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638B1 -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638B1
KR100621638B1 KR1020060033025A KR20060033025A KR100621638B1 KR 100621638 B1 KR100621638 B1 KR 100621638B1 KR 1020060033025 A KR1020060033025 A KR 1020060033025A KR 20060033025 A KR20060033025 A KR 20060033025A KR 100621638 B1 KR100621638 B1 KR 10062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pipe
hydraulic cylinder
coup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김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규 filed Critical 김홍규
Priority to KR102006003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형 파이프를 이송하기 위하여, 커플러가 구비된 견인차;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 전방측이 상기 커플러와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의 중심부와 체결되는 킹핀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전방 회전판 및 상기 전방 회전판 하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 후방측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조향키로 이루어지는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방 대차; 상기 전방 대차와 분리 또는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의 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후방 대차; 및 상기 전, 후방 대차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견인차의 주행 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를 조향시키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전, 후방 대차 사이에 고정되어 견인차로 견인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직경과 길이가 매우 큰 대형 파이프의 이송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곡선 도로에서도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향되도록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 킹핀 조립체, 커플러, 견인차, 전방 대차, 후방 대차, 고정구, 조향수단, 수동조작부

Description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Huge pipe transporting trailer}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대차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대차의 배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킹핀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조향수단 및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수동조작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견인차 110...커플러
200...전방 대차 210...전방 몸체
212...킹핀 조립체 213...킹핀
214...전방 회전판 216...조향키
300...후방 대차 310...후방 몸체
220, 320...지지체 222, 322...수직 프레임
224, 324...하부 프레임 226, 326...안내 레일
228, 328...상부 프레임 230, 330...고정구
232, 332...몸체 234, 334...조절자
236, 336...고정판 238, 338...고정링
240, 340...유압수단 242, 342...제1 유압실린더
244, 344...제2 유압실린더 260, 360...랜딩 기어
270, 370...랜딩 기어용 유압실린더 350...타이어 조립체
400...조향수단 410...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420...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430...후방 회전판
440...링크 플레이트 600...수동조작부
610...전방 제1 절환밸브 620...전방 제2 절환밸브
630...방향제어밸브 640...유압 펌프
650...조작스위치
본 발명은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방대차와 후방대차 사이에 대형 파이프를 고정하여 이송함으로써 직경과 길이가 매우 큰 대형 파이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송함은 물론, 곡선 주로에서도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조향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대형 플렌트나 발전설비, 특히 풍력 발전설비의 건설에 소요되는 파이 프의 경우, 직경은 4 내지 6 미터에 길이는 20 내지 30 미터에 이르는 대형의 것들이 대부분으로, 그 자체 하중과 크기로 인하여 공장에서 출고된 상기 파이프를 현장으로 이송하는 것 자체가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견인차의 커플러와 연결하여 견인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이송 트레일러(이하 '선행기술')는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바닥면이 평평한 입방체 형상의 화물 운송에는 매우 특화된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수 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의 파이프를 적재 후 고정하여 운반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뒤따르게 된다.
이는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이송 트레일러보다 훨씬 긴 파이프를 적재하여 운행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이송 트레일러 후방측의 타이어에 손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운반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리하게 상기 파이프를 이송할 경우는 상기 파이프의 낙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곡선주로에서 회전시에는 견인차 자체가 상기 파이프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고 이송 트레일러와 함께 전복될 치명적인 문제점까지 내포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따라 이송 트레일러의 하부면에 복수개 배치된 타이어가 뒤따르는 구조로, 회전 반경이 매우 크기 때문에 굴곡이 심한 곡선주로에서 원활한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경이 크고 길이가 매우 긴 대형의 파이프를 낙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은 곡선주로에서도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원활한 회전 동작을 안전하게 수행하며 대형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커플러가 구비된 견인차;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 전방측이 상기 커플러와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의 중심부와 체결되는 킹핀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전방 회전판 및 상기 전방 회전판 하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 후방측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조향키로 이루어지는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방 대차; 상기 전방 대차와 분리 또는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의 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후방 대차; 및 상기 전, 후방 대차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견인차의 주행 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를 조향시키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전, 후방 대차 사이에 고정되어 견인차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대차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대차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는 크게, 견인차(100), 전방 대차(200), 후방 대차(300) 및 조향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설명하지 않은 부호로 p는 유압 펌프를, T는 탱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조향수단은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므로, 후술할 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는 도 1(a)와 같이 상기 견인차(100) 후방의 전, 후방 대차(200, 300) 사이에 파이프(P)를 고정시켜 견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는 상기 파이프(P)를 이송하지 않을 때, 도 1(b)와 같이 별도의 체결구(500)로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를 상호 체결시켜 운행할 수도 있다.
상기 견인차(100)는 후방측에 커플러(110)가 구비되고 조향이 가능한 타이어(120)가 전방 양측에 한 쌍 배치되며, 조향 가능한 상기 타이어(120) 후방측에는 상기 타이어(120)의 주행에 연동하여 뒤따르는 후방측의 타이어(120)가 함께 배치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의 구성 중 킹핀 조립체(212) 및 조향수단(400)을 제외한 나머지, 즉 전, 후방 몸체(210, 310), 지지체(220, 320), 고정 구(230, 330) 및 유압수단(240, 34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기 전방 대차(200)의 설명으로 대신하며 후방 대차(300)의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플러(110, 일명 '떡판')는 통상의 트레일러 킹핀이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측에는 후술할 킹핀 조립체(212)의 조향키(216)가 고정되는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 대차(200)는 상기 커플러(110)와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P) 일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는 것으로, 크게 전방 몸체(210), 지지체(220), 고정구(230) 및 유압수단(2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P) 일단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체(220) 상,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구(230)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되,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230)는 상하 이동하며, 하단부의 고정구(230)는 상기 지지체(220)와 상기 파이프(P)의 직경에 맞게 탈착 결합되어 각각 상기 파이프(P)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 몸체(210)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의 전방측이 상기 커플러(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재 형상의 플레이트 양측에 삼각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 몸체(210) 상부면에는 후술할 유압수단(240)의 가동을 위한 유압 펌프(p)와 작동유를 수용하는 탱크(T)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지지체(220)는 상기 전방 몸체(210) 후단부 양측에 각각 피봇축(221)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바 형상인 것으로, 크게 수직 프레임(222), 하부 프레임(224), 안내 레일(226) 및 상부 프레임(228)으로 이루 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222)은 도 2와 같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ㄷ'자 를 이루는 바가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지되, 상기 'ㄷ'자의 개구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가 안내 레일(226)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224)은 도 3과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222)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222)을 상호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228)은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230)가 후방측을 지향하며 이격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안내 레일(226) 상을 승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222) 하부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공(223)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공(223)을 상기 하단부의 고정구(230)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지니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송될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상기 고정구(230)를 체결공(223)에 적절히 교체 결합하여 다양한 파이프(P)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223)은 파이프(P)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도 1(b)와 같이 별도의 체결구(500)로 고정시킴으로써 견인차로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인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24)에는 도 3과 같이 지지봉(262)과 롤러(264)로 이루어진 랜딩 기어(2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봉(262)은 하부 프레임(224)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안내로(225)를 따라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롤러(264)는 상기 지지봉(262)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과 접촉시 구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262) 상단부에는 랜딩 기어용 유압실린더(270)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 몸체(210) 상부면에 장착된 유압 펌프(p)에 의해 상기 지지봉(262)을 승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23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8) 및 상기 수직 프레임(222) 하부측의 체결공(223)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몸체(232), 조절자(234), 고정판(236) 및 고정링(238)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몸체(232)는 원통 형상의 것으로, 상단부의 고정구(230) 몸체(232)는 상기 상부 프레임(228) 상에 돌출 형성되고, 하단부의 고정구(230) 몸체(232)는 상기 체결공(223)에 관통 결합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222)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조절자(234)는 상기 고정구(230) 몸체(232)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하는 링 형상의 것이며, 상기 조절자(234) 외주면에 고정판(236)이 돌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36)은 파이프(P)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상기 파이프(P)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판(236)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 파이프(P) 내측면에 접촉시키도록 조정이 가능하며, 이는 상기 몸체(232) 외주면을 따라 회동 결합되는 조절자(234)에 의하여 이루어지 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238)은 상기 조절자(234)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몸체(232)에 체결되는 것으로, 렌치와 같은 별도의 도구로 조임 또는 풀림 작업을 실시하여 상기 몸체(232)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고정구(230)의 고정링(238)은 상기 전방 대차(200)의 후방측을 지향하는 상단부 고정구(230)의 몸체(232)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하단부 고정구(230)의 고정링(238)은 상기 체결공(223)을 통해 돌출된 몸체(232)의 양단에 체결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유압수단(240)은 상기 지지체(220)를, 더욱 자세히는 상기 수직 프레임(222)을 피봇축(221)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2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크게 제1 유압실린더(242) 및 제2 유압실린더(2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242)는 상기 전방 몸체(210)의 상부면 상에서 경사지게 장착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222) 상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상기 전방 몸체(210)의 삼각형상의 경사면 중 상기 수직 프레임(222)과 대향되는 경사면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222) 상단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242)는 상기 수직 프레임(222)을 상기 전방 몸체(210) 후방측 단부 양측과 결합된 피봇축(221)을 중심으로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유압실린더(244)는 상기 전방 대차(200)의 수직 프레임(222) 사이 에 상기 수직 프레임(222)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 하단부의 고정구(23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실린더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224)에 장착되고 로드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228)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28)을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2 유압실린더(242, 244)의 가동을 위하여, 상기 제1, 2 유압실린더(242, 244)는 상기 전방 몸체(210) 상부면의 유압 펌프(p)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 펌프(p)에 의해 가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후방 대차(300)는 상기 전방 대차(200)와 분리 또는 결합되고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350)가 배치된 것으로, 크게 후방 몸체(310), 지지체(320), 고정구(330) 및 유압수단(3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체(320) 상,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구(330)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330)는 상하 이동하며, 하단부의 고정구(330)는 상기 지지체(320)와 상기 파이프(P)의 직경에 맞게 탈착 결합되어 각각 상기 파이프(P)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후방 몸체(310), 지지체(320), 고정구(330) 및 유압수단(340)과 함께 상기 지지체(320) 하부측의 하부 프레임(324)에 장착된 랜딩 기어(360)를 포함한 각 구성은 상기 전방 대차(200)의 전방 몸체(2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의 주요 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4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킹핀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조향수단 및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수동조작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킹핀 조립체(212)는 크게, 전방 회전판(214)과 조향키(216)로 이루어져 상기 견인차(100)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대차(200)가 견인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로, 도 4에 나타나지 않은 부호, 즉 견인차(100) 및 전, 후방대차(200, 300) 대차 각부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기로 하며, 설명하지 않은 부호로 S1, S2, S3 및 S4는 후술할 조향수단(400)을 연결하는 유압 케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전방 회전판(214)은 전방 몸체(210) 하부면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몸체(210, 도 1 참고)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차(100)의 커플러(110) 중심부에 구비된 결합공(111)과 체결되는 킹핀(213)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것이다.
상기 조향키(216)는 전방 회전판(214) 하부면에 구비된 것으로, 그 형상은 상기 견인차(100)의 커플러(110) 후방측에 형성된 걸림홈(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회전판(214) 상에는 후술할 조향수단(400)의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 한 쌍이 이격 장착되며,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로드 단부는 상기 전방 회전판(214)과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후방측은 상기 전방 몸체(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조향키(216)는 상기 견인차(100)의 주행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공(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플러(110)의 회전량만큼 상기 전방 회전판(214)도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조향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차(100)의 주향 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를 조향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크게 전,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 420), 후방 회전판(430) 및 링크 플레이트(440)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5(a)는 조향수단(400)에 의한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 5(b)는 상기 조향수단(400)에 의한 조향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상기 각 조향 유압실린더(410, 420)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각 실(a b, c, d)을 잇는 제1, 2, 3, 4 유로(S1, S2, S3, S4)는 유압케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2, 3, 4 유로(S1, S2, S3, S4)를 이루는 유압케이블은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파이프(P)의 유무에 관계없이 운행시에는 항상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의 조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면 상에서 파이프(P)는 편의상 그 도시를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 설명되는 전방 대차(200) 관련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기로 하며, 도면의 상부측을 견인차(100)의 전방측이라 정의하고 나머지 방향, 즉 좌우 및 후방측을 이미 정의된 상기 전방측에 따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는, 도 6에서도 공히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대차(300) 하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개 배치된 타이어(352) 및 상기 타이어(352)의 구름 동작을 지지하는 구동축(35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인차(100)의 전방 타이어(120)는 핸들 조작으로 조향이 이루어지며, 조향이 이루어지는 상기 전방 타이어(120) 후방측의 타이어(120)는 자체 조향 능력이 없으므로, 상기 전방 타이어(120)의 조향에 뒤따르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는 상기 전방 몸체(210)의 전방 회전판(214) 상부면에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 단부가 상기 전방 회전판(214)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도 4 참고)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전, 후단측에는 유압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412, 414)가 구비되며, 도면의 상부측을 전단측 출입구(412), 도면의 하부측을 후단측 출입구(414)라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는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와 교차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350) 중 일개소, 즉, 상기 복수개의 구동축(354) 중 일개소에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전, 후단측에는 유압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422, 424)가 구비되며, 도면의 상부측을 전단측 출입구(422), 도면의 하부측을 후단측 출입구(414)라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 중 좌측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d, c 실은 한 쌍의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 중 우측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b, a 실과 각각 유압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d 실측, 즉 전단측 출입구(412)는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b 실측, 즉 후단측 출입구(424)와 연결되는 제1 유로(S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c 실측, 즉 후단측 출입구(414)는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a 실측, 즉 전단측 출입구(422)와 연결되는 제2 유로(S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3 및 제4 유로(S3, S4)가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회전판(430)은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에 각각 형성되어, 더욱 상세히는 상기 구동축(354)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 몸체(310) 하부면과 회동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것이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440)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가 장착된 구동축(354)에 이웃한 구동축(354)을 전후방으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 플레이트(440)는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가 장착된 구동축(354)을 포함한 모든 구동측(354)과 함께 상기 후방 회전판(430)을 중심으로 상 기 견인차(100)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를 상기 전방 회전판(214)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향수단(400)에 의하여 운전자는 견인차(100)를 운행하면서 보다 원활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를 세 개의 타이어 조립체(350) 중 두 번째 타이어 조립체(350)의 구동축(354)에 장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적절히 위치 변경을 가하여 장착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복수개의 상기 구동축(354) 중 어느 곳에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를 장착하여도 상기 링크 플레이트(440)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354)이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조향수단(400)의 구성을 참고로 하여 견인차(100)의 주행방향에 따른 타이어 조립체(350)의 조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운전자가 도 5(b)와 같이 우측으로 회전 주행을 하고자 핸들 조작으로 견인차(100)의 전방 타이어(120)를 우측으로 편향시키면 상기 견인차(100)는 우측으로 진행하면서 나아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견인차(100)의 커플러(110, 도 4 참고)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견인차(100) 후방측의 전방 회전판(214) 또한 상기 커플러(110)의 회전량만큼 연동 회전하면서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각 실(a, b, c, d)의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좌측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로드가 상기 전방 회전판(214)의 회전에 따라 견인차(100)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d 실은 수축하고 c 실은 팽창하게 된다.
동시에, 우측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로드가 상기 전방 회전판(214)의 회전에 따라 견인차(100)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a 실은 팽창하고 b 실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d 실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상기 제1 유로(S1)를 통해 우측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b 실에 걸리면서, 상기 우측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로드를 후방 대차(300)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동시에, 우측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b 실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상기 제4 유로(S4)를 통해 좌측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d 실에 걸리면서, 상기 좌측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로드를 후방 대차(300)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가 장착된 구동축(354)은 후방 회전판(430)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가 장착된 구동축(354)과 링크 플레이트(440)로 연결된 나머지 구동축(354) 또한 연동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운전자가 견인차(100)의 핸들 조작에 의하여 좌측으로 회전 주행하기 위한 과정 또한 같은 원리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조향수단(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의 조향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조작부(60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조작부(600)는 크게 전방 제1 절환밸브(610), 전방 제2 절환밸브(620), 방향제어밸브(630), 유압 펌프(640) 및 조작스위치(6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동조작부(600)는 상기 전방 회전판(214)과 연동하지 않고 별도의 유압원에 의하여 사용자가 굴곡이 심한 도로에서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적절히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를 조향하며 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제1 절환밸브(610)는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와 인접한 제1 내지 제4 유로(S1, S2, S3, S4) 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유로(S1, S2, S3, S4)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 제2 절환밸브(620)는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전, 후단측 출입구(412, 414)와 상기 전방 제1 절환밸브(610) 사이에서 상기 제1, 2 유로(S1, S2) 및 제3, 4 유로(S3, S4)를 각각 연결하는 보조 유로 상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제1, 2 절환밸브(610, 620)는 수동 조작으로 유로가 개폐되는 코크밸브와 같은 것으로,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평상시, 사용자가 상기 조향수단(400)만으로 타이어 조립체(350)을 조향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방 제2 절환밸브(620)를 닫고 상기 전방 제1 절환밸브(610)를 열어 상기 전,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 420) 상호간의 유압 연결을 도모하게 된 다.
상기 방향제어밸브(630)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와 인접한 제1 및 제4 유로(S1, S4)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 유로 및 제2 및 제3 유로(S2, S3)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 유로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각 실(a b, c, d)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어밸브(630)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별도의 외부 기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유압 펌프(640)는 상기 방향제어밸브(630)에 유압을 인가하며, 상기 조작스위치(650)는 상기 방향제어밸브(630)의 유압 인가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역할을 각각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수동조작부(600)의 간단한 작동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6은 도 5(b)의 경우, 즉 우측으로 회전 주행을 하는 경우를 참고로 하였으며, 좌측으로 회전 주행을 하는 경우는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의 전, 후단측 출입구(412, 414)에서 후방측으로 연결된 각 유로(S1, S2, S3, S4)를 전방 제1 절환밸브(610)의 수동 조작으로 밀폐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제1, 2 유로(S1, S2) 및 제3, 4 유로(S3, S4)를 연결하는 보조 유로 상의 전방 제2 절환밸브(620)를 수동 조작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전 방 조향 유압실린더(410) 각각의 전단측 출입구(412)와 후단측 출입구(414)가 유압으로 연결되는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폐회로는 견인차(100)의 좌, 우 조향에 따라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410)에서 발생되는 유압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동조작부(600)를 가동시키는 준비를 완료하고, 후방 대차(300)의 타이어 조립체(350)를 방향제어밸브(630), 유압 펌프(640) 및 조작스위치(650)로써 조향하게 된다.
우선, 사용자는 유압 펌프(640)를 가동시켜 상기 방향제어밸브(630)측으로 유압을 인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조작스위치(650)를 조작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630)를 제1, 4 유로(S1, S4)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 유로측으로 개방함으로써, 좌측 전단측 출입구(422) 및 우측 후단측 출입구(424)를 통해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d 및 b 실에 유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420)의 좌측 로드는 후방측으로, 우측 로드는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후방 회전판(430)을 중심으로 타이어(352)가 장착된 구동축(354)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조작부(600)는 조향수단(400) 만으로 코너링 주행을 행할 수 없을 정도로 굴곡이 심한 도로에서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도로의 상태와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의 타이어(352)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타이어 조립체(350)를 조향하며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를 이용 한 작동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공장에서 출고되어 버팀목이나 받침 롤러 등과 같이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파이프(P)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견인차(100)에 연결된 전방 대차(200)와 상기 전방 대차(200) 후방측에 연결된 후방 대차(300)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전, 후방 대차(200, 300) 중 하나를 상기 파이프(P)의 양단 중 일단에 접근시키며,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 대차(300)부터 상기 파이프(P)에 접근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상기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에 후방 대차(300)의 고정구를 접촉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328)을 제2 유압실린더(344)로 하강시켜 두고 제1 유압실린더(342)를 가동하여 지지체(320)의 수직 프레임(322)을 피봇축(32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직 프레임(322) 하단부의 고정구(33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지지체(320)에 장착된 랜딩 기어(360)를 하강시켜 상기 랜딩 기어(360)의 롤러(364)를 지면에 접촉시켜 이동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롤러(364) 및 타이어 조립체(350)에 의하여 상기 후방 대차(300)를 상기 파이프(P) 타단으로 밀어 접근시키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342)를 가동하여 하단부의 고정구(330)를 상기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에 접근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하강시켜둔 상기 상부 프레임(328)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 프 레임(328) 상에 구비된 상단부의 고정구(330)를 상기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랜딩 기어(360)를 상승시켜 원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P) 타단의 내측면에는 네 개의 지지점이 형성되면서 상기 후방 대차(300)와 파이프(P) 타단과의 고정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견인차(100)를 이동시켜 상기 견인차(100)와 연결된 전방 대차(200)를 상기 파이프(P) 일단에 접근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전방 대차(200)와 상기 파이프(P) 일단의 접촉 고정은 상기 후방 대차(300)와 사기 파이프(P) 타단과 고정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전방 대차(200)와 후방 대차(300)에 설치된 조향수단(4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유압 케이블로 결합시킴으로써 대형 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직경이 크고 길이가 매우 긴 대형의 파이프를 낙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곡선 주로에서도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원활한 회전 동작을 안전하게 수행하며 대형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전, 후방 대차에 구비된 고정구로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직경이 크고 길이가 매우 길어 일반 이송 트레일러로 운반하기에 위험과 무리가 뒤따르는 대형 파이프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후방 대차의 타이어 조립체를 조향할 수 있는 조향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곡선주로에서도 부드러운 코너링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 굴곡이 매우 심한 도로에서는 상기 조향수단에 더 구비된 수동조작부를 사용하여 도로 및 타이어 상태에 따라 곡선 주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 후방 대차가 분리 또는 연결가능한 구조이므로, 파이프를 운반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전, 후방 대차를 상호 연결하여 신속하게 현장으로 이동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하여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게 되는 등 기동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탁월한 특장점을 지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커플러가 구비된 견인차;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 전방측이 상기 커플러와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의 중심부와 체결되는 킹핀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전방 회전판 및 상기 전방 회전판 하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 후방측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조향키로 이루어지는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일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방 대차;
    상기 전방 대차와 분리 또는 결합되고, 이송되는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이 접촉 고정되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것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부면에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가 배치되는 후방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의 전단부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 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타단의 내측면과 접촉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체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며,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수단으로 이루어진 후방 대차; 및
    상기 전, 후방 대차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견인차의 주행 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를 조향시키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전, 후방 대차 사이에 고정되어 견인차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전방 몸체의 후단부 양측 및 후방 몸체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피봇축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하부측에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호 고정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가 이격 형성되며 상기 안내 레일 상을 승강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안내로를 따라 승강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 하단에 장착되어 지면과 접촉시 구름 동작을 수행하는 롤러; 및
    상기 지지봉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봉을 승강시키는 랜딩기어용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랜딩 기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 송 트레일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회동하는 링 형상의 조절자;
    상기 파이프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조절자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조절자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고정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 몸체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되고 하단부의 고정구 몸체는 상기 수직 프레임 하부측에 탈착 결합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단부 고정구의 고정링은 상기 상단부의 고정구 몸체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하단부 고정구의 고정링은 상기 하단부의 고정구 몸체 양단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하부측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단부 고정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지니며 상하로 일정간격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은,
    상기 전, 후방 몸체의 상부면 상에서 경사지게 장착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 상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을 피봇축을 중심으로 전, 후방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전, 후방 대차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전방 몸체의 전방 회전판 상부면에 이격 장착되며, 전, 후단측에 유압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와 교차 연결되는 것으로, 전, 후단측에 유압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타이어 조립체 중 일개소에 장착되는 한 쌍의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상기 타이어 조립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방 몸체 하부면과 회동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후방 회전판; 및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타이어 조립체에 이웃한 상기 타이어 조립체를 전후방으로 연결하며 상기 후방 회전판을 중심으로 견인차의 주행방향에 연동하여 상기 타이어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링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일측의 전단측 출입구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타측의 후단측 출입구와 연결되는 제1 유로가,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일측의 후단측 출입구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타측의 전단측 출입구와 연결되는 제2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타측의 전단측 출입구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일측의 후단측 출입구와 연결되는 제3 유로가,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타측의 후단측 출입구는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 중 일측의 전단측 출입구와 연결되는 제4 유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에는,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와 인접한 상기 제1, 2, 3, 4 유로 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유로를 개폐하는 전방 제1 절환밸브;
    상기 전방 조향 유압실린더의 전, 후단측 출입구와 상기 전방 제1 절환밸브 사이에서 상기 제1, 2 유로 및 제3, 4 유로를 각각 연결하는 보조 유로 상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전방 제2 절환밸브;
    상기 후방 조향 유압실린더와 인접한 제1, 4 유로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 유로 및 제2, 3 유로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 유로를 상호 연결하는 방향제어밸브;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 펌프; 및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유압 인가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 수동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KR1020060033025A 2006-04-12 2006-04-12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KR10062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25A KR100621638B1 (ko) 2006-04-12 2006-04-12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25A KR100621638B1 (ko) 2006-04-12 2006-04-12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638B1 true KR100621638B1 (ko) 2006-09-07

Family

ID=3762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025A KR100621638B1 (ko) 2006-04-12 2006-04-12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14B1 (ko) * 2008-04-28 2011-06-27 임재형 풍력발전기날개 운반장치
WO2020112489A1 (en) * 2018-11-28 2020-06-04 Newton Dean Autonomous vehicle having independent steering
US11358660B2 (en) 2018-11-28 2022-06-14 Cargotec Patenter Ab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14B1 (ko) * 2008-04-28 2011-06-27 임재형 풍력발전기날개 운반장치
WO2020112489A1 (en) * 2018-11-28 2020-06-04 Newton Dean Autonomous vehicle having independent steering
US11358660B2 (en) 2018-11-28 2022-06-14 Cargotec Patenter Ab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US11396326B2 (en) 2018-11-28 2022-07-26 Cargotec Patenter Ab Autonomous vehicle having independent steering
US11801906B2 (en) 2018-11-28 2023-10-31 Cargotec Patenter Ab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450B2 (en) Mobile conveyor for paving vehicles
US7784812B1 (en) Central multi directional transmission system
US7694993B2 (en) Trailer steering mechanism
CN101663439B (zh) 可牵引的细长型交通障碍物
US7152709B2 (en) Industrial vehicle
US9051007B2 (en) Mechanically steered articulating dolly transport system
WO2006023011A2 (en) Steerable bogie
KR100835952B1 (ko) 로봇용 독립 구동 모듈
KR100621638B1 (ko) 대형 파이프의 이송 트레일러
US4036508A (en) Self-propelled drilling and workover rig
US8733479B2 (en) Remote controlled load transport system
US7686320B1 (en) Steering system for a tractor and trailer
US20210078654A1 (en) Singly steerable, serpentine steel track crawler transformable into multi-track crawler and wheeled vehicle
MXPA05002137A (es) Cierre de puerta de vagon ferroviario.
JP6010556B2 (ja) 車体移送装置
US20080000652A1 (en) Towable backhoe
US20140048343A1 (en) Multi-axis articulating crawler
CN112119001B (zh) 用于产生用于露天开采的可移动系统的运动的方法
CZ296615B6 (cs) Zeleznicní vagón pro prepravu rozmerných nákladu,zejména silnicních vozidel
CN102320329A (zh) 三桥挂车转向系统
RU271248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или передвижной рабочей машине
CN215205115U (zh) 一种支腿结构及平台车
CN217054563U (zh) 一种停车机器人及停车机器人系统
CN219948396U (zh) 一种中转运输车
DE102021111347B4 (de) Zentral-Unterbau für Fahrwerke und Oberb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