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745B1 -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745B1
KR100620745B1 KR1020050058508A KR20050058508A KR100620745B1 KR 100620745 B1 KR100620745 B1 KR 100620745B1 KR 1020050058508 A KR1020050058508 A KR 1020050058508A KR 20050058508 A KR20050058508 A KR 20050058508A KR 100620745 B1 KR100620745 B1 KR 10062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voltage
battery output
remaining amou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5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전 배터리 잔류량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연산함으로써 정확한 배터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과 그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이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저장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등에 이용됨.
매칭 테이블, 배터리 잔류량, 평균 전압, 배터리 출력 전압, 전자 기기

Description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Apparatus displaying remains of battery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 매칭 테이블의 일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입력부(키패드) 140 : 표시부(LCD)
150 : 무선송수신부 160 : 코덱(CODEC)
170 : 음성 입력부(마이크) 180 : 음성 출력부(스피커)
190 : 변환부
본 발명은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전 배터리 잔류량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연산함으로써 정확한 배터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란 무선통신 단말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과 같이 메모리가 부착되어 있는 기기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의 메리트(merit)는 점점 사라지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음악 재생 기능은 젊은 세대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부가 기능들 중 하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에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이전에 비해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이로 인해, 미쳐 사용자가 배터리의 잔류량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차적인 목적인 통화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메뉴 바를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백분율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배터리의 전류 잔류량을 알려주어 무선통신 단말기가 방전되기 전에 미리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배터리 잔류량은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가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킨 뒤 이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을 추출하여 표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 잔류량을 추출하는 경우 전류가 적게 소모되는 대기 모드와 전류가 많이 소모되는 통화 모드에 따 라 통화 모드일 때는 배터리 잔류량이 적게 표시되었다가 통화를 종료하면 배터리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다시 배터리 잔류량이 많게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잔류량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게 하고, 또한 배터리 잔류량이 사용할수록 줄어들어야 하는데 상황에 따라 변동하는 것과 같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전 배터리 잔류량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연산함으로써 정확한 배터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과 그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이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저장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 잔류량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단계;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이 저장되어 있는 단계;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는 잔류량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한 배터리 잔류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150),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과 그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20),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190), 상기 변환부(190)가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저장부(120)가 저장하고 있는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120)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110), 상기 제어부(110)가 결정한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LCD)(140),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송수신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스피커)(180)로 출력하고, 음성 입력부(마이크)(17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여 무선송수신부(150)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60), 상기 코덱(CODEC)(16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스피커)(180),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60)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마이크)(170) 및 버튼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 및 문자메모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키패드)(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20)에는 제어부(1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의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20)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매칭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은 상기 제어부(110)가 검색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된 전압값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디지털화한 값이 "11000"인 경우,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은 "450"이 되고,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화한 값이 "00100"인 경우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은 "300"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 잔류량은 절대적인 배터리의 전류량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만약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잔류량을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경우, 막대 그래프의 높이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및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변환부(190)를 이용하여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을 이전 배터리 잔류량과 매칭된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평균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120)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여 그 결과가 표시부(LCD)(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그 값이 작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상기 평균 전압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을 검색하여 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평균 전압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표시한 후, 상기 평균 전압을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반면에, 상기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여 그 값이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전 배터리 잔류량을 계속 표시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이 이전 배터리 잔류량보다 많게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매 클럭마다 상기 변환부(190)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모드(통화 모드, 대기 모드)에 상관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 잔류량은 점점 줄어들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올바른 배터리 잔류량을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키패드)(170)는 다수의 숫자키(문자키)와 메뉴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LCD)(14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상기 입력부(키패드)(170)를 통해 입력받는 내용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LCD)(140)는 상기 제어부(110)가 검색한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 잔류량이 매칭되어 테이블(매칭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전 배터리 출력 전압(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이 저장되어 있다(310).
상기 제어부(110)는 매 클럭마다 상기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킨다(320).
이후, 상기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330)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한다(340).
상기 비교 결과(340), 상기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여 그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에서 상기 평균 전압에 해당하는 배터리 잔류량을 검색하여 이를 표시한다(350).
이후, 상기 평균 전압을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360).
한편, 상기 비교 결과(340), 상기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여 그 값이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이전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계속 표시한다(370).
따라서, 현재 배터리 잔류량이 이전 배터리 잔류량보다 많거나 같게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잔류량에 대한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현재 배터리 잔류량이 변동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전 배터리 잔류량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연산함으로써 정확한 배터리 잔류량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전자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과 그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이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저장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의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결정한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같거나 높을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평균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평균 전압이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평균 전압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6.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 잔류량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단계;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인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이 저장되어 있는 단계;
    현재 아날로그 배터리 출력 전압을 디지털 전압인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시킨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을 연산하여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배터리 잔류량을 결정하는 잔류량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한 배터리 잔류량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량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량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배터리 출력 전압과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의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평균 전압에 따른 배터리 잔류량을 현재 배터리 잔류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량 결정 단계는,
    상기 평균 전압이 상기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평균 전압을 제 2 배터리 출력 전압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서의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KR1020050058508A 2005-06-30 2005-06-30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KR10062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08A KR100620745B1 (ko) 2005-06-30 2005-06-30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08A KR100620745B1 (ko) 2005-06-30 2005-06-30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745B1 true KR100620745B1 (ko) 2006-09-06

Family

ID=3762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08A KR100620745B1 (ko) 2005-06-30 2005-06-30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7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898A (ko) * 1999-12-13 2001-07-04 홍경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898A (ko) * 1999-12-13 2001-07-04 홍경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02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tion-recognition capability and motion recognition method therefor
US9570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recognition employing multiple voice-recognition techniques
US9179093B2 (en) Remote resource access interface apparatus
CN108319657B (zh) 检测强节奏点的方法、存储介质和终端
US20100318366A1 (en) Touch Anywhere to Speak
US20050288063A1 (en) Method for initiating voice recognition mode on mobile terminal
US20090280872A1 (en) Mobile apparatus
US6437699B1 (en) Battery capacity indication circuit and indication method thereof, and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 and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the indication circuit
US20130060971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2131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luetooth data in portable terminal
US7434077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US20140133671A1 (en) Unlock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ear-micro headset in terminal
US201201008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ture of mobile terminal
JP47219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05095630A (ja) 生命徴候測定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KR100620745B1 (ko) 배터리 잔류량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KR100819242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외부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EP2116031A1 (en) Phone availability indication and motion detection
JP4405232B2 (ja) 電圧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機器
CN105072243A (zh) 来电提示方法和装置
EP1580646A2 (en) Method for protecting user data i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elephone
KR100812489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JP2006325267A (ja) 携帯端末装置
JP4293076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二次電池管理制御プログラム
KR20060093784A (ko) 통화 또는 대기 가능 시간 알림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