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210B1 -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210B1
KR100624210B1 KR1020060064539A KR20060064539A KR100624210B1 KR 100624210 B1 KR100624210 B1 KR 100624210B1 KR 1020060064539 A KR1020060064539 A KR 1020060064539A KR 20060064539 A KR20060064539 A KR 20060064539A KR 100624210 B1 KR100624210 B1 KR 10062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steam
liqui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용
신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Priority to KR102006006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와 묶은 때, 기름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묻어 있는 기계부품을 담는 세척탱크 내에 페인트박리제와 탈지제, 알카리 세척용액을 혼합한 세척액(이하, 세척액이라 약칭함)을 넣은 뒤에 이를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기계부품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탱크에 담아 사용하는 세척액의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크내로 순환 공급시켜서 세척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세척액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세척액이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유해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탱크(1)에 담아 사용하는 세척액의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크(1)내로 순환 공급시키되, 세척탱크(1)로 투입되는 세척액(2)을 세척탱크에 담겨진 세척액의 상면으로 분사시켜서 세척액(2)의 상면에 거품이 일어나게 하여 세척액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유해증기가 거품에 차단되어 세척액의 상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세척탱크(1)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8)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거품층을 투과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커버하며, 세척탱크(1)의 내측변 상부에는 증기흡입관(12)을 설치하여 세척액의 상면과 상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퍼져있는 증기를 송풍기(13)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증기흡입관(12)과 송풍기(1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증기배기관(14)에는 응축기(15)를 설치하여 고온의 증기가 응축되어 액체로 된 세척액이 세척탱크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물질, 기계부품, 세척탱크, 페인트박리제, 탈지제, 알카리 세척용액, 세척액, 이물질세척장치, 유해증기

Description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Washing device with refinement of detergent and recovery of detergent vapor}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4의 "A"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B"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C"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D"방향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척탱크 2 : 세척액 3 : 배출구
4 : 분사노즐 5 : 세척액분사관 6 : 순환펌프
7 : 유입관 8 : 스트레너 9 : 순환배출관
10 : 설치판 11 : 흡입구 12 : 증기흡입관
13 : 송풍기 14 : 증기배출관 15 : 응측기
16 : 드레인관 17 : 하향경사판부 18 : 가이드커버체
19 : 가이드레일 20 : 스프라켓 21 : 모터
22 : 회전축 23 : 체인 24 : 고정프레임
25 : 이동프레임 26 : 이송롤러 27 : 접이식링크
28 : 상부커버 29 : 체인커버 30 : 스위치접촉대
31 : 리미트스위치 32 : 기계부품 33 : 구동브라켓트
본 발명은 페인트와 묶은 때, 기름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묻어 있는 기계부품을 담는 세척탱크 내에 페인트박리제와 탈지제, 알카리 세척용액을 혼합한 세척액(이하, 세척액이라 약칭함)을 넣은 뒤에 이를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기계부품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탱크에 담아 사용하는 세척액의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크내로 순환 공급시켜서 세척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세척액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세척액이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유해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부품용 이물질세척장치는 세척탱크 내에 기계부품에 도장되거나 묻은 페인트와 묶은 때, 기름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을 세척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을 담아둔 뒤에 이를 60~90℃로 가열하면서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교반하여 기계부 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 세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계부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 세척할 때, 페인트박리제와 탈지제, 알카리 세척용액을 혼합한 세척액은 가열되면서 유해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유해증기는 세척탱크의 상부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처럼 세척탱크의 상부로 퍼져나가는 유해증기는 인체에 해로워서 이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척탱크의 상부에 에어분사식 노즐을 설치하여 세척탱크의 상부로 퍼져나가는 유해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으나, 이는 세척탱크의 상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유해증기를 차단효과가 미약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유해증기가 작업장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므로 세척액의 손실이 그 만큼 커지는 폐단이 있게 되고, 기계부품에서 박리되고 제거되는 페인트찌꺼기와 입자가 큰 흙먼지 등의 찌거기가 세척탱크내부에 쌓이게 되므로 이물질에 대한 세척효율이 저하되게 되고, 세척액을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탱크의 상부에 상부커버를 개폐식으로 설치하면서 그 세척탱크의 내측 상부에 유해증기를 흡입하여 응축시킨 뒤에 세척탱크내로 응축된 세척액을 투입하는 증기재활용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세척액을 세척탱크에서 빼내어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크내로 순환공급하되, 세척탱크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세척탱크 내의 세척액 상면에 분사식으로 공급하여 세척액의 상면에 거품이 일어나게 함으로서, 유해증기가 1,2,3차에 걸친 증기차단수단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찌꺼기가 적어 깨끗한 세척액으로 기계부품의 이물질을 세척 제거하는 작업이 효율적이게 하며, 외부로 배기되는 증기를 응축시켜 세척탱크로 다시 공급하므로 세척액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척탱크에 담아 사용하는 세척액의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크내로 순환 공급시키되, 세척탱크로 투입되는 세척액을 세척탱크에 담겨진 세척액의 상면으로 분사시켜서 세척액의 상면에 거품이 일어나게 하여 세척액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유해증기가 거품에 차단되어 세척액의 상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세척탱크의 상부에는 상부커버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거품층을 투과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커버하며, 세척탱크의 내측변 상부에는 증기흡입관을 설치하여 세척액의 상면과 상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퍼져있는 증기를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증기흡입관과 송풍기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증기배기관에는 응축기를 설치하여 고온의 증기가 응축되어 액체로 된 세척액이 세척탱크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탱크(1)에 담겨진 세척액의 상면을 액면(液面)이라 칭하며, 세척 탱크(1)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세척액(2)이 담겨지는 사각함체형으로 형성된 세척탱크(1)의 액면 아래의 일측방에는 세척탱크(1) 내의 세척액(2)을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3)가 외향 연결되고, 세척탱크(1) 내벽의 액면 상측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역 "ㄷ"형 또는 "ㅁ"형의 세척액분사관(5)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3) 반대편의 세척액분사관(5)에는 중간에 순환펌프(6)가 설치된 유입관(7)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3)와 유입관(7)의 단부 사이에는 세척탱크(1)에서 나오는 세척액(2) 중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주는 스트레너(8)가 구비된 순환배출관(9)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탱크(1)의 전후방 상면에는 설치판(10)이 설치되고, 세척탱크(1) 내측의 설치판(10) 상부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가 상향 경사지게 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형의 증기흡입관(12)이 설치되며, 상기 증기흡입관(12)의 소정위치에는 말단 상부에 세척탱크(1) 위로 올라오는 증기를 흡입하게 하는 송풍기(13)가 설치된 증기배출관(14)이 연결된다.
상기 송풍기(13) 하측의 증기배출관(14)에는 고온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측기(15)가 설치되고, 증기배출관(14)의 증기흡입관(12)과 근접한 부분에는 응측기(15)에 의해 응축된 응축액을 세척탱크(1) 내로 배수되게 하는 드레인관(16)이 연결되어 있다.
도 1, 2, 3 및 도 8,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탱크(1)의 전후방 상부에 설 치된 설치판(10)의 상부에는 내측에 하향경사판부(17)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커버체(18)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가이드커버체(18)의 내측 바닥에는 가이드레일(19)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측 가이드커버체(18)의 양측 외면에는 스프라켓(20)이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후방측의 일측 스프라켓(20)의 사이에는 모터(21)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22)이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측의 양측 스프라켓(20)의 사이에는 체인(23)이 각각 감겨져 있다.
상기 회전축(22)이 설치된 쪽의 세척탱크(1) 상부에는 전후길이 방향으로 상부커버 설치용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되고, 이 고정프레임(24)에서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된 세척탱크(1)의 반대측 상면까지의 세척탱크(1) 상부에는 하단부에 가이드레일(19)에 안내하는 이송롤러(26)가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들 고정프레임(24)과 각각의 이동프레임(25)은 "X"자형으로 절첩되는 다수개의 접이식링크(27)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4)과 각각의 이동프레임(25)의 상부에는 세척탱크(1)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28)가 비닐시트와 같이 접어지는 재질로서 덮어 씌워진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4)의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5)에는 구동브라켓트(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방측 체인(23)의 상하부에는 체인을 커버하는 체인커버(29)가 설치되며, 구동브라켓트(33)에는 스위치접촉대(30)가 설치되고 체인커버(29)의 일측 단부와 타측 소정위치에는 체인(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말단측 이동프레임(25)의 스위치접촉대(30)가 접촉되어 모 터(21)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31)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00"은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는 발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기계부품에 도장된 페인트나, 기름기,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척탱크(1)의 내부에 페인트박리제와 탈지제, 알카리 세척용액을 혼합한 세척액(2)을 넣은 뒤에 이를 히터(H)로서 가열하여 세척액(2)의 온도가 60~90℃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세척탱크(1)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부커버(28)를 열어 세척탱크(1)의 상부가 개방하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세척해야 할 기계부품(32)을 세척액(2)에 잠기도록 투입시키며, 그 뒤에 상부커버(28)를 닫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세척액(2)의 화학작용에 의해 기계부품(32)에 도장된 페인트와 기름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세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계부품(32)에 대한 세척작업을 할 때, 세척탱크(1) 내에 담겨진 세척액(2)을 강제로 순환시키는데, 이는 강제로 순환되는 세척액(2)의 이동에 의해 기계부품(32)의 표면에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세척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세척액(2)의 순환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순환펌프(6)의 동작에 의해 세척탱크(1) 내의 세척액(2)이 액면(液面) 아래측에 외향 설치된 배출구(3)를 통하여 순환배출관(9)과 스트레너(8), 순환펌프(6)를 구비한 유입 관(7), 유입관(7)과 연결된 세척액분사관(5)을 통하여 세척탱크(1)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액(2)이 순환될 때 세척탱크(1)의 액면 아래쪽에는 기계부품(32)이 세척되면서 제거되는 이물질의 작은 찌꺼기가 가라앉게 되는데, 세척액(2)이 순환될 때 외측으로 나가게 되는 배출구(3)가 액면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세척탱크(1) 내에서 액면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찌거기가 배출구(3)를 통하여 순환배출관(9)측으로 나가게 되며, 이렇게 찌꺼기를 포함한 세척액(2)은 스트레너(8)를 거치면서 찌꺼기가 스트레너(8)에서 걸러지게 된다.
이처럼 찌꺼기가 걸려져 깨끗한 상태의 세척액(2)은 순환펌프(6)이 설치된 유입관(7)과 세척액분사관(5)을 통하여 세척탱크(1) 내측으로 분사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세척액분사관(5)은 도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탱크(1) 내의 액면 상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세척액분사관(5)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하향 경사진 분사노즐(4)을 통하여 액면의 상면으로 세척액(2)이 경사지게 분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탱크(1) 내의 액면 상으로 깨끗해진 세척액(2)이 분사됨에 따라 액면 상에는 경사지게 분사되는 세척액(2)이 액면과 부딪치면서 액면상에는 거품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액면 상에 거품이 일어나게 하는 것은 세척탱크(1) 내에 담겨진 세척액(2)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히터에 의해 60~90℃로 가열되고 있으며 화학약품이므로 화학약품의 냄새와 증기가 발생하면서 위로 올라오게 되는데, 위와 같이 액면 상으로 순환되는 깨끗한 세척액(2)이 분사되면서 발생하는 거품에 증기와 냄새가 차단되어 상측으로 올라오는 증기와 화학약품의 냄새를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거품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오는 냄새와 증기가 차단됨에도 불구하고 액면 상으로 세척액(2)의 냄새와 증기가 올라오게 되는데, 세척탱크(1)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8)가 덮어 씌워져 있으므로 상기 냄새와 증기가 작업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세척탱크(1)의 벽체 상부에는 냄새와 증기를 흡입하는 증기흡입관(12)이 설치되어서 액면과 상부커버(28)의 사이 공간에 퍼져 있는 냄새와 증기를 흡입하게 된다.
도 1, 4, 5,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액(2)이 순환되면서 기계부품(32)에 대한 세척작업을 진행할 때 세척탱크(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13)도 함께 구동하게 되는데, 이 송풍기(13)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이 증기배출관(14)과 증기흡입관(12)에 작용하게 되며, 이 증기흡입관(12)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가 상향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액면의 상측과 상부커버(28)의 하측 사이의 상측 공간에 펴져 있는 냄새와 증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렇게 증기흡입관(12)으로 흡입되는 냄새를 포함한 증기는 증기배출관(14)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 증기배출관(14)은 상측으로 향하도록 배관되어 있고, 이 증기배출관(14)에는 응측기(15)가 설치되어서 따뜻한 증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온도가 낮으며 응측기(15)가 설치된 부분에서 따뜻한 증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응축작용이 일어나 증기가 액체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액체로 변하여 낮은 온도의 세척액이 되며 이 세척액은 세척탱크(1)의 내측을 향하는 드레인관(16)을 통하여 세척탱크(1)의 내부로 흘러내려 증기로 빠져나갈 세척액을 세척탱크(1) 내로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세척액을 60~90℃로 따뜻하게 가열하면 상온보다 기계부품에 묻은 각종 이물질이 쉽게 세척하게 되는데, 이는 금속제로 된 기계부품과 그 표면에 도장 또는 접착되어 있는 페인트 등의 이물질이 서로 열팽창계수가 상이하여 상기 60~90℃의 온도에서 페인트 등의 이물질과 기계부품과의 사이와, 이물질에 크랙이 발생하면서 그 틈새로 세척액이 침투하여 페인트 등의 이물질을 쉽게 벗개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5)는 따뜻한 유체가 흐르는 증기배출관(14)의 외부에 차가운 물이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냉각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다음은 상부커버(28)가 개폐되는 것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세척탱크(1) 내로 기계부품(32)을 투입하거나 꺼내기 위하여 상부커버(28)를 오픈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28)를 오픈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시키게 되며, 그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22)이 회전하면서 회전축(22)의 전후방측에 설치된 스프라켓(20)이 회전하게 되고, 이들 전후방측의 스프라켓(2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스프라켓(20) 사이에는 체인(23)이 감겨져서 체인(23)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 으로 도 3의 "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면상우측으로 이동하는 체인(23)에는 도 2 및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4)의 반대편에 위치한 말단측 이동프레임(25)에 고정 설치되며, 그 말단측 이동프레임(25)에 설치된 구동브라켓트(33)가 체인(23)과 결합 설치되어서 위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체인(23)에 의해 말단측 이동프레임(25)이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된 우측방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때, 말단측 이동프레임(25)와 고정프레임(24)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각각의 이동프레임(25)의 하단에는 가이드레일(19)에 안내되는 이송롤러(26)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프레임(24)과 각각의 이동프레임(25)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이식링크(27)가 "X"자형으로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접이식링크(27)가 접히면서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이,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과 고정프레임(24)의 상부에는 비닐시트와 같이 접어지는 상부커버(28)가 덮어씌워지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상부에 덮여진 상부커버(28)가 접히면서 세척탱크(1)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커버(28)가 개방될 때 말단측의 구동브라켓트(33)에는 스위치접촉대(30)가 설치되어 있고, 체인을 커버하는 체인커버(29)의 소정위치, 즉 상부커버(28)가 개방되었을 때 말단부측 이동프레임(25)이 위치하는 위치에 스위치접촉대(30)가 접촉하는 리미트스위치(31)가 설치되어서 상기와 같이 상부커버(28)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말단측 이동프레임(25)의 구동브라켓트(33)에 설치된 스위치접촉대(30)가 상기 리미트스위치(31)를 접촉시킴에 따라 모터(21)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고, 그와 연계된 회전축(22)과 스프라켓(20), 체인(23)이 정지되어 이동프레임(25)도 함께 정지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상부커버(2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부커버(28)가 개방되어 세척탱크(1)의 상부가 개방되게 되면 작업자는 필요로 하는 작업, 즉 기계부품(32)을 세척탱크(1)의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꺼내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세척탱크(1)의 상부를 열어두고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한 뒤에는 세척탱크(1)의 상부에서 열어젖혀진 상부커버(28)를 닫아야 하는데, 이때는 상기 상부커버(28)가 개방될 때와 반대로 모터(21)가 구동되도록 하면 모터가 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커버(28)를 닫게 되며, 이 상부커버(28)가 세척탱크(1)의 상부를 모두 닫게 되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리미트스위치(31)와 스위치접촉대(30)가 접촉하면서 모터를 정지시켜 상부커버(28)가 세척탱크(1)의 상부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는, 세척탱크의 상부에 상부커버를 개폐식으로 설치하면서 그 세척탱크의 내측 상부에 유해증기를 흡입하여 응축시킨 뒤에 세척탱크내로 응축된 세척액을 투입하는 증기재활용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세척액을 세척탱크에서 빼내어 찌꺼기를 걸러내면서 세척탱 크내로 순환 공급하되, 세척탱크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세척탱크 내의 세척액 상면에 분사식으로 공급하여 세척액의 상면에 거품이 일어나게 함으로서, 유해증기가 1,2,3차에 걸친 증기차단수단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찌꺼기가 적어 깨끗한 세척액으로 기계부품의 이물질을 세척 제거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로 배기되는 증기를 응축시켜 세척탱크로 다시 공급하므로 세척액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 히터(H)가 설치되고 세척액(2)이 담겨지는 세척탱크(1)의 내부에 이물질이 묻은 기계부품을 투입하여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세척탱크(1)의 액면 아래의 일측방에는 배출구(3)가 외향 연결되고, 세척탱크(1) 내벽의 액면 상측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세척액분사관(5)이 설치되며, 배출구(3) 반대편의 세척액분사관(5)에는 중간에 순환펌프(6)가 설치된 유입관(7)이 연결되고, 배출구(3)와 유입관(7)의 단부 사이에는 스트레너(8)가 구비된 순환배출관(9)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탱크(1)의 전후방 상면에는 설치판(10)이 설치되고, 이 설치판(10) 상부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증기흡입관(12)이 설치되며, 증기흡입관(12)의 소정위치에는 말단 상부에 증기 흡입을 위한 송풍기(13)가 설치된 증기배출관(14)이 연결되고, 송풍기(13) 하측의 증기배출관(14)에는 응측기(15)가 설치되며, 증기배출관(14)의 증기흡입관(12)과 근접한 부분에는 응측기(15)에 의해 응축된 응축액을 세척탱크(1) 내로 배수되게 하는 드레인관(1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커버체(18)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가이드커버체(18)의 내측 바닥에는 가이드레일(19)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측 가이드커버체(18)의 양측 외면에는 스프라켓(20)이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전후방측의 일측 스프라켓(20)의 사이에는 모터(21)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회전축(22)이 설치되며, 전후방측의 양측 스프라켓(20)의 사이에는 체인(23)이 각각 감겨져 있고,
    상기 회전축(22)이 설치된 쪽의 세척탱크(1) 상부에는 전후길이 방향으로 상부커버 설치용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되고, 이 고정프레임(24)에서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된 세척탱크(1)의 반대측 상면까지의 세척탱크(1) 상부에는 하단부에 가이드레일(19)에 안내하는 이송롤러(26)가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5)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들 고정프레임(24)과 각각의 이동프레임(25)은 "X"자형으로 절첩되는 다수개의 접이식링크(27)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4)과 각각의 이동프레임(25)의 상부에는 세척탱크(1)의 상부를 덮는 유연한 재질로 된 상부커버(28)가 덮어 씌워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4)의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5)에는 구동브라켓트(33)가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측 체인(23)의 상하부에는 체인을 커버하는 체인커버(29)가 설치되고, 구동브라켓트(33)에는 스위치접촉대(30)가 설치되며 체인커버(29)의 일측 단부와 타측 소정위치에는 체인(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말단측 이동프레임(25)의 스위치접촉대(30)가 접촉되어 모터(21)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KR1020060064539A 2006-07-10 2006-07-10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KR10062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39A KR100624210B1 (ko) 2006-07-10 2006-07-10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39A KR100624210B1 (ko) 2006-07-10 2006-07-10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210B1 true KR100624210B1 (ko) 2006-09-13

Family

ID=3762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39A KR100624210B1 (ko) 2006-07-10 2006-07-10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2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6023A (zh) * 2018-11-04 2019-01-18 湖南中航精工有限公司 专用饱和蒸汽清洗喷头组件
CN110106352A (zh) * 2019-05-22 2019-08-09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海绵铟制取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6023A (zh) * 2018-11-04 2019-01-18 湖南中航精工有限公司 专用饱和蒸汽清洗喷头组件
CN110106352A (zh) * 2019-05-22 2019-08-09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海绵铟制取设备
CN110106352B (zh) * 2019-05-22 2024-01-05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海绵铟制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143B2 (en) Laundry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AU2003248612B2 (en) Self cleaning exhaust system and method
CN101815460B (zh) 餐具清洗机
CN106998990B (zh) 具有抽吸单元的洗碗机
KR20100037453A (ko) 식기 세척기
JP200623914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N111166256A (zh) 一种自清洁拖扫机
KR100624210B1 (ko) 세척액정제 및 증기회수에 의한 세척장치
CN111166257A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102362804A (zh) 一种横卧台式洗碗机
CN100531664C (zh) 洗碗机的凝聚装置
PL19301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oczyszczania okapu wyciągowego oparów
KR200428189Y1 (ko) 오일 세척장치
US11953228B2 (en) Table fan and method for cleaning a table fan
JP5130925B2 (ja) レンジフード
KR20100091065A (ko)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필터 세정장치
KR101685357B1 (ko) 식기세척기
KR100194380B1 (ko) 진공청소기
JP7065577B2 (ja) 洗浄機
KR20080057365A (ko) 차량용 발판시트 세척기
CN212326297U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JP2008253365A (ja) 床面洗浄清掃機における洗浄水の滴下・流出防止装置
KR101694169B1 (ko) 식기세척기
EP262053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