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78B1 -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78B1
KR100623378B1 KR1020050004336A KR20050004336A KR100623378B1 KR 100623378 B1 KR100623378 B1 KR 100623378B1 KR 1020050004336 A KR1020050004336 A KR 1020050004336A KR 20050004336 A KR20050004336 A KR 20050004336A KR 100623378 B1 KR100623378 B1 KR 10062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level
signal
unit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065A (ko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현재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바로 전의 소정시간동안 출력되었던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강제로 조절하며, 강제로 조절된 음성신호의 레벨이 원래의 상태로 복구되는 시간을 임의로 조절한다.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부와,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FIFI(First In First Out)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수단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는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과,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갑자기 높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음성신호의 레벨이 원래의 레벨로 복원되는 시간을 조절한다.
복합기기, 음성신호레벨, 레벨조절, 최대레벨, 최소레벨

Description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level of audio signal in multi-functio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벨 조절장치에서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레벨 조절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음성신호 스위칭부 110 : 음성신호 저장수단
111 : 음성신호 저장부 113 : 저장용량 가변부
120 :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 121 : 평균레벨 계산부
123 : 레벨 조절부 130 :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
131 :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 133 : 비교부
135 : 스위칭신호 발생부 137 : 스위칭부
본 발명은 셋 탑 박스 등과 같이 각종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기능부가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복합 기기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레벨이 급격하게 변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비롯한 각종 방송이 개발됨에 따라 이들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수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DMB 신호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비롯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하나의 수신 단말기에서 모두 수신하고, 시청할 경우에 수신 단말기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고, 신호들의 처리가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각종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기능부를 구비하는 셋 탑 박스 등과 같은 수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수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각종 방송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은 영상/음성 시청기기로 전송 및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셋 탑 박스 등과 같은 수신 단말기는 복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음성 시청기기는 상기 수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신호들의 처리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저장매체에 영상/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재생하여 출력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VCR(Video Cassette Recorder) 및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각종 영상/음성 출력기기가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영상/음성 출력기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일체로 내장하거나 또는 영 상/음성 출력기기들이 출력하는 영상/음성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가 입력받은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하여 영상/음성 시청기기로 전송함으로써 각종 영상/음성 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도 영상/음성 시청기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하나의 수신 단말기가 복수의 방송신호들을 수신하고, 또한 각종 영상/음성 출력기기가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들을 통합함에 따라 각각의 신호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의 차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경우에는 해상도 및 칼라 등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를 영상/음성 시청기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해야 된다.
그리고 음성신호도 각각의 방송신호 및 각종 영상/음성 출력기기마다 레벨이 상이하므로 사용자가 시청할 영상/음성신호를 절환할 경우에 갑자기 스피커로 매우 높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되어 놀라는 경우가 발생함은 물론 영상/음성 시청기기의 볼륨을 조절해야 되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에서 음성신호의 레벨이 V1이고, VCR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음성신호의 레벨 V1보다 높은 V2라고 가정하고, 수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음성 시청기기로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VCR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시청할 경우에 V2-V1 만큼 레벨 차가 발생하여 스피커로 갑자기 큰 소리가 출력됨으로써 시청자가 놀라게 됨은 물론 볼륨 레벨을 낮게 조절해야 되고, 상기와는 반대로 VCR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시청할 경우에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너무 낮아 볼륨을 높게 조절해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에서 음성신호는 5.1 채널을 지원하므로 현실감 있는 음향 효과를 위하여 별도의 복호화기 및 증폭기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 차도 증폭기의 증폭 정도에 따라 몇 배 이상 발생하여 심각한 문제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음성신호를 계속 청취하고 있더라도 스피커로 낮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있다가 갑자기 높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될 경우가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갑자기 높은 레벨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의해 놀라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기기에서 음성신호의 선택을 절환할 경우에 선택한 음성신호의 레벨을 바로 전에 선택하였던 음성신호의 레벨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바로 전에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되었던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강제로 조절하여 음성신호의 레벨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제로 조절된 음성신호의 레벨이 원래의 상태로 복구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는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부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FIFO(First In First Out)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수단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는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과,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FIFO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부와, 사용자의 조절 값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가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용량을 가변시키는 저장용량 가변부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의 평균레벨을 계산하는 평균레벨 계산부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평균레벨 계산부가 계산한 평균레벨로 조절하는 레벨 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추출하는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상기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가 추출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의 사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신호 발생부와, 스위칭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방법은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저장수단이 FIFO로 저장하고,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이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을 추출하고, 추출한 최대 및 최소 레벨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신호의 선택 모드를 조절할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사용자의 선택모드에 따른 해당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고, 사용자가 저장용량을 가변시킬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이 음성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의 평균레벨을 평균레벨 계산부가 계산하여 값이 '1'인 최상위 비트를 검출하고,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서 상기 검출한 최상위 비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비트의 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하며, 상기 검출한 최상위 비트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비트의 값을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해당 비트의 값으로 복사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FIFO(First In First Out)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수단(110)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는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120)과,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120)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FIFO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부(111)와, 사용자의 조절 값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111)가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용량을 가변시키는 저장용량 가변부(113)로 구성하였다.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120)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의 평균레벨을 계산하는 평균레벨 계산부(121)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계산한 평균레벨로 조절하는 레벨 조절부(123)로 구성하였다.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추출하는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131)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상기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131)가 추출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의 사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133)와, 상기 비교부(13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신호 발생부(135)와, 스위칭신호 발생부(135)가 발생한 스위칭 신 호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120)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137)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는 입력되는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음성신호들은 복합기기가 수신한 DMB 신호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신호에서의 디지털 음성신호와, 복합기기가 수신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신호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음성신호와, PVR, VCR 및 DVD 플레이어 등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 등으로서 음성신호 스위칭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의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FIFO로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설정용량 이상의 음성신호가 저장될 경우에 앞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삭제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음성신호의 양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값을 설정할 경우에 그 사용자 조절값에 따라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의 저장용량 가변부(113)가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음성신호가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의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소정 시간 분량의 음성신호가 저장되면,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120)의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전체 음성신호의 레벨의 평균 레벨을 계산하고, 계산한 평균레벨을 레벨 조절부(123)로 출력한다. 그러면, 레벨 조절부(123)는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현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계산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계산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한 후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의 스위칭부(137)의 일측 입력단자(a)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의 최대/최소레벨 추출부(131)는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음성신호들 중에서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부(133)가 비교하여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검출한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비교부(133)의 판단 신호에 따라 스위칭 신호 발생부(135)가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37)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레벨 조절부(123)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은,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최대/최소레벨 추출부(131)가 추출한 음성신호의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스위칭 신호 발생부(135)는 스위칭부(137)의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되고,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 출력하는 음성신호가 스위칭부(137)를 통해 출력되게 하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최대/최소레벨 추출부(131)가 추출한 음성신호의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스위칭 신호 발생부(135)는 스위칭부(137)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고, 레벨 조절부(123)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가 스위칭부(137)를 통해 출력되게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00)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모드를 선택할 경우에 단계(202)에서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해당 모드의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단계(204)에서 사용자가 음성신호의 저장용량을 가변할 경우에 저장용량을 가변한 사용자 조절값에 따라 음성신호 저장수단(110)의 저장용량 가변부(113)가 단계(206)에서 음성신호 저장부(111)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저장용량을 가변한다.
다음 단계(208)에서 저장용량 가변부(113)는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FIFO로 저장하고, 단계(210)에서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130)의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131)는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단계(212)에서 비교부(133)가 비교하여 단계(214)에서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214)의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일 경우에 비교부(1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신호 발생부(135)가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단계(216)에서 스위칭부(137)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214)의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가 아닐 경우에 비교부(1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신호 발생부(135)가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37)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단계(218)에서 평균레벨 계산부(121)는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레벨을 계산하고, 단계(220)에서 레벨 조절부(123)가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계산한 평균레벨로 조절하여 스위칭부(137)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레벨 조절부(123)가,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평균레벨 계산부(121)가 계산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평균레벨 계산부(12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평균레벨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할 경우에 레벨 조절부(123)는 먼저 평균레벨 계산부(12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평균레벨에서 값이 '1'인 최상위 비트(b13)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한 비트(b13)의 상위 비트(b14, b15)의 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한 후 상기 평균레벨 계산부(12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평균레벨의 값이 '1'인 비트(b13)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수의 비트 예를 들면, 2개의 비트(b13, b12)의 값인 '10'을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해당 비트(b13, b12)의 위치에 복사하여 음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레벨 조절부(123)가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출력될 경우에 레벨 조절부(123)에서 음성신호의 평균레벨 정도로 낮아지게 되고, 음성신호 스위칭부(100)에서 평균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레벨 조절부(123)에서 음성신호의 평균레벨 정도로 높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현재 시간부터 이전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하여 두고,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일 경우에 그 음성신호 스위칭부(100)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스위칭부(137)가 출력하고, 음성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레벨 및 최소레벨의 사이가 아닐 경우에 레벨 조절부(123)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신호의 레벨이 급격하게 낮아지거나 또는 급격하게 높아지는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단계(222)에서 복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복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복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에 종료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신호의 선택을 절환하여 음성신호의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거나 또는 동일 모드에서 음성신호의 레벨이 급격하게 변할 경우에 이전에 출력하던 음성신호의 레벨로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갑자기 높은 레벨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음성신호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따른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음성신호의 레벨이 원래의 레벨로 복원되어 출력됨은 물론 음성신호 저장부의 저장용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음성신호의 레벨이 원래의 레벨로 복원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음성신호들 중에서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음성신호 스위칭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를 FIFO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부;
    사용자의 조절 값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가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용량을 가변시키는 저장용량 가변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는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 및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의 평균레벨을 계산하는 평균레벨 계산부; 및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평균레벨 계산부가 계산한 평균레벨로 조절하는 레벨 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추출하는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과 상기 최대/최소 레벨 추출부가 추출한 음성신호의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최대 레벨 및 최소 레벨의 사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신호 발생부; 및
    스위칭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레벨 조절수단에서 레벨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5. 사용자가 저장용량을 가변시킬 경우에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음성신호 저장수단의 저장용량을 가변시키는 단계;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이 FIFO로 저장하는 단계;
    음성신호 스위칭 수단이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최대 및 최소 레벨을 추출하고, 추출한 최대 및 최소 레벨과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상기 최대 및 최소 레벨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선택한 음성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성신호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평균 레벨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신호의 선택 모드를 조절할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사용자의 선택모드에 따른 해당 음성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방법.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가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은;
    상기 음성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들의 평균레벨을 평균레벨 계산부가 계산하여 값이 '1'인 최상위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서 상기 검출한 최상위 비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비트의 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최상위 비트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비트의 값을 상기 음성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해당 비트의 값으로 복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방법.
KR1020050004336A 2005-01-17 2005-01-17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62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36A KR100623378B1 (ko) 2005-01-17 2005-01-17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36A KR100623378B1 (ko) 2005-01-17 2005-01-17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65A KR20060084065A (ko) 2006-07-21
KR100623378B1 true KR100623378B1 (ko) 2006-09-13

Family

ID=3717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336A KR100623378B1 (ko) 2005-01-17 2005-01-17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306A (ko) * 1996-10-21 1998-07-15 김광호 다이아몬드 광도전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169270A (ja) * 2001-11-29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デコーダー付き映像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306A (ko) * 1996-10-21 1998-07-15 김광호 다이아몬드 광도전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169270A (ja) * 2001-11-29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デコーダー付き映像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65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0077B2 (en) Audio level control
KR101459319B1 (ko)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601977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方法
US20070058033A1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selection of preset audio/video settings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signal source
KR0179968B1 (ko) 사운드신호 출력회로 및 그 방법
US61671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for audio/video appliance
JP2007053510A (ja) 記録再生装置、再生装置、音量自動調整方法および音量自動調整プログラム
JP2007166557A (ja) オーディオ装置
KR100623378B1 (ko) 복합기기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7228411A (ja) 音響機器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644650B2 (ja) ディスク装置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60251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8851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오디오 신호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681647B1 (ko) Pvr의 편집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347801B1 (ko) 피 아이 피 기능을 갖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 재생장치 및그 재생 제어방법
KR960010123Y1 (ko) 개선된 에이/브이(a/v)기기용 오디오 조절/표시장치
JP2019161333A (ja) 音声処理装置
KR100501931B1 (ko) Dvd 입력 소스에 따른 최적화된 종횡비의 조정 방법 및이를 이용한 dvd 플레이어
KR100691877B1 (ko) 요리 정보의 제공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JPH1117473A (ja) 音量調整装置
JP2018078459A (ja) 撮像装置
KR20050011232A (ko) 채널별 자동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향출력장치
KR20080023795A (ko) 녹화물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화물 배속 재생 방법
JP2018074219A (ja) 音声処理装置
KR19980054740U (ko) 텔레비전에서의 id코드데이터에 따른 음성신호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