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589B1 -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 Google Patents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589B1
KR100618589B1 KR1019990015311A KR19990015311A KR100618589B1 KR 100618589 B1 KR100618589 B1 KR 100618589B1 KR 1019990015311 A KR1019990015311 A KR 1019990015311A KR 19990015311 A KR19990015311 A KR 19990015311A KR 100618589 B1 KR100618589 B1 KR 10061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hollow sphere
reinforcement
spiral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844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101999001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5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 배수로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PE구조용 나선관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부(42)에 구성된 중공구(3)을 나선권회로 일체화된 PE나선관은 종래에는 주로 외토압보강을 위하여 나선요홈(12)부위에 보강장치를 형성하였으며 보강부(42)의 중공부(3)에 보강장치 구성에 대하여 단면이
Figure 111999532911089-pat00029
형 보강대(7)가 있었으나 이는 양측벽면(2)에 외토압이 가해질 경우 굽힘응력에 대한 적절한 구조가 제공되지 않았고 또 양측벽면(2)(2')가 일체로 융착된 구조는 보강부(42)의 중공부(3)을 지지대(7)등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효과적인 고강도 나선관 제공이 없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더 고강도 이면서 견고성이 있고 제조방법도 더 명료하게 단순화된 발명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중공부(3)의 외벽면에서 절곡된 파형보강대(4)와 융착대(5)를 내벽면에 일체화 시켜주고 양측벽면(2)(2')를 압출튜브(19)의 융착돌조(18)(18')를 나선권회 공정중 융착제 역할로 양측벽면(2)(2')의 융착력을 재고시켜 견고히 하며 또 제조방법은 1차로 분기 분기만곡파이프(21)(21')(21")가 분리간격(22)(22')으로 구성된 냉각파이프(20)를 다이스(25)에 조립시켜 주고 다이스(25)의 압출구금(29)에서 압출된 튜브(19)를 분기 만곡파이프(21)(21')(21")사이 사이의 간격(22)(22')에 절곡롤러(30)(30')로 튜브(19)의 상측면을 절곡시켜 파형지지대(4)와 융착점(5)을 하측면에 일체화시켜 성형되도록 구성된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PEINFORCED STRUCTION OF SPIRIAL PIPE AND IT'S PRODUCT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일부 전개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제품으로 중공부의 양측벽면을 서로 융착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3(가)는 본 발명의 중공부의 상측면을 절곡시켜 파형보강대와 융착점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3(나)는 도3(가)에서 양측벽면의 융착부위의 하측을 경사 지지대와 보강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4는 도3(가)에서 파형 보강대와 융착점 부위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도3(가)에서 양측벽면에서 상하측에 융착리브가 보강된 부분 단면도
도6은 도3(가)에서 상측면에 외벽면을 보강한 부분 단면도
도7은 상측면에 외벽면과 하측면에 내벽면을 보강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중공부의 폭을 넓혀주고 파형 융착대와 융착점을 양측으로 구성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9는 도3에서 융착점에 천공구를 형성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10은 도3에서 파형지지대와 융착점을 V형 보강대와 융착대를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3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11은 도10에서 V형 보강대에다 지지벽체를 보강한 구조를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4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12는 도7에서 파형보강대와 융착점이 파형지지대와 파형융착대로 구성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13은 도10에서 융착대에 천공구가 형성된 부분 사시도
도14는 도10에서 융착대에 장천공구가 형성된 부분 사시도
도15는 도14에서 장천공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16은 도11에서 지지벽체에 파형융착대와 융착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17은 도3(가)에 도시된 상측면에 중공부의 하측면을 일체로 융착시켜 2층구조의 중공부에 파형보강대와 융착점을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18은 도17에서 파형보강대와 융착점을 V형보강대와 융착대로 구성하고 지지벽체로 보강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나선관 2,2' : 양측벽면 3 : 중공구
4,4' : 파형보강대 5 : 융착점 6,6' : 외벽면
7,7' : V형 보강대 8,8' : 경사지지대 9 : 보강구
9' : 교호 융착점 10,10' : 천공구 11 : 내벽면
12 : 융착리브 13 : 융착대 14 : 파형 융착대
15,15' : 중공구 16 : 파형 지지대 17 : 지지벽체
19 : 압출튜브 20 : 냉각파이프 42 : 상측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수도관, 배수로관용으로 주로 널리 사용되는 합성수지제(이하에서는 피이라 칭한다)보강 나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이 나선관을 주중 매몰시켜 배수로관용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외토압 하중이나 지역적으로 편중하중이 가해질 경우 피이 나선관의 구조상의 외토압 보강 제공에는 중공구와 접합대로 구성된 파손이나 단면이 타원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즉 중공구(3)의 단면이 ㅁ형에서
Figure 112004505347417-pat00031
형으로 변형되어서 중공구(3)의 높이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나선관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즉 중공구(3)가
Figure 112004505347417-pat00032
형으로 변형할 때 이의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인의 선발명출원(10-98-64167)으로 제공되었으나 접합대의 구성으로 외토압보강에 한계를 노출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피이 나선관의 종래제품보다 경제성 및 내구성, 외토압 강도 등의 보강을 위한 제품 및 제조장치를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선권회된 보강부(3)의 양측벽면(2)(2')을 직접 융착하여 주되, 중공구(3)에다 보강구조를 삽설시켜 주므로서 외토압 보강을 위하여 중공구(3)에 파형보강대(4)와 융착점(5) 및 V형 보강대(7)와 융착대(13)를 중공구(3)의 외측면을 절곡시켜 내측면에 일체화 시켜주고 보강부(2)의 양측벽면(2)(2')을 나선권회로 형성된 상대측의 양측벽면(2)(2')으로 직접 융착점으로 일체화로 구성하여서 중공구(3) 높이를 지지하여서 원래의 ㅁ형 구조의 양측벽면(2)(2')의 굽힘응력을 서로 상쇄시켜서 외토압이 가해질 경우 양측벽면의 굽힘응력을 보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3)로 구성된 양측벽면(2)(2')을 나선권회로 직접일체화로 구성한 나선관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외토압, 견고성등에 시공현장의 수요에 충족되지 못하여 이에 대한 나선관의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도3(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3)의 양측벽면(2)(2')의 중,하측 부위를 변형시켜서 경사지지대(8)(8')와 보강구(9)를 일체로 구성시켜 주면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나선관의 중공구(3)의 나선권회 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보강대(4)와 융착대(5)를 형성시켜서 본 발명의 제품이 제공되며 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점(5)에 따라 천공구(10) 구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암거 배수로관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제공하는 발명으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3)의 상측면(42) 중앙부분에 나선권회된 길이방향으로 파형보강대(4)와 융착대(5)를 구성하되 양측벽면(2)(2')을 일체로 융착시켜준 제품에서 양측벽면(2)(2')의 상하측 단부에서 상측면(42)으로 융착리브(12)(12')로 보강시켜 견고화를 보강하고 또 외벽면(6)으로 감싸주어도 외토압 보강되며 또 내벽면(11)을 일체화 시켜주면 더 질기면서 견고한 제품이 제공된다.
실시예 2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3)의 내부공간에 나선권회 방향으로 파형보강대(4)와 융착점(5)을 2∼3개 동시에 형성시켜 주는 제품과 같이 외토압 보강제공의 구조인 파형보강대를 중공구(3)에 다수개 구성시켜 준다.
실시예 3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된 제품에서 중공구(3)와 양측 벽면(2)(2')을 일체화로 외토압을 제공하되 중공구(3)에 나선권회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형 보강대(7)를 상측면(42)으로 성형시켜 융착대(13)로 하측면에 일체화 시켜서 양측에 중공구(15)(15')를 구성 제품으로 종래의 중공구(3)의 양측벽면(2)(2')의 굽힘 응력을 상쇄시켜 주는 발명이다. 이때 도13,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권회로 형성된 융착대(13)를 따라 간헐적으로 천공구 및 장천공구(13)(13')를 구성시켜 주면 고강도 암거 배수관이 제공되며 이때 유공구간을 원둘레의 ⅔구간(가)으로하고 ⅓구간(나)는 무공상태로 구성하여 암거배수관의 배수로(35)를 제공한다.
실시예 4
도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권회된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형 보강대(7)(7')의 중간 높이에 지지벽체(17)로 일체화 시켜주고 융착리브(12)(12')를 중공구(3)의 상하측면의 모서리에서 융설시켜 양측벽면(2)(2')의 일체화를 보강시켜주며 또 중공구(3)의 나선권회 방향에 따라 파형 지지대(16)와 파형융착대(14)를 중공구(3)의 상측면을 성형시켜 하측면에 일체화로 구성시켜 주되 상,하측면에 외벽면(6)과 내벽면(11)으로 보강시켜 주면 고강도 제품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제품이 된다.
또,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면(6) 대신에 파형보강대(4)를 형성하되 지지벽체(17)에 융착점(5)으로 일체화 시켜주어도 본 발명의 제품이 제공된다.
실시예 5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를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공구(2)의 상측면을 절곡시켜 구성한 파형보강대(4)를 하측면에 융착점(5)을 구성하고 중공구(3)의 양측벽면(2')을 나선권회된 벽면(2)에 일체로 구성한것의 상측면에다 파형보강대(4)를 외벽면으로 절곡시켜 하측면에 일체화하여 양측벽면(2)(2')로 융착시켜 하층면으로 감싸주어 구성하거나 이의 실시예로서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42)을 절곡시켜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보강대(7)(7')를 융착대(13)로 하측면에 융착시켜 중공구(15)(15')를 구성하고 양측벽면(2)(2')을 나선권회로 일체화 시켜주면서 중공구(3)의 상측면(42)을 절곡시켜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보강대(7)(7')를 하측면에 융착대(13)로 일체화시켜 중공구(15)(15')를 구성하면서 양측벽면(2)(2')을 일체화로 고정시켜 주면서 외벽면(16)을 일체로 보강시켜 주어서 구조용 고강도의 본 발명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나선관의 일부를 제조하는 가공방법 중 일부를 예로 들자면,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33)의 다이스(25)에 나선관 성형기(24)가 조립된 성형장치에 의해 입출구금(29)에서 압출튜브(19)가 압출되고, 냉각파이프(20)의 주입구(23)(23')(23")를 통해 만곡파이프(21)(21')(21")에 의해 나선권회 되면서 중공구(3)의 상측면(42)이 성형된다.
또한, 상기 냉각파이프(20)의 분기 만곡파이프(21)(21')(21")사이의 분리간격(22)(22")에 융착 기어(29)가 형성된 절곡기어(30)(30')로 성형시켜서 파형보강대(4)와 융착점(5)을 성형하여 주며, 성형기(24)의 성형롤러(31)의 회전으로 나선권회 작업이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배수로관, 오폐수관, 하수도관용으로 사용되는 PE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장치로서 PE구조용 보강 나선관에서 중공구(3)의 상측면(42)을 절곡시켜 중공구(3)에 파형보강대(4), V형보강대(7)(7') 및 파형보강대(16)을 그에 따른 융착대(13) 파형융착대(3') 및 융착점(5)등으로 하측면에 일체화로 구성하되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 제공을 위하여 외측면(6) 등으로 고정하고 또 양측벽면(2)(2')을 직접 융착시켜 일체화 구성으로 중공구(3)의 높이(H)가 외토압이 가해질 경우 양측벽면의 변형방지를 위하고 이에 따른 보강구조를 구성하여 주므로서 종래의 제품보다 견고성 및 경제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상측면(42)과 하측면 및 양측벽면(2)(2')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중공구(3)가 다수 구비되어 서로 상측의 융착리브(12)에 의해 융착 나선권회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고, 각각의 중공구(3) 상측면(42) 중앙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파형보강대(4)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벽면(2)(2')은 각각 중공구(3)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경사지지대(8)(8')를 형성함으로써, 상측에서 가압하는 힘에도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보강대(4)는 하측면까지 절곡하여 융착대(5)에 의해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구(3)를 형성하는 상측면(42)의 외측에는 외벽면(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구(3)의 상측면(42)을 하측면까지 절곡시켜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보강대(7)(7')를 융착대(13)에 의해 하측면에 융착시켜 중공구(15)(15')를 구성하고,
    상기 융착대(13)에 간헐적으로 천공구 및 장천공구(10)(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V형태로 되는 V보강대(7)(7')의 중간 높이에 지지벽체(17)를 일체화 시켜주고,
    상기 중공구(3)의 상측면(42)에 파형보강대(4)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벽체(17)에 융착점(5)을 일체로 보강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6. 삭제
  7. 삭제
KR1019990015311A 1998-11-05 1999-04-28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KR10061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311A KR100618589B1 (ko) 1998-11-05 1999-04-28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47400 1998-11-05
KR1019980047400 1998-11-05
KR1019990015311A KR100618589B1 (ko) 1998-11-05 1999-04-28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501A Division KR100554536B1 (ko) 2001-08-21 2001-08-21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844A KR20000034844A (ko) 2000-06-26
KR100618589B1 true KR100618589B1 (ko) 2006-09-06

Family

ID=2663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311A KR100618589B1 (ko) 1998-11-05 1999-04-28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51A (ja) * 1992-03-03 1993-09-24 Daikaron Kako:Kk 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960007161A (ko) * 1994-08-04 1996-03-22 민병이 배수로관의 제조방법(장치) 및 그의 제품
KR970014283U (ko) * 1995-09-28 1997-04-28 민병이 Pe구조용 보강 나선관
KR970066240A (ko) * 1996-03-13 1997-10-13 민병이 Pe 나선 2중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970059116U (ko) * 1996-04-01 1997-11-10 민병이 Pe 구조용 보강 나선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51A (ja) * 1992-03-03 1993-09-24 Daikaron Kako:Kk 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960007161A (ko) * 1994-08-04 1996-03-22 민병이 배수로관의 제조방법(장치) 및 그의 제품
KR970014283U (ko) * 1995-09-28 1997-04-28 민병이 Pe구조용 보강 나선관
KR970066240A (ko) * 1996-03-13 1997-10-13 민병이 Pe 나선 2중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970059116U (ko) * 1996-04-01 1997-11-10 민병이 Pe 구조용 보강 나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844A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58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KR100554536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제조방법
KR100499018B1 (ko) 토목및도로공사에서하수관용구조보강나선관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KR20000021521A (ko)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KR100424040B1 (ko) 고강도 나선관
KR200274138Y1 (ko) 피이구조용보강나선관
KR960003943A (ko) 배수로관용 제조방법장치 및 그의 제품
KR100351950B1 (ko)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KR200283055Y1 (ko) 보강나선관
KR200273129Y1 (ko) 배수로관용보강장치
KR200209193Y1 (ko) 가요 및 외압보강된 합성수지제 파이프
KR200288710Y1 (ko) 구조용 나선관
KR20010106051A (ko)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KR20000047356A (ko) 피이구조 보강용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37982B1 (ko) 구조용고강도나선관제조장치
KR200238348Y1 (ko) 배수로관 또는 연결관용 거푸집
KR200216508Y1 (ko) 나선형 보강테가 형성된 압출파이프를 이용한 원통관
KR200302892Y1 (ko) 구조 보강용 나선관
KR980008803U (ko) 보강나선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100474564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및 전선관용 구조보강 나선관
KR200274139Y1 (ko) 나선관의보강장치
KR100399616B1 (ko) 도로공사용 가요성 및 외토압 보강 나선관
KR100470981B1 (ko) 토목 및 도로매설용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