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363B1 -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 Google Patents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363B1
KR100622363B1 KR1020040108012A KR20040108012A KR100622363B1 KR 100622363 B1 KR100622363 B1 KR 100622363B1 KR 1020040108012 A KR1020040108012 A KR 1020040108012A KR 20040108012 A KR20040108012 A KR 20040108012A KR 100622363 B1 KR100622363 B1 KR 10062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dium
conveying
shaft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3015A (en
Inventor
우메노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6Movable stops or gauges, e.g. rising and falling fron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4Retarding or controlling the forward movement of articles as they approach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매체의 경사 진행을 확실하게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simple configura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reliably correcting the tilting of the media.

수지 롤러(3) 및 고무 롤러(4)는 동일한 샤프트(2)에 지지되어 있다. 수지 롤러(3)는 고무 롤러(4)와 비교하여, 그 직경은 크고, 표면 마찰 계수는 작게 되어 있다. 매체의 선단은 수지 롤러(3)만을 매체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그 후의 반송은, 핀치 롤러(6)를 향해서 보다 큰 압력을 샤프트(2)에 가함으로써 수지 롤러(3) 및 고무 롤러(4)를 함께 매체에 접촉시키는 형태로 된다. The resin roller 3 and the rubber roller 4 are supported on the same shaft 2. Compared with the rubber roller 4, the resin roller 3 is large in diameter and small in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The tip of the medium is aligned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resin roller 3 contacts the medium. Subsequent conveyance becomes a form which makes the resin roller 3 and the rubber roller 4 contact a medium together by applying a larger pressure to the shaft 2 toward the pinch roller 6.

Description

매체 반송 기구, 매체 반송 장치 및 매체 반송 방법{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매체 반송 장치를 탑재한 통장ㆍ전표 프린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kbook and journal printer equipped with a medi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매체 반송 장치를 탑재한 통장ㆍ전표 프린터의 외관 및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of a bankbook / slip printer equipped with a medium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매체 반송 기구의 반송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첫 번째 동작).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system of the medium convey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operation).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매체 반송 기구의 반송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두 번째 동작).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system of the medium convey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cond operation).

도 5는 샤프트에 지지된 반송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onveying roller supported on a shaft.

도 6은 반송 기구와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conveyance mechanism and a stopper.

도 7은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의 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중 첫 번째).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upport method of the shaft to which a conveyance roller is attached (the first of them).

도 8은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의 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중 두 번째).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upporting method of the shaft to which a conveyance roller is attached (the 2nd).

도 9는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chanism which transmits power to a shaft.

도 10은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aft to which a conveying roller is attached is supported.

도 11은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chanism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shaft to which a conveyance roller is attached.

도 12는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캠 모터 및 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am motor and its operation | movement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shaft to which a conveyance roller is attached.

도 13은 캠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레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중 첫 번째).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ver through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a cam motor (first of which).

도 14는 캠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레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그 중 두 번째).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ver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a cam motor (second of which).

도 15는 캠 모터의 상태와 반송 롤러가 부착되는 샤프트의 가압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pressurization relationship of the state of a cam motor and the shaft with which a conveyance roller is attached.

도 16은 샤프트에 지지된 반송 롤러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the conveyance roller supported by the shaft.

도 17은 반송 롤러의 구성 및 그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roller and its assembling method.

도 18은 조립된 반송 롤러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assembled conveyance roller.

도 19는 반송 롤러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conveyance roller.

도 20은 매체 처리의 흐름도이다. 20 is a flowchart of media processing.

도 21은 매체의 선단 정렬 및 그 후의 반송을 실행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ip alignment of a medium and subsequent conveyan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프린터1: Printer

2 : 샤프트2: shaft

3 : 수지 롤러3: resin roller

4 : 고무 롤러4: rubber roller

5 : 판 스프링5: leaf spring

6 : 핀치 롤러6: pinch roller

7 : 반송 롤러7: conveying roller

8 : 매체8: medium

9 : 제1 센서9: first sensor

10 : 반송 기구10: conveying mechanism

11 : 스토퍼11: stopper

13 : 제2 센서13: second sensor

31 : 오목부31: recess

32 : 볼록부32: convex

51 : 베어링51: bearing

52 : 스프링52: spring

53 : 가압용 레버53: pressure lever

54 : 캠 모터54: cam motor

56 : 캠56: cam

57 : 스테핑 모터57: Stepping Motor

58 : 레버58: lever

본 발명은 반송로를 따라서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veying a medium along a conveyance path.

통장이나 전표 등을 인자(印字) 대상의 매체로 하는 전표 프린터에서는, 인자 시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헤드에 대하여 매체가 경사지게 삽입되어, 그 매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인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로서, 도 21과 같은 다각형 롤러(100), 스토퍼(111), 반송 롤러(107) 및 핀치 롤러(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각형 롤러(100) 및 스토퍼(111)에 의해 매체(108)의 선단을 가지런히 정렬하고, 그 후의 반송시에는 반송 롤러(107)와 이에 대향한 핀치 롤러(106)를 이용하는 기구를 갖춘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 및 2 참조). In a slip printer which uses a passbook, a slip, or the like as a medium to be printed, a mechanism is required to prevent the medium from being insert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rinting head which prints at the time of printing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edium. Therefore, as a prior art,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polygon roller 100, the stopper 111, the conveyance roller 107, and the pinch roller 106 like FIG. 21, and is comprised by the polygon roller 100 and the stopper 111, and A printer having a mechanism using the transfer roller 107 and a pinch roller 106 opposed thereto is discl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below).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288825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2888251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334992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3349922

도 21을 참조하여, 종래의 프린터의 선단 정렬 및 반송에 관련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을 가지런히 정렬할 때에는 반송 롤러(107)는 매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반송로에서 후퇴되고, 그 상태에서 매체(108)는 다각형 롤러(100)에 의해 스토퍼(111)를 향해서 반송된다. 다각형 롤러(100)는 평면부와 각부(角部)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러 개의 다각형 롤러(100)가 매체(108)의 반송 방향의 교차(폭) 방향으 로 나란히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다각형 롤러(100)의 평면부가 매체(108)와 대향하고 있을 때, 다른 하나의 다각형 롤러(100)의 각부가 그 매체(108)와 접촉하는 식으로, 각 다각형 롤러(100)의 위상이 변경된다. Referring to Fig. 21, a mechanism related to tip alignment and conveyance of a conventional printer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21A and 21B, when the front ends are aligned, the conveying roller 107 is retracted from the conveying path so as not to contact the medium, and in this state, the medium 108 is a polygonal roller. It is conveyed toward the stopper 111 by 100. The polygonal roller 100 is comprised from the flat part and the square part, and rotates to the arrow direction of a figure. A plurality of polygonal rollers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rossing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medium 108. When the planar portion of one polygonal roller 100 faces the medium 108, the phases of each polygonal roller 100 are in such a way that each portion of the other polygonal roll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medium 108. Is changed.

매체(108)에는 다각형 롤러(100)의 각부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큰 반송력이 전달되고(도 21의 (b) 참조), 평면부가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도 21의 (a) 참조) 반송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전달되더라도 작다. 그와 같은 롤러(100)가 폭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108)에는 폭 방향으로 다른 장소에서 다른 타이밍에 반송력이 전달된다. 스토퍼(111)와 접촉한 부분은 그보다 먼저 반송되지 않는다. 이로써, 다각형 롤러(100)에 의해 스토퍼(111)를 향해서 반송되는 매체(108)는 경사 진행하고 있더라도, 스토퍼(111)에 접촉한 후에도 계속해서 반송되어, 그 선단이 전체적으로 스토퍼(111)에 접촉하도록 경사 진행이 수정된다. Large conveyanc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edium 108 when each part of the polygonal roller 100 is in contact (refer FIG. 21 (b)), and when the flat part opposes (refer FIG.21 (a)) It is small even if it is not delivered or delivered. Since a plurality of such rollers 100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veyanc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edium 108 at different timings in different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rt which contacted the stopper 111 is not conveyed earlier. Thereby, even if the medium 108 conveyed toward the stopper 111 by the polygon roller 100 is inclined, it is conveyed continuously even after contacting the stopper 111, and the front end contacts the stopper 111 as a whole. The slope progression is modified to be.

그와 같이 경사 진행이 수정되는 다각형 롤러(100)에 의한 반송이 종료되면,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107)는 반송로 상으로 복귀되고, 스토퍼(111)는 반송로 상으로부터 후퇴된다. 이 결과, 매체(108)는 반송 롤러(107)와 핀치 롤러(106)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고, 이후 이들 롤러(106, 107)에 의해 반송되어 인자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When the conveyance by the polygonal roller 100 which inclines advancing is corrected like this is complete | finished, as shown in FIG.21 (c), the conveyance roller 107 is returned to a conveyance path, and the stopper 111 is Retreat from the conveyance path. As a result, the medium 108 is in a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conveying roller 107 and the pinch roller 106, and then conveyed by these rollers 106 and 107, and processing such as printing is performed.

전표 프린터에 삽입되는 매체의 두께는, 예컨대 통장과 같은 두께를 갖는 것에서부터 1매의 종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상기와 같은 선단 정렬 기구에 있어서는, 예컨대 1매의 종이와 같은 얇은 매체를 삽입하여 선단 정렬을 하는 경우라도, 항상 매체와 다각형 롤러는 접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긴 시간 동안 반송 력을 가함으로써 매체가 구부러져 버리는 것 등을 피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medium inserted into the slip printer varies from, for example, having a thickness such as a bankbook to a single sheet of paper. In the above-described tip alignment mechanism, even when the tip alignment is performed by inserting a thin medium such as a sheet of paper, the media and the polygonal roller are not always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bending of the medium and the like can be avoided by applying the conveying force for a long time.

전술한 전표 프린터에서는 다각형 롤러를 반송 롤러와는 별개로 설치하고 있다. 이들은 함께 반송로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표 프린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때에 방해가 되었다. In the above-described slip printer, the polygonal roll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veying roller. These can be retracted from the conveyance path together. For this reason,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is hindered the downsizing of the slip printe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매체의 경사 진행을 확실하게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reliably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a medium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매체 반송 기구는,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The media conveyanc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first rollers used for conveying the media,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 smaller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a than the first roller, and the first roller. And a shaft for supporting the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um.

한편, 상기 제2 롤러는 탄성 부재를 매개로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탄성 부재가 제1 롤러에 부착됨으로써, 제2 롤러는 상기 제1 롤러를 매개로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haft via the elastic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roller so that the seco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haft via the first roller.

본 발명의 매체 반송 장치는,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제1 롤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를 통해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 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롤러와, 지지 수단에 지지된 샤프트에 대하여, 교차 방향을 따라 제3 롤러를 향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가압 수단과, 가압 수단에 인가시키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The media convey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one or more 1st roller used for conveying a medium, the some 2nd roller with a small diameter, and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art which contact | connects a medium compared with a 1st roller, and a 1st A shaft supporting the second roll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dium is conveyed, and against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 third roller disposed, a pressuriz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pressure exerted toward the third roller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izing means. .

본 발명의 매체 반송 방법은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 및 이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큰 복수의 제2 롤러를 준비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매체를 반송시킴으로써 매체의 경사 진행 수정용의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을 수정하고, 상기 제2 롤러를 이용한 반송에 의해 경사 진행이 수정된 매체를 제1 롤러에 의해 반송시킨다. The media conveyance method of this invention prepares the 1 or more 1st roller used for conveyance of a media, and the some 2nd roller with a larg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ar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said media compared with this 1st roller, and said 2nd By conveying the medium by a roller,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is corrected by using a stopper for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and the medium is conveyed by the first roller. Let's do it.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매체 반송 장치를 탑재한 통장ㆍ전표 프린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그 프린터(1)는 통장이나 전표 등을 인자 대상의 매체로 하는 것으로, CPU(70), ROM(71), RAM(72), 리더 라이터(74), 이 리더 라이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73), 이미지 스캐너(76), 이 이미지 스캐너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75), 인자 헤드(78), 이 인자 헤드를 구동하는 인자 헤드 구동부(77), 통신 인터페이스(79), 센서 구동부(80), 센서군(85), 조작부(81), 모터 구동부(82), 모터군(86), 솔레노이드 구동부(83), 솔레노이드군(84), MS 유닛(22) 및 이 유닛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kbook and journal printer equipped with a medi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nter 1 uses a passbook, a slip, etc. as a medium to be printed, and the CPU 70, the ROM 71, the RAM 72, the reader / writer 74, and the interface 73 to which the reader / writer is connected. Image scanner 76, interface 75 to which this image scanner is connected, print head 78, print head driver 77 for driving the print head, communication interface 79, sensor driver 80, sensor The group 85, the operation unit 81, the motor drive unit 82, the motor group 86, the solenoid drive unit 83, the solenoid group 84, the MS unit 22 and the interface 87 to which the unit is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CPU(70)는 RAM(72)을 워크로 이용하여 ROM(71)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장ㆍ전표 프린터(이하 「프린터」라 기재함)(1) 전체를 제어한다. 그 ROM(71)에는 각종 제어용 데이터도 미리 기억되어 있다. The CPU 70 executes the control program stored in advance in the ROM 71 using the RAM 72 as a work, thereby controlling the entire bankbook / slip pri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nter") 1. The ROM 71 also stores various control data in advance.

리더 라이터(74)는 IC 카드에 탑재된 IC와 통신하여, 정보의 독출 혹은 기록을 행한다. 이미지 스캐너(76)는 삽입된 통장이나 전표 등의 매체의 이미지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다. CPU(70)는 인터페이스(73 및 75)를 통해 리더 라이터(74) 및 이미지 스캐너(76)를 제어한다. 매체에 대한 인자는 인자 헤드 구동부(77)에 의해 인자 헤드(78)를 구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The reader / writer 74 communicates with the IC mounted on the IC card to read or record information. The image scanner 76 is for reading an image of a medium such as an inserted bankbook or slip. The CPU 70 controls the reader / writer 74 and the image scanner 76 through the interfaces 73 and 75. Printing to the medium is executed by driving the printing head 78 by the printing head driver 77.

센서군(85)은 프린터(1)에 탑재된 각종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군(85)을 구성하는 센서의 대부분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춘 광학 센서이다. 센서군(85)을 구성하는 센서는 센서 구동부(80)에 의해 구동되며, 이들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는 CPU(70)에 통지된다. 모터군(86)은 프린터(1)에 탑재된 각종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모터는 모터 구동부(82)에 의해 구동된다. 솔레노이드군(84)도 마찬가지로 프린터(1)에 탑재된 각종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구동부(83)에 의해 구동된다. CPU(70)는 모터 구동부(82), 솔레노이드 구동부(83)를 통해, 모터군(86)을 구성하는 모터, 솔레노이드군(84)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킨다. The sensor group 85 is composed of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printer 1. Most of the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group 85 are optical sensors having light emitting elements and light receiving elements. The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group 85 are driven by the sensor drive unit 80, and the detection results by these sensors are notified to the CPU 70. The motor group 86 is composed of various motors mounted on the printer 1. These motors are driven by the motor drive 82. The solenoid group 84 is also comprised with the various solenoids mounted in the printer 1 similarly. These solenoids are driven by the solenoid drive section 83. The CPU 70 drives the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 86 and the solenoid constituting the solenoid group 84 through the motor driver 82 and the solenoid driver 83.

조작부(81)는,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 대상으로 하는 각종 스위치 등을 갖춘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79)는, 예컨대 호스트ㆍ컴퓨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다. The operation part 81 is equipped with various switches etc. which a user makes an operation objec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9 is for communicating with a host computer, for example.

도 2의 (a)에 통장ㆍ전표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의 (b)에 그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bankbook and journal printer is shown to FIG. 2A, and th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is shown to FIG. 2B.

상기 프린터(1)의 내부에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74), MS 유닛(22), 반송 기구(10), 인자 헤드(78), 제2 반송 기구(24), 이미지 스캐너(76) 및 자동 페이지 넘김 기구(26)가 탑재되어 있다. Inside the printer 1, as shown in Fig. 2B, the reader / writer 74, the MS unit 22, the conveyance mechanism 10, the print head 78, and the second conveyance mechanism 24 are shown. ), An image scanner 76 and an automatic page turning mechanism 26 are mounted.

도 2의 (a)에 도시하는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매체는 우선 반송 기구(10)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 기구(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구이며, 통장ㆍ전표 등의 매체의 선단 정렬 및 인자를 위하여 반송을 행하는 것이다. 매체는 반송 기구(10)에 의해 선단이 가지런히 정렬된 후, 인자 헤드(78)를 향해 반송되어 인자된다. 제2 반송 기구(24)는 매체를 이미지 스캐너(25)를 향해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미지 스캐너(76)는 매체 상에서 인자를 시작해야 할 위치의 확인이나, 자동 페이지 넘김 기구(26)에 의한 페이지 넘김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다. The medium inserted from the insertion port shown in FIG. 2A is first conveyed by the conveyance mechanism 10. The conveyance mechanism 10 is a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conveys for the purpose of tip alignment and printing of media such as bankbooks and slips. The media is conveyed toward the printing head 78 after the tips are aligned by the conveying mechanism 10 and then printed. The second conveyance mechanism 24 is a mechanism for conveying the medium toward the image scanner 25. The image scanner 76 is prepared to confirm the position at which printing should start on the medium or to check whether the page turning by the automatic page turning mechanism 26 has been properly performed.

페이지 넘기기를 행한 결과, 인자 종료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된 경우는 처리 종료 후에, 상기 MS 유닛(22)으로 통장 등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다음 인자시의 개시 페이지 및 개시 행 데이터를 기록한다. MS 유닛(22)은 ROM(7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As a result of the page turning, when the print end page becomes the next page, after the end of the processing, the start page and the start row data at the time of the next print are recorded in the magnetic stripe such as an account book by the MS unit 22. The MS unit 22 is operation controlled by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OM 71.

도 3 및 도 4는 상기 반송 기구(10)의 반송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반송계는 특히 매체의 반송에 관계되는 부분이다. 이 반송계는 샤프트(2), 수지 롤러(3)와 고무 롤러(4)로 구성되는 복수의 반송 롤러(7), 복수의 판 스프링(5) 및 복수의 핀치 롤러(6)로 구성된다. 판 스프링(5)은 수지 롤러(3)를 샤프트(2)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system of the conveyance mechanism 10. This conveyance system is a part which concerns especially conveyance of a medium. This conveying system consists of the some conveyance roller 7 comprised by the shaft 2, the resin roller 3, and the rubber roller 4, the some leaf spring 5, and the some pinch roller 6. As shown in FIG. The leaf spring 5 is for supporting the resin roller 3 to the shaft 2.

반송 롤러(7)의 수지 롤러(3)는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수지인 롤러이다. 고무 롤러(4)는, 예컨대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고무 등의 탄성체로 되어 있는 롤러이다. 이에 따라,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는 수지 롤러(3) 쪽이 고무 롤러(4)보다 작다. The resin roller 3 of the conveyance roller 7 is a roller whose part which contacts a medium is resin. The rubber roller 4 is a roller in which the part which contacts a medium becomes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 gum, for example. Accordingly,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ubber roller 4 on the resin roller 3 side.

반송 롤러(7)는 전체적으로는 원반형 형상을 하고 있다. 핀치 롤러(6)는 반송 롤러(7)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6개가 샤프트(2)에 부착되어 있다. The conveyance roller 7 has the disk shape as a whole. The pinch roller 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onveyance roller 7 may be opposed. As shown in FIG. 5, a total of six conveying rollers 7 are attached to the shaft 2.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샤프트(2)는 반송 롤러(7)를 핀치 롤러(6)를 향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방향으로 2 단계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작은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를 감압 상태, 큰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를 가압 상태로 각각 부르기로 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는 감압 상태이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는 가압 상태이다. Although it mentions later in detail, the shaft 2 is supported so that it can move to the direction which presses the conveyance roller 7 toward the pinch roller 6, and the pressure of 2 steps is applied in that direction. For convenience, a state in which a small pressure is applied is referred to as a depressurized state and a state in which a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a pressurized state, respectively. The state shown in FIG.3 (a) is a pressure reduction state, and the state shown in FIG.3 (b) is a pressurized state.

수지 롤러(3)는 고무 롤러(4)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압 상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롤러(3)만이 핀치 롤러(6)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수지 롤러(3)는 판 스프링(5)을 통해 샤프트(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상태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롤러(3)의 샤프트(2)와 핀치 롤러(6) 사이의 길이가 짧아져, 수지 롤러(3), 고무 롤러(4) 모두가 핀치 롤러(6)와 접촉하고 있다. 고무 롤러(4)의 표면 마찰 계 수는 수지 롤러(3)에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고무 롤러(4)가 핀치 롤러(6)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 롤러(7) 전체의 반송력은 수지 롤러(3)만이 핀치 롤러(6)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매우 커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 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샤프트(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수지 롤러(3)와 고무 롤러(4)의 반경의 차(d)는 예컨대 d = 0.3∼0.5 mm이다. The resin roller 3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rubber roller 4. As a result, in the reduced pressure state, as shown in FIG. 3A, only the resin roller 3 is in contact with the pinch roller 6. The resin roller 3 is supported by the shaft 2 via the leaf spring 5. Accordingly, in the pressurized state, as shown in FIG. 3B, the length between the shaft 2 of the resin roller 3 and the pinch roller 6 becomes short, and the resin roller 3 and the rubber roller ( 4) All are in contact with the pinch roller 6. Since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rubber roller 4 is larger than that of the resin roller 3, when the rubber roller 4 is in contact with the pinch roller 6, the conveyance force of the whole conveying roller 7 is Only the resin roller 3 becomes very larg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in contact with the pinch roller 6. According to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conveying force by the conveying roller 7 can be greatly chang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haft 2. In addition, the difference d of the radius of the resin roller 3 and the rubber roller 4 is d = 0.3-0.5 mm, for example.

이어서, 매체의 선단 정렬로부터 그 후의 반송까지의 반송계의 일련의 동작에 관해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Next, a series of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veyance system from the front-end alignment of a medium to subsequent conveyance is further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another figure.

도 4의 (a)는 매체가 삽입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매체(8)의 삽입구에서 볼 때 반송 기구(10)의 앞쪽에는, 매체(8)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매체(8)의 삽입구에서 볼 때 반송 기구(10)의 안쪽에는 스토퍼(11) 및 제2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기구와 스토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서는, 센서(9)가 매체(8)의 삽입을 감지하면, 반송 기구(10)의 반송 롤러(7)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 때는 감압 상태이다. 핀치 롤러(6)는 반송 롤러(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1 및 제2 센서(9, 13)는 모두 센서군(85)을 구성하는, 예컨대 광학 센서이다. Fig. 4A shows a case where a medium is inserted. As seen from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medium 8, in front of the conveyance mechanism 10, the 1st sensor 9 for detecting that the medium 8 is inserted is provided. The stopper 11 and the 2nd sensor 13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onveyance mechanism 10 from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medium 8. 6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port mechanism and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4A, when the sensor 9 detects the insertion of the medium 8, the conveying roller 7 of the conveying mechanism 10 starts to rotate. At this time, it is in a reduced pressure state. The pinch roller 6 rotates by rotation of the conveyance roller 7. Both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9, 13 are, for example, optical sensors that make up the sensor group 85.

감압 상태에서 반송 기구(10)에 의해 반송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8)에는 수지 롤러(3)에 의해 비교적 약한 반송력이 가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반송 롤러(7)가 샤프트(2)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체(8)의 폭 방향으로 다른 부분에 각각 스토퍼(11)를 향한 반송력이 가 해진다. 이 때문에, 폭 방향의 다른 부분 중에서 그 반송 방향의 선단이 스토퍼(11)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부분만이 반송된다. 그 결과, 매체(8)가 경사 진행하고 있으면 그 선단 전체가 스토퍼(11)에 접촉하도록 경사 진행이 수정된다. 그러한 경사 진행의 수정 중에, 즉 선단 정렬을 행하는 중에, 수지 롤러(3)는 약한 반송력을 가하면서 매체(8)를 억제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가령 매체(8)의 일부가 구부러졌다고 해도, 그로 인한 탄성력에 의해서 경사 진행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When conveyed by the conveyance mechanism 10 in a pressure-reduced state, as shown in FIG.4 (b), relatively weak conveyance force is applied to the medium 8 by the resin roller 3. As shown in FIG. 5, several conveying rollers 7 are attached to the shaft 2. Thereby, the conveyance force toward the stopper 11 is applied to the oth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dium 8,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only the part in which the tip of the conveyance direction does not contact the stopper 11 among the other parts of the width direction is conveyed. As a result, when the medium 8 is inclined, the inclination progression is corrected so that the entire tip thereof contacts the stopper 11. Since the resin roller 3 is in the form of suppressing the medium 8 while applying a weak conveying force during the correction of such inclination progression, that is, during the tip alignment, even if a part of the medium 8 is ben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the inclined progression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그와 같은 선단 정렬은, 제2 센서(13)에 의해 매체(8)를 검출한 후에, 소정 시간 계속해서 반송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러한 선단 정렬 후에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 상태가 가압 상태로 이행되어, 매체(8)에 인자하기 위한 흡입을 시작한다. 가압 상태로 이행됨으로써, 특히 고무 롤러(4)에 의한 강한 반송력이 매체(8)에 가해지게 된다. 이 때, 스토퍼(11)는 반송로 상에서 후퇴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한 후퇴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구동부(83)에 의해 솔레노이드군(84)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84a)를 구동시킴으로써 실현된다. 구동을 정지시키면, 스토퍼(11)는 반송로 상으로 복귀한다. Such tip alignment is realized by continuously conveying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detecting the medium 8 by the second sensor 13. After such tip alignment, as shown in Fig. 4C, the depressurized state is shifted to the pressurized state, and suction for printing to the medium 8 is started. By moving to a pressurized state, a strong conveying force, in particular, by the rubber roller 4 is applied to the medium 8. At this time, the stopper 11 is in a retracted state on the conveying path. Such retraction is realized by, for example, driving the solenoids 84a constituting the solenoid group 84 by the solenoid drive unit 83. When the driving is stopped, the stopper 11 returns to the conveying path.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단 정렬용의 수지 롤러(3)는 그 후의 반송을 위한 고무 롤러(4)와 동일한 샤프트(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을 가동 샤프트에 별도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도 21 참조), 기계적인 구성이 대폭 간단하게 되고, 그 구성은 보다 작은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sin roller 3 for tip alignment is attached to the same shaft 2 as the rubber roller 4 for subsequent conveyance.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se are separately attached to a movable shaft (refer FIG. 21), a mechanical structure becomes much simpler and the structure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a smaller space.

상기 감압 상태 및 가압 상태를 다음과 같이 하여 실현시키고 있다. The said reduced pressure state and a pressurized state are implement | achieved as follows.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의 양측 단부에는 베어링(51)이 부착되어 있다. 2개의 베어링(51)에 의해 샤프트(2)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51)에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구멍부(55)가 형성되며, 원형 구멍부(55) 내에 샤프트(2)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베어링이 샤프트(2)에 부착된다. As shown in FIG. 7, bearings 51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haft 2. The shaft 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two bearings 51. A circular hole 55 is formed in the bearing 51 as shown in FIG. 8A, and the bearing is attached to the shaft 2 by inserting the end of the shaft 2 into the circular hole 55. do.

베어링(51)에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베어링(51)은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32)를 예컨대 프레임에 마련된 2개의 오목부(31) 내에 삽입함으로써, 그 오목부(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베어링(51)에는 스프링(52)이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52)은 반송 롤러(7)를 샤프트(2)를 통해 핀치 롤러(6) 측을 향해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The convex part 32 is formed in the bearing 51, as shown to FIG. 8 (a) and (b). Each bearing 51 moves along the recessed part 31 by inserting the two convex parts 32 into the two recessed parts 31 provided in the fr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C. Possibly attached. A spring 52 is attached to the bearing 51. The spring 52 is for applying the conveying roller 7 to the pinch roller 6 side via the shaft 2.

샤프트(2)의 한 단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풀리가 부착되어 있다. 그 풀리에는 모터군(86)을 구성하는 반송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그러한 동력 전달에 의해, 샤프트(2)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모터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샤프트(2)를 프린터(1)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9, a pulley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shaft 2 via a universal joint.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conveying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 86 to the pulley. By such power transmission, the shaft 2 is rotated. The motor can rotate in either direction.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aft 2 is attached to the printer 1.

각 베어링(51)에 부착된 스프링(52)의 상부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52)을 상측에서부터 가압하기 위한 가압용 레버(5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가압용 레버(53)는 샤프트(53a)에 지지되며, 이로써 가압 레버가 샤프트(53a)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1, a pressing lever 53 for pressing the spring 52 from the upper side is disposed above the spring 52 attached to each bearing 51. These two pressing levers 53 are supported by the shaft 53a, whereby the pressing levers are rotated about the shaft 53a.

레버(53)에 의해 스프링(32)을 가압하는 것은 도 12의 (a)∼(c)에 도시하는 캠 모터(54)를 동력원으로 하여 실행된다. 캠 모터(54)는 스테핑 모터(57)의 회전축에 캠(56)을 부착한 것이다. 도 6 및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모터는 샤프트(2)의 일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Pressing the spring 32 by the lever 53 is performed using the cam motor 54 shown in FIGS. 12A to 12C as a power source. The cam motor 54 attaches the cam 56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tepping motor 57. As shown in FIG. 6 and FIG. 13A, the cam motor is disposed near one end of the shaft 2.

레버(58)는 캠(56)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레버(58)는 샤프트(59)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캠(56)의 회전에 따라서, 도 13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lever 58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am 56. The lever 58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shaft 59, and rotates about the shaft 59 as shown in FIGS. 13B and 13C as the cam 56 rotates.

레버(58)에는 도 13의 (a) 및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58a)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58a)의 단부는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53) 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단부는 샤프트(53a)에서 볼 때 스프링(32)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단부이다. The lever 58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58a as shown to Fig.13 (a) and FIG.14 (b). The end of the projection 58a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lever 53, as shown in Fig. 14B. The end is an end on the side where the spring 32 is not seen in the shaft 53a.

도 14의 (b)에 도시된 상태는, 예컨대 캠 모터(54)가 도 12의 (b) 및 도 13의 (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2의 (c) 및 도 13의 (c)에 도시된 상태로 이행될 때, 즉 캠 모터(54)가 초기 포지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는 동안의 상태이다. 캠 모터(54)가 도 12의 (c) 및 도 13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면, 레버(58)의 캠(56)에 접촉하고 있는 쪽이 캠(56)에 의해서 상승되고, 돌기(58a)는 레버(53)를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레버(53)는 샤프트(53a)를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5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샤프트(2)는 스프링(52), 베어링(51)을 통해 레버(53)에 의해 하향 회전하는데, 즉 반송 롤러(7)를 핀치 롤러(6)를 향해 가압시킨다. 그와 같이 가압된 상태가 가압 상태이고, 가압되지 않은 상태가 감압 상태이다. 도 15는 캠 롤러(54)가 도 12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의 레버(5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압 상태에서 감압 상태로의 이행은, 캠 모터(54)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도 12의 (c) 및 도 13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12의 (b) 및 도 1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state shown in FIG. 14B is, for example, the cam motor 54 from FIG. 12B and FIG. 13B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2C and FIG. 13C. When transitioned to the state shown in FIG. 9, that is, the cam motor 54 is rotated 180 ° clockwise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cam motor 54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2 (c) and FIG. 13 (c),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cam 56 of the lever 58 is lifted by the cam 56, The projection 58a raises the lever 53. For this reason, the lever 53 rotates around the shaft 53a in the direction which presses the spring 52. FIG. As a result, the shaft 2 is rotated downward by the lever 53 via the spring 52 and the bearing 51, that is, the conveying roller 7 is pressed against the pinch roller 6. Such a pressurized state is a pressurized state, and the non-pressurized state is a reduced pressure state. FIG. 15 has shown the state of the lever 53 when the cam roller 54 is in the state shown to FIG. 12 (a) and FIG. 13 (b). The transition from the pressurized state to the depressurized state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cam motor 54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180 °, and from the state shown in Figs. 12C and 13C, Figs. 12B and 12C. It returns by returning to the state shown in FIG.13 (b).

도 16은 샤프트(2)에 지지된 반송 롤러(7)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 및 (b)는 그 반송 롤러(7)의 구성 및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the conveyance roller 7 supported by the shaft 2. As shown in FIG. 17 (a) and 17 (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and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conveying roller 7.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롤러(3)의 내측은 원형 구멍부(3a)의 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무 롤러(4)는 샤프트(2)가 삽입되는 지지부(4a) 및 도 4의 (a)∼(c)에 도시하는 총 5개의 판 스프링(5)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to Fig.17 (a) and (b), the inside of the resin roller 3 is ring shape of the circular hole part 3a. The rubber roller 4 is comprised with the support part 4a in which the shaft 2 is inserted, and the five leaf springs 5 shown in FIG.4 (a)-(c) in total.

상기 판 스프링(5)의 단부에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반송 롤러(7)는 수지 롤러(3)의 원형 구멍부(3a) 내에 상기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조립되게 되어 있다. 돌기가 원형 구멍부(3a)의 타측으로 삽입되면, 돌기가 원형 구멍부(3a)의 외측으로부터 작용하여, 수지 롤러(3)는 고무 롤러(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지지된다. A projec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eaf spring 5. The conveyance roller 7 is assembled by inserting the projection into the circular hole 3a of the resin roller 3. When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r hole 3a, the projection works from the outside of the circular hole 3a, so that the resin roller 3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rubber roller 4.

도 18의 (a)는 반송 롤러(7)를 수지 롤러(3)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의 (b)는 도 18의 (a)에 도시하는 B-B 선을 따라 반송 롤러(7)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FIG. 18A is a view of the transport roller 7 viewed from the resin roller 3 side. FIG. 18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conveying roller 7 is cut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18A.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5)은 고무 롤러(4)의 1점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무 롤러(4)는 판 스프링(5)에 의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감압 상태에서 가압 상태로 이행시키면, 도 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8B, the leaf spring 5 is shap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point of the rubber roller 4. For this reason, the rubber roller 4 is supported by the leaf spring 5 in the stat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fore, when it moves to a pressurized state from a reduced pressure state, it will change from the state shown to Fig.3 (a) to the state shown to Fig.3 (b).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5)에 의해서 수지 롤러(3)를 고무 롤러(4)에 지지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하여도 좋다. 예컨대, 탄성 부재로서 고무를 채용하여도 좋다. 수지 롤러(3)가 고무 롤러(4)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샤프트(2)에 별개로 지지되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although the resin roller 3 is supported by the rubber roller 4 by the leaf spring 5, you may support using the elastic member other than that. For example, rubber may be employed as the elastic member. The resin roller 3 may not be supported by the rubber roller 4 but may be separately supported by the shaft 2.

도 19는 반송 롤러(7)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식으로, 9a∼9d로 지시된 총 4개의 제1 센서(9)가 배치되어 있다. 총 8개의 제2 센서(13)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방식으로 13a∼13h로 지시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센서(9a∼9d)는 매체(8)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센서(13a∼13h)는 선단 정렬을 종료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FIG. 19: is a figure explain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ance roller 7.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9, the four first sensors 9 indicated by 9a-9d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haft 2 may line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otal of eight second sensors 13 are arranged at 13a to 13h in a side by side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sensors 9a to 9d are used to detect the insertion of the medium 8, and the second sensors 13a to 13h are used to determine the timing for terminating the end alignment.

도 20은 매체 처리의 흐름도로서, 매체가 삽입구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CPU(70)가 ROM(7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구현된다. 이하,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매체(8)의 선단 정렬 및 그 후의 반송을 실행하기 위하여 CPU(70)가 실행하는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Fig. 20 is a flowchart of the media processing,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executed by inserting the media from the insertion opening. The above processing is implemented by the CPU 70 shown in FIG. 1 executing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OM 71.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0, the process which CPU70 performs in order to perform front-end alignment of the medium 8 and conveyance after that is demonstrated in detail.

우선, 단계 S1에서, 제1 센서(9a∼9d)의 중 어느 하나가 매체(8)를 검출하기를 대기한다. 이들 센서 중 임의의 것이 매체(8)를 감지하면, 처리는 단계 S2로 진행한다. 제1 센서(9)에 의해 매체(8)를 감지하는 것은 매체(8)에 의해 수광 소 자에 입사되는 빛의 차단 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First, in step S1, one of the first sensors 9a to 9d waits to detect the medium 8. If any of these sensors senses the medium 8,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 The sensing of the medium 8 by the first sensor 9 is made by block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y the medium 8.

단계 S2에서는 모터 구동부(82)에 지시하여, 모터군(86)을 구성하는 반송 모터를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매체(8)를 흡입 방향으로 반송하기 시작하면,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제2 센서(13) 중 임의의 2개가 매체(8)를 감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2개 이상의 제2 센서(13)가 매체(8)를 감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 판정은 NO로 되어 상기 단계 S2로 되돌아가 매체(8)를 계속 반송시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YES로 되어 단계 S4로 진행한다. In step S2, the motor drive unit 82 is instructed to rotate the transport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 86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example. As a result, when the medium 8 starts to be conveyed in the suction direction, the flow advances to step S3 to determine whether any two of the second sensors 13 have sensed the medium 8. If the two or more second sensors 13 do not sense the medium 8, the determination goes to NO and returns to the step S2 above to continue conveying the medium 8.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YES and proceeds to step S4.

단계 S4에서는, 제2 센서(13)가 매체(8)를 감지하는 위치로부터 스토퍼(11)까지의 거리(도면에서 「이론 거리」로 표기) 및 소정의 거리(α)만큼, 매체(8)를 반송시키는 시간동안, 반송 롤러를 회전시킨 후에 정지시킨다. 그러한 시간 동안 반송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지 롤러(3)에 의해 반송력이 가해지는 매체(8)는 그 선단 전체가 스토퍼(11)에 접촉하기 때문에 경사 진행의 수정이 이루어진다. 그 후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In step S4, the medium 8 is provided by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sensor 13 senses the medium 8 to the stopper 11 (denoted as "theoretical distance" in the figure)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α. During the time for conveying, the conveying roller is rotated and then stopped. By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during such time, the inclination progression is corrected because the front end of the medium 8 to which the conveying force is applied by the resin roller 3 contacts the stopper 11. Thereaft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5.

단계 S5에서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있는 캠 모터(54)를 도 12의 (c)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회전시켜 가압 상태로 이행시킨 후, 반송 롤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매체(8)의 배출 방향을 향한 반송을 시작하게 한다. 다음 단계 S6에서는 제2 센서(13) 전부가 매체(8)를 감지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린다. 매체(8)의 선단 전부가 제2 센서(13)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서 배출 측으로 통과한 경우에는, 제2 센서(13)의 어느 것도 매체(8)를 감지하지 않게 되므로, 단계 S7로 진행한다. In step S5, the cam motor 54 in the state shown in FIG. 12B is rotated to the state shown in FIG. The conveyance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8) is started. In the next step S6, wait until all of the second sensors 13 do not sense the medium 8. If all of the front end of the medium 8 has passed to the discharge side at the posi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3, none of the second sensors 13 will detect the medium 8, so the flow advances to step S7. do.

단계 S7에서는 선단이 반송 롤러(7)와 핀치 롤러(6)에 의해 파지되는 위치에서 매체(8)가 정지하도록 반송 모터를 회전시킨다. 다음 단계 S8에서는, 반송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매체(8)를 흡입 방향으로 반송한다. 그 후에는 단계 S9로 이행하여, 제2 센서(13) 중의 어느 2개가 매체(8)를 감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2개 이상의 제2 센서(13)가 매체(8)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판정은 NO로 되어, 상기 단계 S8로 되돌아가 매체(8)의 반송을 계속하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판정은 YES로 되어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In step S7, the conveyance motor is rotated so that the medium 8 stops at the position where the tip is gripped by the conveying roller 7 and the pinch roller 6. In the next step S8, the medium 8 is conveyed in the suction direction by rotating the conveying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at, the flow advances to step S9 to determine whether any two of the second sensors 13 have sensed the medium 8. If the two or more second sensors 13 do not sense the medium 8, the determination is NO,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8 to continue conveying the medium 8.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YES and proceeds to step S10.

단계 S10에서는 제2 센서(13)가 각각 매체(8)를 감지한 타이밍의 편차량이 이들 사이의 위치 관계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편차량이 그 소정치 이하였던 경우, 판정은 YES로 되어 단계 S11로 이행하고, 매체(8)의 경사 진행은 허용 범위내로 있으므로, 그 매체(8)에 인자를 하기 위한 처리를 계속한다. 그 처리를 실행한 후에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판정은 NO로 되어 단계 S12로 이행하여, 반송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매체(8)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여 되돌려 보내고, 재설정을 요구한다. 일련의 처리는 그 후에 종료한다. 한편, 재설정의 요구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는 표시 장치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n step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timing at which the second sensor 13 has sensed the medium 8, respectivel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If the amount of devi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 determination is YES,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and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8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process for printing the medium 8 is continued. After executing the processing, the series of processing ends. If not, the determination is made to NO,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12, whereby the carrier motor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discharge the medium 8 out of the device, return it, and request a reset. The series of processing then ends. On the other hand, the request for resetting is made by, for example, displaying a message for notifying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 정렬을 행한 후, 매체(8)의 경사 진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경사 진행이 허용 범위 내에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매체(8)를 기기 밖으로 즉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단 정렬을 행하더라도 경사 진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매체(8)를 흡입 방 향으로 반송함으로써 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tip alignment is performed, it is checked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8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device 8 is mounted. It's about to drain out immediately. Accordingly, even if the tip alignment is performed, problems such as jams are reliably avoided by conveying the medium 8 in the suction direction in which the tilting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ample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what was mentioned above,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부기 1) (Book 1)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At least one first roller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oller and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A shaft support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기구. And 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um.

(부기 2) (Supplementary Note 2)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매체 반송 기구. The medium conveyance mechanism according to note 1, wherein the seco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haft via an elastic member.

(부기 3)(Supplementary Note 3)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롤러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롤러를 통해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매체 반송 기구. The said 2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aid shaft via the said 1st roller by attaching the said elastic member to the said 1st roller, The medium conveyance mechanism of the note 2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부기 4)(Appendix 4)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At least one first roller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와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 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oller and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A shaft supporting the first roller and supporting the second roller through an elastic member;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dium is conveyed;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롤러와, A third roll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상기 지지 수단에 지지된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롤러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가압 수단과, Pressuriz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pressure exerted toward the third roller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상기 가압 수단에 인가시키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장치.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pressurizing means.

(부기 5)(Appendix 5)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 수정용의 스토퍼에 의해 매체의 경사 진행을 수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롤러만을 상기 매체와 접촉시키는 압력을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매체 반송 장치. The control means is adapted to apply pressure to the shaft by the pressing means to contact only the second roller with the medium when correcting the tilting of the medium by the stopper for correcting the tilting of the medium. The medium conveyance apparatus as described in the appendix 4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부기 6)(Supplementary Note 6)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을 검출하는 경사 진행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Inclination progres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inclination progression of the medium,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경사 진행 검출 수단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경사 진행이 수정된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매체의 반송 중지 및 상기 매체의 배출 중 어느 것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또는 5에 기재한 매체 반송 장치. And the control means causes the inclination progress detecting means to execute either of stopping the conveyance of the medium and discharging the medium when the inclination progress detecting means detects the inclination progress of the medium whose inclination progress is corrected by the stopper. The medium conveyance apparatus as described in the appendix 4 or 5.

(부기 7)(Appendix 7)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를 준비하고, One or more first rollers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and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as compared with the first roller are prepared.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 수정용의 스토퍼를 이용한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 수정을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매체를 반송시킴으로써 실행하고, Inclination progress correction of the medium using the stopper for tilt progress correction of the medium is carried out by conveying the medium by the second roller,

상기 제2 롤러를 이용한 반송에 의해 경사 진행이 수정된 상기 매체를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방법. The medium conveyance method characterized by conveying by the said 1st roller the said medium in which the inclination advancing was corrected by the conveyance using the said 2nd roller.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제1 롤러 및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를 동일한 샤프트에 지지시킨다. 이로써, 샤프트에 대하여 매체를 향해 가하는 압력이 동일하더라도, 매체에 제2 롤러만을 접촉시키는 경우와, 매체에 제1 및 제2 롤러를 함께 접촉시키는 경우에 매체에 가해지는 반송력이 다르게 된다. 제2 롤러만을 접촉시키는 경우가 양 롤러를 함께 접촉시키는 경우보다 반송력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매체에 대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반송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매체의 선단 정렬(경사 진행의 수정)이나 그 후의 반송도 동일한 샤프트에 지지된 롤러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이들을 별도의 샤프트에 지지시킨 롤러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구성은 매우 간단한 것으로 된다. 구성이 간단하게 됨으로써 소형화도 용이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rollers and the first rollers, and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the portion contacting the medium on the same shaft. Thus, even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dium against the shaft is the same, the conveying force applied to the medium is different when the second roll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edium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edium together. The case where only the second roller is in contact is smaller than the case where both roll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an appropriate conveyance force can be applied to a medium according to a situation. As a result, the tip alignment of the medium (cor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slant) and subsequent conveyance can also be appropriately performed by using a roller supported on the same shaft, compared with the case of performing these by a roller supported on a separate shaft. The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miniaturization is also facilitated.

Claims (5)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At least one first roller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oller, and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a portion contacting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A shaft support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um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기구. And a medium conveying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기구. The medium conveyance mechanism of Claim 1 in which the said 2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aid elastic member via the elastic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롤러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롤러를 매개로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기구. 3. The medium conveyance mechanism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supported by the shaft via the first roller.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At least one first roller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에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작은 복수의 제2 롤러와,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oller and having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상기 제1 롤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A shaft supporting the first roller and supporting the second roller via an elastic member;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Support means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dium is conveyed;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대향하게 배치된 제3 롤러와, A third roll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상기 지지 수단에 지지된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롤러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가압 수단과, Pressuriz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pressure exerted toward the third roller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상기 가압 수단에 인가시키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pressurizing means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장치. A medium conveying apparatus, comprising a. 매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1개 이상의 제1 롤러와, 이 제1 롤러와 비교하여 상기 매체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 마찰 계수가 큰 복수의 제2 롤러를 준비하는 단계와, Preparing one or more first rollers used for conveying the medium, and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having a larg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as compared with the first roller;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매체를 반송시킴으로써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 수정용의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경사 진행을 수정하는 단계와,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by using the stopper for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medium by conveying the medium by the second roller; 상기 제2 롤러를 이용한 반송에 의해 경사 진행이 수정된 상기 매체를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반송시키는 단계Conveying, by the first roller, the medium whose tilting is corrected by the conveying using the second roll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반송 방법. Media conveyance method comprising a.
KR1020040108012A 2004-02-20 2004-12-17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KR1006223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4490A JP2005231836A (en) 2004-02-20 2004-02-20 Medium conveyance mechanism, medium conveyance device, and medium conveyance method
JPJP-P-2004-00044490 2004-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15A KR20050083015A (en) 2005-08-24
KR100622363B1 true KR100622363B1 (en) 2006-09-19

Family

ID=3500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012A KR100622363B1 (en) 2004-02-20 2004-12-17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231836A (en)
KR (1) KR100622363B1 (en)
CN (1) CN1323914C (en)
ES (1) ES22922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704B2 (en) * 2006-06-28 2008-10-22 エヌイーシーコンピュータテクノ株式会社 Posture normalizer for forms
JP4698574B2 (en) * 2006-12-27 2011-06-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Paper sheet separation mechanism
JP5328504B2 (en) * 2009-06-18 2013-10-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conveying device
JP4889805B2 (en) * 2010-08-06 2012-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696616B2 (en) * 2011-08-09 2015-04-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Recording medium transport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5928082B2 (en) * 2012-03-29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Feeding device
JP2014118229A (en) * 2012-12-13 2014-06-30 Sinfonia Technology Co Ltd Printer
CN104309295A (en) * 2014-11-07 2015-01-28 合肥大安印刷有限责任公司 Paper stabilizing mechanism
JP6807404B2 (en) 2017-01-19 2021-01-06 株式会社Pfu Media transf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927A (en) * 1991-06-10 1992-12-15 Canon Inc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device
CA2074023A1 (en) * 1991-07-19 1993-01-20 Shahzad H. Malick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while changing direction of flat articles
JP3177783B2 (en) * 1991-12-20 2001-06-18 富士通株式会社 Paper feeder
GB9323710D0 (en) * 1993-11-15 1994-01-05 Ncr Int Inc Document alignment system
IT1276493B1 (en) * 1995-07-12 1997-10-31 Olivetti & Co Spa ALIGNMENT AND ADVANCE DEVICE OF A DOCUMENT
JPH10218432A (en) * 1997-02-03 1998-08-18 Minolta Co Ltd Paper sheet carrying device
JP3861982B2 (en) * 2001-04-17 200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12257A (en) * 2005-10-19 2007-05-10 Toyota Motor Corp Display uni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2281A1 (en) 2008-03-01
ES2292281B1 (en) 2009-06-08
CN1323914C (en) 2007-07-04
KR20050083015A (en) 2005-08-24
CN1657383A (en) 2005-08-24
JP2005231836A (en)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696B2 (en)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recording device
KR100973023B1 (en) Printer apparatus
KR100622363B1 (en)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medium conveying method
US8382102B2 (en) Transportation align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a transportation alignment device, and recording device
CN102923506B (en) Feedway and printing device
US5997192A (en) Thermal transfer MICR point-of-sale printer with bi-directional clutch
US7393075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feed control method of recording medium in the apparatus
KR100896023B1 (en) Printer
JP431417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onveyance control method in the apparatus
US6126073A (en) Point-of-sale MICR printing and reading
AU715738B2 (en) Document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2009007176A (en) Medium conveying mechanism, medium conveying device, and method of conveying medium
JP4592350B2 (en) Page turning device
JP2853368B2 (en) Booklet printer and page changing device
JPH01237198A (en) Passbook printer
JP3491945B2 (en) Automatic page break mechanism
JPH0796690A (en) Medium handling device
JP5056700B2 (en) Media alignment mechanism
JPH0732522Y2 (en) Conveying device for sheet body to outer peripheral surface of right cylinder
JP4784331B2 (en) Automatic page break mechanism
JP3775114B2 (en) Card reader / writer
JPH01222996A (en) Page turn-over device
JP2763206B2 (en) Passbook printer
CN117922171A (en) Printer with a printer body
JP3165096B2 (en) Page turning mechanism of passbook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