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05B1 -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205B1
KR100619205B1 KR1020040036268A KR20040036268A KR100619205B1 KR 100619205 B1 KR100619205 B1 KR 100619205B1 KR 1020040036268 A KR1020040036268 A KR 1020040036268A KR 20040036268 A KR20040036268 A KR 20040036268A KR 100619205 B1 KR100619205 B1 KR 10061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inorganic
particles
inorganic nanocomposi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099A (ko
Inventor
유재웅
김재경
박기홍
김지선
곽순종
최준환
김영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2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 입자, 유기 고분자, 계면활성제, 전하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노즐에 이송하는 단계, 이송된 조성물에 전기장을 부여하여 조성물을 분무시키고 하전하는 단계, 및 분무되고 하전된 조성물을 비극성 비용매에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무 (electrospraying)에 의한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전기영동성, 전기방무, 무기 입자, 유기 고분자

Description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장치 {Organic-Inorganic Hybrid Nanoparticles for Electrophoretic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양태의 전기분무 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양태의 전기분무 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형상 모식도.
도 5는 조성물 중 TiO2에 대한 폴리에틸렌의 중량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각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열중량분석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그래프.
도 6은 조성물 중 계면활성제/전하조절제의 농도에 따른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평균 입도 및 전기영동성 (제타 전위) 변화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
도 7a는 조성물의 노즐로의 이송 속도에 따른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평균 입도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
도 7b는 조성물의 노즐로의 이송 속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각각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사진.
도 8은 조성물에 가해지는 전기장 세기에 따른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평균 입도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즐 20: 모세관
30: 중공관 40: 펌프
50: 온도 조절 부재 60: 전극
70: 비극성 비용매 80: 포집 용기
90: 전압인가수단 100: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110: 무기 입자 120: 유기 고분자
130: 조성물
현재 평판 디스플레이 중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는 여러 장점이 있어 디스플레이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상용화 직전에 있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전기영동입자로는 무기계, 유기 고분자계, 유·무기 복합입자 등이 있다. 무기계 입자의 경우 용매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산란 효과로 선명성은 좋으나 밀도 차이에 의한 입자의 침전으로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실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의 적용이 어렵다. 유기 고분자계의 경우는 전기영동성이나 안정성이 다른 재료에 비해 좋으나 용매와의 굴절률 차이가 적어 산란 효과가 적으므로 선명성이 좋지 않다. 또한, 전기영동입자의 경우 산란 효과로 인해 백색 구현에 있어 굴절률이 가장 높은 TiO2 무기 입자를 선호하지만 밀도가 약 4.2 g/cm로 인해 유체와의 밀도차가 심해 입자의 침전에 의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백색의 유기 고분자 입자를 사용할 시에는 유체와의 굴절률 차이가 나지 않아서 백색의 산란 효과가 없어 사실상 백색 구현이 힘들다.
따라서 유·무기 복합입자의 제조만이 밀도차를 줄이고 무기 입자의 산란성도 발휘할 수 있는 백색 구현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어, 유·무기 복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에 있어 가장 큰 고려 사항은 전기영동입자의 전기영동성/안정성이다. 이는 전기영동소자의 경우 용매에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용매와 입자의 밀도 차이 및 분산성/전기영동성에 따라 내구성 및 상용화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유·무기 복합화 방법을 살펴보면, 미국 MIT의 자콥슨(J. Jacobson) 교수 연구팀은 농축 분산 (concentrated atomization) 방식으로 유·무기 복합입자를 제조하였으나, 입자 크기 및 밀도의 분포가 심한 단점이 있다.
이후, 여러 연구팀들이 입자의 미세화 및 재현성을 위해 유화 중합이나 분산 중합과 같은 화학적 방식으로 입자를 제조하고 있으나 중합 후 입자 수득률이 낮고 과정이 복잡하여 그 과정에서 응집현상이 일어나므로 상용화에 있어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 제조 후 여러 공정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없는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장 하에서의 전기유체역학적인 액체의 방울 형성에 사용되었고 1990년대 이후로 유기 고분자 재료의 입자 형성에 사용되는 전기분무법 (electrospraying method)을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전기분무 방식을 도입한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기 입자, 유기 고분자, 계면활성제, 전하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노즐에 이송하는 단계, 이송된 조성물에 전기장을 부여하여 조성물을 분무시키고 하전하는 단계, 및 분무되고 하전된 조성물을 비극성 비용매에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조 방법에서 무기 입자, 유기 고분자, 계면활성제, 전하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노즐에 이송하기 전에 조성물 중에서 무기 입자는 안정한 콜로이드 상태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무기 입자가 안정한 콜로이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침전이 일어나 본 발명에서 원하는 형태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수득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정한 콜로이드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조성물은 노즐에 이송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초음파 처리 (sonication), 교반 (stirring) 또는 가열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전기장에 의해 분무된 조성물에 임의로 열을 가하여 조성물의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크기 및 전기영동성은 조성물의 조성, 전기장의 세기, 조성물의 노즐로의 이송 속도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성물 중 무기 입자에 대한 유기 고분자의 상대 농도를 높일 경우 생성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밀도는 낮아지며,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노즐로의 이송 속도를 빨리할 경우 크기가 큰 유·무기 나노복합입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기장의 세기 및 노즐에 이송되는 조성물의 이송 속도는 사용되는 무기 입자의 크기, 조성물의 점도, 노즐의 직경 및 분무 방식 (mode)에 따라 좌우되며, 특히 분무 방식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어, 콘-젯 방식 (Cone-jet mode)으로 분무할 경우 3 내지 15 kV/cm의 전기장 세기 및 0.5 내지 6 cc/hr의 이송 속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콘-젯 방식이란 노즐에 이송된 액체를 노즐 끝에서 테일러 콘 (Taylor Cone)이라 불리우는 콘 (cone) 모양의 액체 표면이 생기게 한 후 분무하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형성된 복합 입자를 비극성 비용매로 직접 포집함으로써 수득률이 높고 전기영동소자, 특히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나노복합 입자는 전하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류를 통해 전하 및 고전기장에 의한 유기 고분자에 대전되는 전하가 비극성 비용매에서 손실없이 유지되어 입자에 있어 최대의 전기영동성이 유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비극성 비용매에 염료를 추가할 경우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포함하는 비극성 비용매를 전기영동소자용 잉크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기존의 전기영동입자 제조 후 저온건조 및 응집으로 인한 재분산과 같은 공정이 필요없으며 수십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까지 입자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입자로는 그 크기가 수 nm 내지 수십 ㎛인 Al2O3, BN, MgO, Sb2O3, SiO2, TiO 2, ZnO, ZnS, ZrO2, 카본 블랙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계류 고분자, 나일론계류 고분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유기 고분자이면 모두 분무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모든 고분자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등, 무기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계면활성제이든 사용가능하며, 임계미 셀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이상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하조절제로는 글리콜류, 아민류, 실란계, 티탄계, 불소계 커플링제, 숙신이미드류, 금속염, 금속 스테아르산염 등이 있으며, 사용되는 무기 입자의 종류에 따라 전하조절제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계면활성제 및 전하조절제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시판품으로는 OLOA 1200 (세브론 오로나이트 (Chevron Oronite),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 및 disperBYK (BYK-케미 (BYK-Chemi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조성물 중의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사이클로헥산, 케로신,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으며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들과 반응하지 않으면 어떠한 용매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이때, 이러한 용매의 선택시 비극성 비용매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극성 비용매로는 저분자량의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오일류, 이소파라핀 오일류, 실리콘 오일류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고분자에 대해 비용매이면 어떠한 용매이든 사용가능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는 무기 입자가 코어를 형성하고 그 외곽에 유기 고분자가 형성되어 있는 코어쉘 구조로서, 무기 입자가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는 전기분무장치 및 정전기적 분무장치와 동일한 의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에 분무하는 노즐 (10)이 모세관 (20) 하단에 위치해 있고 이 모세관 (10)은 전도체가 아닌 절연체 중공관 (3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모세관 (20)에는 일정 속도로 조성물을 주입하는 장치인 펌프 (40)가 연결되어 있다. 절연체의 중공관 (30)은 외벽에 가열 또는 냉각이 가능한 온도 조절 부재 (50)로 둘러싸여 있다. 중공관 하단에는 전극 (60)이 있으며 전극 (60)의 하부에는 분무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100)를 받는 비극성 비용매 (70)가 담긴 포집 용기 (80)가 있다. 노즐 (10)과 하단 전극 (60) 사이에는 직류 및 교류 전압인가수단 (90)에 의한 높은 전압구배가 발생되며 정전기력과 액체의 표면장력 사이에 균형이 깨지면서 매우 미세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100)가 형성되고 이러한 입자의 크기는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극히 미세하다. 생성된 복합입자는 동일한 극성의 고전하를 띠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장치와 모두 동일하나 전극 (60)의 일부가 비극성 비용매 (70) 내에 위치하여, 생성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100)가 전극 (60)에 붙는 단점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노즐 (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갯수의 노즐이 사용가능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원형의 노즐이 나타나 있으나, 삼각형, 사각형 등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노즐이 사용되더라도 분무되는 입자의 전하가 동일하므로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방사형으로 분무되므로 서로 응집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조성물 중의 무기 입자와 유기 고분자의 비율에 따른 생성되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밀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무기 입자로서 입자 크기가 50 nm인 TiO2 (TTO55C, 이시하라 테크노사 (Isihara Techno Corp.)) 0.1 g, 유기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Mw 35000, 알드리치 (Aldrich)) 0.08 g, 0.10 g, 0.12 g 또는 0.14 g, 용매로서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00 g, 전하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서 OLOA 1200 (셀브론 오로나이트,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 0.16 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0 ml/hr의 이송 속도로 노즐로 이 송한 후 노즐에서 8.5 kV/cm 세기의 전기장을 가하여 분무한 후 저분자량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할로카본 0.8 (halocarbon 0.8))에서 포집하였다.
포집된 각각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열중량분석 (TGA)하여 그로부터 각각의 밀도 및 폴리에틸렌과 TiO2의 중량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각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열중량분석 그래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 첨가량 (g) 조성물 중 무기 입자와 폴리에틸렌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에틸렌의 중량% 생성된 나노복합입자 중 무기 입자와 폴리에틸렌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에틸렌의 중량% 생성된 나노복합입자의 밀도 (g/cm3)
0.08 44 40 1.71
0.10 50 52 1.46
0.12 54 58 1.35
0.14 58 61 1.31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 중의 무기 입자와 유기 고분자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전하조절제의 농도에 따른 입자의 크기 및 전기영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무기 입자로서 입자 크기가 50 nm인 TiO2 (TTO55C, 이사하라 테크노사) 0.1 g, 유기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Mw 35000, 알드리치) 0.1 g, 용매로서 테트라클로 로에틸렌 100 g, 전하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서 OLOA 1200 0.05 g, 0.10 g, 0.16 g 또는 0.20 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0 ml/hr의 이송 속도로 노즐로 이송한 후 노즐에서 8.5 kV/cm 세기의 전기장을 가하여 분무한 후 저분자량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할로카본 0.8)에서 포집하였다.
포집된 각각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에 대해 일본 오츠카전자의 ELS 8000의 동적광산란법으로 각각의 평균 입도 및 제타 전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전하조절제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입자의 크기 및 전기영동성의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조성물의 노즐로의 이송 속도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무기 입자로서 입자 크기가 200 nm인 TiO2 (R-104, 듀폰 (DuPont)) 0.5 g, 유기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Mw 35000, 알드리치) 0.8 g, 용매로서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00 g, 전하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서 OLOA 1200 0.16 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0.5, 1.5, 2.0 또는 2.5 ml/hr의 이송 속도로 노즐로 이송한 후 노즐에서 8.0 kV/cm 세기의 전기장을 가하여 분무한 후 저분자량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할로카본 0.8)에서 포집하였다.
포집된 각각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하였다. 도 7a에 노즐로의 이송 속도에 따른 나노복합입자의 평균 입도 거동을 그래프로서 나타내었고, 도 7b에 각 나노복합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7a 및 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입자 크기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전기장 세기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무기 입자로서 입자 크기가 200 nm인 TiO2 (R-104, 듀폰 (DuPont)) 0.5 g, 유기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Mw 35000, 알드리치) 0.8 g, 용매로서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00 g, 전하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서 OLOA 1200 0.16 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0 ml/hr의 이송 속도로 노즐로 이송한 후 노즐에서 6.0, 7.0, 8.0 또는 9.0 kV/cm 세기의 전기장을 가하여 분무한 후 저분자량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할로카본 0.8)에서 포집하였다.
포집된 각각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평균 입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입자의 크기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기영동입자로 사용할 수 있는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높은 수득률 및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극 아래의 비극성 비용매를 사용하여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포집함으로써 포집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기타 별도의 처리 없이 직접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크기, 밀도 및 전기영동성이 조절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무기 입자, 유기 고분자, 계면활성제, 전하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노즐로 이송하는 단계, 이송된 조성물에 전기장을 부여하여 분무시켜 액체 방울 형태의 하전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액체 방울 형태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비극성 비용매 중에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장에 의해 분무되어 형성된 액체 방울 형태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비극성 비용매 중에서 포집하기 전 상기 유·무기 나노복합입자에 열을 부여하여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중의 용매를 증발시키면서 액체 방울 형태의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고상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무 방식 (mode)이 콘-젯 방식 (Cone-jet mode)일 경우 노즐에 이송되는 조성물의 속도가 0.5 내지 6 cc/hr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분무 방식이 콘-젯 방식일 경우 전기장의 세기가 3 내지 15 kV/cm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가 Al2O3, BN, MgO, Sb2O3, SiO2, TiO2, ZnO, ZnS, ZrO2, 카본 블랙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계류 고분자, 나일론계류 고분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조절제가 글리콜류, 아민류, 실란계, 티탄계, 불소계 커플링제, 숙신이미드류, 금속염 및 금속 스테아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사이클로헥산, 케로신,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비용매가 저분자량의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 오일류, 이소파라핀 오일류, 실리콘 오일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12. 제11항에 기재된 유·무기 나노복합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영동소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40036268A 2004-05-21 2004-05-21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1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68A KR100619205B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68A KR100619205B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99A KR20050111099A (ko) 2005-11-24
KR100619205B1 true KR100619205B1 (ko) 2006-09-01

Family

ID=3728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268A KR100619205B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932B1 (ko) 2008-10-15 2011-06-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87B1 (ko) * 2006-02-28 2007-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7837B1 (ko) * 2007-04-24 2008-09-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성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충돌 대전형 전자 종이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932B1 (ko) 2008-10-15 2011-06-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99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707B2 (en) Electrospinning of fine hollow fibers
Deng et al. Melt electrospinning of low‐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low‐melt flow index
Hogan Jr et al. Controlled size polymer particle production via electrohydrodynamic atomization
JP4690418B2 (ja) 多相ナノ粒子
Gordon et al. Formation of hydrophilic nanofibers from nanoemulsions through electrospinning
Jayasinghe Self-assembled nanostructures via electrospraying
Tang et al. Controlled nanoparticle synthesis via opposite-polarity electrospray pyrolysis
Chen et al. Effective method for high‐throughput manufacturing of ultrafine fibres via needleless centrifugal spinning
Soliwoda et al. Electrospray deposition of gold nanoparticles from aqueous colloids on solid substrates
JP2018130659A (ja) 分散体の製造方法
Sun et al. Controlled production of size-tunable Janus droplets for submicron particle synthesis using an electrospray microfluidic chip
KR100619205B1 (ko) 전기영동소자용 유·무기 나노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WO2008106381A2 (en) Electrospinning polymer fibers and fiber arrays using dc biased ac potential
Li et al. Capturing electrified nanodroplets under Rayleigh instability by coupling electrospray with a sol–gel reaction
Deotare et al. Fabrication of silica nanocomposite-cups using electrospraying
JP2017114721A (ja) 中空酸化チタン粒子の製造方法
Jayasinghe et al. Electrohydrodynamic atomization: an approach to growing continuous self-supporting polymeric fibers
Mejia et al. Uniform discotic wax particles via electrospray emulsification
Souva et al. Morphology of block copolymer micelles formed via electrospray enabled interfacial instability
JP2021118062A (ja) 2次電池の製造方法または2次電池
Park et al. Multi‐jet electrospinning with high‐throughput using a coaxial grooved nozzle and two fluids
KR102331313B1 (ko) 정전분무증착용 슬러리 및 이를 사용한 코팅막 형성방법
US11179870B1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mixing and dispersing a dispersed phase in a medium
Kiran et al. Electrosprayed titania nanocups for protein delivery
Samarasinghe et al. Encapsulation of silver particles using co-axial j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