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59B1 - 파이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259B1
KR100619259B1 KR1020050021073A KR20050021073A KR100619259B1 KR 100619259 B1 KR100619259 B1 KR 100619259B1 KR 1020050021073 A KR1020050021073 A KR 1020050021073A KR 20050021073 A KR20050021073 A KR 20050021073A KR 100619259 B1 KR100619259 B1 KR 10061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lt
entry
fixing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981A (ko
Inventor
김석윤
Original Assignee
김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윤 filed Critical 김석윤
Publication of KR2006008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C2210/205Number of cutting edges s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4Overall form of the milling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48Chip breakers
    • B23C2210/486Chip breaking grooves or de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140)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내설되고 볼트구멍(210)과 돌출부(220)이 형성된 엔트리(200)와; 상기 테이퍼부(140)의 내측에 내설되고,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구멍(310)이 형성되며, 파이프(10)와 접촉하는 면에는 치형(320)이 형성된 고정칩(300)과; 상기 엔트리(200)의 볼트구멍과 상기 고정칩(300)의 볼트구멍(3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등 별도의 보조작업 없이 파이프에 강력한 쐐기 작용을 가할 수 있고 파이프를 신속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설치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고 결합상태에서 인장이나 비틀림이 가해지는 경우에 파이프 및 파이프 고정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 및 초저온의 유체수송에 있어서 패킹 등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고정칩, 볼트, 엔트리, 스프링와셔, 패킹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장치 {Pipe fix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고정칩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스냅링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스냅링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칩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고정칩이 두개 적용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이프 100 : 몸체
105 : 수직홈부 110 : 입구턱
120 : 상부삽입홈 130 : 안내면
140 : 테이퍼부 150 : 하부삽입홈
160 : 요홈부 170 : 안내벽
180 : 걸림턱 195 : 돌출부
195a : 볼트고정홈 200 : 엔트리
210 : 볼트구멍 220 : 절단부
300 : 고정칩 310 : 볼트구멍
320 : 치형 330 : 돌출부
400 : 볼트 410 : 스프링홈
420 : 볼트단부 430 : 연장부
500, 510 : 스냅링 600, 601 : 패킹
700 : 스프링와셔 800 : 스프링
900 : 부착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내설되고 볼트구멍이 형성된 엔트리와, 상기 테이퍼부의 내측에 내설되고,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파이프와 접촉하는 면에는 치형이 형성된 고정칩과, 상기 엔트리의 볼트구멍과 상기 고정칩의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됨으로써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파이프를 조립분해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은 상하수도관, 가스관, 도로 주변의 가로등, 표지판, 지시판 등이 있고, 전광판, 광고탑 등도 이러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가진 것이 많은데, 이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장치는 용접 혹은 나사구조가 대부분으로 연결 및 분해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배관용 조인트도 파이프 연결시 용접이나 나사체결이 많고 대형 파이프의 경우는 고무링을 파이프 연결부위에 씌우고 환형의 금속으로 덮어 볼트로 체결하지만, 이런 연결방식은 설치시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고 해체시에도 역순으로 작업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특히, 도로의 가로등이나 표지판의 설치, 유지보수 및 해체시에는 신속성을 요하고, 대형 상수도 또는 가스관의 설치나 응급보수시에도 신속하고 견고한 체결장치가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일본특허 제2001-21076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5868호 및 국내 특허출원공개 제10-2004-0077623호에 도시된 발명 또는 고안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의 고정을 위하여 파이프의 외경에 쐐기작용 을 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 제2001-21076호에 개시된 발명은 압륜, 두개의 플랜지, 락링, 인코아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는 달리 볼트 및 플랜지 부분이 외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있어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보관, 설치 및 운반에 있어서 파손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5868호에 개시된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외측과 접촉하는 고정칩(24)의 내측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렵고 입구(23)가 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10)가 몸체(20)의 안내벽(29)와 걸림턱(21)에 안착되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10)에 인장이나 비틀림이 가해지면, 몸체(20)의 입구(23)가 파손되거나 파이프(10)가 손상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 특허출원공개 제10-2004-0077623호에 개시된 발명은 판형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으나, 직경이 100mm이상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만큼 탄성력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내설되고 볼트구멍이 형성된 엔트 리와, 상기 테이퍼부의 내측에 내설되고,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파이프와 접촉하는 면에는 치형이 형성된 고정칩과, 상기 엔트리의 볼트구멍과 상기 고정칩의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됨으로써, 용접 등 별도의 보조작업을 생략하더라도 강력한 쐐기작용을 가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신속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상태에서 인장이나 비틀림이 가해지는 경우에 파이프 및 파이프 고정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온 및 초저온의 유체수송에 있어서 패킹 등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140)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내설되고 볼트구멍(210)과 돌출부(220)가 형성된 엔트리(200)와; 상기 테이퍼부(140)의 내측에 내설되고,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310)이 형성되며, 파이프(10)와 접촉하는 면에는 치형(320)이 형성된 고정칩(300)과; 상기 엔트리(200)의 볼트구멍(210)과 상기 고정칩(300)의 볼트구멍(3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테이퍼부(140)의 상부에는 엔트리(200)가 몸체(100)에서 탈락되지 않게 고정하는 입구턱(110)과, 상기 입구턱(110)에 연이어 형 성되어 엔트리(200)가 내설되는 상부삽입홈(120)과, 상기 상부삽입홈(120)에 연이어 안내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에는 스냅링(500)이 내설되는 하부삽입홈(150)과, 패킹이 안착되는 요홈부(160)와, 파이프(10)의 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홈(150)에 내설되는 스냅링(500)과; 상기 스냅링(500)의 하부에 위치한 요홈부(160)에 수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패킹(601)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테이퍼부(140)의 상부에는 엔트리(200)가 몸체(100)에서 탈락되지 않게 고정하는 입구턱(110)과, 상기 입구턱(110)에 연이어 형성되어 엔트리(200)가 내설되는 상부삽입홈(120)과, 상기 상부삽입홈(120)에 연이어 안내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에는 테이퍼부(140)에 연이어 형성된 돌출부(195)와, 패킹이 안착되는 요홈부(160)와, 파이프(10)의 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돌출부(195) 하부에 위치한 요홈부(160)에 수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패킹(6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트리(200)의 상면과 상기 볼트(400)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와셔(70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400) 하부에는 스프링홈(410)과 볼트단부(420)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410)에는 스프링(800)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삽입홈(150)에는 스냅링(510)을 삽입하되, 상기 스냅링(510)에는 상방으로 돌기부(51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00)에는 나사산면으로부터 연장부(430)와 접촉부(440)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440)가 상기 돌출부(511)에 지지되어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냅링(510)의 돌기부(511)는 스냅링(510)의 상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돌출부(195)에 볼트고정홈(195a)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400)에는 나사산면으로부터 연장부(430)와 접촉부(440)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430)가 상기 볼트고정홈(195a)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600)은 테프론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패킹(601)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는 몸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의 부착판(9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칩(300)은 치형(320) 반대편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면에는 고정칩(300)의 돌출부(330)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수직홈부(105)가 형성되어 고정칩(3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고정칩(300)이 2개 또는 3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를 대칭형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파이프(10)를 반대방향으로 대칭되게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고정칩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스냅링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스냅링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칩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고정칩이 두개 적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파이프 (10)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100), 파이프(10)가 삽입되는 몸체(100) 상부의 상부삽입홈(120)에 내설된 엔트리(200), 몸체(100)의 내부에서 파이프(10)를 쐐기작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칩(300), 몸체(100)와 고정칩(300)에 관통하여 고정칩(300)을 상하로 이동 조절하는 볼트(400)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10) 내의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600) 및 패킹(60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내설되는 스냅링(500)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패킹(600)의 이탈 방지를 위한 스냅링(500)을 설치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주물형성시 스냅링(500)과 같은 위치, 즉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와 패킹(600)의 상부에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95)를 제작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는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 둘레에는 상기 엔트리(200)가 내설되는 상부삽입홈(120)과 입구턱(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삽입홈(120)과 입구턱(110)으로부터 상기 몸체(10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일직선의 안내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130)의 하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넓어지면서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 내측에는 걸림턱(1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80)의 상면에 수직으로 파이프(10) 삽입시에 파이프(1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삽입된 파이프(10)를 고정시에는 파이프(10)의 외경이 밀착되어 파이프 (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안내벽(1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벽(170)의 상단에는 패킹(600)이 내설되는 요홈부(160)와 스냅링(500)이 내설되는 하부삽입홈(150)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벽(170)의 상단에는 패킹(601)이 내설되는 요홈부(16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돌출부(195)를 형성하여 스냅링(500)을 설치하지 않고, 패킹(601)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패킹(601)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몸체(100)는 파이프(10), 고정칩(300)및 볼트(400)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내부가 확개된 상태, 즉 상기 안내면(130)의 내측방향, 상기 테이퍼부(140)의 내측방향 및 상기 걸림턱(180)의 상방향이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입구턱(110)과 상부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홈(120)에는 엔트리(200)가 내설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입구턱(110)은 엔트리(200)의 이탈을 방지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트리(200)의 상면에 약간 걸쳐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이프(10)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몸체(100) 외부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엔트리(200)가 외부로 떨어져 나가더라도 파이프(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인장력에도 불구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결합과정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엔트리(200)가 일체로 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입구턱(110)의 둘레보다 엔트리(200)의 외경이 크야 하기 때문에 엔트리(200)를 상부삽입홈(120)에 삽입하기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엔트리(200)의 일부를 절단하는 돌출부(220)를 형성하여 상부삽입홈(120)에 삽입시, 돌출부(220)의 양 볼트단부를 서로 교차하여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상부삽입홈(120)에 삽입되면 엔트리(200)가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설치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파이프(10)의 외경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칩(300)이 내설되는데, 상기 고정칩(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은 넓고 상면은 좁게 설계됨으로써 내면은 파이프(10)의 외경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외면은 테이퍼부(140)의 경사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후술할 볼트(400)가 고정칩(3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상면과 하면 중앙에 볼트구멍(3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칩(300)의 내면에는 파이프(10)와 접촉하여 강력한 쐐기작용을 할 수 있도록 치형(3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치형이 없는 고정칩과 달리 파이프(10)와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칩(300)이 파이프(10) 내측의 테이퍼부(14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외부로부터 엔트리(200)의 볼트구멍 (210)을 관통하여 볼트(400)가 결합되는데, 볼트구멍(210)을 관통하는 볼트(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칩(300)의 볼트구멍(310)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칩(300)은 안정한 구조를 위해 세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파이프 직경이 30㎜이하의 소경인 경우에는 두 개를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고정칩(300)의 수평 단면이 좌우로 긴 경우에는 볼트(400)을 조이거나 풀 때 고정칩(300)이 좌우로 흔들려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볼트구멍을 형성시켜(미도시) 두 개의 볼트(400)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칩(3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칩(300)의 치형(320)이 형성된 반대편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면에는 고정칩(300)의 돌출부(330)에 대응되는 수직홈부(105)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홈부(105)에 상기 고정칩(300)이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칩(300)은 수직홈부(105)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고정칩(30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되고, 몸체(100)에 파이프(10)가 결합될 때 고정칩(300)의 균형이 유지되면서 쐐기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파이프(10)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결합력이 더욱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칩(300)이 돌출부(330)로 인해 볼트구멍(310)을 형성할 수 있는 부위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중심부에 볼트구멍(310)을 형성시키면 그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되는 볼트(400)의 직경이 커지므로, 하나의 볼트구멍(310)과 볼트(400)로도 상기 고정칩(300)과 엔트리(200) 사이의 안정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내로 유체가 수송되는 동안에 상기 걸림턱(180) 등 약간의 틈새를 통하여 파이프내의 유체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파이프 고정장치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부(160)에는 패킹(6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요홈부(160)의 상단에서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삽입홈(150)에 스냅링(500)을 내설하고 그 하단에 패킹(600)을 수용함으로써 기밀을 확보할 수 있고, 스냅링(500)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95)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패킹(600)은 탄성력이 매우 큰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파이프(10) 내에서 수송되는 유체의 높은 온도 및 초저온에도 견딜 수 있는 테프론 또는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600)의 재질로서 테프론 또는 금속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테프론 또는 금속은 그 탄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도 1과 도 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엔트리(200)를 설치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는 패킹(600)을 몸체(100) 하부의 요홈부(160)에 삽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엔트리(200)와 패킹(600)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패킹(600)의 상단에 스냅링(500)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195)를 형성한 경우에도 테프론 또는 금속으로 된 패킹(600)을 요홈부(160)에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오링을 패킹(601)으로 사 용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냅링(500) 대신에 돌출부(195)를 형성하여 패킹(600)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패킹(600)을 구부려서 돌출부(195)의 내경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큰 고무로 된 오링(601)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운반 또는 설치시, 고정칩(300) 또는 볼트(400)가 몸체(100)에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00)의 하부에는 스프링홈(410)을 형성하고 스프링홈(410)에 스프링(800)을 삽입하여 볼트(400) 또는 고정칩(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트(400) 또는 고정칩(3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홈(150)에 돌기부(511)가 형성된 스냅링(510)을 내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링(500)은 앞서 설명한 엔트리(200)와는 달리 판형의 코일상 스냅링(500)으로 형성되어 하부삽입홈(15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해, 또 다른 형태의 스냅링(5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링(510)의 상면을 절곡하여 볼트(400)의 연장부(430)에 형성된 접촉부(440)가 끼워져 유동을 방지하는 돌기부(5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기부(511)는 스냅링(5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몸체(100) 내부로 고정칩(300), 볼트(400)를 삽입할 때에는 볼트(400)의 연장부(430)가 돌기부(511)의 외측에서 다소 자유스러울 수 있으나, 이후 파이프(1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400)을 조이면 고정칩(300)과 볼트(400)가 파이프(10)의 중심방향으로 점점 이동하고 볼트(400)의 연장부(430)에 형성된 접촉부(440)는 돌기부(511)에 점점 접근하게 되므로, 파이프(1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볼트(400)의 연장부(430)에 형성된 접촉부(440)가 돌기부(511)에 꽉 끼워져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볼트(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면으로부터 연장부(430)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접촉부(440)가 형성되는데, 연장부(430)는 스냅링(510)에 형성된 돌기부(511)와의 접촉시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제작하고, 접촉부(440)와 스냅링(510)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보유한 엔트리(200)와 스프링와셔(700)의 압축길이를 고려하여 약 2 mm 정도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볼트(400) 또는 고정칩(3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주물형성시 스냅링(500)과 같은 위치, 즉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부분의 단부에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95)를 형성하고, 볼트(400)의 연장부(430)가 끼워지는 상기 돌출부(195)에 볼트고정홈(195a)을 형성시킨 후, 볼트(400)의 연장부(430)를 삽입하면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엔트리(200)의 상면과 상기 볼트(400)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와셔(700)를 삽입한 후 볼트(400)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파이프를 파이프 고정장치에 삽입하고, 파이프(1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와셔(700)의 삽입으로 약 1 mm 정도, 상기 엔트리(200)의 설치로 약 0.5 mm 정도의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에서 파이프(10)의 결합 및 해체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파이프 고정장치의 몸체(100)에 엔트리(200)가 상부삽입홈(120)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100) 내에는 고정칩(300)이 볼트(400)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려는 파이프(10)를 파지한 후, 몸체(100) 중앙의 중공부에 밀착하여 삽입하면, 파이프(10)는 몸체(100) 상부에 형성된 엔트리(200)의 내경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파이프(10)가 걸림턱(180) 상부의 안내벽(170)을 지나 상기 걸림턱(180)에 이르면 파이프(10)는 더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엔트리(200),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과의 접촉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엔트리(200),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과의 접촉에 의하여 고정된 파이프(10)는 인장력 또는 기타 외력에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지 못하므로, 볼트(400)에 의해 몸체(100)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칩(300)을 볼트(400)를 회전시켜 조이면 고정칩(300)이 엔트리(200)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고정칩(300)은 테이퍼부(140)와 파이프(10)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파이프(10)가 몸체(100) 내부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볼트(400)를 조이기 시작하면, 상기 볼트(400)는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고정칩(300)은 그 외주면이 테이퍼부(140) 측면의 내측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고정칩(300)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칩(300)의 외주면은 상기 테이퍼부(140) 경사면을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고, 고정칩(300)의 내주면은 파이프(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이프(10)의 외경을 점점 강하게 조이게 된다.
즉, 볼트(400)를 조임에 따라 고정칩(300)이 상승함으로써 고정칩(300)은 테이퍼부(140) 경사면과 파이프(10)의 외경 사이에 끼워져서 강력한 쐐기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고정칩(300)의 쐐기작용으로 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한 후, 볼트(400)를 조이는 것을 중단하면 파이프(10), 고정칩(300) 및 몸체(100)는 일체가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결합과정이 마무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로부터 파이프(10)를 분리시에는 결합시와는 정반대의 과정으로서, 볼트(400)를 풀어 상기 고정칩(300)을 하강시킴으로써 고정칩(300)은 쐐기작용을 해제하게 되어 파이프(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400)의 볼트단부(420)가 테이퍼부(140)의 하부에까지 이르게 하면 고정칩(300)이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것이고, 볼트풀림 또는 소음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칩(300)의 하부로 나온 볼트(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링홈(410)에 스프링(800)을 설치하거나, 돌출부(195)를 형성시켜 다른 형태의 스냅링(610)을 설치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도 1에 도시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5868호에 개시된 고안과 같이, 몸체(20)의 상부가 엔트리없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파이프(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10)에 인장이나 비틀림이 가해지면, 몸체(20)의 입구(23)가 파손되거나 파이프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삽입홈(120)에는 엔트리(200)가 내설되어 고정되고, 입구턱(110)은 엔트리(200)의 상면에 약간 걸쳐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이프(10)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몸체(100) 외부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엔트리(200)가 외부로 떨어져 나가더라도 파이프(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인장력에도 불구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파이프(10)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엔트리(200)가 몸체(100)로부터 떨어져 나가더라도 테이퍼부(140)의 상부와 이와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면(130)이 확보되어 있는 이상, 파이프(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아무리 강할지라도 고정칩(300)이 테이퍼부(140)의 상부 또는 안내면(130)에서 더욱 강한 쐐기역할을 하고, 종래의 기술과 같이 몸체(100) 또는 파이프(10)의 손상 내지 파손의 위험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수평의 부착판(900)을 결합하여 설치하고, 다수의 구멍(901)을 뚫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콘크리트바닥 또는 벽면 등에 부착하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하부를 연장하여 파이프 삽입방향을 반대로 하여 대칭형으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대형 배관용 조인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두 개 이상의 기저부를 맞대고 연결하여 일체로 제작하여 상기 "I" 형 뿐만 아니라 "L" 형, "T" 형 등 해당하는 용도와 사용상태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엔트리와 금속패킹을 구비한 파이프 고정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등 별도의 보조작업 없이도 강력한 쐐기작용에 의하여 파이프를 신속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설치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고 결합상태에서 인장이나 비틀림이 가해지는 경우에 파이프 및 파이프 고정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킹을 테프론, 금속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고온 및 초저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고온의 유체수송에 있어서, 패킹 등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140)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내설되고 볼트구멍(210)과 돌출부(220)가 형성된 엔트리(200)와;
    상기 테이퍼부(140)의 내측에 내설되고,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310)이 형성되며, 파이프(10)와 접촉하는 면에는 치형(320)이 형성된 고정칩(300)과;
    상기 엔트리(200)의 볼트구멍(210)과 상기 고정칩(300)의 볼트구멍(3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테이퍼부(140)의 상부에는 엔트리(200)가 몸체(100)에서 탈락되지 않게 고정하는 입구턱(110)과, 상기 입구턱(110)에 연이어 형성되어 엔트리(200)가 내설되는 상부삽입홈(120)과, 상기 상부삽입홈(120)에 연이어 안내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에는 스냅링(500)이 내설되는 하부삽입홈(150)과, 패킹(600)이 안착되는 요홈부(160)와, 파이프(10)의 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홈(150)에 내설되는 스냅링(500)과;
    상기 스냅링(500)의 하부에 위치한 요홈부(160)에 수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패킹(6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테이퍼부(140)의 상부에는 엔트리(200)가 몸체(100)에서 탈락되지 않게 고정하는 입구턱(110)과, 상기 입구턱(110)에 연이어 형성되어 엔트리(200)가 내설되는 상부삽입홈(120)과, 상기 상부삽입홈(120)에 연이어 안내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40)의 하부에는 테이퍼부(140)에 연이어 형성된 돌출부(195)와, 패킹이 안착되는 요홈부(160)와, 파이프(10)의 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벽(170) 및 걸림턱(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돌출부(195) 하부에 위치한 요홈부(160)에 수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패킹(601)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200)의 상면과 상기 볼트(400)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와셔(70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400) 하부에는 스프링홈(410)과 볼트단부(420)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410)에는 스프링(800)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부삽입홈(150)에는 스냅링(510)을 삽입하되, 상기 스냅링(510)에는 상방으로 돌기부(51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00)에는 나사산면으로부터 연장부(430)와 접촉부(440)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440)가 상기 돌출부(511)에 지지되어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510)의 돌기부(511)는 스냅링(510)의 상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돌출부(195)에 볼트고정홈(195a)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400)에는 나사산면으로부터 연장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430)가 상기 볼트고정홈(195a)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4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600)은 테프론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601)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는 몸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의 부착판(9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칩(300)은 치형(320) 반대편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부(330)가 형성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면에는 고정칩(300)의 돌출부(330)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수직홈부(105)가 형성되어 고정칩(3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고정칩(300)이 2개 또는 3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를 대칭형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파이프(10)를 반대방향으로 대칭되게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KR1020050021073A 2005-01-31 2005-03-14 파이프 고정장치 KR100619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45 2005-01-31
KR20050008745 2005-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81A KR20060087981A (ko) 2006-08-03
KR100619259B1 true KR100619259B1 (ko) 2006-08-31

Family

ID=3717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73A KR100619259B1 (ko) 2005-01-31 2005-03-14 파이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8B1 (ko) 2009-12-04 2010-01-2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049449B1 (ko) 2011-02-09 2011-07-15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135107B1 (ko) 2011-10-21 2012-04-16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2886A1 (en) * 2006-06-13 2009-03-11 Suk-Yoon Kim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KR101000708B1 (ko) * 2008-04-14 2010-12-10 김석윤 내부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39614B1 (ko) * 2018-02-06 2019-11-01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1230U (ko) 1975-05-29 1976-12-03
KR200325868Y1 (ko) 2003-04-25 2003-09-06 김석윤 파이프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1230U (ko) 1975-05-29 1976-12-03
KR200325868Y1 (ko) 2003-04-25 2003-09-06 김석윤 파이프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8B1 (ko) 2009-12-04 2010-01-2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049449B1 (ko) 2011-02-09 2011-07-15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135107B1 (ko) 2011-10-21 2012-04-16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81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246B2 (ja) パイプ固定装置
KR100619259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JP2009174309A (ja) 1本または多数の単一要素からなるアンカー引張り部材と、腐食防止されたアンカーヘッド構造体とを備えたグラウンドアンカーまたはロックアンカー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325868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1004971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902876B1 (ko) 가로등주의 연결부 결합장치
KR20100010110A (ko)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84227B1 (ko) 조임식 편수관 연결장치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100931572B1 (ko) 분리형 테이퍼폴의 연결장치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0300647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지지구조
KR200335518Y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KR200223680Y1 (ko) 일체형 앵커 플레이트가 부착된 난간지주
JP3033026U (ja) 横引配管の取付装置
KR200264316Y1 (ko) 오수관 고정구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0941651B1 (ko) 수도금구 고정장치
KR20090002926U (ko) 유로폼용 슬리브 조립체
JP2003293617A (ja) 鋼管柱の柱脚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