로 셋탑 박스(14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화기(130)는 무선 혹은 유선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리모콘(120)과 송수화기(130)는 하나의 통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카메라(11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CCD 혹은 CMOS 방식의 카메라로서 사용자, 즉 발신자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되어 전화 통화시 발신자를 촬영한다. 이 때, 이러한 카메라(110)는 USB, COMPOSITE, S-VIDEO, D-SUB, LAN, DVI, 및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셋탑 박스(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20)은 무선으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화기(130)는 발신자의 음성을 입력하거나 착신자의 음성을 출력한다. 그런데, 이러한 송수화기(130)가 무선 형태일 경우에는 블루투스, RF, 및 무선랜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14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유선 형태일 경우에는 USB, IEEE-1394, 및 시리얼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1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20)과 송수화기(130)는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등과 같은 키보드 입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V(15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TV 수상기로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하고, 전화 통화시 착신자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셋탑 박스(14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탑재하는데, 카메라(110), 리모콘(120), 송수화기(130), 및 TV(150)와 연동하면서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구현한다. 즉, VoIP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과 영상 형태의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고, 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통해 단문 메세지, 멀티미디어 메세지, 및 인스턴스 메세지 등을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다.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의 내부 블록도로서,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141), 미들웨어(142), JVM(143), RTOS(144)로 구성된다.
상기 RTOS(144)는 운영 체제이고, 상기 JVM(143)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가상의 CPU와 OS를 설정하며, 상기 미들웨어(142)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데이터 방송 규격인 OCAP(Opencable Common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latform), 및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141)은 실체가 상기의 미들웨어(142) 기반 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구현한다.
한편, 이러한 셋탑 박스(140)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인스턴스 메시징 프로그램(141)이 RTOS(144) 상에서 바로 구현되어 미들웨어(142)와 연동하는 형태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JVM(143) 위에 VoIP/인스턴스 메시징 프로그램(141)과 미들웨어(142)가 같이 올라가서 연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개략도로서, 발신측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310), IP망 접속장치(320),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350), 호처리 서버(360), 및 착신측 통신 단말기(380) 등으로 구성된다. 발신측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310)은 서비스망(330)과 인터넷망(340)을 순차적으로 거쳐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350) 및 호처리 서버(360)에 연결된다.
착신측 통신 단말기(380)는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VoIP 화상 전화 서비스 혹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셋탑박스 단말기(381), IP 전화기(382), IM(383), 및 일반전화기(384)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셋탑박스 단말기(381)는 IP망 접속장치(320)를 거쳐 서비스망(330)에 연결된다. 그리고, IP 전화기(382)와 IM(383)는 인터넷망(340)에 연결되고, 일반전화기(384)는 전화망(370)에 연결된다. 여기서, IP 전화기(382)는 소프트폰이나 IP 전용폰 등을 포함하고, 일반전화기(384)는 유무선 형태의 전화기를 모두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흐름도로서, 카메라, 리모콘, 송수화기, 셋탑 박스, 및 TV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 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즉 발신자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의 셋탑 박스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410). 이 때, 셋탑 박스에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셋탑 박스 출고시에 기본적으로 탑재되거나 셋탑 박스 출고시 인스톨/실행 프로그램을 내장시킨 후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시 인터넷망을 통해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하고 실행시켜 탑재시킬 수 있다.
이어서,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리모콘, 통신, 및 데이터 방송 등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셋탑 박스는 TV를 통해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선택을 위한 GUI를 표시한다(S412). 이 때, GUI는 TV 화면에 오버레이된 형태이거나 TV 화면의 크기가 조정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발신자가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셋탑 박스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회원의 접속상태정보를 포함한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한다(S414,S416).
여기서, 버디리스트는 인스턴트 메세징 서버에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회원들의 주소록 및 접속상태정보를 보여주는 리스트이다.
이 때, 상기 셋탑 박스에서 버디리스트를 직접 관리할 수도 있으며, IR, 시리얼, 및 USB 통신 등의 방식을 통해 외부의 별도 주소록 관리 장치와 통신하면서 주소록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어서, 발신자가 버디리스트나 주소록 등의 정보에서 상대방 즉 착신자를 선택하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상기 셋탑 박스는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호처리 서버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S418).
최종적으로, 호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셋탑 박스는 발신자의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과 착신자의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가 음성과 영상 형태, 즉 서로의 모습을 화면상으로 직접 보면서 전화 통화한다(S420).
즉, 셋탑 박스는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 데이터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발신자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인터넷망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착신자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송수화기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TV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선택하면 셋탑 박스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TV를 통해 표시한다(S422).
발신자가 버디리스트를 통해 착신자를 선택하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TV를 통해 표시한 후, 송수화기와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음성채널, 카메라와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영상채널을 오픈한다(S424).
이어서, 발신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선택하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요청한다(S426).
최종적으로,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에서 음성채널과 영상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작성이 완성된 후 발신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면 셋탑 박스는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해당되는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여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428).
다른 한편, 상기 셋탑 박스는 부가적으로 수신자 거부리스트를 관리하면서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거부리스트에 존재하면 수신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탑 박스는 부가적으로 수신자 관리리스트와 그에 따른 수신자별 특정의 소리와 영상을 관리하면서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관리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TV를 통해 해당 수신자에 설정된 소리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저렴하고 편리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나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카메라, 리모콘, 송수화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시 인터넷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VoIP/인스턴스 메세징 프로그램을 탑재한 셋탑 박스, 및 TV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되,
    상기 셋탑 박스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TV를 통해 VoIP 화상 전화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선택을 위한 G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VoIP 화상 전화 서비스를 선택하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회원의 접속상태정보를 포함한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버디리스트에서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호처리 서버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호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인터넷망으로 송신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 처리한 후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TV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선택하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부터 상기 버디리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TV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버디리스트에서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TV를 통해 표시한 후,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음성채널,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 간의 영상채널을 여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세지 작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에서 음성채널과 영상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작성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면 인스턴스 메세징 서버로 해당되는 메세지의 발송을 요청하여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화기는 무선 혹은 유선 형태를 포함하되,
    무선 형태일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블루투스, RF, 및 무선랜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와 통신하고, 유선 형태일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USB, IEEE-1394, 및 시리얼 등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UI가 TV 화면에 오버레이된 형태이거나 TV 화면의 크기가 조정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에 탑재된 프로그램과 GUI를 연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OCAP, MHP, 및 ACAP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셋탑 박스가 적어도 USB, COMPOSITE, S-VIDEO, D-SUB, LAN, DVI, 및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수신자 거부리스트를 관리하되,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거부리스트에 존재하면 수신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수신자 관리리스트와 그에 따른 수신자별 소리와 영상을 관리하되,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관리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TV를 통해 해당 수신자에 설정된 소리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버디리스트와 주소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 어 서비스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IR, 시리얼, 및 USB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외부의 주소록 관리 장치와 통신하면서 주소록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혹은 송수화기는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등과 같은 키보드 입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20040071393A 2004-09-07 2004-09-07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62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93A KR100625368B1 (ko) 2004-09-07 2004-09-07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93A KR100625368B1 (ko) 2004-09-07 2004-09-07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538A KR20060022538A (ko) 2006-03-10
KR100625368B1 true KR100625368B1 (ko) 2006-09-20

Family

ID=3712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393A KR100625368B1 (ko) 2004-09-07 2004-09-07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62B1 (ko) 2012-02-28 2014-05-29 이태숙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74B1 (ko) * 2005-02-14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45809B1 (ko) * 2006-01-13 2007-08-0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Ip 텔레비전 멀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77621B1 (ko) * 2006-04-14 2007-11-21 주식회사 디지탈멀티텍 Moip셋탑박스를 이용한 화상 통화서비스시스템
KR100838821B1 (ko) * 2006-08-23 2008-06-19 인포뱅크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백업 데이터베이스를이용한 tv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 시청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14291B1 (ko) * 2007-02-15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1459B1 (ko) * 2007-07-06 2014-01-23 주식회사 케이티 Iptv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62B1 (ko) 2012-02-28 2014-05-29 이태숙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538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399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904294B2 (en) Screen sharing
US7773583B2 (en) IP tele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IP network, client terminal and client server
KR1016822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 통화 연결 방법
US20060033809A1 (en)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between wireless and wireline telephone systems
US20130314490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263015A1 (en) Wireless Interface for Set Top Box
KR100810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60029050A1 (en) IP video telephone having integrated devices
US20070200920A1 (en) Digital communications adaptor
US20170214973A1 (en) Interactive display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1371561A (zh) 家庭通信服务器
KR20110073496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11092898B (zh) 报文传输方法及相关设备
KR100625368B1 (ko)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WO2009128616A9 (ko) 인터넷 프로토콜 비디오폰 및 광고제공 시스템
CN102957890A (zh) 一种通信中视频图像播放方法及终端
KR100625376B1 (ko) Tv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CN103813211B (zh) 基于iptv的视频通信系统
JP200728828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24109586A1 (zh) 报文处理方法和装置
WO2024108928A1 (zh) 投屏方法和装置
JP5699708B2 (ja) コールセンタの利用者回答支援装置,そのプログラム,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支援を提供する方法
KR101003767B1 (ko) Iptv용 다기능 셋탑 박스 장치 및 단말기
KR20100119064A (ko) Ip전화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