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139Y1 - 나선관의보강장치 - Google Patents

나선관의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139Y1
KR200274139Y1 KR2019960010669U KR19960010669U KR200274139Y1 KR 200274139 Y1 KR200274139 Y1 KR 200274139Y1 KR 2019960010669 U KR2019960010669 U KR 2019960010669U KR 19960010669 U KR19960010669 U KR 19960010669U KR 200274139 Y1 KR200274139 Y1 KR 200274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inforcing
present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119U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19960010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139Y1/ko
Publication of KR970059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139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E 나선관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PE 나선관 보다 생산성 향상과 현장시공성 및 외압강도 보강을 위한 제품으로서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보강돌출부 (2)의 폭을 넓혀주되 파형보강요홈 (4)을 형성시켜 주고 이의 실시예로서는 보강편 (6)을 파형보강요홈 (4)의 블록 부위를 간헐적으로 융착시켜 일체화 시켜준 고안이며 또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는 보강돌출부 (2) 사이사이의 요홈에 단면이

Description

나선관의 보강장치
본 고안은 토목공사 등에서 배수로관용으로 사용되는 나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관은 보강돌출부와 접합부가 나선권회로 접합부를 일체로 융착시켜 주면서 구성된바 지중매설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외토압 보강 또는 윤압보강 등에 합성수지의 재질상 한계가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보강된 제품의 필요성이 노출되는 현실이다.
본 고안에서는 본인의 선 고안 등록된 보강나선관(공고번호;20-1995-0001118호)에 대한 제품을 지중 매몰시켜 장기간 사용할 경우 구조적으로 토압 및 윤압을 보강하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상,하측면과 양측벽면으로 형성된 단면이 사각형의 보강돌출부(12)에서 나선권회로 양측벽면을 서로형보강대(9)로 일체로 중첩시켜서 보강돌출부(12)의 외토압 보강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나형 보강대(9)의 형성이 양측벽면의 전체 폭만큼 구성이 되어 있지않고 상,하측 부위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선 고안에서 제공된 제품의 구조로서는 최대한의 외압보강 및 견고성에 대한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강돌출부(12)의 구조를 상호 보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량시켜 주면서 외토압 보강 또는 견고성을 보강 할 수 있도록 제품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로서 보강중공부의 상측면을 절곡하여 요홈보강대를 도시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요부인 파형보강 요홈과 융착점의 단면도 및 원주방향 부분 단면도
도4(가)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의 요부로서 상측면에 일체하여 요홈부위의 양측벽면에 I형 보강대를 일체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4(나)는 도3에서 파형보강 요홈과 융착점의 구조를 보인 요부의 원주 방향 부분 단면도
도5(가)(나)는 도4의 실시예 1의 요부로서 상측면과 양측벽면에 형 보강대로 일체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3의 요부로서 양측벽면에 형 보강벽을 형성하되 보강중공부의 상,하측면에다 내,외측면 보강벽를 보인부분 단면도
도7은 도3의 실시예 1로서 파형보강 요홈의 볼록부위에 보강편을 일체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8은 도3의 실시예 2로서 접합부위에 배수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4의 요부로서 도3에 도시된 보강중공부의 상측면을 절곡시켜 파형보강 요홈과 융착점이 형성된 보강중공부의 사이사이의 요홈부위에 외벽면을 절곡시켜 파형보강요홈과 융착점을 접합부에 일체되는 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제품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나선관 2. 보강돌출부 3. 요홈보강대 4. 파형보강요홈
4'. 융착점 5. I형 보강대 5'. 융착대 6. 보강편
7. 외벽면 8. 접합부 9.형 보강벽 10. 배수구
12. 보강돌출부 12'. 걸림턱 13,13'. 내,외측면보강벽
14. 파형보강요홈 14'. 융착점 15,15' 요홈대
상기 설명된 내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돌출부(2)와 접합부(8)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반복된 합성수지제 나선관에 있어서 외토압 보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강돌출부(2)의 상측면의 굽힘대(a)(a')에서 절곡시켜 보강돌출부(2)의 내측공간에 중간 부위 정도로 요홈보강대(3)를 형성시켜 굽힙응력을 제공하므로서 본 고안의 제품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된 요홈보강대(3) 대신에 나선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보강돌출부(2)에 따라 상측면을 절곡시켜 파형보강요홈(4)와 융착점(4')을 보강돌출부(2)의 하측면에 일체화시켜 구성된 제품 구성으로 파형보강요홈(4)와 융착점(4')가 단면이 아치형으로 구성되므로 외토압이 보강된 제품이 제공되며 이의 실시예 1,2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보강요홈(4)의 단면이 아치형 구조의 블록 부위에 따라 보강편(6)을 나선방향에 따라 융착시켜주면 본 고안의 제품이 제공되며 또 접합부(8)에 따라 배수공(10)을 구성시켜 주면 유공관으로 사용되므로 본 고안의 제품의 활용 범위가 넓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4(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돌출부(2)의 상측면을 절곡하여 파형보강요홈(4)와 융착점(4')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합성수지제 나선관에서 접합부(8) 부위에 좌우측의 보강돌출부(2) 외측면에서 일체화된 단면이 I보강대(5)로 외접시켜 주면서 지지리브(5')에 지지시켜 주므로 외토압 보강된 합성수지제 나선관을 제공한다.
또 도4의 실시예로서는 도5(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돌출부(2) 사이사이의 접합부(8)에다 외토압 보강의 필수요건인 보강돌출부(2)의 구조보강을 위하여 단면이 I형 보강대(5)를 보강돌출부(2)의 외측면에서 동일피치(폭)로 외접시켜 주면서 보강돌출부(2)의 중간부위를 지지시켜 주도록 하며 이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3에서는 보강돌출부(12)의 양측벽면사이에형보강대(9)로 서로 일체하여 주되 상,하측부위의 양측벽면 사이에 요홈대(15)(15')가 형성된 종래의 보강 나선관에서 상측면에 외측면 보강벽(13)를 외접하여 상측 요홈대(15) 부위를 보강한 나선관(1)에서 지중매설하여 사용할 때내측부위에 하수가 흐를 경우 요홈대(15')의 걸림역할로 하수중에 섞여있는 토사 및 쓰레기의 적체문제 발생 또는 나선관(1)의 견고성, 외토압 보강을 위하여 보강돌출부(12)의 하측면으로 내측면 보강벽(13')을 내접하여서 요홈대(15')의 취약성을 보강하여 주는 제품이다
이는 종래에 사용되어오는 보강돌출부(12)의 양측벽면을 직접 접합하여 제공된 보강나선관의 단점인 양측벽면의 박리현상이나 지중매몰하여 장기간 사용할 경우 지역에 따라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보강돌출부(12)의 중공구 구간에서의 파손 문제의 해결을 보강돌출부(12)의 상,하측면에 일체된 내,외측면 보강벽(13)(13')의 역할로 특히 보강돌출부(12)의 상·하측면과 양측벽면을 동시에 보강시켜 주어서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제공하며 보강돌출부(2)의 양측벽면에 효과적인 보강 구조가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강돌출부(2)의 상측면을 절곡시켜 파형보강요홈(4)과 융차점(4')을 보강돌출부(2)의 나선권회 방향에 따라 형성하되 외벽면에 T외벽면(7)을 외접하되 접합부(8)부위에 T외벽면(7)을 절곡시켜 파형보강요홈(14)과 융착점(14')을 구성시켜 주어 견고성 및 외토압 보강제품이 제공된다.
미 설명도면 도10은 종래에 사용된 제품의 단면도로서 상측면에서 절곡시켜 준 요홈부를 하측면까지 절곡으로 일체화시켜 준 제품이 사용된것을 본 고안에서는 구조 보강시켜준 제품이다.
본 고안은 나선관의 구성요건인 보강돌출부(12)의 양측벽면사이에 형보강벽(9) 삽설로 상·하측부위의 요홈대(15)(15')가 형성된 제품을 내,외측면 보강벽(13)를 접합하여 요홈대 부위의 취약점을 해결하여서 외토압보강을 제공하는 제품으로서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이면서 시공성이 양호한 제품제공에 있다.

Claims (1)

  1. 양측벽면과 상,하측면으로 중공구(b)가 형성된 보강돌출부(12)를 나선권 회하여서 형성되는 양측벽면에형 보강벽(9)을 서로 일체화하여 형성된 상,하측 부위의 요홈대(15)(15')과 외측면 보강벽(13)이 형성된 나선관에 있어서 내측면보강벽(13')를 보강돌출부(2)의 하측면에 접합시켜 구성된 나선관의 보강장치
KR2019960010669U 1996-04-29 1996-04-29 나선관의보강장치 KR200274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669U KR200274139Y1 (ko) 1996-04-29 1996-04-29 나선관의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669U KR200274139Y1 (ko) 1996-04-29 1996-04-29 나선관의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19U KR970059119U (ko) 1997-11-10
KR200274139Y1 true KR200274139Y1 (ko) 2002-09-04

Family

ID=6087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669U KR200274139Y1 (ko) 1996-04-29 1996-04-29 나선관의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77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파이럴 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77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파이럴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19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4139Y1 (ko) 나선관의보강장치
KR100426405B1 (ko) 배수로관연결장치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200177942Y1 (ko) 가요성 보강되는 구조용 나선관
KR200274138Y1 (ko) 피이구조용보강나선관
KR200283055Y1 (ko) 보강나선관
KR100431807B1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20000008391U (ko) 고강도 나선관
KR100424040B1 (ko) 고강도 나선관
KR970007035A (ko) 구조용 pe 나선관
KR100499018B1 (ko) 토목및도로공사에서하수관용구조보강나선관
KR100531446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용 구조 보강 나선관
KR20000006799U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200273129Y1 (ko) 배수로관용보강장치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KR200294936Y1 (ko) 구조용 보강 나선관
KR100340346B1 (ko) 고강도피이나선관
KR200288710Y1 (ko) 구조용 나선관
KR200293105Y1 (ko) 고강도배수로관
KR200273130Y1 (ko) 보강나선관
KR100518464B1 (ko) 배수로관용 거푸집
KR100528612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상,하수도관용 만곡성 나선관
KR100557287B1 (ko) 도로 및 토목공사에서 초대구경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고강도 나선관
KR100470981B1 (ko) 토목 및 도로매설용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KR200166008Y1 (ko) 배수로관용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