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109B1 -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 Google Patents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109B1
KR100620109B1 KR1020040015600A KR20040015600A KR100620109B1 KR 100620109 B1 KR100620109 B1 KR 100620109B1 KR 1020040015600 A KR1020040015600 A KR 1020040015600A KR 20040015600 A KR20040015600 A KR 20040015600A KR 100620109 B1 KR100620109 B1 KR 10062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enyl
chloro
smooth muscl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260A (ko
Inventor
유충규
정광회
홍성유
강수정
장양수
최익화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버드
유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버드, 유충규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버드
Priority to KR102004001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1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82Special shape
    • E06B2009/2488Curved peri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5-arylamino-6-chloro-2-substituted-4,7-benzimidazoledione 유도체 및 그것의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및 혈관 재흡착 방지 등에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 적용 {A novel compound and use as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thereof}
도 1은 풍선 손상 후 4주후의 경동맥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 (a)음성대조군, (b)약물투여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신규한 5-arylamino-6-chloro-2-substituted-4,7-benzimidazoledione 유도체 및 그것의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및 혈관 재흡착 방지 등에의 응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활근 세포(smooth muscle cell) 증식 억제 작용 및 혈관재흡착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동맥경화 및 혈관재협착증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다음 일반식 (I)의 5-arylamino-6- chloro-2-substituted-4,7-benzimidazoledione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28235493-pat00009
상기식에서,X는 NH 혹은 S이고, Y는 phenyl 혹은 methyl을 나타내며, R1, R2,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H) 원자, 플로로(F), 클로로(Cl), 브롬(Br), 알코시(alkoxy), 니트로(NO2), trifluoromethyl(CF3), 알킬(alkyl)을 나타낸다.
20세기 초기에는 심장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원인의 10% 미만을 차지했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선진국에서는 약 50%, 개발 도상국에서는 약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심혈관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동맥경화증은 흡연, 당뇨병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혈관이 손상을 받거나 혈관내피 세포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발생하게 되는데, 동맥경화반의 생성과 이로 인한 혈전의 생성은 각 장기로의 원활한 혈액 공급을 저해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동맥경화성 혈관 병변의 치료 목적으로 풍선도자 확장술이나 스탠트 삽입술과 같은 내과적 혈관확장술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시술 후 약 30%에 이르는 혈관재협착증이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Pharmacol, Ther. 2001, 92, 165-178).
동맥경화 진행과 스탠트 삽입술 후에 발생하는 혈관 재협착증은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 이동 그리고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등에 기인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Circulation, 1997, 95, 1998-2002, J Clin. Invest. 1997, 99, 2814-2816, Cardiovasc. Res. 2002, 54, 499-502). 동맥경화의 진행과 혈관 재협착의 방지를 위해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몇 가지 약물이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J Am Coll Cardiol., 2002, 39, 183-193).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의 경우 그 효과가 완벽하지 못해 여전히 우수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 억제 기능을 가진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맥경화와 혈관재협착의 원인이 되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28235493-pat00010
[화학식 1]
상기 식에서,X는 NH 혹은 S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R2,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H) 원자, 플로로(F), 클로로(Cl), 브롬(Br), 요오드(I), 알콕시(alkoxy), 니트로(NO2), 트리후루르메틸(CF3), 알킬(alkyl)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동맥경화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을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 원자이고, R 3는 할로겐원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R3가 요오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을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 원자이고, R3는 트리후루르메틸(CF 3)인 것도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Kg 체중 당 1-100μg이 바람직하고, 5- 50 μg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25 μg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간단히 설명한다.
동맥경화와 혈관재협착의 원인이 되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억제제의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질을 합성하여 효능을 탐색한 결과 5-arylamino-6-chloro-2-substituted-4,7-benzimidazoledione유도체가 우수한 효능을 보여 주었다.
이에 본 발명은 5-arylamino-6-chloro-2-substituted-4,7-
benzimidazoledione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혈관평활근세포 (smooth muscle cell) 증식 억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4,7-benzimidazoledione 유도체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특정한 신규의 4,7-benzimidazoledione 유도체가 강력한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억제효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Figure 112004009633638-pat00003
개략도1. 5-Ar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s (6a-6k)의 일반적 합성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 (I)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이 표 1 및 표2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5-Ar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s (6a-6k)의 일반적 합성
(1) 2,3-Dinitro-1,4-dimethoxybenzene (2)의 합성
물질 2는 문헌1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1,4-Dimethoxybenzene (1, Aldrich에서 구입 ) 20 g (145 mmole)을 CH3COOH 50 mL 에 녹인 후 c-HNO3 50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격렬한 반응 후 c-HNO3 50 mL를 더 가하여 70-8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붉은 색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반응시켰다. 냉각시킨 후 500 mL의 증류수로 희석시킨 후 침전을 여과하였다. 노란색의 2,3-dinitro-1,4-dimethoxybenzene 2를 얻었다. 수득률은 80%, m.p는 160-162℃이었다. (King, F. E., Clark, N. G., Davis, P. M. H. (1949) J. Am. Chem. Soc., 71 , 3012 . m.p 156- 160℃)
(2) 2,3-Diamino-1,4-dimethoxybenzene hydrochloride (3)의 합성
물질 3은 문헌2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물질 2 22.8 g (100 mmole)을 EtOH 125 mL에 용해시킨 후 platinum oxide 0.5 g 을 촉매로 넣고 3기압에서 3시간 동안 Parr Hydrogenator를 이용해서 수소 환원시켰다. 촉매를 여과한 후 여액에 c-HCl을 적가하여 강한 산성으로 만들어 염 3을 생성시켰다. 수득률은 60% 이었다. 생성된 염을 여과하여 얻은 후 증류수에 용해시켜 용액을 NaOH 로 염기성으로 만든 후 CHCl3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petroleum ether로 결정화하였다. 수득률은 78%, m.p는 84-85℃이었다(Weinberger, L., Allan R. D. (1959) J. Org. Chem., 24, 1451. m.p 85-87℃)
(3) 2-Methyl-4.7-dimethoxybenzimidazole (4)의 합성
물질 4는 문헌2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물질 3의 3 g (17.8 mmole)에 CH3COOH 30 mL를 가하여 9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였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NH4OH로 중화시켜 염기성으로 만들어 연한 갈색의 침전을 얻은 후 EtOH으로 재결정하였다. 수득률은 78%, mp는 207-208℃였다. (Weinberger, L., Allan R. D. (1959) J. Org. Chem., 24, 1451 .mp 224-226℃)
(4) 5,6-Di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5)의 합성
물질 4 0.384 g (2 mmole)를 c-HCl 6 mL에 녹인 후 80-90℃에서 c-HNO3 1 mL를 15분간 점적하며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냉각 후 노란색의 침전을 여과한 후 EtOH로 재결정하였다. Yellow powder (323mg, 70%). m.p: 294-295℃. IR (KBr) : ν 3529 (s, NH), 2374 (w), 1703 (s, C=O), 1544-1688, 1100 (s) cm-1. 1H-NMR (DMSO-d6): δ 2.5 (s, 3H, H10). MS (m/z): 230 (M+), 167, 67, 76
(5) 5-Ar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s (6a-6k)의 일반적 합성
물질 5 100 mg (0.43 mmol)을 100 mL의 EtOH에 용해시키고 CeCl3·7H2O를 50 mg 가해 교반 후 당량에 해당하는 각각의 arylamine을 가하고 환류 냉각 또는 상온에서 4-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LC를 이용했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MeOH, CHCl3 혼합 용매로 재결정하거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했다. 합성한 물질 6a-6k의 구조는 표 1에 나타냈다.
[표 1] 5-Ar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의 구조 및 특성
Figure 112004009633638-pat00004
화합물 R1 R2 R3 혈관 평활근 세포에 대한 IC50 (μM) 혈관 내피세포에 대한 IC50 (μM)
6a H H I 1.0 1.0
6b H H CH3 0.8 1.2
6c H Br H 1.0 10.0
6d Cl Cl H 0.6 0.7
6e H F H 1.3 1.2
6f F H H 0.8 1.0
6g F H F 1.2 1.0
6h H F F 1.7 1.2
6i H Cl H 0.9 0.7
6j F F F 1.1 1.0
6k H H CF3 0.6 0.7
5-(4-Iod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a : dark purple powder (88 mg, 49%). m.p: 306-608 ℃. IR (KBr) : ν 3500 (w, NH), 2366 (s), 2343(s), 1688 (s, C=O), 1511-1655, 1125(m), 897(m) cm-1. 1H-NMR (DMSO-d 6): δ 13.6 (s, 1H, NH), 9.2 (s, 1H, NH), 7.1-7.3 (dd, J= 1.6, 8 Hz, 4H), 2.4 (s, 3H, H10). MS (m/z): 413 (M+).
5-(4-Methyl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b: dark red powder (60 mg, 46%). m.p: 215-216 ℃. IR (KBr) : ν 3240 (m, NH), 2367 (s), 1703 (s, C=O), 1510-1655, 1212(m) cm-1. 1H-NMR (DMSO-d 6): δ 9.4 (s, 1H, NH), 7.0-7.1 (dd, J= 2, 8 Hz, 4H), 2.5(s, 3H, H10), 2.3 (s, 3H, CH3). MS (m/z): 288 (M+)
5-(3-Brom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c: violet powder (73 mg, 46%). m.p: 282-293 ℃. IR (KBr) : ν 3278 (s, NH), 3008 (w), 1692 (s, C=O), 1432-1556, 781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1 (s, 1H, NH), 7.0-7.2 (m, 4H), 2.4 (s, 3H, H10). MS (m/z): 367 (M+)
5-(2,3-Dichl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d: dark violet powder (45 mg, 30%). m.p: 282-285 ℃. IR (KBr) : ν 3320 (m, NH), 2365 (m), 1686 (s, C=O), 1505-1657, 1128 (m), 918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2 (s, 1H, NH), 7.5 (d, J= 8.4 Hz, 1H), 7.3 (d, J= 2.4 Hz, 1H, benzene), 7.0 (dd, 1H, J = 2.4, 8.8 Hz, 1H), 2.3 (s, 3H, H10). MS (m/z): 355 (M+)
5-(3-Flu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e: dark purple powder (72 mg, 40%). m.p: 252-255 ℃. IR (KBr) : ν 3317 (m, NH), 1685 (s, C=O), 1500-1637, 1128 (m), 841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2 (s, 1H, NH), 7.1-7.2 (d, 4H), 2.3 (s, 3H, H10). MS (m/z): 413 (M+)
5-(2-Flu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f: dark purple needle (24 mg, 18%). m.p: 274-275 ℃. IR (KBr) : ν 3320 (m, NH), 1690 (s, C=O), 1510-1620, 1127 (m), 759 (s) cm-1. 1H-NMR (DMSO-d 6 ): δ 14.6 (s, 1H, NH), 9.0 (s, 1H, NH), 7.1-7.3 (m, 4H), 2.4 (s, 3H, H10). MS (m/z): 305 (M+)
5-(2,4-Diflu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g: dark violet needle (56 mg, 40%). m.p: 261-263 ℃. IR (KBr) : ν 3200 (m, NH), 1690 (s, C=O), 1515-1620, 1098 (m), 960 (s)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0 (s, 1H, NH), 7.0-7.3 (m, 4H, benzene), 2.4 (s, 3H, H10). MS (m/z): 323 (M+)
5-(3,4-Diflu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h: dark violet powder (66 mg, 47%). m.p: 278-279 ℃. IR (KBr) : ν 3319 (s, NH), 2959 (w), 1692 (s, C=O), 1438-1604, 1201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2 (s, 1H, NH), 7.3 (q, 1H), 7.1 (t, 1H), 6.9 (d, 1H), 2.4 (s, 3H, H10). MS (m/z): 323 (M+)
5-(3-Chl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i: violet powder (56 mg, 40%). m.p: 286-289 ℃. IR (KBr) : ν 3291 (m, NH), 2991 (w), 1692 (s, C=O), 1432-1660, 1124 (m) cm-1. 1H-NMR (DMSO-d 6 ): δ 14.6 (s, 1H, NH), 9.1 (s, 1H, NH), 7.3 (t, J= 1.6, 8 Hz, 1H), 7.0 (dd, J= 2, 8.4 Hz, 3H), 2.4 (s, 3H, H10). MS (m/z): 321 (M+)
5-(2,3,4-Trifluoro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j: dark violet flake (58 mg, 39%). m.p: 238-240 ℃. IR (KBr) : ν 3306 (s, NH), 3108 (w), 1692 (s, C=O), 1464-1636, 1248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0 (s, 1H, NH), 7.3 (q, 1H), 7.1 (d, 1H), 2.4 (s, 3H, H10). MS (m/z): 341 (M+),
5-(4-Trifluoromethylphenylamin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 6k: violet powder (21 mg, 13%). m.p: 245-248 ℃. IR (KBr) : ν 3271 (m, NH), 3008 (w), 1693 (s, C=O), 1411-1577, 1123 (m) cm-1. 1H-NMR (DMSO-d 6 ): δ 13.6 (s, 1H, NH), 9.0 (s, 1H, NH), 7.1-7.6 (m, 4H), 2.4 (s, 3H, H10). MS (m/z): 367 (M+)
Figure 112004009633638-pat00005
개략도 2: 5-Arylthi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s 의 일반적 합성
실시예2: 5-Arylthi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s 합성
(1) 2-Phenyl-4.7-dimethoxybenzimidazole (7)의 합성
상기 개략도2의 물질 3의 1.5 g (17.8 mmole)에 bnezaldeyde 0.475 mL를 가하여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다시 3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였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NH4OH로 중화시켜 염기성으로 만들어 연한 갈색의 침전을 얻은 후 EtOH으로 재결정하였다. White needle (960mg, 45%). m.p.: 225-228℃. 1H-NMR (DMSO- d 6 ): δ 12.98 (s, 1H, NH), 8.25 (d, 2H), 7.48 (t, 3H), 6.65 (d, 2H, benzimidazole). MS (m/z): 254(M+)
(2) 5,6-Di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 (8)의 합성
상기 개략도2의 물질 7 0.1g (0.394 mmole)를 c-HCl 6 mL에 녹인 후 80-90℃에서 c-HNO3 2 mL를 15분간 점적하며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냉각 후 노란색의 침전을 여과한 후 EtOH로 재결정하였다. Red crystal (80mg, 70%). m.p: 329-331℃. IR (KBr) :1. 1H-NMR (DMSO-d6): δ 8.18 (d, 2H), 7.54 (t, 3H). MS (m/z): 293(M+ )
(3) 5-Arylthio-6-chloro-2-methyl-4,7-benzimidazolediones (9a-9c)의 일반적 합성
상기 개략도2의 물질8 100 mg (0.342 mmol)을 100 mL의 EtOH에 용해시키고 CeCl3·7H2O를 50 mg 가해 교반 후 당량에 해당하는 각각의 arylthiol을 가하고 환류 냉각 또는 상온에서 4-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LC를 이용했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MeOH, CHCl3 혼합 용매로 재결정하거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했다. 합성한 물질 9a-9c의 구조는 표 2에 나타냈다.
5-(4-Methoxyphenylthi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 9a: violet powder (18 mg, 15%). m.p: 222-225℃. 1H-NMR (DMSO-d 6 ): δ 14.2 (s, 1H, NH), 8.1 (d, 2H), 7.5 (t, 3H), 7.3 (d, 2H, thiol), 6.9 (d, 2H), 3.7 (s, 3H). MS (m/z): 396(M+)
5-(4-Methylphenylthi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 9b: dark violet powder (18 mg, 15%). m.p: 266-271 ℃. 1H-NMR (DMSO-d 6 ): δ 14.2 (s, 1H, NH), 8.1 (d, 2H), 7.5 (t, 3H), 7.3 (d, 2H), 7.1 (d, 2H), 2.3 (s, 3H). MS (m/z): 380(M+)
5-(3-Methylphenylthi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 9c: dark violet powder (18 mg, 15%). m.p: 202-205℃. 1H-NMR (DMSO-d 6 ): δ 14.2 (s, 1H, NH), 8.0 (d, 2H), 7.5 (t, 3H), 7.2 (d, 2H), 7.1 (d, 2H), 2.3 (s, 3H). MS (m/z): 380(M+)
[표 2] 5-Arylamino-6-chloro-2-phenyl-4,7-benzimidazoledione들의 구조 및 특성
Figure 112004009633638-pat00006
화합물 R1 R2 R3 혈관 평활근 세포에 대한 IC50 μM
9a H H CH3O 1.5
9b H H CH3 1.0
9c H CH3 H 2.0
실험예1: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 활성 측정
혈관 평활근세포 (Smooth muscle cell, SMC)을 10% FBS의 Dul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100㎕에 5×103cells/wel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24시간 동안 37℃, 10% CO2 환경 하에 배양시켜 cell 이 잘 부착 되도록 한 뒤 0.2% 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 100㎕로 배지를 교체하여 혈청고갈상태를 72시간동안 지속시킨 후 5ng/ml농도의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가 첨가된 5% FBS DMEM 100㎕로 배지를 교환한 뒤 DMSO에 녹아있는 실시예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일정농도별로 넣어주었다. 이 때, 배지내의 최종 DMSO 의 농도는 1%가 되도록 맞추어주었다. 48시간동안 drug과 함께 배양시킨 뒤 5% FBS DMEM 의 배지로 교환 하고 세포증식 활성 조사를 위해 premix WST-1을 well당 10㎕ 첨가하여 2시간동안 배양시켰다.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파장에서 optical density(O.D) 값을 얻어 실시예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O.D값을 비교해 생존세포 활성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예2: 혈관 내피 세포 증식 억제 활성 측정
혈관 내피 세포 (HUVEC)을 20% FBS, 25mM HEPES, 10unit/ml heparin, 100 units/ml penicillin, 100mg/ml streptomycin and 20ng/ml bFGF을 포함한 DMEM 100 ㎕에 5x103cells/well의 농도로 젤라틴이 코팅된 96-well plate에 접종한였다. 24시간 동안 37℃, 10% CO2 환경 하에 배양시켜 cell 이 잘 부착 되도록 한 뒤 5 % FBS, 25mM HEPES, 10unit/ml heparin, 100 units/ml penicillin, 100mg/ml streptomycin and 20ng/ml이 포함된 DMEM 100㎕로 배지를 교체한 후 DMSO에 녹아있는 실시예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일정농도별로 넣어주었다. 이 때, 배지내의 최종 DMSO의 농도는 1%가 되도록 맞추어주었다. 48시간동안 drug과 함께 배양시킨 뒤 5% FBS DMEM 의 배지로 교환 하고 세포증식 활성 조사를 위해 premix WST-1을 well당 10㎕ 첨가하여 2시간동안 incubation시켰다.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파장에서 optical density(O.D) 값을 얻어 실시예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O.D값을 비교해 생존세포 활성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예3: 인 비보 테스트
1) 경동맥 풍선손상에 의한 혈관 재협착 모델 정립실험
체중 350±10g 수컷 Sprague-Dawley 흰쥐의 경동맥 풍선 손상방법으로 혈관 재협착 모델 정립실험을 실시하였다.Ketamine(70㎎/㎏)과 Xylazine hydrochloride을 1:1로 혼합하여 복강 내로 투여하여 흰쥐를 마취한 후 경부 중앙 절개법으로 접근하여 좌측 총경동맥과 내경동맥 및 외경동맥의 분지부를 노출시켰다. 좌총경동맥 근위부와 내경동맥의 기시부를 수술사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결찰하여 혈류를 차단 한 뒤 외경동맥의 전벽을 일부 절개하여 2F Fogarty 풍선도자(Baxter Healthcare Corp.)를 삽입한 후 좌총경동맥의 결찰을 풀고 상행대동맥 방향으로 전 진시켰다. 대동맥궁의 총경동맥 기시부에서 약간의 저항을 느낄 정도로 풍선도자를 팽만 시킨 뒤 잡아당겨서 좌총경동맥 전체에 일정한 손상을 유발시키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혈관 내피를 완전히 제거한 후 Fogarty 풍선도자를 제거하였다. 외경동맥을 수술사로 영구 결찰한 뒤, 총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일시 결찰을 풀고, 혈류를 재관류시켜 혈액이 총경동맥에서 내경동맥으로 관류하는 것을 확인한 후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2) 약물 투여
흰쥐의 풍선손상 시술로 혈관 내피를 제거한 후 사용된 풍선부위를 절개하여 개방된 동일한 풍선도자에 3-way valve로 연결된 1ml 주사기를 이용 0.1ml/min의 속도로 약물 (100 uM) 또는 음성대조군인 생리식염수를 0.2ml 부피로 주입하고 약물 주입용 도자를 제거하였다. 다음 외경동맥을 수술사로 영구 결찰한 뒤, 총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일시 결찰을 풀고, 혈류를 재관류시켜 혈액이 총경동맥에서 내경동맥으로 관류하는 것을 확인한 후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3) 관류고정(Perfusion fixation)
흰쥐의 경동맥 손상 후 4주 뒤에 ketamine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마취 시킨 후 양측 경정맥을 절개한 후 대동맥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를 관류시켜 혈관계를 세척한 후 즉시 대동맥을 통하여 10% 포르말린을 관류시켜 압력고정(pressure-fixation)을 시행하였다. (Wilensky RL외, circulation 92: 2995-3005, 1995) 손상받은 좌총경동맥과 손상받지 않은 우총경동맥을 각각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12시간 고정시킨 후 이를 파라핀에 포매 시켰다. 손상부위 중 가장 증식이 많이 된 부위를 선택하여 50㎛ 간격으로 3㎛ 두께로 절편을 만들었고, 우총경동맥은 대조군으로 준비한다. 각 조직은 hematoxyline-eosin 염색법으로 엽색하여 형태를 관찰하여 혈관 중막(media)과 신생내막(neointima)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4) 결과
약물 투여군과 음성대조군의 혈관을 비교해본 결과 음성대조군(그림 b)에 비해 약물 투여군에서는 신생내막 증가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는 약물이 혈관재협착(그림 a)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혈관재협착의 주원인이 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혈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동맥경화성 혈관 병변의 치료를 위해 풍선도자 확장술이나 스탠트 삽입술과 같은 내과적 혈관확장술을 시행한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혈관재협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표1에 기재한 6a, 6k 화합물은 다른 화합물들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지니고 있어 혈관재협착 억제에 가장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화합물.
    Figure 112006028235493-pat00011
    상기 식에서, X는 NH 혹은 S이고, Y는 페닐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1, R2,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H) 원자, 플로로(F), 클로로(Cl), 브롬(Br), 메톡시(methoxy), 트리플루오로메틸(CF3), 메틸(methyl)을 나타낸다.
  2.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
  3. 삭제
  4.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제.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을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 원자이고, R3는 할 로겐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
  6.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 원자이고, R3는 할로겐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원자이고, R 3는 요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원자이고, R 3는 요오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제.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원자이고, R3는 트리후루르메틸(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
  10.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X는 NH이고, Y는 페닐(phenyl) 혹은 메틸(methyl)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수소(H)원자이고, R3는 트리후루르메틸(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방지제.
KR1020040015600A 2004-03-08 2004-03-08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KR10062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00A KR100620109B1 (ko) 2004-03-08 2004-03-08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00A KR100620109B1 (ko) 2004-03-08 2004-03-08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60A KR20050090260A (ko) 2005-09-13
KR100620109B1 true KR100620109B1 (ko) 2006-09-12

Family

ID=3727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00A KR100620109B1 (ko) 2004-03-08 2004-03-08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69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엠디바이오랩 트랜스글루타미나제-2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60A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33092A1 (en) Chroman derivatives
TW200617001A (en) Novel glucitol derivative, its prodrug, their salt and diabetic therapeutic agent containing the same
EA035576B1 (ru) Производное на основе 1,2-нафтохино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130072166A (ko) 6―아미노피리딘―3―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05053609A2 (en) Methods of nad+-dependent deacetylase inhibitors
US20030158199A1 (en) Novel compounds for inhibition of Tie-2
CN105492428A (zh) 治疗β-地中海贫血和镰状细胞病的方法和组合物
EP0539154B1 (en) Acridine-1,8-dione-derivatives as therapeutic agents
HU187357B (en) Process for producing isoquinoline derivatives
JP6903266B2 (ja) 1,2ナフトキノ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AU755654B2 (en) Novel amide compound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US5624953A (en) Pharmaceutical compounds
KR100620109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그것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제에의적용
KR100658698B1 (ko)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80077889A (ko) 약제학적 항암 조성물
JPH072793A (ja) 複素環式化合物
GB1597811A (en) Benzothiadiazine derivatives
CN109879840B (zh) 4-哌嗪甲基-7-羟基苯并呋喃类化合物及其医药用途
KR100820173B1 (ko) 4-메틸이미다졸-5-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31532A (ko) 말초신경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WO2016153242A1 (ko)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0916161B1 (ko)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제
HUT75064A (en) New heterocyclic amides
BRPI0708816A2 (pt) 2-amino-4-fenildihidroquinolinas substituÍdas, processo para preparaÇço das mesmas, uso das mesmas como medicamentos, e medicamentos as compreendendo
KR100350737B1 (ko) 2-클로로-3-페닐아미노-5-히드록시-1,4-나프탈렌디온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