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708B1 -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708B1
KR100619708B1 KR1020040107270A KR20040107270A KR100619708B1 KR 100619708 B1 KR100619708 B1 KR 100619708B1 KR 1020040107270 A KR1020040107270 A KR 1020040107270A KR 20040107270 A KR20040107270 A KR 20040107270A KR 100619708 B1 KR100619708 B1 KR 10061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artition wall
electrode
display device
electronic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551A (ko
Inventor
송문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7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격벽과 셀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부(+,-)의 토너 입자들이 삽입된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투명 격벽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하부기판 상에 하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부 셀과 하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하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중간기판 상에 형성된 하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하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의 하부 셀 상부에 상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 셀과 상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상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상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소자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USING TONER PARTIC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3a 내지 도3j는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수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기판 20:하층 하부전극
30:하층 투명 격벽 40:흑색(+) 토너 입자
50:백색(-) 토너 입자 60:하층 상부 전극
70:중간기판 80:상층 하부 전극
90:상층 투명 격벽 100:상층 상부 전극
110:상부기판
본 발명은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 격벽과 셀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페이퍼 디스플레이(Digital Paper Display)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전계발광(Electro Luminescence)소자를 뒤이을 차세대 표시소자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자종이(Electronic Paper)는 수백만개의 구슬이 기름 구멍안에 뿌려져 있는 박형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기판과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수백만번을 재생해 쓸 수 있으며 장래에 책, 신문, 잡지 등 기존의 인쇄매체를 대체할 재료로 기대된다.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플렉서블(flexible)(또는 페이퍼) 디스플레이 구현의 핵심이 되는 소자이고, 도전성 물질에 전자기장을 가하여 운동성을 갖게 한다는 전기영동학(Electrophoresis)에 기초를 둔 것으로 박형의 플렉서블한 기판들 사이에 도전성을 가진 미립자들을 분포시킨 후 전자기장의 극성변화에 의한 미립자들(또는 토너 입자들)의 방향 배치 변화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반사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는 전기영동형, 자일리콘형,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가 있는데, 도1은 종래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기판(6, 1)과,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6, 1) 상에 소자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투명전극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전극(5, 2)과,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6, 1)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셀과 셀을 분리(isolation)시키는 격벽(7)과, 상기 두 전극(5, 2) 사이에 형성된 백색(-) 토너 입자(4)와 흑색(+) 토너 입자(3)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상부 전극(5)과 하부 전극(2)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극 극성에 따라 대전되는 토너 입자들이 각 전극으로 끌려간다. 예컨대, 백색 토너 입자(4)가 (-), 흑색 토너 입자(3)가 (+) 성질을 띄고, 상부 전극(5)에 (+) 전압, 하부 전극(2)에 (-) 전압이 인가되면, 백색 토너 입자(4)는 상부 전극(5)으로, 흑색 토너 입자(3)는 하부 전극(2)으로 이동되어 백색을 띄게 된다. 반대로 상부 전극(5)에 (-) 전압이 걸리게 되면, 흑색 토너 입자(3)가 상부 전극(5)으로 이동되어 검은색을 띄게 된다.
하지만, 종래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 셀과 셀을 분리시키는 격벽의 폭을 좁혔지만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갭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격벽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 콘트라스트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토너 입자들이 삽입된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투명 격벽이 형성된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하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상층에 형성된 하부 전극 사이에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중간 기판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정부(+,-)의 토너 입자들이 삽입된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투명 격벽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 방법은 하부기판 상에 하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부 셀과 하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하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중간기판 상에 형성된 하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하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의 하부 셀 상부에 상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 셀과 상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상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상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일 실시예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한 상부기판(110), 중간기판(70) 그리고 하부기판(10)과, 상기 상부기판(110) 및 하부기판(10)의 상부 그리고 중간기판(7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고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상하층 상부전극(100, 60) 및 상하층 하부 전극(80, 20)과, 상기 상부기판 (110)과 중간기판(70) 그리고 하부기판(10)과 중간기판(7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셀과 셀을 분리(isolation)시키는 상하층 투명 격벽(90, 30)과, 상기 두 전극(상하층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백색(-) 토너 입자(50)와 흑색(+) 토너 입자(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층의 상부전극(100, 60) 및 하부전극(80, 20)은 ITO(Indium-Tin-Oxide)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기판70)은 하층 상부 전극(60)과 상층 하부 전극(8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갖으며, 투명기판인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셀은 흑색(+) 및 백색(-) 토너 입자들(40, 50)이 삽입된 셀(하부 셀 또는 상부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투명 격벽(30, 90)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토너 입자들(40, 50)이 삽입된 셀과 투명 격벽(30, 90)의 상부 면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토너 입자들(40, 50)이 삽입된 셀(하부 셀)이 하층에 위치하면, 그 하부 셀의 상부에 상부 면적이 동일한 상층 투명 격벽(90)이 위치하고, 반대로 토너 입자들(40, 50)이 삽입된 셀(상부 셀)이 상층에 위치하면, 그 상부 셀의 하부에 상부 면적이 동일한 하층 투명 격벽(30)이 위치한다.
상기 투명격벽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ET), 고순도 아크릴수지(PMMA) 등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투명한 하부기판(10) 상에 ITO(Indium-Tin-Oxide)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을 코팅하고, 식각하여 하층 하부전극(20)을 형성한다(도3a).
상기 구조물 상부에 후에 부착될 중간 구조물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후에 형성될 하부 셀과 하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하층 투명 격벽(30)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ET), 고순도 아크릴수지(PMMA)를 상기 구조물 상부에 스크린 프린팅하여 형성한다(도3b).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 셀에 백색 토너 입자(50)와 흑색 토너 입자(40)를 코로나 방전, 마찰대전, 스프레이 도포 또는 레이저 프린터 방법 등을 이용하여 주입시킨다(도3c).
그 다음, 중간 기판(70) 상에 ITO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을 코팅/식각하여 하층 상부전극(60)을 형성하고, 하층 상부전극(60)이 하부 구조물의 하부 셀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형성된 하부기판 구조물의 하층 투명 격벽(30) 상부에 부착시킨다(도3d, 도3e).
상기 과정을 통해 하부 구조가 형성되면, 상기 구조물 상부, 즉, 중간 기판(70) 상에 ITO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을 코팅/식각하여 상층 하부전극(80)을 형성한다(도3f).
상기 구조물 상부에 후에 부착될 상부 구조물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후에 형성될 상부 셀과 상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상층 투명 격벽(90)을 하층 투명 격벽(30)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하여 부착시키는데, 상기 상 층 투명 격벽(90)은 하층에 형성된 하부 셀의 상부에 형성된다(도3g). 따라서, 후에 형성될 상부 셀은 하층에 형성된 하층 투명 격벽(30)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구조에 상층 투명 격벽(90)이 형성되면, 상층 투명 격벽(90)들 사이에 형성된 상부 셀에 백색 토너 입자(50)와 흑색 토너 입자(40)를 코로나 방전, 마찰대전, 스프레이 도포 또는 레이저 프린터 방법 등을 이용하여 주입시킨다(도3h).
그 다음, 상부 기판(110) 상에 ITO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을 코팅/식각하여 상층 상부전극(100)을 형성하고, 상층 상부전극(100)이 상부 구조물의 상부 셀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형성된 중간기판 구조물의 상층 투명 격벽(90) 상부에 부착시킨다(도3i, 도3j).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셀이 중간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엇갈려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격벽에 의한 셀과 셀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너 입자들이 삽입된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투명 격벽이 형성된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하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상층에 형성된 하부 전극 사이에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중간 기판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부(+,-)의 토너 입자들이 삽입된 셀과 그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투명 격벽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과 투명 격벽의 상부 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구조의 하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상층에 형성된 하부 전극 사이에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중간 기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격벽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ET), 고순도 아크릴수지(PMMA)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5. 하부기판 상에 하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부 셀과 하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하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중간기판 상에 형성된 하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하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의 하부 셀 상부에 상층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 셀과 상부 셀을 분리하기 위한 상층 투명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셀에 정부(+,-) 토너 입자를 주입하고,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층 상부 전극 구조물을 상기 상층 투명격벽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 방법.
KR1020040107270A 2004-12-16 2004-12-16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1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70A KR100619708B1 (ko) 2004-12-16 2004-12-16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70A KR100619708B1 (ko) 2004-12-16 2004-12-16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51A KR20060068551A (ko) 2006-06-21
KR100619708B1 true KR100619708B1 (ko) 2006-09-08

Family

ID=3716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270A KR100619708B1 (ko) 2004-12-16 2004-12-16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752B1 (ko) * 2009-07-27 2011-10-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99B1 (ko) * 2011-12-20 2013-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752B1 (ko) * 2009-07-27 2011-10-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51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167B2 (ja) 電気泳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泳動装置の駆動方法
KR100700523B1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423800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100619708B1 (ko)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7497B1 (ko) 3극 구조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365B1 (ko) 컬러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9703B1 (ko)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8643A (ko) 반사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3744B1 (ko) 높은 대비비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659417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
KR20080099726A (ko)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9987B1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0995B1 (ko) 금속 메쉬 전극을 이용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제조방법
KR20060074482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 방법
KR20060078640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8271A (ko) 기판과 격벽 일체형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20060088368A (ko) 광셔터용 전자종이 표시소자
KR20060067006A (ko) 토너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68557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 방법
KR100772032B1 (ko) 접합방법
KR100791354B1 (ko) 반사형 컬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695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11621A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KR20060078641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KR20060074481A (ko)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