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538B1 -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538B1
KR100618538B1 KR1020017001974A KR20017001974A KR100618538B1 KR 100618538 B1 KR100618538 B1 KR 100618538B1 KR 1020017001974 A KR1020017001974 A KR 1020017001974A KR 20017001974 A KR20017001974 A KR 20017001974A KR 100618538 B1 KR100618538 B1 KR 10061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adiating means
conductive strip
elongate conducti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684A (ko
Inventor
리차드보하난
Original Assignee
에이엠씨 센츄리온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씨 센츄리온 에이비 filed Critical 에이엠씨 센츄리온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1007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제는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연장이나 수축동안 뿐 아니라 연장 및 수축 위치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안테나장치 사이의 연결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달성하느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방사수단과 함께 신축위치와 수축위치 사이를 움질일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방사수단에 이동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제1연결부재(306,307,308;801,802,803)를 구비하는 공급장치를 갖는다.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제1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지지유닛상에 탑재되는 적어도 제2연결부재(309,310;903,904,905,906;1003,1004,1005)를 더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연장 및 수축위치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ANTENNA DEVICE COMPRISING SLIDING CONNECTOR MEANS}
본 발명은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갖는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연장 및 수축시에 미끄럼 커넥터를 통해서 무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산업의 추진력은 유용성과 크기에 있다. 휴대용 이동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그가 어디에 있든지 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운영자는 양호한 이동 네트워크의 범위를 제공하고 있지만, 인구가 조밀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경제적인 고려에 의해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조밀하지 않은 지역을 자주 여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한가지 해결책으로는 위성 통신 전화의 사용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의심할 나위 없이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장치와 그의 위성 통신장치를 비교하게 되므로, 여전히 자신의 위성 통신장치의 크기에 대한 요구가 있게 된다. 궤도 또는 정지위성까지의 거리가 멀므로 위성안테나는 매우 약한 신호를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보다 커야하고 셀룰러 통신장치용의 안테나에 비해 장해물이 적어야 하는데, 결과적으로 위성 통신장 치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위성 통신장치용 안테나의 크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게 되고, 따라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경쟁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이 된다.
위성 통신장치에서 다소 큰 안테나유닛은 몇가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종래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유닛은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대화위치가 아닐 때 위성 통신장치의 한 측면을 따라서 안테나유닛을 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대기모드에서 단말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은 상당히 작게 된다. 이와 같은 해결책에서 일어나는 한가지 문제점은, 안테나가 대기모드에서 위성으로부터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대기모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계된 추가의 페이징 안테나를 위성 통신장치 상에 도입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결책에서는, 동작모드에 독립적인 다른 안테나 사이에서 어떻게 스위칭하는 지에 관한 새로운 문제점이 일어나게 된다.
다른 해결책은 대기동안 위성장치가 특정한 위치, 예컨대 꺼꾸로 되는 것을 요구한다.
미국 특허출원 제5,628,057호는 피벗점에서 연결되는 안테나유닛을 갖는 위성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연장 및 수축 위치 모두에서 작동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안테나장치 사이의 연결을 신뢰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달성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연장되고 수축되는 동안 동작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안테나장치 사이의 연결을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게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 즉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연장이나 수축되는 동안 뿐 아니라 연장 및 수축위치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안테나장치 사이의 연결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달성하느냐는 방사수단을 갖춘 신축위치와 수축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안테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방사수단과 함께 움직이도록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제1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공급장치를 갖는다.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제1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지지유닛상에 확고하게 탑재되는 적어도 제2연결부재를 더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연장 및 수축위치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상기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 제1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다수의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유전성 매질의 한 측면에 배열된 다수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상기 유전성 매질의 대향하는 측면상에 배열된 접지 평면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도전성 부재 중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에 대해 힘을 가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스트립 사이의 전기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각 부재는 상기 방사수단이 상기 제1과 제2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를 더 구비한 상기 안테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방사수단이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연결부재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제1회로를 상기 방사수단에 연결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 불규칙한 형상의 엣지를 갖는 상기 안테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불규칙한 형상의 엣지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 상기 방사소자가 연장위치일 때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가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에 연결되는 제1지점으로부터 보여지고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는 입력 임피던스를 갖도록 조정되는데, 이 입력 임피던스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보여지고 방사수단을 향하는 입력 임피던스에 비해 매우 크게 된다. 이러한 불규칙한 형상의 엣지는, 예컨대 돌기 및/또는 홈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신축가능한 방사수단 사이의 신뢰성 있는 연결이 연장 및 수축 위치뿐 아니라 연장 및 수축되는 동안에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연장 및 수축위치 모두에서 가장 짧은 전기 전송거리가 방사소자와 무선회로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와 신축가능한 방사수 단 사이에 다수의 독립적이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연결이 쉽고 신뢰할 수 있게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전력 및 제어신호가 쉽고 신뢰할 수 있게 방사수단 상에 위치된 회로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전송 및 수신신호가 방사수단과 무선통신장치의 회로 사이의 분리된 라인 상에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RF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기 위해 배열된 다양한 방사소자로의 신호가 방사수단과 무선통신장치의 회로 사이의 분리 라인상에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은 상기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 돌기나 홈과 같은 불규칙한 형상의 엣지를 가지므로, 상기 방사수단이 연장위치일 때 기다란 스트립이 개방 회로로 간주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적용 범위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회전가능한 주요 안테나와 보조 안테나를 갖는 위성 통신 단말기를 위한 종래 안테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에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테 나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와 통신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기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연장동안 신호의 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재를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재를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위성통신용 안테나(101)를 갖춘 무선통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테나(101)는 무선통신장치 후방의 피벗점에 탑재되어, 기본적으로 위쪽을 가리키는 활동위치나 기본적으로 아래쪽을 가리키는 비활동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패치안테나(102)는 1차안테나가 비활동위치일 때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통신장치의 상부에 탑재된다.
패치안테나(102)는 무선통신장치가 꺼꾸로 되면 취소될 수 있다. 이때, 1차 안테나(101)는 통신위성을 향해 기본적으로 위쪽을 가리키게 되어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추가 안테나유닛이나 어색한 위치상태가 회피된다면, 신축가능한 안테나유닛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연장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안테나유닛과 동일한 안테나유닛이 대화위치에서의 사용 뿐 아니라 신호를 페이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신축가능한 방사수단(202)을 갖는 무선통신장치(201)를 나타낸 도면이다. 방사수단은 무선통신장치(201)의 인쇄회로기판(204;PCB)에 탑재된 회로(203)에 연결된다. 연결이 제1동축케이블(205)과 제2동축케이블(206)에 의해 달성된다.
제작시, 동축케이블의 사용은 몇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케이블 연결부를 회로 및 방사수단의 연결부에 효과적으로 탑재시키는 것은 어렵다. 방사수단(202)과 회로(203) 사이에 또 다른 연결이 필요 하게 되면 이들 연결을 위해서 각각 새로운 동축케이블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조 공정에서의 어려움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연결을 위한 동축케이블의 사용은 그럴싸한 것이지만 귀찮고 값비싼 해결책이다. 또한, 연결부와 케이블은 회로(203)와 방사수단(202) 사이에서 전송신호가 불필요하게 손실되게 한다. 이와 같은 연결방식은 방사소자가 연장위치일 때, 그리고 회로와 방사소자 사이의 기하학적인 거리가 비교적 짧지만 동축케이블 을 사용하는 거리가 연전히 비교적 길 때, 가장 큰 단점을 갖게 된다.
도 3은 방사수단(302)과 PCB(304)에 탑재된 회로(303)를 갖는 무선통신장치(301)를 나타낸 도면이다. 회로(303)로부터 방사수단(302)으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장치(305)가 배열된다. 상기 공급장치(305)는 각각 참조부호 306, 307, 308로 가리켜지는 제1, 제2, 제3연결부재와 각각 참조부호 309, 310, 311로 가리켜지는 제4, 제5, 제6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제2, 제3연결부재는 스프링 작용으로 콘택트를 끼워넣는, 소위 포고핀(pogo pin)으로 방사수단(302)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방사수단에 탑재된다. 제4, 제5, 제6커넥터부재는 접지에 결합되는 도전성의 후방면을 갖는 유전성 매질에 탑재되어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다. 따라서, 케이스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을 위한 지지부재의 역활을 한다. 포고핀(306,307,308)은 탄성을 가지므로, 스프링 작용에 의해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309,310,311)에 힘을 가해서 제1과 제4, 제2와 제5 및, 제3과 제6커넥터부재 각각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방사수단이 수축 및 연장위치일 때 뿐 아니라 이들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전기적인 결합이 회로(303)와 방사수단(302) 사이에서 달성된다. RF신호에 대해서, 커넥터부재를 매개로 회로로부터 방사소자로의 전송선의 전송특성은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및 수축동안 변하게 된다.
도 6은 휴대전화기의 구멍 내로 안테나가 삽입되는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를 2개의 다른 주파수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강이 900MHz 주파수에 대해서 일어나고, 2개의 하강이 1600MHz 주파수에 대해서 일어난다. 통신시스템은 전송 중 짧은 브레이크(break)를 허용하도록 설계되므로, 전송효율의 하강은 통신성능에 실질적으로 역효과를 주지 않게 된다. 물론, 전력 및 제어신호와 같은 RF신호가 아닌 신호에 대해서는 전송 중 이러한 하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방사수단은 제1방사소자(312)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방사소자는 다수개, 즉 N개로 이루어지는데, 원형 편파의 RF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열된 도전성의 나선형 스트립이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물론, 나선형의 도전성 와이어와 같이 원형 편파의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적합한 그 밖의 방사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방사소자(312)는 위상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1커넥터부재(306)에 연결되고, 제4커넥터부재(309)를 통해서 회로(303)에 연결된다.
제2방사소자는 참조부호 313으로 가리켜지는데, 예컨대 GSM이나, AMPS, D-AMPS, PCS 등의 지상에 기초한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평면 편파의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배열된다. 제2방사소자는 제3커넥터부재(308)에 연결되고, 제6커넥터부재(311)를 통해서 회로(303)에 연결된다.
보호용 캡은 참조부호 314로 가리켜지는데, 도면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만 보여진다. 캡(314)은 안내용 돌기(도시생략)를 구비하는데, 이 돌기는 둘레의 벽(도시생략) 상에 위치되는 대응하는 안내용 표면에 연결된다. 한편, 안내용의 프로파일은 제1방사소자(312)를 지지하기 위해 배열된 지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방사수단(302)의 평면도로, 방사수단(302)이 연장 및 수축되는 구멍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 안내용 돌기(402)는 안내용 표면(403)에 맞물려서 방사수단(302)의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용 돌기 및 표면에 의해, 방사수단(302)이 구멍의 외부로 연장되고 다시 구멍 내로 수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5개의 다른 연결이 무선통신장치의 방사수단과 회로 사이에서 사용된다. 제1PCB는 참조부호 1201로, 제2PCB는 참조부호 1202로 가리켜진다. 제1방사소자는 참조부호 1203으로 가리켜지는데, 중공 지지부(1204) 상에 탑재된 얇은 가요성의 캐리어상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다수의 도전성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방사소자는 위성과의 통신을 위해서 원형 편파의 RF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1방사소자(1203)는 필요할 때 위상 네트워크 및 디플렉서(도시생략)에 결합된다. 위상 네트워크는 원형 편파의 RF신호를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에 대해 전송하기 적합한 신호로 변형하도록 배열된다. 디플렉서는 수신신호(RX)와 전송신호(TX)를 2개의 분리된 도체상에서 반송되는 2개의 분리신호로 분리하는데, 대안적으로 2개의 분리된 위상 네트워크가 전송주파수(TX)와 수신주파수(RX)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X과 RX신호는 제1 및 제2커넥터부재(1205,1206)에 각각 연결되고, 차례대로 제3 및 제4커넥터부재(1207,1208)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3 및 제4커넥터부재(1207,1208)는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과 제3, 제2와 제4커넥터부재에 걸쳐 수립된 연결에 의해, 예컨대 LNA(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로의 전력 및 제어신호가 제1 또는 제2PCB(1201,1202) 상의 위상네트워크나 디플렉서로 유도된다. 한편, 전력 및 제어신호를 위상네트워크 및 디플렉서로 전달하기 위해 분리 커넥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1209로 가리켜지는 제2방사소자는 나선형의 도전성 코일로, 예컨대 GSM이나 DECT 또는 AMPS 시스템에서 RF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열된다. 제2방사소자는 지지부(1204)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방사소자에 대해 기재한 동일한 방법으로 참조부호 1210, 1211, 1212, 1213으로 가리켜지는 제5, 제6, 제7, 제8커넥터부재를 통해서 무선통신장치의 회로에 연결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위상네트워크나 디플렉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제9 및 제10커넥터부재는 참조부호 1214 및 1215로 가리켜지는데, 회로로부터의 신호접지로 사용된다. 상기 제2, 제4, 제6, 제8 및, 제10커넥터부재는 후방면이 접지평면(1217)인 유전성 매질이나 캐리어(1216)상에 탑재된다.
물론, 모든 신호 반송용 스트립 사이에서 분리 신호 접지 스트립을 갖거나 신호 스트립 등의 위에서 에워싸는 몇몇 신호 접지 스트립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동축 연결에 비해 스트립을 사용하는 장점은 연결 및 전송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참조부호 501은 제1커넥터부재를 가리키고, 참조부호 502는 제2커넥터부재를 가리킨다. 참조부호 503은 방사수단을 가리키고, 참조부호 504는 무 선통신장치의 회로를 가리킨다. 도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도 5에서는 한선으로 회로(504)와 방사수단(503) 사이를 도시했지만, 상기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 및 전송선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부재(502)는 참조부호 505로 가리켜지는 제1단부와 상기 회로(504)에 연결되는 제2단부(506)를 가질 수 있다.
도 5a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사수단이 그 수축위치일 때 제2커넥터부재(502)는 방사수단(503)을 회로(504)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5b에서는, 방사수단(503)은 그 연장위치에서 회로(504)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제1단부(505)는 개방 단부가 된다. 도 5b에 있어서, 제2커넥터부재(502)의 전기 길이는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해서 방사수단(503)에 비해 제2단부(506)에서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고, 이에 따라 개방회로로 간주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5c는 연장 및 수축위치 사이에 위치된 방사수단(503)이 개시된다. 방사수단(503)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부재를 통해서 회로(504)에 여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회로(701)가 제1단부(703)에서 제2커넥터부재(702)에 연결되는 배열을 나타낸다. 방사수단(704)이 그 수축위치일 때, 제2커넥터부재(702)는 개방 스터브(open stub)이고, 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연결이 끊어 지거나 상기된 바와 같이 높은 입력임피던스로 조정될 수 있다.
도 8a는 가요성의 와이어부재가 사용되는 커넥터부재(801,802,803)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정면도이며, 도 8c는 평면도이다. 방사수단은 참조부호 804로 가리 켜지는데, 방사소자가 지지부 위에 그리고/또는 내부에 탑재된다 (도시생략). 방사수단(804)이 연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탄성부재(801,802,803)가 기다란 커넥터부재(도시생략)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커넥터부재(801,802,803)는 가요성이고 기다란 커넥터부재에 힘을 가해 전기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8a에는 가요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하나의 와이어부재가 가압된 것이 보여진다.
도 9a는 도 3 및 도 12에 개시된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을 갖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I-I선 단면도이다. 유전성 매질 또는 캐리어는 참조부호 901로 가리켜지고 도전성 시트는 참조부호 902로 가리켜진다. 도전성 시트(902)는 접지에 결합된다. 각각 참조부호 903, 904, 905, 906, 907로 가리켜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의 기다란 도전성 부재가 유전성 캐리어(901)상에 탑재된다.
도 10a는 상기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II-II선 단면도이다. 유전성 매질은 참조부호 1001로 가리켜지고, 도전성 시트는 참조부호 1002로 가리켜진다. 도전성 시트(1002)는 접지에 결합된다. 제1, 제2, 제3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은 각각 참조부호 1003, 1004, 1005로 가리켜진다. 제3의 기다란 스트립(1005)은 자신의 전기 길이를 조종하기 위한 돌기(1006)를 갖는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을 나타낸다. 제1의 유전성 매질 또는 캐리어는 참조부호 1101로 가리켜지고, 제2의 유전성 매질 또는 캐리어는 참조부호 1102로 가리켜지며, 접지평면은 참조부호 1103으로 가리켜진다. 제1 및 제2의 유전성 캐리어는 작은 거리를 두고 배열되므로 홈(110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방사수단(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부재(도시생략)가 상기 접지평면(1103)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약간 다른 새로운 실시예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른 실시예의 다른 형상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약간 다른 새로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Claims (13)

  1. 제1수축위치와 제2연장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방사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유닛 및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내에 배열된 제1회로에 대해서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방사수단과 함께 움직이도록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연결부재(306,307,308;801,802,803)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제1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유닛상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적으로 탑재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제2연결부재(309,310;903,904,905,906,907;1003,1004,100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는 함께 전송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를 포함하면서 제1 및 제2위치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제1개방 단부를 갖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로에 연결될 수 있는 제2단부를 갖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방사수단이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방사수단이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단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다수의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유전성 매질의 한 측면에 배열된 다수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상기 유전성 매질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된 접지평면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도전성 부재 중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에 힘을 가해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스트립 사이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각 부재는 상기 방사수단이 상기 제1과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는 접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매질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므로 대응하는 탄성이면서 도전성인 부재가 상기 접지평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수단이, 원형 편파의 RF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배열된 제1방사구조와,
    평면 편파의 RF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배열된 제2방사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구조는 위성에 대해 RF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고,
    여기서, 상기 제2방사구조는 지상에 기초하는 시스템에서 RF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수단은 수신되고 전송되는 RF신호를 나누고 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제1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방사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부터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고,
    제2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방사수단에 의해 수신된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며,
    제3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은 상기 제1과 제2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 사이에 배열되어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수단은 수신되고 전송되는 RF신호를 나누고 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제1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상기 제1방사구조에 의해 전송되는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부터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고,
    제2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상기 제1방사구조에 의해 수신된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며,
    제3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방사구조에 의해 전송되는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부터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고,
    제4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는 상기 제2의 방사구조에 의해 수신된 RF신호를 상기 제1회로로 유도하기 위해 배열되며,
    접지에 연결된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이 상기 제1과, 제2, 제3 및, 제4의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의 쌍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회로가 상기 방사수단상에 배열되고,
    다른 기다란 도전성 스트립과 대응하는 탄성부재가 전력과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로 공급하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는 저잡음증폭기나, 위상 네트워크, 커플러, 디플렉서 또는, 듀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017001974A 1998-08-19 1999-08-19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 KR100618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2772-5 1998-08-19
SE9802772A SE9802772D0 (sv) 1998-08-19 1998-08-19 Antenna device comprising sliding connector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84A KR20010072684A (ko) 2001-07-31
KR100618538B1 true KR100618538B1 (ko) 2006-08-31

Family

ID=2041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974A KR100618538B1 (ko) 1998-08-19 1999-08-19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92604B1 (ko)
JP (1) JP2002523949A (ko)
KR (1) KR100618538B1 (ko)
CN (1) CN1213508C (ko)
AU (1) AU5666399A (ko)
GB (1) GB2357637B (ko)
SE (1) SE9802772D0 (ko)
WO (1) WO20000117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5374D0 (en) * 2000-06-23 2000-08-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arrangement
US7262737B2 (en) * 2005-08-15 2007-08-28 Palm, Inc. Extendable antenna architecture
GB0700276D0 (en) * 2007-01-08 2007-02-14 Sarantel Ltd A dielectrically-loaded antenna
CN110323539B (zh) * 2018-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9342A1 (en) * 1996-08-29 1998-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799291A (en) * 1990-11-23 1992-05-28 Andrew Corporation Improved antenna structure
DK168346B1 (da) * 1991-03-19 1994-03-14 Dancall Telecom As Antennekonstruktion med udtrækkeligt antenneelement
GB2257835B (en) * 1991-07-13 1995-10-11 Technophone Ltd Retractable antenna
JP2795825B2 (ja) * 1995-06-30 1998-09-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3674172B2 (ja) * 1995-09-22 2005-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5963871A (en) * 1996-10-04 1999-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etractable multi-band antenn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9342A1 (en) * 1996-08-29 1998-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4014A (zh) 2001-09-19
SE9802772D0 (sv) 1998-08-19
KR20010072684A (ko) 2001-07-31
CN1213508C (zh) 2005-08-03
GB2357637A8 (en) 2001-07-19
GB2357637A (en) 2001-06-27
GB0103597D0 (en) 2001-03-28
WO2000011748A3 (en) 2000-06-02
US6392604B1 (en) 2002-05-21
GB2357637B (en) 2003-07-16
WO2000011748A2 (en) 2000-03-02
AU5666399A (en) 2000-03-14
JP2002523949A (ja) 200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3967B1 (en) Antenna apparatus
KR100666113B1 (ko) 적층구조의 내장형 다중대역 안테나
AU610439B2 (en) Extendable antenna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s
KR100299298B1 (ko) 휴대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장치
EP2942834B1 (en) Antenna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6380903B1 (en) Antenna systems including internal planar inverted-F antennas coupled with retractable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EP0829110B1 (en) Printed monopole antenna
US6016126A (en) Non-protruding dual-band antenna for communications device
US20050237244A1 (en) Compact RF antenna
WO2001008260A1 (en) Flat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WO1997039493A1 (fr) Dispositif radio portable
WO2001063695A1 (en) Compact, broadband inverted-f antennas with conductive element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EP1923951A1 (en) Antenna sub-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8193993B2 (en) Antenna sub-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20000010756A (ko) 매칭수단을 갖춘 안테나장치
KR20010052132A (ko) 연장 피드를 구비한 축소가능한 무선전화기 안테나
US20020123312A1 (en) Antenna systems including internal planar inverted-F Antenna coupled with external radiating element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US6249257B1 (en) Switched, dual helical, retractable, dual band antenna for cellular communications
KR100618538B1 (ko) 미끄럼 커넥터수단을 구비한 안테나장치
GB2347560A (en) Radio apparatus
US6041220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289225B1 (en) Retractable and pivotable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JPH09232854A (ja)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US5920293A (en) Radio frequency (RF) antenna coupler with an electrically extended ground plane
GB2370419A (en) Dual mode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