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232B1 -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232B1
KR100621232B1 KR1020027004651A KR20027004651A KR100621232B1 KR 100621232 B1 KR100621232 B1 KR 100621232B1 KR 1020027004651 A KR1020027004651 A KR 1020027004651A KR 20027004651 A KR20027004651 A KR 20027004651A KR 100621232 B1 KR100621232 B1 KR 10062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point
mode change
connection mode
frame
re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943A (ko
Inventor
라사넨유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674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212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3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한 제 1 종단점은 제 2 종단점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고 확인응답과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상기 제 1 종단점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종단점이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한 때, 상기 제 1 종단점은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고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상기 제 2 종단점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기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의 수신은 번호붙여진 프레임이 항상 확인응답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종단점에서의 DTX 조건과 관계없이 상기 제 2 종단점에 의해 수신된다.

Description

동기화 방법 및 장치{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GSM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제 1 및 제 2 통신 종단점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ISO OSI 모델의 층 2 기능성을 포함한다. 이것은 디지털 무선 전송의 특수한 요구에 맞춰진 것이고, 상기 OSI 데이터 링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RLP는 비-투명 데이터 전송으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것이고, 프로토콜 전환(conversion)은 다양한 프로토콜 환경들을 위해 제공된다. RLP 프레임들은 무선 전송으로 엄격한 정렬(strict alignment)로 전송되고, 240(TCH/F9.6 채널 코딩) 또는 576 비트들(TCH/F14.4 채널 코딩)의 고정된 크기이다. 프레임이 전송되는 때마다, 상기 RLP는 상기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요한 프로토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RLP에서, 불연속적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이 준비되고, 상기 전송은 전송되어질 데이터가 없는 기간이 검출되는 때 자동적으로 중단되고, 그럼으로써 전력 소모와 이웃 셀들의 간섭을 감소시킨다. 전송될 데이터가 없는 기간 동안, 주기적인 하위층 충진 프레임(fill frame)들만이 무선 채널로 전송된다.
RLP는 상기 GSM 네트워크의 이동국(mobile station:MS)로부터 가장 근접한 모바일 전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또는 그 이상에 위치한 상호접속 기능(interworking function: IWF)까지 미친다.
RLP는 다른 채널 코딩들 간의 전환으로 인하여 그 지원 프레임 길이를 변경시켜야 한다. 상기 RLP 구성원들(entities)은 상기 채널 코딩 이후에 재동기화되어야 한다. 상기 채널 코딩의 변화는 외부 사건에 의해 상기 RLP-구성원에 알려진다. 모바일 종단(end)에서의 RLP 구성원은 관련된 무선 자원 운영(Radio Resource Management) 메시지를 수신한 때, 동기화 상태로 진입하고, 가장 빠른 가능한 시간에 REMAP 메시지의 전송을 개시한다. 상기 네트워크 종단에서의 RLP-구성원은 상기 네트워크 종단이 상기 REMAP 메시지를 검출한 때 상기 동기화 상태로 진입한다. 상기 REMAP 과정이 완성된 후, 상기 RLP 구성원은 상기 동기화 상태를 벗어나고 정규 동작이 재개된다. 상기 채널 코딩의 변화의 예로서, TCH/F9.6과 TCH/F14.4 간의 전환이 있다.
특히, REMAP 교환은 이전의 프레임 포맷에 따라 상기 RLP 구성원이 의미하는 개별 정보 중의 정보 필드 내의 REMAP 명령 U 프레임(번호가 붙지않은 프레임)을 전송하는 상기 모바일 종단에 의해 개시되고, 이때 상기 네트워크 종단은 상기 이전의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채널 코딩에 대응하는 프레임 포맷으로 사상된 정보를 재전송해야 한다. 상기 모바일 종단은 응답(reponding) REMAP 프레임이 상기 네트워크 종단으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모든 전송 기회에서 REMAP 프레임을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종단은 REMAP U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답하고, C/R 제어 비트가 "응답(response)"으로 설정된다. 상기 정보 필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종단은 상기 모바일 종단이 상기 정보를 상기 새로운 포맷으로 재사상시켜야하는 프레임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네트워크 종단은 수신되는 모든 REMAP 명령들에 응답한다. 그들 중의 하나가 수신된 후 상기 모바일 종단에 도달한 REMAP 확인응답(acknowledge)은 상기 모바일 종단에 의해 폐기된다. 상기 RLP는 타이머에 의해 상기 동기화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종단이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 적절한 U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을 때, 상기 네트워크 종단은 비동기 불연속 모드(Asynchronous Disconnected Mode: ADM)으로 진입한다. 상기 ADM은 데이터 링크 비-작동 모드이고, 상기 RLP 구성원은 상기 데이터 링크로부터 논리적으로 불연속적이고, 따라서 번호붙여진(numbered)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수용하지 않는다.
상기 모바일 종단은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제 1 REMAP 프레임을 인식한 후, REMAP 프레임들을 전송하기를 중단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종단은 상기 네트워크 종단으로 I+S 또는 S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그 수신을 확인응답하고,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그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종단에서의 RLP 구성원은 상기 모바일 종단으로부터 상기 I+S 또는 S를 수신한 후,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그러나, 이동국이 DTX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MS에 의해 전송된 상기 감시 프레임들(S 프레임들)은 더 하위의 프로토콜 층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종단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RLP 구성원은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에 머물고, 상기 데이터 전송은 실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모드 변경 절차가 DTX 상태에서도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하는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제 1 및 제 2 통신 종단점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성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종단점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종단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종단점으로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종단점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종단점으로부터 상기 제 1 종단점으로 확인응답 메시지와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종단점에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와;
상기 제 1 종단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종단점으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상기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종단점에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통신 종단점으로 동기화를 성취하는 장치에 의해 성취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종단점으로부터 수신된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통신 종단점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의 설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수단이 확인응답 메시지와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상기 통신 종단점으로 전송하도록 되고;
상기 통신 종단점으로부터의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도록 된다.
또한 번호붙여진 프레임(numbered frame)은, 예를 들면 I+S 프레임은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와 함께 다른 통신 종단점으로 전송된다. 상기 다른 통신 종단점이 상기 DTX 상태인 경우,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은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된 일반적인 ARG(Automatic Repeat Request: 자동 반복 요청)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확인응답된다. 그럼으로써 확인응답은 다른 통신 종단점의 DTX 상태의 경우에도 수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종단점은 이동국이고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호접속 유닛이다.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절차는 상기 RLP에서의 TCH/F14.4 및 TCH/F9.6 간의 변경과 같은 채널 코딩의 변경이다.
또한, 상기 변경 요청 메시지는 상기 RLP의 REMAP 프레임이다.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은 상기 RLP의 I+S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동기화 장치에 계수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의 해 전송된 확인응답 메시지의 개수를 세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계수 수단이 소정의 값에 도달한 후,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번호붙여진 프레임들은 확인응답 메시지들의 모든 소정의 개수 이후에, 전송된다. 그럼으로써, 재전송 타이머의 만료이후의 재전송으로 인한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부터의 느린 탈출(exit)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보다 상세히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고정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GSM 네트워크의 주요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주요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REMAP 교환 과정의 전송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여 개시될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료 터미널(end terminal: TE)(5)이 예를 들면 공중 전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IP 네트워크 또는 이와 유사한 네트워크와 같은 고정 네트워크(4)를 통하여 모바일 전화기일 수 있는 이동국(MS)에 연결된다. 상기 MS(1)는 할당 상호접속 기능 유닛(IWF)(31)을 구비한 모바일 전환국(MSC)(30)에 연결된 기지국 서브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BSS)(2)에 무선연결된다. 상기 IWF(31)는 예를 들면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의 적응 프로토콜 특성들을 위해 상기 고정 네트워크(4)의 프로토콜 특징들에 제공된다.
도 2는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통신 종단점들에서의 동기화를 성취하는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기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IWF(31)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 2에 따른 장치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고정 네트워크(4) 내에서의 개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들만이 도 2에 도시된 기본 구성도에 포함됨이 인식되어야 하고, 상기 구성 기능들은 CPU와 같은 처리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 프로그램 루틴들에 의해 성취된다.
도 2에 따라, 상기 IWF(31)는 상기 고정 네트워크(4) 또는 MS(1)로/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터 호출들을 전송/수신하는 송수신 유닛(transceiver unit:TRX)(3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TRX(36)는 전송 및 수신 기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 네트워크(4) 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의 무선 경로를 통하여 양방향 데이터 또는 음성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신호 처리 유닛(32)이 상기 TRX(36)에 연결된다.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은 상기 고정 네트워크(4)의 데이터 또는 음성 호출들을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의 데이터 또는 음성 호출들 등으로 적응시키기 위해 요청된 상호접속 자원들(예를 들면 전환코딩 기능들, 모뎀 기능들. 속도 적응 기능들 등)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은 상기 장치의 입력 및 출력 측면에서 사용된 프로토콜들에 따라 요청되는 신호 전송을 확실케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33)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REMAP 프레임 검출기(34)가 상기 이동국(1)으로부터의 REMAP 수신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REMAP 프레임 검출기(34)는 상기 검출 결과를 의미하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33)에 공급하도록 된다. 이러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을 REMAP 동기화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은 REMAP 확인응답 메시지와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MS(1)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REMAP 프레임 계수기(35)가 상기 제어 유닛(33)에 연결된다. 상기 REMAP 프레임 계수기(35)는 하나의 I+S 프레임 이후,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에 의해 상기 MS(1)로 전송된 REMAP 확인응답 메시지의 개수를 세도록 된다.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REMAP 프레임 계수기(35)의 계수 결과들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도록 됨으로써 소정의 개수의 REMAP 확인응답 프레임들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 다.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이 상기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으로의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때,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33)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MS(1)가 상기 번호가 붙여지지 않은 S 프레임이 상기 IWF(31)로 고착되지 않은 DTX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은 상기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수신하고, 이것은 만약 I+S 트래픽이 사용가능하면, 이러한 확인응답이 더 하위 프로토콜층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되기 때문에, 즉 더 낮은 층들이 상기 DTX 상태를 자동적으로 벗어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이 도 3과 관련되어 개시된다.
단계(S101)에서,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REMAP 프레임 검출기(34)가 상기 MS(1)로부터 REMAP 프레임의 수신을 검출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아니면, 단계(S10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만약 REMAP 프레임이 수신되었다면,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이 REMAP 동기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MS(1)로 REMAP 확인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단계(S102)). 또한, 상기 제어 유닛(33)은 신호 처리 유닛(32)을 제어하여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상기 MS(1)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S103)).
이때,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REMAP 프레임 계수기(35)를 판독하고 소정의 개수(n)의 REMAP 프레임들이 상기 I+S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었는지를 검사한다(단계(S104)).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을 제어함으로써 REMAP 확인응답 프레임을 상기 MS(1)로 전송한다(단계(S(105)).
상기 소정의 개수(n)의 REMAP 프레임들이 상기 I+S 프레임이후 전송된 경우, 흐름은 단계(S(107))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REMAP 프레임 계수기(35)를 0으로 리세트시킨다. 이때, 상기 과정은 단계(S103)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을 제어함으로써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상기 MS(1)로 전송한다.
단계(S105)에서 REMAP 프레임의 모든 전송 이후,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이, 상기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상기 MS(1)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상기 과정은 단계(S104)로 진행하여, REMAP 프레임들의 개수가 검사된다.
만약 확인응답이 상기 MS(1)로부터 수신되었으면, 상기 제어 유닛(33)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3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REMAP 동기화 모드를 벗어나고(단계(S108)), 그럼으로써 상기 동기화 제어 과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 IWF(31)는 제 1 REMAP 프레임 이후의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상기 MS(1)로 전송한다. 그 목적은 상기 MS(1)가 상기 IWF(31)로부터 상기 제 1 REMAP 프레임을 수신한 후, 가능하면 상기 REMAP 조건의 말단(end)를 확인응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MS(1)가 상기 I+S 프레임 이후에 하나의 REMAP 프레임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IWF(31)는 상기 I+S 프레임을 전송하기 이전에 하나 이상의 REMAP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부터의 고속 탈출을 보증하기 위해서, 상기 IWF(31)는 예를 들면 모든 n REMAP 프레임 이후에 추가적인 번호붙여진 I+S 프레임들을 상기 MS(1)로 전송하고, 이때 n은 1과 같거나 큰 정수이다. 만약 상기 IWF(31)가 오직 하나의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전송하고, 예를 들면 상기 MS(1)이 상기 제 1 REMAP 프레임을 수신하기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상기 MS(1)가 상기 프레임을 잃거나 폐기한다면, 상기 GSM 사양에 따라 제공된 재전송 타이머의 만료이후에 재전송이 수행되고, 이것은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부터의 탈출을 저하시킨다.
만약 상기 IWF(31)가 상기 MS(1)로 전송할 사용자 데이터가 없으면, 예를 들면 상기 MS(1)로 I+S 프레임을 전송할 실제 필요가 없으면, 상기 IWF(31)는 상기 MS(1)이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부터의 탈출을 확인응답하도록 상기 MS(1)에 빈 I+S 프레임을 전송한다. 상기 IWF가 상기 MS(1)으로부터 상기 전송된 I+S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IWF(31)는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탈출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REMAP 교환 과정이 상기 MS(1)이 DTX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소정의 계수 숫자 n이 3으로 설정된 경우,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개 시된 바와 같이 REMAP 교환 과정에 대응하는 전송도이다. 도 4에 따라, 상기 MS(1)는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 진입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REMAP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상기 IWF(31)가 제 1 REMAP 프레임을 수신한 때, 상기 IWF(31)는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MS(1)로 REMAP 확인응답 프레임(파선)을 전송한다. 상기 MS(1)가 상기 REMAP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때, 상기 MS(1)은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상기 REMAP 확인응답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IWF(31)는 상기 MS(1)로 하나의 번호붙여진 I+S 프레임(굵은 실선)을 전송한다. 상기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은 대응하는 확인응답 ACK(굵은 파선)으로 상기 RLP에 따라 확인응답된다. 상기 MS(1)로부터의 상기 ACK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WF(31)는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MS(1)에서의 DTX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IWF(31)는 상기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에 대한 ACK를 수신하고, 가능하면 빨리 상기 REMAP 동기화 상태를 벗어난다. 또한, 3개의 연속적인 REMAP 프레임들 이후에 추가적인 I+S 프레임이 상기 IWF(31)에 의해 전송됨으로써 상기 MS(1)가 상기 제 1의 번호붙여진 I+S 프레임을 잃거나 폐기하는 경우, 추가적인 ACK의 빠른 수신을 확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한 제 1 종단점은 제 2 종단점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고 확인응답과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상기 제 1 종단점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종단점이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한 때, 상기 제 1 종단점은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고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상기 제 2 종단점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기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의 수신은 번호붙여진 프레임이 항상 확인응답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종단점에서의 DTX 조건과 관계없이 상기 제 2 종단점에 의해 수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개시된 동기화 방법 및 장치는 프레임들이 통신 종단점의 소정의 조건들 또는 모드들에서 더 하위 프로토콜층들에 의해 네트워크로 향하여 전송되지 않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시된 REMAP 동기화 처리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접속 모드 변경 처리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동기화 처리가 개별적인 통신 종단점들 간에 수행되어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에 대한 상술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된다.

Claims (13)

  1.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제 1 (1) 및 제 2(31) 통신 종단점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 1 종단점(1)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종단점(1)으로부터 상기 제 2 종단점(31)으로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종단점(31)에서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2 종단점(31)으로부터 상기 제 1 종단점(1)으로 확인응답 메시지와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종단점(1)에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종단점(1)으로부터 상기 제 2 종단점(31)으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상기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종단점에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단점은 이동국(1)이고, 상기 제 2 종단점은 상호접속 유닛(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절차는 채널 코딩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코딩의 변경은 RLP에서의 TCH/F14.4와 TCH/F9.6 간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청 메시지는 RLP의 REMAP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은 RLP의 I+S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종단점 동기화 방법.
  7. 접속 모드 변경 절차 동안 통신 종단점(1)으로 동기화를 성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a) 상기 통신 종단점(1)으로부터 수신된 접속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34)과;
    b) 상기 통신 종단점(1)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32)과;
    c) 상기 검출 수단(34)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수단(32)을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수단(33)과;
    d) 상기 제어 수단(33)에 의해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로의 설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수단(32)이 확인응답 메시지와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상기 통신 종단점으로 전송하도록 되고;
    e) 상기 통신 종단점(1)으로부터의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상기 제어 수단(33)이 상기 통신 수단(32)를 제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GSM 네트워크의 상호접속 유닛(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종단점은 이동국(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 변경 절차는 RLP의 REMAP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34)은 상기 RLP의 REMAP 프레임을 검출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32)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 메시지들의 개수를 세는 계수 수단(35)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33)은 상기 계수 수단(35)이 소정의 값에 도달한 후, 상기 통신 수단(32)이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붙여진 프레임은 RLP의 I+S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달성하는 장치.
KR1020027004651A 1999-10-11 1999-10-11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0621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1999/007596 WO2001028131A1 (en) 1999-10-11 1999-10-11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943A KR20020038943A (ko) 2002-05-24
KR100621232B1 true KR100621232B1 (ko) 2006-09-13

Family

ID=816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651A KR100621232B1 (ko) 1999-10-11 1999-10-11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20176446A1 (ko)
EP (1) EP1221212B1 (ko)
JP (1) JP3694266B2 (ko)
KR (1) KR100621232B1 (ko)
CN (1) CN1172462C (ko)
AT (1) ATE288640T1 (ko)
AU (1) AU773182B2 (ko)
CA (1) CA2385914C (ko)
DE (1) DE69923611T2 (ko)
ES (1) ES2235526T3 (ko)
WO (1) WO2001028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141B (fi) 2001-08-23 2003-10-31 Nokia Corp Ei-transparentti datasiirto matkaviestinverkossa
TW550905B (en) * 2002-10-22 2003-09-01 Via Tech Inc Method of clock synchronization and medium access controller applied in wireless local network
US8964788B2 (en) 2008-06-0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503517B2 (en) * 2008-06-05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958441B2 (en) * 2008-06-05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083521B2 (en) 2008-06-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825480B2 (en) 2008-06-05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non-speech data embedded in vocoder packet
US8725502B2 (en) 2008-06-05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855100B2 (en) 2009-06-16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US8743864B2 (en) * 2009-06-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609A (en) * 1990-09-27 1996-02-20 Radish Communications Systems, Inc.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6088342A (en) * 1997-05-05 2000-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ynamic configuration of radio link protoco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FI98023C (fi) * 1995-05-09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joka käyttää säädettävää ikkunakokoa
FI101337B1 (fi) * 1995-09-25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ä datapuhelun muodostamiseksi
FI100570B (fi) * 1995-11-15 1997-12-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ynkroninen datansiirtomenetelmä ja -järjestely
FI955944A (fi) * 1995-12-11 1997-06-1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Nopeussovitusmenetelmä ja nopeussovitin
FI101332B (fi) * 1995-12-18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Epäjatkuvalähetys monikanavaisessa suurinopeuksisessa datasiirrossa
FI100567B (fi) * 1996-01-08 1997-12-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Verkkosovitin ja datansiirtomenetelmä matkaviestinverkossa
JP3698833B2 (ja) * 1996-09-20 2005-09-21 株式会社リコー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
FI103547B1 (fi) * 1996-10-18 1999-07-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nsiirtomenetelmä ja -laitteisto
CN1179534C (zh) * 1996-11-29 2004-12-08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一种电信系统、一种信道选择方法和一种无线台
US6388999B1 (en) * 1997-12-17 2002-05-14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using buffer urgency factor
US6577643B1 (en) * 1997-10-14 2003-06-10 Lucent Technologies Inc. Message and communication system in a network
US6009553A (en) * 1997-12-15 1999-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Adaptive error correction for a communications link
FR2773934B1 (fr) * 1998-01-16 2000-08-25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Procede de communication avec acquittement de reception ameliore
NO317955B1 (no) * 1998-08-07 2005-01-10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ate for forbedring av tjenesteniva-selektering i et kommunikasjonsnett-system
US8060656B2 (en) * 1998-10-09 2011-11-15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6728217B1 (en) * 1999-08-17 2004-04-27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data rate for data calls in a cellula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1963A (ja) 2003-03-25
CN1373948A (zh) 2002-10-09
WO2001028131A1 (en) 2001-04-19
JP3694266B2 (ja) 2005-09-14
US20020176446A1 (en) 2002-11-28
CN1172462C (zh) 2004-10-20
DE69923611T2 (de) 2006-04-06
CA2385914A1 (en) 2001-04-19
EP1221212B1 (en) 2005-02-02
KR20020038943A (ko) 2002-05-24
EP1221212A1 (en) 2002-07-10
AU773182B2 (en) 2004-05-20
ATE288640T1 (de) 2005-02-15
CA2385914C (en) 2004-12-07
AU6337299A (en) 2001-04-23
ES2235526T3 (es) 2005-07-01
DE69923611D1 (de)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8421B2 (en) Non-transparent data transmission in a digital telecommunications system
RU2235432C2 (ru) Протоко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на повторную передачу
EP0877513B1 (en) Dynamic configuration of radio link protoco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0809901B1 (en) Multichannel high-speed data transfer
US6704571B1 (en) Reducing data loss during cell handoffs
US6278880B1 (en) DECT/GSM external handover
US67479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ommunication tim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1558000B1 (en) Transmitter device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FI116185B (fi) Keskeytystila
KR100187823B1 (ko) Cdma 이동데이타통신 제어시스템
WO2007078173A1 (en)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H0286245A (ja) データリンクレイヤ処理方式
JP2003517800A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非トランスペアレント送信の方法
KR2008011139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향상 방법, 상태정보 보고방법 및 수신장치
JP200318936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83692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control messages and speech payload
KR100621232B1 (ko)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04052569B (zh) 切换mcs的方法和装置
US20020089942A1 (en) Communication of data
EP20514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imer and coun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634797B2 (ja) 無線リンク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FI113599B (fi) Datan uudelleenlähetys
KR20050075566A (ko) 무선 링크 제어 윈도우의 데드락 방지 방법
JP200128539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