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339B1 -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339B1
KR100620339B1 KR1020017000804A KR20017000804A KR100620339B1 KR 100620339 B1 KR100620339 B1 KR 100620339B1 KR 1020017000804 A KR1020017000804 A KR 1020017000804A KR 20017000804 A KR20017000804 A KR 20017000804A KR 100620339 B1 KR100620339 B1 KR 10062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signal
data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995A (ko
Inventor
멘겔윌리엄헨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07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제어 정보 또는 다른 정보는 소거 구간이 없는 비디오 신호에 부가되어, 디지털 위성 수신기, 디지털 텔레비젼 컨버터/세트톱 박스 등으로부터 수신하는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기 및 외부 장치의 OSD 기능을 이용하여 디코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비소거 구간 동안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 제어 정보, 시그너처/워터마크 등을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OSD 기능은 비소거 부분에 제어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보통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의 소거 구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OSD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장치 외부의 장치는 비소거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USE OF ON-SCREEN DISPLAY(OSD) FOR SUPPLYING CONTROL AND AUXILIARY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S}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closed captioning), 확장 데이터 서비스(XDS), 수직 구간 시험 신호(VITS) 등과 같은 일정한 보조 정보는 수직 소거 구간(VBI)에 삽입된 데이터 형식으로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다. 디지털 텔레비젼 또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아날로그 수직 및 수평 소거 범위 또는 구간, 및 이러한 영역에 포함된 정보는 비디오 정보의 일부로서 전송되지 않는다.
디지털 영역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의 소거 부분에서 볼 수 있는 보조 정보는 수신된 비디오 정보와 독립하여 전송 및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DirecTVTM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 또는 직접 방송 위성(DBS) 신호는 "패킷"으로 배열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즉, 패킷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패킷화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되어 처리된다. 어떤 패킷은 비디오 정보를, 다른 패킷은 오디오 정보를, 또다른 패킷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데이터와 같은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제공한다. 각 패킷에 포함된 부가 정보는 각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낸다. 디지털 신호 수신기는 상기 패킷들을 처리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보조 정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NTSC, PAL 또는 다른 표준 등의 임의의 포맷으로 제공되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여 그 아날로그 신호를 인코더(NTSC, PAL 등) 회로에서 처리하여 생성된다. 미국에서, 디지털 신호는 NTSC 표준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되며, 이하에서 디지털 신호라는 용어는 다른 유형의 인코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디지털 신호는 또한 RGB(적, 녹, 청) 신호 또는 성분 Y, Pr, Pb 또는 Y, Cr, Cb 신호로서 출력될 수 있다.
NTSC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NTSC 인코더 회로에 의해 발생될 때, 수직 및 수평 소거 영역이 그 신호내에 생성된다. 필요한 경우, 디지털 신호의 패킷화된 데이터로서 수신된 보조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의 적절한 부분에 삽입된다. 예컨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closed caption:CC) 정보는 미국의 NTSC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바와 같이, 필드 1의 라인 21에 삽입된다. 그러한 NTSC 신호는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젼 (비디오) 신호 수신기에 결합되어 그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 수신기에 포함된 종래의 CC 디코더를 이용하여 CC 정보를 디코딩한다. 그러나, 방송망 및 디지털 수신기/디코더의 성능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에서 발생된 소거 구간에 몇몇 또는 모든 보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GB 성분 또는 유사한 출력을 갖는 비디오 수신기는 소거 구간을 가질 수 없으며, 그 결과 종래의 방법으로는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없다.
아날로그 비디오 (텔레비젼) 신호의 소거 구간에 포함된 CC, XDS 및 다른 보조 정보에 더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복사 안내 관리 시스템(Copy Guard Management System:CGMS)으로 알려진 것과 같이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GMS는 수신 장치가 프로그래밍을 레코딩 및 복사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CGMS 체계는 프로그램에 대해 가능한 4개의 다른 레코딩/복사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서 프로그램 신호에 포함되는 2 비트를 제공한다. 예컨대, 어떠한 모드는 복사를 금지한다. 다른 모드는 한번의 복사를 허락한다. 또 다른 모드는 무제한 복사를 허락한다.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에 있어서, 필요한 복사 제어 정보는 수직 소거 구간으로 수신기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코딩/데이터/정보 전송 방식도 소거 구간을 이용할 수 있다. 소거 구간없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또는 발생된 소거 구간에 상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는 인코더가 없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른 장치에 의해 검출 및 처리될 수 있는 복사 제어 정보와 같은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제공함에 문제가 있다. 비록 신호가 소거 구간을 포함할지라도, 소거 구간에 이미 포함될 수 있는 상당량의 데이터에 상당량의 제어 데이터의 부가를 요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사 제어 정보와 같은 부가 제어 정보를 포함하기 곤란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대부분의 현재 비디오 또는 텔레비젼 수신 장치는 아날로그건 디지털이건, 표시된 비디오 이미지에 나타나며 사용자에게 채널 번호, 시간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Screen Display:OSD)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통상의 OSD 발생기는 각 화소의 컬러 및/또는 팔레트를 조작하고 또한 그 화소의 온 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OSD는 원하는 그래픽 또는 문자(character) 디스플레이 정보를 발생시키고 적절한 시간에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 신호에 삽입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원하는 영역에 OSD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문자 발생기 ROM을 액세스함)를 포함한다. 정확한 시간에 OSD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서, 비디오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시스템은 라인 당 화소(수평 디스플레이 위치) 및 라인 구간(수직 디스플레이 위치)을 판정함으로써 현재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라인 카운트 및 화소 카운트가, OSD 정보가 삽입될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OSD 정보를 출력 신호에 결합하기 위해 고속 스위치를 제어한다.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것은 소거 구간이 없는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것은 소거 구간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없는 시스템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귀선 소거 구간이 없는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또는 소거 구간에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없는 시스템에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전술된 문제점은 신호의 비소거 부분 예컨대, 유효 디스플레이 구간 동안 제어 정보 또는 시그너처 또는 워터마크와 같은 다른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상주의 OSD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OSD 시스템은, 비디오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서 예컨대,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OSD 시스템은 통상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의 소거 구간에 포함된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신호의 비소거 부분 내에 반영 또는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RGB 신호로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OSD는 화소를 조작함으로써 신호의 원하는 비소거 부분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의 부분 동안 원하는 제어 또는 보조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시각적 표시를 삽입한다. 이 후, OSD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의 외부 장치 예컨대, 디지털 수신기의 출력에 연결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VCR 또는 디지털 수신기의 출력에 연결된 다른 레코딩/재생 장치는 비소거 영역의 원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여 필요한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그 획득된 정보는 외부 장치에서 작용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 의해 작용된다.
어떤 시스템에 대해서, OSD는 소거 영역 내의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시스템에 의한 디코딩을 제공하기 위해 비소거 영역의 보조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 OSD는 통상 소거 영역에서 발견되는 정보를 유사한 포맷으로 비소거 영역으로 발생시키거나 복사할 수 있다. 또한, OSD의 채도 및 휘도 기능은 OSD가 개개의 화소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조작 기능을 더 확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비소거 영역에 OSD에 의해 삽입된 정보는 바람직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를 생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OSD는 오버스캔 영역에 있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동안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정보량이 매우 제한되거나 정적, 예컨대 2비트의 복사 제어 정보(CGMS)라면, 그러한 보조 또는 제어 정보는 바람직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생성물을 유발하지 않고 가시 디스플레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비디오 수신기의 구현된 OSD는 소거 영역 내의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실용적이지 않거나 요구되지 않을 때 외부 장치에 의한 디코딩을 위해서, 통상 비디오 정보와 함께 전달된 모든 다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소거 영역에 있는 제어 및/또는 보조 정보를 유사한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의 비소거 부분에 발생시키거나 에뮬레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소거 영역 내의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거나 요구되지 않을 때 외부 장치에 의한 디코딩을 위해 비디오의 비소거 부분에 복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특징, 다른 특징 및 이점과 그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반되는 도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명확하게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의 디지털 비디오 수신기의 출력에 결합될 수 있는 외부 장치 또는 모듈의 블록도.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제시된 예는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증하며, 그러한 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파악되어서는 안된다.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통상으로 지정된 비디오 수신기(10)의 간략한 기능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수신기(10)는 입력(12)을 통해 무선 주파수(RF)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DBS 수신기, 컨버터/세트톱 박스 등과 같은 모든 유형의 비디오 신호 수신기이다. 입력 신호의 소스는 위성, 케이블 시스템, 오버 디 에어(over-the-air) 또는 다른 방법을 경유할 수 있고, 제어 정보, 시그너처 정보, XDS, C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수신기(10)는 입력(12)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RF 튜너/복조기/링크 (16)를 구비하는데, 그 RF 튜너/복조기/링크(16)는 수신 디지털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 또는 채널을 수신하는 회로 및 선택하는 회로, 그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는 회로,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FEC) 디코딩 회로 및 그 디코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RF 튜너/복조기/링크(16)는 RF 튜너/복조기/링크(16)로부터 수신된 오류 정정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1 단계를 제공하는 전송부(18)와 통신한다. 실제로는, 이러한 디코딩하는 제1 단계는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정보는 오디오 디코더에서, 비디오 데이터/정보는 비디오 디코더에서 처리하도록 그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수신기(10) 내의 적절한 수신지(destination device)로 경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디오의 경우에 있어서, 전송부(18)는 비디오 정보를 비디오 디코더(22), 통상 MPEG 비디오 디코더로 전송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22)는 MPEG 압축된 데이터를 디코딩 및 처리하는 실시간 비디오 압축 해제 처리기이다. MPEG 비디오 디코더(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20) 및 필요한 디코딩 및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20)는 RAM 및/또는 ROM과 통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들어오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데 필요한 수신기(10) 내의 도시되지 않은 모듈 또는 장치는 물론 다른 도시된 모듈 또는 장치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EG 비디오 디코더(22)는 구성 요소로서 OSD 발생기(24)를 포함한다. 그러나, OSD 발생기는 MPEG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SD 발생기(24)는 비디오 디코딩이 계속되는 동안에 동시에, 각 화소의 컬러 및 팔레트를 조작하고 또한 그 화소의 온 오프를 제어하여, 귀선 소거(blainking)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임의의 부분에 그러한 화소를 오버레이할 수 있는 비트맵 기능을 제공한다. 팔레트 레지스터에는 임의의 컬러 또는 투명한 화소를 나타내는 값이 선택되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데이터, 시그너처 및 유사한 정보(총괄하여 제어 정보)를 OSD(24)에 제공하여, 이들이 OSD 데이터/정보로서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도록 한다. CGMS 정보와 같은 수신기(10)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정보는 비소거 구간 동안 OSD 신호로서 비디오 신호내에 삽입될 수 있다. 들어오는 신호에 데이터 또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서 수신기(10)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또는 정보나, 수신기(10)에 의해 처리될 수 없는 데이터 또는 정보는 내부적으로 발생된(에뮬레이트된) OSD 데이터/정보로서 비디오 신호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OSD 신호로서 전달된 임의의 데이터/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외부 장치)상에 표시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표시될지라도, 이러한 정보가 오버스캔 영역에 존재하거나, 디스플레이 일부 또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도처에 쉽게 눈으로 분간될 수 없는 여러 개별 화소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MPEG 비디오 디코더(2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동기 신호가 없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전환하는 비디오 D/A(digital to analog) 컨버터(26)와 통신한다. 동기 신호는 수신기(10) 내에서 발생되어 비디오 신호로부터 별개의 신호로서 출력된다. 비디오 D/A 컨버터(26)는 MPEG 비디오 디코더(22)로부터의 Y, Cr 및 Cb 비디오 신호를 Y, Pr 및 Pb 비디오 신호로 전환하는 3개의 D/A 컨버터를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Y, Pr 및 Pb 신호는 RGB (비디오)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 알려진 바와 같이 매트릭스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는 또한 임의의 OSD 데이터/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비디오 D/A 컨버터(26)는 수신기(10)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정보의 아날로그 비디오 표현을 제공하고, 임의의 코딩된, 에뮬레이트된 또는 삽입된(imbedded) 데이터/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의 OSD 데이터/정보를 제공하는 출력(14)을 갖는다.
비디오 수신기의 OSD는, 실시간 비디오 처리 동안 장치 제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외부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OSD 데이터 또는 정보를 독립하여 처리하는 외부 장치에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도 2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하는, 물론 수신기(10)로부터 분리된 VCR 또는 다른 레코딩/재생 장치, 텔레비젼/모니터 등으로 통합될 수 있는 외부 장치 또는 모듈(30)을 도시한다. 외부 장치(30)는 검출기(38)로 공급되는 비디오 입력(32)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검출기(38)는 Y, Pr 및 Pb 또는 RGB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각 화소의 채도 및 휘도 값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데 적용되며, 본질적으로 이들 신호와 함께 포함된 OSD 데이터/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외부 장치(30)는 분리된 신호로서 수신기(10)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 신호 입력(34)을 포함한다. 비디오 동기 신호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카운터 및/또는 타이밍 회로(40)는 팔레트, 컬러, 온/오프 등과 같은 특성 또는 값이 할당된 디스플레이(또는 어떤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비트맵 영역)상의 임의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의해, 임의의 각 화소, 화소 라인, 화소 그룹, 화소 패턴 등은 수신기(10)의 OSD(24)에 의해 주어진 특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통상 RAM 및 ROM과 통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4)는 검출기(38) 및 카운터/타이머(40)와 통신하여, OSD 데이터/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처리한다.
검출기(38), 마이크로프로세서(44) 및 카운터/타이머(40)는 출력(36)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카운터/타이머 출력, 통상 논리 또는 전압 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 신호(예컨대, 위치 또는 위치 그룹에 존재하는 채도 및 휘도 값)의 게이팅을 제공하는 출력 게이트(42)와 통신한다. OSD 데이터/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는 임의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목적은 비디오 동안 몇몇 지점 또는 지점들에 있는 여러 화소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외부 장치(30)를 포함하는 VCR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ROM에 미리 저장될 수 있는 워터마크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목적은 예컨대, 다른 장치의 복사, 레코딩 또는 다른 기능을 제한 또는 금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 또는 방식의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출력 신호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신호 소스에 있는 브로드캐스터는 본 발명에 의해 검출 및 이용될 수 있는 비디오 신호의 비소거 부분내에 데이터/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설계를 갖는 것처럼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공시의 정신 및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더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출원은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개조에 대한 모든 변화 및 용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이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고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 또는 통례의 실행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본 공시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1)

  1. 비디오 이외의(non-video)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OSD 데이터로서 포맷된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OSD 데이터로서 포맷된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한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데이터는 비소거 부분 동안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에 삽입되는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인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소거 구간에 포함된 정보인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는 비디오 수신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데이터는 오버스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수신기는 동기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것인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 수신 방법.
  9.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를 포맷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 신호를 OSD 발생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 신호를 OSD 데이터로서 포맷하는 단계와;
    상기 OSD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OSD 데이터로서 포맷된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이외의 보조 데이터 포맷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17000804A 1998-07-22 1999-07-15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 KR100620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69998P 1998-07-22 1998-07-22
US60/093,699 1998-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995A KR20010070995A (ko) 2001-07-28
KR100620339B1 true KR100620339B1 (ko) 2006-09-13

Family

ID=2224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804A KR100620339B1 (ko) 1998-07-22 1999-07-15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99342B1 (ko)
JP (1) JP2002521923A (ko)
KR (1) KR100620339B1 (ko)
CN (1) CN1183754C (ko)
AU (1) AU5215499A (ko)
DE (1) DE69908368T2 (ko)
MX (1) MXPA01000705A (ko)
WO (1) WO2000005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311B2 (en) * 2002-09-09 2008-12-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cluding non-graphic data in an analog video output signal of a set-top box
CN100463591C (zh) * 2004-11-06 2009-0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屏幕显示单元及附加功能集成的外壳的显示装置
WO2006054639A1 (ja) * 2004-11-19 2006-05-26 Pioneer Corporation 情報多重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148958B (zh) * 2010-02-08 2016-04-20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在模拟视频数据中嵌入监控附加信息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480B2 (ja) * 1996-11-19 2004-05-17 ソニー株式会社 Epg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61706B1 (ko) * 1996-12-17 2000-07-15 가나이 쓰도무 디지탈방송신호의 수신장치와 수신 및 기록재생장치
GB9626574D0 (en) * 1996-12-20 1997-02-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of consumer record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215499A (en) 2000-02-14
DE69908368D1 (de) 2003-07-03
DE69908368T2 (de) 2003-11-27
CN1183754C (zh) 2005-01-05
WO2000005881A1 (en) 2000-02-03
CN1310918A (zh) 2001-08-29
MXPA01000705A (es) 2002-04-08
EP1099342B1 (en) 2003-05-28
EP1099342A1 (en) 2001-05-16
JP2002521923A (ja) 2002-07-16
KR20010070995A (ko) 200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8838B2 (ja) サブタイトル送信システム
KR100545111B1 (ko) 데이타전송및수신장치및시스템,데이타전송방법,및데이타수신장치의파라미터설정방법
KR100677176B1 (ko) 비디오 신호 전송
US4408225A (en) Subscription television decoder
US6798460B2 (en) High definition display unit and high definition display method
US4336554A (en) Code signal blanking apparatus
US8150097B2 (en) Concealed metadata transmission system
KR100620339B1 (ko) 외부 장치에 제어 및 보조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법
US7289158B2 (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receiver apparatus
JP2002507865A (ja) Vbi情報映像補正装置
KR100657774B1 (ko) 프로그램 수신장치 및 프로그램 설명 화면의 표시처리방법
KR100308298B1 (ko)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5452008A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KR100841143B1 (ko)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0411773B1 (ko) 기록보호비디오신호수신장치
KR100551346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시간 정보 처리 방법
Tanton et al. DVB Subtitling in an open environment
JP3768130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3160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9990067826A (ko) 텔레비젼 수상기
KR19980028143A (ko) 위성방송수신이 가능한 텔레비전의 화면비 자동절환장치
KR960038870A (ko) 브이씨알의 팔플러스신호 인터페이스회로
KR20150100281A (ko) 분할된 영상에서 클로스드 자막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S6059887A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