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611B1 -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611B1
KR100618611B1 KR1020040103115A KR20040103115A KR100618611B1 KR 100618611 B1 KR100618611 B1 KR 100618611B1 KR 1020040103115 A KR1020040103115 A KR 1020040103115A KR 20040103115 A KR20040103115 A KR 20040103115A KR 100618611 B1 KR100618611 B1 KR 10061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screen wire
mold
mel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307A (ko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안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두혁 filed Critical 안두혁
Priority to KR102004010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6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코팅 작업하여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서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2이동프레임과; 스크린 철망 상,하부에 구비되는 금형과; 수지를 가열수단에 의해 용융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 후방에 설치한 용융물이송장치부와;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를 기울이는 틸팅장치부와; 동력을 전달하는 각각의 모터를 제어하도록 다수의 조작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조작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스크린 철망의 접합부에 보강대를 코팅하므로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코팅공정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코팅상태를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 철망, 보강대, 합성수지, 금형, 코팅

Description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Apparatus for coating a reinforcing-stand on the Wire-scree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린 철망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스크린 철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스크린 철망의 접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보강대가 형성된 스크린 철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에 따른 제1이동프레임의 이동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이동수단에 따른 제2이동프레임의 이동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용융물이송장치부와 금형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틸팅장치부의 틸팅 작용에 따른 형상을 도시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12a,12b는 본 발명의 냉각수단 및 승강실린더의 형상과 승강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a,13b는 도 12a,12b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레일
200 - 제1이동프레임 210a,210b - 상,하부롤러
230 - 보강프레임 240 - 고정플레이트
250 - 연결플레이트 300 - 제2이동프레임
310 - 레일 320 - 고정부재
330 - 다른 롤러 340 - 핸들
400 - 금형 410 - 상부금형
411 - 용융물주입홀 415 - 상부틀홈
420 - 하부금형 425 - 하부틀홈
430 - 냉각수로 440 - 물탱크
450 - 승강실린더 500 - 용융물이송장치부
510 - 지지플레이트 520 - 하우징
522 - 수지케이스 524 - 호퍼
530 - 용융바렐 540 - 이송스크류
550 - 공급노즐 570 - 스퍼기어
580a - 구동풀리 580b - 종동풀리
600 - 틸팅장치부 610 - 틸팅실린더
620 - 틸팅축 700 - 콘트롤러
C - 체인 Cp - 순환펌프
M - 모터 S1~S5 - 조작스위치
W - 스크린 철망
본 발명은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코팅 작업하여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건축공사에 필요한 골재는 건설 및 건축물의 기초공사를 하는데 있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원자재로서, 특히 자갈과 같은 골재의 경우에는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갈의 경우에는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이미 고갈된 상태이며, 고갈된 자갈을 대체하기 위하여 쇄석(碎石)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쇄석은 건설 및 건축 용도에 적합하도록 선별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선별과정은 대부분 스크린 철망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쇄석의 생산량 증대는 스크린 철망에 의해 좌우되므로 쇄석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크린 철망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왔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 스크린 철망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의 환봉형상의 강선(11)을 서로 교차되는 모양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선별구멍(12)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스크린 철망(10) 위를 지나가는 골재(G) 중 선별구멍(12)보다 작은 크기의 골재(G)를 선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철망(10)은 반복되는 선별작업으로 인하여 강선(11)들이 쉽게 마모되어 파손되고, 또한 선별구멍(12)에 끼워진 골재(G)로 인하여 선별구멍(12)이 변형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특허출원번호 2002-59944호(명칭: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프레임(35)과 다수개의 강선(40) 및 접합부(50)로 이루어진다.
설명하면, 프레임(35)의 내측에 물결형상의 강선(40)들을 밀접되게 배열하여 정사각형에 가까운 마름모 형상의 선별구멍(45)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강선(40) 양쪽 끝 부분은 프레임(35)의 내측면과 용접 등에 의해 접합부(50)를 형성하여 프레임(35)에 견고하게 접합시키고, 스크린 철망(30)의 중앙 양측 부분에도 용접 등에 의해 대략 트랙모양의 접합부(50)를 형성하여 골재(G)에 의한 스크린 철망(3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강선(40)들은 선별작업 중 발생되는 스크린 철망(30)의 떨림에 의해 개 별적으로 떨리게 됨으로써, 선별구멍(45)이 신축적으로 변화되는 동시에 선별구멍 (45)에 끼워진 골재(G)도 상하좌우로 떨리게 된다. 따라서, 선별구멍(45)을 통과하기 위한 골재(G)의 많은 모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골재(G)의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발명된 상기한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30)은 반복되는 떨림 현상과 충격으로 인하여 용접된 접합부(50)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스크린 철망(30)의 중앙부분은 강선(30)의 자체 무게와 떨림 현상으로 인하여 심하게 처지게 되고, 또한 스크린 철망(30)의 중앙부분 떨림과 외곽부분의 떨림 정도가 많은 차이를 보여, 일정한 크기의 골재(G)를 선별할 수 없는 등 선별효율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12568호(명칭: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린 철망(60)의 접합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합성수지 재질의 접합보강대(80)를 코팅 형성한다.
즉, 상기 강선(70)들의 접합부분에 접합보강대(80)를 코팅하여 선별 작업 중 발생되는 충격과 피로에 의해 상기 강선(70)들이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강선(70)의 떨림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 일정한 크기의 골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스크린 철망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스크린 철망에 접합보강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는 접합보강대의 재료가 되는 합성수지를 용융상태로 변환시키거나 상기 용융상태의 용융물을 스크린 철망에 코팅하는 작업 등을 모두 수동으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접합보강대의 코팅 상태가 일정하지 않고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코팅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제품의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코팅 작업하여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보강대를 코팅하는 것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서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제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2이동프레임에 안착된 스크린 철망 상,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금형과; 호퍼에 투입된 수지를 용융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 후방에 설치한 용융물이송장치부와; 이송된 용융물을 상기 금형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를 기울이는 틸팅장치부와; 동력을 전달하는 각각 의 모터를 제어하도록 다수의 조작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이동수단은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형성한 다수의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이동프레임 하면에 장착한 다수의 하부롤러와; 양단을 상기 제1이동프레임 전,후방 위치에 각각 고정시키되, 모터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과 베이스프레임에 설치한 다수의 종동스프라켓에 각각 체결한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이동수단은 제1이동프레임 상면에 장착한 다수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이동프레임 하면에 형성한 다수의 레일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이동프레임의 양쪽 레일 하면에 견고히 접촉되도록 고정부재에 장착한 각각의 다른 롤러와; 상기 각각의 다른 롤러 사이에 축을 고정시켜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 단부에 장착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금형은 용융물의 주입이 원활하도록 상면에 용융물주입홀을 관통 형성하고, 하면에 상부틀홈을 형성한 상부금형과; 상면에 하부틀홈을 길게 형성하고, 냉각수에 의해 상기한 용융물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의 냉각수단을 설치하며, 스크린 철망을 지지하는 승강지지수단을 설치한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냉각수단은 하부금형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한 냉각수로와; 상기 냉각수로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냉각수를 모터에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상기 물탱크와 냉각수로 사이에 설치한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승강지지수단은 제1이동프레임에 설치된 보강프레임 사이에 연결플레이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 하면에 복수의 승강실린더를 설치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는 상기 하부금형 저면에 각각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용융물이송장치부는 지지플레이트 상부에 설치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의 수지케이스에 결합시키되, 다수의 전열선을 설치하여 공급된 수지를 가열하는 용융바렐과;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용융바렐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되, 가열된 용융물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가열된 용융물을 금형에 주입하도록 상기 용융바렐 전방에 설치한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작스위치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크린 철망의 접합부에 보강대를 코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코팅공정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코팅상태를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제1,2이동프레임과(200)(300), 금형(400)과, 용 융물이송장치부(500)와, 틸팅장치부(600)와, 콘트롤러(700)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면, 먼저 베이스프레임(100)은 지면에 설치한 것으로, 직사각 형태로 상,하부에 각각 고정 구비시키고, 그 사이에는 다수의 다리(120)를 고정시켜 소정의 높이를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양측 및 중앙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110)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후술되는 제1이동프레임(200)이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양측의 레일(110) 양단에는 스토퍼(115)를 형성하여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이 레일(11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제1이동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직사각 형태로 고정시키고, 그 내측 사이에 보강프레임 (230)을 전,후 방향으로 다수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230) 중 중앙부분에 인접한 양측 보강프레임(230) 사이에는 승강실린더(4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의 복수의 연결플레이트(250)와 함께 체인(C)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40)를 고정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데, 첨부도면 도 7을 통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설명하면, 베이스프레임 (10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 하면에는 다수의 하부롤러(210a)를 장착한다.
그리고,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M)에 장착된 구동스프라켓(220a)과 베이스프레임(100)의 전,후방 및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종동스프라켓(220b)에 체인(C)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체인(C)의 양단은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240)의 전,후방 외측 일면에 각각 고정시켜 상기한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2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 상에서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직사각 형태로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스텝프레임(350)을 좌,우방향으로 구비하여 스크린 철망(W)의 안착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프레임(300)의 전,후방 내측면 하단에는 안착편(360)을 각각 성형하여 스크린 철망(W)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안착편(360) 중앙에는 스크린 철망(W)의 외곽에 보강대를 코팅하기 위한 금형 역할의 틀홈(365)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이동프레임(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데, 첨부도면 도 8과 도 9를 통하여 상기 다른 이동수단을 설명하면, 제1이동프레임(200) 상부에 장착된 다수의 상부롤러(210b)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이동프레임(300) 하면에는 다수의 레일(3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외측 일면에는 고정부재(320)를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320)에는 다른 롤러(330)를 각각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데, 상기 다른 롤러(330)는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이동프레임(300)의 레일(310) 하면에 견고히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다른 롤러(330)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다른 롤러(330) 사이에는 고정부재(320)에 관통되게 축(335)을 고정시키고, 상기 축(335) 일단부에 는 핸들(340)을 장착하여 제2이동프레임(300)을 좌,우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금형(400)은 상기 제2이동프레임(300)에 안착된 스크린 철망(W)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금형(410)과 하부금형(420)으로 나뉘어진다.
첨부도면 도 10과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상부금형(410)은 대략 직사각체의 형상으로, 용융물의 주입이 원활하도록 상면 중앙에 용융물주입홀(411)을 관통 형성하고, 주입된 용융물의 외형 틀을 고정시키도록 하면 중앙에 상부틀홈(41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한 상부금형(410)은 스크린 철망(W)의 접합부에 보강대를 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스크린 철망(W)의 외곽에 코팅되는 보강대는 별도의 금형(미도시)을 사용하여 코팅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금형(42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으로, 주입된 용융물의 외형 틀을 고정시키도록 상면 중앙에 하부틀홈(425)을 형성하고, 상기한 용융물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도록 냉각수단을 설치하며, 중량에 의해 쳐지는 스크린 철망(W)을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부에는 승강지지수단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한 냉각수단을 도 12a,b와 도 13a,b를 통하여 설명하면, 하부금형(420) 내부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냉각수가 흐를수 있도록 냉각수로(430)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로(430)의 일단에는 호스에 의해 물탱크(440)와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한 냉각수로(430)의 일단과 물탱크(440) 사이에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펌프(Cp)를 설치하고, 상기 순환펌프(Cp)의 일단은 냉각수로(430)의 타단과 연결시키며, 상기 순환펌프(Cp)에는 모터(M)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승강지지수단을 설명하면, 보강프레임(230) 사이에 고정된 각각의 연결플레이트(250) 하면에 승강실린더(45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금형(420) 저면에는 승강실린더(450)의 로드 단부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450)에는 유압펌프(미도시)와 유압모터(미도시)를 각각 연결시켜 상기한 하부금형(420)을 승강시킴으로써, 스크린 철망(W)을 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용융물이송장치부(500)는 호퍼(524)에 투입된 수지를 용융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500)는 호퍼(524) 하단에 수지케이스(522)가 결합되고, 상기 수지케이스(522) 전,후방 단부에는 용융바렐(530)과 하우징(520)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520) 하단에는 지지플레이트(5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융바렐(530) 외주면에는 상기한 용융바렐(530)을 가열하여 투입된 수지를 용융 상태로 가열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다수의 전열선(532)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용융바렐(530) 둘레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단열판(534)을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며, 상기 용융바렐(530) 전방에는 용융물을 상기 금형(400)에 주입하도록 공급노즐(5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융바렐(530) 내부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한 동시에 용융물을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540)를 구비한다, 이때, 상 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이송스크류(540) 후방 단부에 한쌍의 스퍼기어(570)를 설치하되, 상기 스퍼기어(570)는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520) 전,후에 축고정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스퍼기어(570) 중 어느 하나의 후단부에 종동풀리(580b)와 벨트에 의한 구동풀리(580a)를 설치하되, 상기 구동풀리(580a)에는 모터(M)를 연결함으로써, 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으로는 스퍼기어(570)와 벨트 풀리로 이루어진 구성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른 기술 구성 역시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틸팅장치부(600)는 이송된 용융물을 상기 금형(400)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500)를 기울이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0) 후방에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틸팅장치부(600)는 수지케이스(522) 하부 위치에 틸팅실린더 (610)를 구비하고, 상기 틸팅실린더(610)의 로드를 상기 수지케이스(522) 하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틸팅실린더(610)에는 유압펌프(미도시)와 유압모터(미도시)를 각각 연결시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플레이트(510) 후방 하면에는 틸팅축(620)을 힌지 결합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상부의 용융물이송장치부(500)가 하부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콘트롤러(700)는 상술한 각 모터(M)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이동프레임 (200) 전방에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콘트롤러(700)는 상면에 다수의 조작스위치 (S1~S5)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조작스위치(S1~S5)는 상술한 이동수단과 냉각수단과 승강지지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틸팅장치부(600)를 구동하는 각각의 모터(M) 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재 및 쇄석 등을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W)은 대략 물결 형상의 강선과 이웃하는 다른 강선을 서로 접합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선별 작업 중의 진동에 의해 접합부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접합부위에는 보강대를 코팅하게 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첨부도면 도 12a,b 및 도 13a,b와 같이 제2이동프레임(300)의 안착편(360) 위에 스크린 철망(W)을 안착시키되, 강선과 이웃하는 강선이 접합된 접합부의 위치가 하부금형(420)과 직교하는 상부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합부 상면에 상부금형(4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승강실린더(450)와 연결된 모터를 조작스위치(S3)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승강실린더(450)의 로드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한 하부금형(420)이 스크린 철망(W)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스크린 철망(W)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도 10과 같이 펠릿형의 수지(일예:ABS수지)를 호퍼(524)에 투입한 후,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된 모터(M)를 조작스위치(S4)에 의해 구동시켜 이송스크류(540)를 회전시킨다. 즉, 모터(M)는 구동풀리(580a)와 체결되고, 상기 구동풀리(580a)는 벨트에 의해 종동풀리(580b)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풀리(580b)의 단부에는 하나의 스퍼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스퍼기어와 맞물리는 다른 스퍼기어는 이송스크류(540) 단부에 구비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모터(M)의 회전에 의해 이송스 크류(5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이송스크류(540)의 회전에 의해 수지케이스(522) 내부의 수지는 용융바렐(53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전열선(532)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 용융바렐(530)에 투입된 수지는 용융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11과 같이 틸팅실린더(610)와 연결된 모터를 조작스위치 (S5)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틸팅실린더(610)의 로드를 신축시킴으로써, 로드 단부와 결합된 수지케이스(522)는 틸팅축(620)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용융바렐(530) 전방의 공급노즐(550) 역시 하부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공급노즐(550)은 상부금형(410)의 용융물주입홀(411)에 끼워지게 된다.
즉, 용융바렐(530)이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어, 틸팅축(620)과 공급노즐 (550)의 거리는 멀게 위치되는 동시에 틸팅축(620)과 벨트 풀리의 거리는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벨트 풀리의 구동력 전달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한 공급노즐(550)을 상부금형(410)의 용융물주입홀(411) 위치까지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부금형(410)의 용융물주입홀(411)에 끼워진 상태로 공급노즐(550)에서 가열된 수지 용융물을 분출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410)과 하부금형(420)에 형성된 각각의 하부틀홈(425)과 상부틀홈(415) 및 스크린 철망(W)의 접합부 부분에 상기 용융물을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도 7과 같이 구동스프라켓(220a)에 장착된 모터(M)를 조작스위치(S1)에 의해 정회전 구동시켜,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에 결 합된 체인(C)을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이동프레임(200)의 하부롤러(210a)가 베이스프레임(100) 상면의 레일(110)에서 천천히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스크린 철망(W)의 접합부와, 하부금형(420)의 상부틀홈(415)과, 상부금형(410)의 하부틀홈 (425)에 수지 용융물을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2a와 같이 순환펌프(Cp)와 연결된 모터(M)를 조작스위치(S2)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420) 내부의 냉각수로(430)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주입된 용융물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틀홈(425)과 상부틀홈(415) 사이에 주입된 용융물은 틀홈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스크린 철망(W)의 접합부에 보강대가 코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스크린 철망(W)의 어느 하나의 접합부에 보강대 코팅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틸팅실린더(610)의 로드를 확장시켜 하우징(520)과 결합된 용융물이송장치부(500)를 틸팅축(620)을 기준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후에, 제1이동프레임(200)을 모터(M)의 역회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후진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이동프레임 (200)의 상부롤러(210b)에 제2이동프레임(300)의 레일(310)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프레임(200)에 장착된 핸들(340)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한 제2이동프레임 (3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즉, 코팅작업을 하고자 하는 스크린 철망(W)의 다른 접합부가 하부금형(420)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스크린 철망(W)이 안착된 제2이동프레임(300)을 이동시키 는 것이다.
이 후에, 상부금형(410)을 상기 하부금형(420)의 상부 위치에 구비시키고, 틸팅실린더(610)의 로드를 신축 작용시켜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500)가 틸팅축 (620)을 기준으로 하부로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스크린 철망(W)의 이웃하는 다른 접합부에 보강대를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 철망(W)의 전,후 외곽에 보강대를 코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금형을 안착편(360)에 형성된 틀홈(365) 상부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한 금형에 공급노즐(550)을 끼운 상태에서 스크린 철망(W)이 안착된 제2이동프레임(300)을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점차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 철망(W)의 전,후 외곽에 보강대를 코팅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S1~S5)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크린 철망(W)의 접합부 위치에 보강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일일이 작업하던 종래의 보강대 코팅작업과는 달리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보강대를 코팅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는 상기와 같이 보강대의 코팅공정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코팅상태를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줄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동시에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제품의 인지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스크린 철망의 접합부에 보강대를 코팅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일일이 작업하던 종래와는 달리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코팅작업을 할 수 있어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보강대의 코팅공정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코팅상태를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줄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동시에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보강대를 코팅하는 것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이동프레임(200)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 상에서 다른 이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제2이동프레임(300)과;
    상기 제2이동프레임(300)에 안착된 스크린 철망(W) 상,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금형(400)과;
    호퍼(524)에 투입된 수지를 용융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00) 후방에 설치한 용융물이송장치부(500)와;
    이송된 용융물을 상기 금형(400)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 (500)를 기울이는 틸팅장치부(600)와;
    동력을 전달하는 각각의 모터(M)를 제어하도록 다수의 조작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러(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베이스프레임(100) 상면에 형성한 다수의 레일(110)과;
    상기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이동프레임(200) 하면에 장착한 다수의 하부롤러(210a)와;
    양단을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 전,후방 위치에 각각 고정시키되, 모터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220a)과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한 다수의 종동스프라켓 (220b)에 각각 체결한 체인(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수단은 제1이동프레임(200) 상면에 장착한 다수의 상부롤러(210b)와;
    상기 상부롤러(210b)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이동프레임(300) 하면에 형성한 다수의 레일(310)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200)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이동프레임 (300)의 양쪽 레일(310) 하면에 견고히 접촉되도록 고정부재(320)에 장착한 각각의 다른 롤러(330)와;
    상기 각각의 다른 롤러(330) 사이에 축(335)을 고정시켜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335) 단부에 장착한 핸들(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400)은 용융물의 주입이 원활하도록 상면에 용융물주입홀(411)을 관통 형성하고, 하면에 상부틀홈(415)을 형성한 상부금형(410) 과;
    상면에 하부틀홈(425)을 길게 형성하고, 냉각수에 의해 상기한 용융물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의 냉각수단을 설치하며, 스크린 철망(W)을 지지하는 승강지지수단을 설치한 하부금형(4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하부금형(42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한 냉각수로(430)와;
    상기 냉각수로(430)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물탱크(440)와;
    상기 물탱크(440)의 냉각수를 모터(M)에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상기 물탱크(440)와 냉각수로(430) 사이에 설치한 순환펌프(Cp)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수단은 제1이동프레임(200)에 설치된 보강프레임(230) 사이에 연결플레이트(250)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50) 하면에 복수의 승강실린더(450)를 설치하며, 상기 승강실린더(450)의 로드 단부는 상기 하부금형(420) 저면에 각각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이송장치부(500)는 지지플레이트(510) 상부에 설치한 하우징(520)과;
    상기 하우징(520) 일측의 수지케이스(522)에 결합시키되, 다수의 전열선 (532)을 설치하여 공급된 수지를 가열하는 용융바렐(530)과;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520)과 용융바렐(53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되, 가열된 용융물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540)와;
    가열된 용융물을 금형(400)에 주입하도록 상기 용융바렐(530) 전방에 설치한 공급노즐(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부(600)는 수지케이스(522) 하부 위치에 틸팅실린더(610)를 구비하되 그 로드를 상기 수지케이스(522) 하면에 고정시키고, 하우징(520) 하단의 지지플레이트(510)를 틸팅축(62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 후방에 힌지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KR1020040103115A 2004-12-08 2004-12-08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KR10061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15A KR100618611B1 (ko) 2004-12-08 2004-12-08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15A KR100618611B1 (ko) 2004-12-08 2004-12-08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07A KR20060064307A (ko) 2006-06-13
KR100618611B1 true KR100618611B1 (ko) 2006-09-08

Family

ID=3715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15A KR100618611B1 (ko) 2004-12-08 2004-12-08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78Y1 (ko) 2007-06-28 2009-07-16 심상일 냉각수가 순환되는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76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시스템
KR102026173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채취를 위한 골재 선별 방법
KR102026174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장치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78Y1 (ko) 2007-06-28 2009-07-16 심상일 냉각수가 순환되는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07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611B1 (ko) 스크린 철망의 보강대 코팅장치
CN114193609B (zh) 一种混凝土预制件成型装置
KR101559967B1 (ko) 건축용 pc구조물 자동생산장치
CN110670447A (zh) 一种公路工程用道路自动铺砖设备
CN103350881A (zh) 螺栓压型自动排序装置
KR100940330B1 (ko) 도드락 정다듬 표면 가공장치
CN108943207A (zh) 一种自动进板热压机
CN213713917U (zh) 一种匣钵物料振动装置
CN112405823A (zh) 漏缝板生产线
KR100847857B1 (ko) 죠크러셔용 에이프런 피더
CN210048013U (zh) 一种自动调节张紧度装置
CN111013479B (zh) 一种永磁铁料浆的自动加料装置及其加料方法
CN103662872B (zh) 一种纵横向可移动调节的自动整料装车机
CN100540488C (zh) 散状物料自动化联合耙装机
CN209922275U (zh) 黑水虻养殖循环系统
CN211666282U (zh) 混凝土布料机
KR100464138B1 (ko) 복합저장탱크용 원통과 격판의 자동용접장치
CN212931008U (zh) 一种铝型材挤压用传送装置
CN212792824U (zh) 一种送料传送机构的安全型焊网机
CN213971816U (zh) 一种生产高强度锥形水泥电杆的数控张拉机
CN214973748U (zh) 一种用于保温稀土材料混合的搅拌装置
CN220200502U (zh) 一种铜针送料机构
CN214925461U (zh) 一种固体染料输送摊铺结构及制砖设备
CN214687175U (zh) 漏缝板生产线
JP3485364B2 (ja) 食品焼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