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057B1 -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제거가능한 유닛 - Google Patents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제거가능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057B1
KR100623057B1 KR1020047011745A KR20047011745A KR100623057B1 KR 100623057 B1 KR100623057 B1 KR 100623057B1 KR 1020047011745 A KR1020047011745 A KR 1020047011745A KR 20047011745 A KR20047011745 A KR 20047011745A KR 100623057 B1 KR100623057 B1 KR 10062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device
slotted
shaft
link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963A (ko
Inventor
네셋 쿠라코글루
마리오 슈미트
마티아스 지크만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7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은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을 위한 작동 장치(16)를 갖는다. 컨택트 유닛(14)이 제공된 슬라이드(15)은 슬롯형-링크 장치(31)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슬롯형-링크 장치(31)는 샤프트(34) 상의 제어 핀(36)이 결합되는 웜 기어(40)를 갖는 슬롯형-링크 몸체들(32)을 갖는다. 그 웜 기어(33)의 하나의 섹션(40)은 보다 작은 나사 간격을 갖는 피치로 형성되어, 샤프트(34)가 작동될 때 작은 인가된 힘으로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이 닫힐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 제거가능한 유닛{WITHDRAWABLE UNIT FOR A SWITCH DEVICE WITH AUXILIARY DISCONNECTOR CONTACTS}
본 발명은 전면 제어판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withdrawable) 부분 상에 배치되는 작동 장치에 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는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가지며, 이동가능하도록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 상에서 슬라이드에 의해 인도되는 보조 단선 컨택트들과 관련된 컨택트 유닛을 갖는,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은, 예를 들어, DE 199 48 697 A1에서 개시되었다. 이 경우, 컨택트 유닛은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후면에 배치되며,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전면 제어판 상에 제공되는 그립(grip)(손잡이(knob)이 등)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컨택트 유닛이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립은 상기 컨택트 유닛을 인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드에 고정된다. 따라서, 보조 단선 컨택트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립은 전면 제어판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주 단선 컨택트(main disconnection contact)들에 대해서는, DE 27 17 691 A1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경우, 그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전면 제어판 상의 툴(tool)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웜 디바이스(worm device)가 사용되는 것이 이미 공지되었다. 이 경우, 웜(worm)은 주 단선 컨택트들의 컨택트 유닛들에 고정된 슬라이드를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후면에 가까이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내부로의 삽입시에, 공지된 동일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은 서로 확실하게 결합되는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단선 컨택트들은 주 단선 컨택트들의 웜 드라이브가 작동되기 전에는 유효하지 않는바, 이는 보조 스위치가 웜 드라이브에 결합되어 컨택트 등의 작동을 위한 보조 전압을 작동시키기 때문이다.
보조 단선 컨택트들이 DE 27 17 691 A1에서와 유사한 웜 드라이브 또는 스크루 드라이브(screw drive)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음이 언급된 2001년 4월 20일에 출원된 선행 특허 출원인 DE 101 20 737.9에서 추가적인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에서의 보조 단선 컨택트들의 작동을 향상시키는 목적에 기반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작동 장치가 툴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작동될 수 있도록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에 장착된 샤프트를 구비하여, 슬롯형-링크 장치가 슬라이드에 고정되어 샤프트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 제어 핀과 상호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는, DE 27 17 691 A1에 따른 웜 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유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제작되고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작동장치는 슬롯형-링크 장치가 컨택트 유닛의 슬라이드와 관련될 수 있게 하는데, 양 부분들(슬라이드와 슬롯형-링크 장치)은 일체형 금속-시트부(sheet-metal part)의 형태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멀티폴(multipole) 보조 단선 컨택트의 경우 바람직한 바와 같이 보다 큰 힘이 전달될 필요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하나의 개선례에 따라, 슬롯형-링크 장치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섹션들을 수반하는 웜 기어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적절한 이동 시퀀스(sequence)가 성취될 수 있는바, 상기 적어도 2개의 섹션들 중 하나의 섹션은 증가된 힘 상승 비(force step-up ratio)를 갖는데, 이는 샤프트의 회전에 대하여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닫는데 적절하다. 이 경우 다른 하나의 섹션은, 컨택트들이 먼저 보조 단선 컨택트들의 고정부(stationary part)와 접촉할 때까지, 샤프트의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각에 대하여 컨택트 유닛의 그 정지 위치에서부터의 아이들링 이동(idling movement)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슬롯형-링크 장치는 유리하게도 2개의 슬롯형-링크 몸체들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2개의 슬롯형-링크 몸체들은 슬라이드에 단단히 고정되며, 속이 빈 원통형이며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열되며, 그 슬롯형-링크 몸체들의 서로 대면하는 단부면들은 제어 핀을 수용하는 웜 기어를 한정한다. 분리된 슬롯형-링크 몸체들은 일체형 웜 몸체보다 상당히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작동 진행 또는 인가될 힘의 회전각 사이의 원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축방향으로 분리된 슬롯형-링크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유용한 추가적 수정예는 적어도 한쪽 단부에서 대향하는 피치(opposite pitch)를 갖는 섹션을 갖는 웜 기어 및 축방향으로 슬롯형-링크 장치에 응력을 가하여 한쪽 단부 위치에서 샤프트에 대한 래치(latch)를 형성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입부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은 보조 단선 컨택트 장치를 간단하게 제조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각각 방사형으로 돌출된 플랜지(flange)를 갖는 슬롯형-링크 몸체들과 플랜지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림(supporting limb)을 갖는 슬라이드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동시에 이 경우, 지지 림과 플랜지의 치수는 제어 핀이 결합될, 슬롯형-링크 몸체들 사이의 필요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플랜지들과 지지 림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들이 회전하지 않고 정렬되도록 연속적인 부착 수단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바와 같이, 샤프트에는 그 단부에, 툴에 연결하는데 적절한 컨투어(contour)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지된 핸드 크랭크(hand crank) 형태인 제거가능 툴들과 영구적으로 샤프트에 연결되는 회전 놉(rotary knob)과 같은 툴들 모두가 샤프트를 작동시키는데 적절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위한 작동 장치를 갖는 저-전압 스위치기어 어 셈블리용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장치의 제 1 예로서, 슬라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샤프트와 관련하여 슬롯형-링크 장치를 갖는 슬라이드를 도시한다.
도 3은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위한 이동가능 컨택트 유닛용 마운트(mount)로서의 슬라이드와 함께, 조립 상태에서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위한 작동 장치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작동 장치의 주요 컴포넌트들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보조 단선 컨택트 열림(open)" 위치에 배치된, 도 3 및 4에서 도시된 보조 단선 컨택트용 작동 장치와 함께, 도 1에서 도시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우측 전면 코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단선 컨택트 닫힘(closed)" 위치에 배치된 작동 장치와 함께, 도 5의 도면과 대응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면 참조 번호
1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 2 프레임
3 전면 제어판 4 핸들
5 핸들 6 주 단선 컨택트(공급부)
7 주 단선 컨택트(송출부(outgoer)) 8 보조 단선 컨택트들
10 수직 버스바들 11 대향 컨택트
12 삽입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이동에 대한 화살표
13 후퇴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의 이동에 대한 화살표
14 컨택트 유닛 15 슬라이드
16 작동 장치(도 2) 17 장착판
18 주 스위치 19 작동 장치(도 3, 4, 5, 6)
20 회전 핸들 21 록킹바
22 록킹바 상의 피보팅 암 23 록킹바 상의 피보팅 암
24 록킹 탭 25 록킹 탭
26 스레드 스핀들 27 핸드 크랭크
28 작동 장치(16)를 위한 툴
30 샤프트(도 2) 31 슬롯형-링크 장치
32 슬롯형-링크 몸체(시트-금속부) 33 웜 기어
34 샤프트 35 점선
36 제어 핀 37 샤프트(34) 단부면 상의 컨투어
38 샤프트(34)의 회전에 대한 화살표
39 슬라이드(30)의 이동에 대한 화살표
40 웜 기어(33)의 섹션(나사 간격이 작은 피치)
41 웜 기어(33)의 섹션(나사 간격이 큰 피치)
42 슬라이드(도 3) 43 슬롯형-링크 장치
44 샤프트 45 제어 핀
46 웜 기어 47 셔터 칼라
48 셔터 칼라의 뷰잉 윈도우 49 샤프트(44) 단부면상의 컨투어
50 (전방) 슬롯형-링크 몸체 51 (후방) 슬롯형-링크 몸체
52 슬롯형-링크 몸체(50)의 단부면 53 슬롯형-링크 몸체(51) 단부면
54 슬롯형-링크 몸체(50) 상의 플렌지
55 슬롯형-링크 몸체(51) 상의 플렌지
56 플랜지들(54, 55)의 부착 개구부 57 플랜지(54) 상의 중심 핀
58 플렌지(54)의 유지 개구부 59 단부면(53)의 리세스
60 나선형 스프링 61 슬라이드(42) 상의 지지 림
62 셔터 칼라(47) 상의 부착물 63 샤프트(44)의 스텝
64 연결 핀 65 슬라이드(42) 상의 장착 림
66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상의 측벽
67 측벽(66)의 쓰루-윈도우 68 보조 스위치
69 작동 암 70 컨택트 유닛(고정)
71 웜 기어(46)의 섹션 (나사 간격이 작은 피치)
72 웜 기어(46)의 섹션 (나사 간격이 큰 피치)
73 툴(회전 놉)
도 1에서 평면도가 도시된, 저-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용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은 프레임 또는 하우징(2)을 갖는데, 그 하우징의 전면 상에는 핸 들들(4 및 5)을 갖는 전면 제어판(3)이 배치되고, 후면상에는 주 단선 컨택트들(6 및 7) 및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이 배치된다. 이 경우, 주 단선 컨택트들(6)은 전력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주 단선 컨택트들(7)은 부하 송출부(load outgoer)를 나타낸다. 주 단선 컨택트들(6 및 7)은 공지된 방법으로 화살표(12) 방향으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을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위치 수직 버스바(busbar)들 및 대향 컨택트들(10 및 11)과 결합되며, 화살표(13)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들로부터 분리된다.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은, 프레임(2)에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도되는 슬라이드(15)의 후단부(rear end)에 부착되는 관련 컨택트 유닛(14)을 갖는다. 슬라이드(15)는 마찬가지로 작동 장치들(16, 19)에 의하여 각각 화살표(12, 1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은 또한 장착판(17)을 갖는데, 이는 스위칭, 제어 및 보호 디바이스들을 위하여 전면 제어판(3)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들 중에, 단지 주 스위치(18) 만이 도시되는데, 이는 전면 제어판(3) 상에 배치된 회전 핸들(2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은 록킹바(locking bar)(21)를 구비하는데, 상기 록킹바(21)는 필수적으로 프레임(2)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피보팅 암(pivoting arm)(22, 23)에 의하여 프레임(2)의 측면에 장착되고, 프레임(2) 외부로 돌출되며 도시되지 않은 고정-위치 슬롯형 링크와 상호작용을 하는 록킹 탭(locking tab)(24, 25)들을 구비한다. 이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을 특히 "분리" 및 "연결" 위치들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그와 동시에 주 스위치(18)에 대하여, 그리고 적절하다면 드라이브 작동기에 대하여 필요한 연동(interlock)을 확실히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작동기의 컴포넌트들로서 요구되는 대로 적응될 수 있는 관련 핸드 크랭크(27)를 갖는 스레드 스핀들(thread spindle)(26)이 도 1에서 도시된다. 핸드 크랭크(27)와 유사한 형태이거나 열쇠(key) 형태일 수 있는 툴(28)이 작동 장치(16, 19)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나타내어진다.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을 위한 작동 장치의 제 1 설명적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하우징(2)의 가이드 및 베어링 부분들이 없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슬라이드(30)는 일부만 도시되며 슬롯형-링크 장치(31)가 제공된다. 슬롯형-링크 장치(31)는 시트-금속 부분의 형태이며 웜 기어(33)를 갖는 슬롯형-링크 몸체(32)를 갖는다. 이 경우, 슬라이드(30)와 함께 슬롯형-링크 몸체(32)는 일체형 스탬핑 부분(stamped part)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일체형 스탬핑 부분이 아직 평평할 때 웜 기어(33)가 스탬핑(stamping)에 의하여 슬롯으로서 그 일체형 스탬프형 부분으로 통합된다. 그 후, 슬롯형-링크 몸체(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거나 폐쇄된 원통 모양으로 구부려져서 그 형태를 갖추는데, 이는 샤프트(34)와 매칭된다. 슬롯형-링크 몸체(32)가 분리된 부분으로 제조되고 소정의 적절한 방법으로 슬라이드(30)에 연결된다면 웜 기어(33)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동일한 장점이 성취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슬라이드(30)에 연결된 후 또는 연결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보다 적은 범위로 슬롯형-링크 몸체(32)를 가리기 위하여 슬롯형-링크 장치(31)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샤프트(34)를 도시한다. 점선(35)은 샤프트(34)에 위치되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어 핀(control pin)(36)이 웜 기어(33)에 결합되기 위해 제공됨을 나타낸다. 그 설치 위치에서, 샤프트는 (예를 들어 도 1의 전면 제어판(3)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단부에서, 샤프트(34)에는 4변형(quadrilateral) 부착물로 도시되는 컨투어(37)가 제공된다. 컨투어(37)에 매칭되는 툴은 샤프트(34)가 화살표(38)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살표(3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30)를 이동시킨다.
도 2는 웜 기어(33)가 서로 다른 피치들을 갖는 2개의 섹션들(40, 41)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어 핀(36)이 섹션(40) 또는 섹션(41)에 위치될 때, 슬라이드(30)는 샤프트(34)의 동일한 회전각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거리를 이동함을 의미한다.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이 닫히는 동안, 컨택트들이 접촉할 때까지 신속한 공급 이동(feed movement)이 발생하며, 그 후에는 컨택트 엘리먼트들의 결합에 보다 큰 힘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샤프트(34)에 대하여 툴 상에 상대적으로 작은 작동 힘(operating force)이 요구된다.
작동 장치(19)의 추가적인 설명적 실시예가 도 3,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작동 장치(19)는 도 3에서는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며, 도 4에서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도 3은 슬롯형-링크 장치(43)가 제공된 슬라이드 (42)를 도시한다. 슬롯형-링크 장치는, 제어 핀(45)에 의해 웜 기어(46)에 결합되는 샤프트(44)를 둘러싼다. 단부에서, 샤프트(44)에는 셔터 칼라(shutter collar)(47)가 제공되는데, 상기 셔터 칼라(47)는 전면 제어판(도 1에서의 3)상의 인스크립션(inscription)을 위한 뷰잉 윈도우(viewing window)(48)와 샤프트(44)의 컨투어(49)에의 접근을 위한 개구부를 갖는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형-링크 장치(43)는 2개의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을 포함하는데, 그 슬롯형-링크 몸체들의 서로 대면하는 단부면들(52, 53)은 각각 웜 기어(46)를 형성한다. 이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간격은 플랜지(flange)들(54, 55)에 의해 성취되는데, 이 플랜지들은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하며, 연결 및 부착을 위한 개구부(56)가 제공된다. 조절이 필요없는 간단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55)에는 플랜지(54)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플랜지(54)의 유지 개구부(58)에 수용되는 2개의 각주 핀(prismatic pin)들이 제공된다. 리세스(59)는 웜 기어(46)의 벽을 형성하는 슬롯형-링크 몸체(51)의 단부면에 배치되며, 도 4에서는 가려진 제어 핀(45)(도 3)이 축방향 작용 스프링(60)의 영향하에 상기 리세스(59)에 들어갈 수 있다. 이 배치는 웜 기어(46)의 단부에서의 래치(latch)를 야기한다. 동일한 함몰부(depression)가 동일하게 웜 기어(46)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슬롯형-링크 장치(43)를 슬라이드(42)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42)에는 지지 림(supporting limb)(61)이 제공된다. 셔터 칼라(47)에는 튜브형 부착물(62)이 제공되는데, 이는 샤프트(44)상의 원통형 스텝(step)(63)에 매칭되며 핀 (64)에 의하여 그 원통형 스텝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42)에는 그 후단부(rear end)에서, 컨택트 유닛(14)을 수용하기 위한 각진 장착 림(65)이 제공된다.
설치된 상태의, 도 3,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작동 장치가 도 1에서 도시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의 전면 우측 코너부와 함께 도 5, 6에서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부분들, 특히 전면 제어판(3)과 록킹바(21)에 부가하여, 도 5, 6은 록킹 탭(25)을 위한 쓰루-윈도우(through-window)(67)를 갖는 측벽(66)과 슬라이드(42)의 지지 림(61)에 고정되는 보조 스위치(68)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5에서, 작동 장치는 보조 단선 컨택트들이 개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슬롯형-링크 장치(43)는 전면으로 이동되었으며, 작동 암(69)을 갖는 보조 스위치(68)가 전면 제어판(3)의 안쪽면 또는 분리 정지부(separate stop) 상에 있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셔터 칼라(47)의 뷰잉 윈도우(48)는 우측면 상에서 전면 제어판(3) 상의 적절한 인스크립션 상부에 배치된다.
샤프트(44)가 약 270°오른쪽으로 회전되면, 이로써 컨택트 유닛(14)(도 1)을 고정-위치 컨택트 유닛(70)과 결합하기 위하여 슬롯형-링크 장치(43)가 슬라이드(42)와 함께 후면으로 이동된다. 보조 스위치(68)의 작동 암(69)은 이 과정에서 그 정지부로부터 이탈하여 변화된 스위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와 6 양자 모두 서로 다른 피치들을 갖는, 웜 기어의 2개의 섹션들(71, 72)을 갖는다.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이 닫히는 동안, 먼저 보다 큰 나사간 간격(coarser)의 피치를 갖는 섹션(71)을 지나간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링 이동(idling travel)을 겪게 되어, 이동가능한 컨택트 유닛이 분리 위치에서부터 고정-위치 컨택트 유닛(70)으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웜 기어(46)의 제 2 섹션(72)은 나사간 간격이 보다 작은(finer) 피치를 가지며, 따라서 샤프트(44)의 동일한 회전에 대하여, 보다 적은 슬롯형-링크 장치의 이동을 야기하는데, 보다 많은 양의 인가된 힘과 대응된다. 컨택트 유닛(14, 70)의 컨택트 엘리먼트들이 섹션(72)을 따라 서로 결합된다.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은 다이-캐스팅(die-casting) 또는 인젝션 몰딩(injection-molding) 방법을 각각 사용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몰딩들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웜 기어(43)가 결합되도록 제조되는 모든 표면들은 다이-캐스팅 또는 인젝션-몰딩 주형(mold)의 벽들에 의하여 모든 요구되는 특징들을 가지면서 형성되며, 따라서 다이-캐스팅 또는 인젝션-몰딩된 부분들을 후속적으로 매칭하지 않고도 제조된다.
공지된 핸드 크랭크(27)(도 1)는 샤프트(도 2에서는 (34), 도 3내지 6에서는 (44))를 작동시키기 위한 툴로서 이미 언급되었다. 요구되는 경우, 이 핸드 크랭크는 샤프트의 단부면 상의 컨투어(도 2에서의 (37), 도 3에서의 (49))에 맞추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적절한 형태를 갖는 메이팅 피스(mating piece)를 갖는다. 그러나,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이 자주 작동될 필요가 있다면,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직접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크랭크 대신에 회전 놉(knob)의 형태인 툴(73)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회전 놉은 적절한 컨투어에 의하여 작동 장치의 샤프트에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제거가 바람직하지 않다면, 회전 놉은 스프린트(splint), 스플라인형 핀(splined pin)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Claims (8)

  1. 스위치 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으로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은, 전면 제어판(3)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상에 배치되는 작동 장치(16; 19)에 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는 보조 단선 컨택트들(8) 및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상에서 슬라이드(15; 30; 42)에 의하여 인도되는 상기 보조 단선 컨택트들(8)과 관련되는 컨택트 유닛(14)를 가지며,
    상기 작동 장치(16; 19)는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에 장착되어 툴(28; 73)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작동될 수 있는 샤프트(34; 44)를 가지며, 슬롯형-링크 장치(31; 43)는 상기 슬라이드(15; 30; 42)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34; 44)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 제어 핀(36; 45)과 상호작용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링크 장치(31; 43)는 서로 다른 피치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섹션들(40, 41; 71, 72)을 갖는 웜 기어(33; 46)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섹션들 중 하나의 섹션(40; 72)은 상기 샤프트(34; 44)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보조 단선 컨택트들(8)을 닫는데 적절한 증가된 힘 상승 비(force step-up ratio)를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링크 장치(43)는, 상기 슬라이드(42)에 단단히 연결되며 속이 빈 원통형이며, 상기 샤프트(44)와 동축으로 배열되는 2개의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의 서로 대면하는 단부면들(52, 53)은 상기 제어 핀(45)를 수용하는 웜 기어(46)를 제한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46)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대향하는 피치(opposite pitch)를 갖는 리세스(59)를 가지며, 상기 슬롯형-링크 장치(43)에 축방향으로 응력을 가하는 스프링(60)이 하나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44)를 위한 래치(latch)를 형성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은 각각 방사형으로 돌출된 플랜지들(54, 55)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42)는 상기 플랜지들(54, 55)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림(61)을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링크 몸체들(50, 51) 상의 플랜지들(54, 55) 및 상기 슬라이드(42) 상의 지지 림(6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들이 정렬되고 회전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부착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 44)에는 툴(73)에 연결하기 위한 컨투어(37; 49)가 그 단부에 제공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툴(73)은 상기 샤프트(34; 44)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놉(rotary knob)의 형태인, 스위칭 디바이스 제거가능 부분(1).
KR1020047011745A 2002-01-30 2003-01-22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제거가능한 유닛 KR10062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4226.8 2002-01-30
DE10204226A DE10204226C1 (de) 2002-01-30 2002-01-30 Geräteeinschub für eine Schaltanlage mit Hilfstrennkontakten
PCT/DE2003/000194 WO2003065529A2 (de) 2002-01-30 2003-01-22 Geräteeinschub für eine schaltanlage mit hilfstrennkontak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963A KR20040079963A (ko) 2004-09-16
KR100623057B1 true KR100623057B1 (ko) 2006-09-14

Family

ID=771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745A KR100623057B1 (ko) 2002-01-30 2003-01-22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제거가능한 유닛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470624B1 (ko)
KR (1) KR100623057B1 (ko)
CN (1) CN1695278B (ko)
AR (1) AR038329A1 (ko)
AT (1) ATE465538T1 (ko)
BR (1) BR0306929A (ko)
DE (2) DE10204226C1 (ko)
PL (1) PL201673B1 (ko)
RU (1) RU2276826C2 (ko)
UA (1) UA76018C2 (ko)
WO (1) WO20030655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3470B4 (de) 2004-09-08 2007-05-03 Siemens Ag Schalteinrichtung mit steckkontaktierbarem Schaltgerät
DE102007017463A1 (de) * 2007-04-10 2008-10-16 Siemens Ag Geräteeinschub sowie Schaltschrank mit einer Vielzahl von Geräteeinschüben
KR101117975B1 (ko) * 2009-03-11 2012-03-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이송장치
FR2951031B1 (fr) 2009-10-06 2011-10-28 Schneider Electric Ind Sas Unite fonctionnelle pour tableau basse tension avec position test
FR2956922B1 (fr) * 2010-03-01 2012-08-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coupure
EP2378617A1 (en) * 2010-04-16 2011-10-19 Eaton Industries (Netherlands) B.V. Sheet metal blank forming a drawer of an electrical cabinet
CN101938094A (zh) * 2010-08-20 2011-01-05 江苏西门控电器有限公司 断路器推进机构
CN103022918B (zh) * 2012-08-28 2015-07-29 上海昊德电气有限公司 抽出式低压开关柜抽屉抽出省力机构
GB201317263D0 (en) * 2013-09-30 2013-11-13 Eaton Ind Netherlands Bv Switching gear
BR102014007562B1 (pt) 2014-03-28 2021-12-28 Melquisedec Francisquini Centro de controle de motores
CN111049048B (zh) * 2020-01-14 2021-01-29 江门冠德电器制品有限公司 一种减缓推入的低压开关柜
RU2741065C1 (ru) * 2020-06-16 2021-01-22 Валерий Валерьевич Камаев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с выдвижным модулем
RU203280U1 (ru) * 2020-12-08 2021-03-3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ральски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Низковольтное компле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серии USG (Ural Switch Gea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7691C3 (de) * 1977-04-21 1981-01-1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inschub für Geräte oder Geräteeinheiten
DE4313661C1 (de) * 1993-01-27 1994-04-14 Siemens Ag Geräteträger für eine Niederspannungs-Schaltanlage
DE19948697A1 (de) * 1999-09-30 2001-04-05 Siemens Ag Geräteeinschub mit einer Grundplatte und einem relativ dazu verschiebbaren Geräteträger
DE10120737C1 (de) * 2001-04-20 2002-10-31 Siemens Ag Nieder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Geräteeinsc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5529A3 (de) 2004-08-19
EP1470624B1 (de) 2010-04-21
AR038329A1 (es) 2005-01-12
CN1695278A (zh) 2005-11-09
DE10204226C1 (de) 2003-04-24
CN1695278B (zh) 2010-05-26
UA76018C2 (en) 2006-06-15
PL370279A1 (en) 2005-05-16
EP1470624A2 (de) 2004-10-27
RU2004126242A (ru) 2005-06-10
ATE465538T1 (de) 2010-05-15
BR0306929A (pt) 2006-04-11
DE50312640D1 (de) 2010-06-02
WO2003065529A2 (de) 2003-08-07
KR20040079963A (ko) 2004-09-16
RU2276826C2 (ru) 2006-05-20
PL201673B1 (pl)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057B1 (ko) 보조 단선 컨택트들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위한제거가능한 유닛
US6124558A (en) Rotation-activated circuit-breaker with a leading auxiliary switch
AU2008216975B2 (en) Operating mechanism with adjustment of contact force
US7361857B2 (en) External operating handle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EP0960428B1 (en) Circuit breaker handle operator apparatus and system
EP0616347B1 (de) Mehrpoliger Schutzschalter
US4728757A (en) Interlock scheme for drawout high amperage multi-pole circuit breaker
US6302453B1 (en) Bi-directional handle and latch assembly
US10629390B2 (en) Control module for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US5008499A (en) Bi-stable interlock arrangemen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7311538B2 (en) Tap-off interlock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JP2001184988A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EP2259278B1 (en) Molded case multipole circuit breaker and kits of parts including said circuit breaker
US4693132A (en) Drive mechanism for drawout high amperage multi-pole circuit breaker
CN109920668B (zh) 接地开关与后门联锁装置及使用该联锁装置的开关柜
KR20010024315A (ko) 스위치장치 캐비닛 본체에 힌지이음되는 캐비닛 도어용슬라이딩 로드 폐쇄구
JPS6269411A (ja) スイツチ
KR20030003892A (ko) 도어 록킹장치
US4513180A (en) Circuit breaker operator and interlock
EP0388823B1 (de) Sperrvorrichtung gegen gleichzeitiges Einschalten zweier mechanisch oder elektromagnetisch betätigter Schaltorgane
US6072132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otor operator on a circuit
DE4426611C2 (d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verschluß
CN115966936B (zh) 用于电气连接单元的安装元件
CN219513003U (zh) 一种带快速分闸功能的三工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