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825B1 -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825B1
KR100624825B1 KR1020040063910A KR20040063910A KR100624825B1 KR 100624825 B1 KR100624825 B1 KR 100624825B1 KR 1020040063910 A KR1020040063910 A KR 1020040063910A KR 20040063910 A KR20040063910 A KR 20040063910A KR 100624825 B1 KR100624825 B1 KR 10062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main body
classification means
waste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077A (ko
Inventor
주원기
Original Assignee
늘푸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늘푸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늘푸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구성의 특징으로서, 공급호퍼(10), 컨베이어(12), 진동스크린(16)을 거쳐 일정 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16)의 하측에 통형 구조로 설치되고, 하부에 배출구(21)(22)(23)를 지니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판(30); 상기 날개판(3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낙하되는 골재를 분리하여 배출구(21)(22)(23)로 보내는 분급수단(40); 및 상기 분급수단(40)을 통과하는 골재에 풍력을 부가하여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보내는 송풍기(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폐토분을 투입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흙과 모래로 분리 수집되어 필요에 따라 건설용 자재로 활용함으로써 골재가 부족한 우리의 여건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건설폐기물, 폐토분, 원심, 분리, 송풍, 이물질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Apparatus for separating sand out of construction wast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주요부를 드러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공급호퍼 12: 컨베이어
14: 열풍기 20: 본체
21, 22, 23: 배출구 30: 날개판
32: 지지대 34: 체인
35: 모터 40: 분급수단
41, 42: 수집통 44: 유도판
45: 분기판 50: 송풍기
본 발명은 모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설폐기물은 구조물의 설치 또는 해체 시에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블럭이나 벽돌, 기타 혼합토사 등을 말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년간 1,000만톤 이상 발생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분리수거나 재활용 체계가 미흡하여 거의 대부분을 매립처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인바, 기존의 매립지가 포화되어 가고 새로운 매립지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향후 시급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이는 건설폐기물 처리업체에서 분리된 폐토분(廢土粉)에 나무조각, 종이조각, 플라스틱조각 등 이물질이 섞여있어 재활용하는데 한계점을 지니는데 기인한다. 재생골재는 품질, 가격, 강도 측면에서 자연골재에 비하여 그리 유리한 조건을 갖춘 것은 아니지만 특정의 용도로 재활용하면 환경보호적인 측면과 골재 자원의 보호 측면을 고려할 때 그 개발 가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을 활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물을 투입하고 부력으로 떠오르는 종이,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을 골라내거나 또는 반대로 물에 침전되는 흙, 모래 등의 토분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는 폐수가 발생되어 하천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처리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폐토분을 투입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시 에 흙과 모래로 분리 수집되어 필요에 따라 건설용 자재로 활용함으로써 골재가 부족한 우리의 여건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호퍼(10), 컨베이어(12), 진동스크린(16)을 거쳐 일정 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16)의 하측에 통형 구조로 설치되고, 하부에 배출구(21)(22)(23)를 지니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판(30); 상기 날개판(3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낙하되는 골재를 분리하여 배출구(21)(22)(23)로 보내는 분급수단(40); 및 상기 분급수단(40)을 통과하는 골재에 풍력을 부가하여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보내는 송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급수단(40)은 날개판(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면의 도관(43)을 통해 제1배출구(21)에 연결되는 상부수집통(41)과, 상기 상부수집통(4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통공(42a)을 구비하는 하부수집통(42)과,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모래를 제2배출구(22)로 유도하는 유도판(44)과,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유도하는 분기판(45)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급수단(40)의 유도판(44)은 상단에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여과망(5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공급호퍼(10), 컨베이어(12), 진동스크린(16)을 거쳐 일정 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공급호퍼(10)는 일차적으로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곳이지만 경우에 따라 별도의 분쇄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12)는 공급호퍼(10)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진동스크린(16) 측으로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진동스크린(16)은 일정 크기 이하의(모래와 입도가 같거나 작은) 골재만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뭉치거나 하여 진동스크린(16)을 통과하지 못한 골재는 다시 공급호퍼(10)로 보내질 수도 있다. 공급호퍼(10)와 컨베이어(12)에 건조공기를 보내는 열풍기(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20)는 상기 진동스크린(16)의 하측에 통형 구조로 설치된다. 통형 구조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실린더 형태를 말하며 중간부분을 장구처럼 축소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20)의 하부에 적어도 3개의 배출구(21)(22)(23)가 형성되는데, 각각 흙, 모래, 이물질을 독립적인 경로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날개판(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날개판(30)은 원추형 임펠러(conical impeller)의 형상으로 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대(32)를 개재하여 설치한다. 지지대(32)는 골재가 낙하될 때 방해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중심에 베어링을 둔다. 날개판(30) 의 구동은 모터(35)에 체인(34)을 연결하여 수행하며, 체인(34)과 모터(35)는 낙하되는 골재에 접하지 않도록 커버(36)로 보호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날개판(3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낙하되는 골재를 분리하여 배출구(21)(22)(23)로 보내는 분급수단(40)이 구비된다. 분급수단(40)은 본체(20)에서 날개판(30)과 배출구(21)(22)(23) 사이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급수단(40)을 통과하는 골재에 풍력을 부가하여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보내는 송풍기(50)가 구비된다. 날개판(30)에서 흙을 분리하는 일차적인 분급이 수행된다면 송풍기(50)에 의해 모래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차적인 분급이 수행된다. 송풍기(50)는 작은 동력으로 분급기능을 최대화하도록 본체(20)의 오목한 중간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주요부를 드러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평면도이다.
상기 분급수단(40)은 상부수집통(41), 하부수집통(42), 유도판(44), 분기판(45)을 구비한다. 상부수집통(41)은 날개판(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면의 도관(43)을 통해 제1배출구(21)에 연결된다. 하부수집통(42)은 상기 상부수집통(4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저면에 모래가 통과되는 통공(42a)을 구비한다. 상부수집통(41)은 날개판(30)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하부수집통(42)은 상부수집통(41)보다 직경을 크게 한다. 상부수집통(41)과 하부수집통(42)의 직경은 날개판(30)의 직경과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다. 도 3처 럼 날개판(30)의 저면을 상부수집통(41)과 하부수집통(42)의 상면과 일치할 수도 있지만 상부수집통(41)과 하부수집통(42)의 상면을 차례로 낮아지게 할 수도 있다. 도관(43)의 상단은 상부수집통(41)의 저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부수집통(42)의 통공(42a)을 지나서 제1배출구(21)에 연결된다.
유도판(44)은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모래를 제2배출구(22)로 유도하도록 설치되고, 분기판(45)은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유도판(44)은 본체(20)의 하측부에서 모래를 받아서 제2배출구(22)로 보내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설치되는 반면 분기판(45)은 송풍기(50)의 반대측에서 유도판(44)의 일부를 절개 또는 절곡하여 제3배출구(23)로 향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분기판(45)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의 형상 및 크기는 송풍기(50)의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급수단(40)의 유도판(44)은 상단에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여과망(5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과망(55)은 나무조각, 플라스틱조각,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송풍기(50)의 풍력에도 분기판(45)으로 밀려나지 않고 유도판(44)을 통해 제2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과망(55)은 송풍기(5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고 필요에 따라 곡면화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송풍기(50)의 풍력에 의해 모래가 분기판(45)으로 유입되어 제3배출구(23)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작동에 있어서, 분쇄 등의 일차처리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공급호퍼(10)에 투입되면 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되고, 진동스크린(16)에서 일정 크기의 골재(이물 질 포함)가 본 발명의 본체(20)에 투입되고, 본체(20)의 날개판(30)에 의해 원심분리가 발생된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흙은 상부수집통(41)으로 낙하되고 중량이 큰 모래나 이물질은 하부수집통(42)으로 낙하된다. 상부수집통(41)으로 유입된 흙은 도관(43)을 통해 제1배출구(21)로 배출되고, 하부수집통(42)을 거쳐 통공(42a)으로 낙하되는 모래와 이물질은 송풍기(50)의 풍력에 의해 다시 분리되어 각각 제2배출구(22)와 제3배출구(23)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모래는 건조한 다음 다시 진동스크린에서 세사, 중사, 왕사 등의 크기별로 선별하여 각각 해당 사이로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토분을 투입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흙과 모래로 분리 수집되어 필요에 따라 건설용 자재로 활용함으로써 골재가 부족한 우리의 여건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공급호퍼(10), 컨베이어(12), 진동스크린(16)의 하측에 통형 구조로 설치되고, 하부에 배출구(21)(22)(23)를 지니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판(30)과; 저면의 도관(43)을 통해 제1배출구(21)에 연결되는 상부수집통(41)과, 상기 상부수집통(4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통공(42a)을 구비한 하부수집통(42)과,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모래를 제2배출구(22)로 유도하는 유도관(44)과, 이물질을 제3배출구(23)로 유도하는 분기판(45)이 구비된 분급수단(40)과; 상기 분급수단(40)을 통과하는 골재에 풍력을 부가하는 송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폐기물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배출구(23)는 상기 송풍기(5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수집통(42)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본체(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급수단(40)의 유도판(44) 상단에는 여과망(5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KR1020040063910A 2004-08-13 2004-08-13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KR10062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910A KR100624825B1 (ko) 2004-08-13 2004-08-13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910A KR100624825B1 (ko) 2004-08-13 2004-08-13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09U Division KR200366408Y1 (ko) 2004-08-16 2004-08-16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077A KR20060015077A (ko) 2006-02-16
KR100624825B1 true KR100624825B1 (ko) 2006-09-20

Family

ID=3712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910A KR100624825B1 (ko) 2004-08-13 2004-08-13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70B1 (ko) * 2022-01-18 2022-04-14 우광개발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토사와 골재의 분리회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70A (ja) * 1989-06-09 1991-01-18 Fuji Xerox Co Ltd 部品構成表示システム
JPH0549077A (ja) * 1991-06-25 1993-02-26 Fujitsu Ltd R点クロツク自動切り替え方式
JPH0551484A (ja) * 1991-08-26 1993-03-02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
JPH0568948A (ja) * 1991-09-11 1993-03-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分級装置及び該分級装置を備えた粉砕設備
KR20030051484A (ko) * 2003-05-21 2003-06-25 이원호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70A (ja) * 1989-06-09 1991-01-18 Fuji Xerox Co Ltd 部品構成表示システム
JPH0549077A (ja) * 1991-06-25 1993-02-26 Fujitsu Ltd R点クロツク自動切り替え方式
JPH0551484A (ja) * 1991-08-26 1993-03-02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
JPH0568948A (ja) * 1991-09-11 1993-03-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分級装置及び該分級装置を備えた粉砕設備
KR20030051484A (ko) * 2003-05-21 2003-06-25 이원호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011470
05049077
05051484
05068948
102003005148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70B1 (ko) * 2022-01-18 2022-04-14 우광개발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토사와 골재의 분리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077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JP4322896B2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863184B1 (ko) 상승 송풍과 합성고무 회전체가 장착된 저속 vsi를 이용하여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 및 시멘트페이스트 제거 기술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467420B1 (ko)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CN106830594B (zh) 污泥处理系统
CN101318194A (zh) 以水为介质的生活垃圾重力分选系统
KR100624825B1 (ko)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KR200366408Y1 (ko)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JP5478483B2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