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89B1 -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89B1
KR100618389B1 KR20050018683A KR20050018683A KR100618389B1 KR 100618389 B1 KR100618389 B1 KR 100618389B1 KR 20050018683 A KR20050018683 A KR 20050018683A KR 20050018683 A KR20050018683 A KR 20050018683A KR 100618389 B1 KR100618389 B1 KR 10061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deband
chaos
dcsk
bro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기용 용
이성수
치아친 총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1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389B1/ko
Priority to PCT/KR2006/000770 priority patent/WO2006109925A1/en
Priority to US11/368,630 priority patent/US20060198522A1/en
Priority to JP2006061697A priority patent/JP200625444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0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chaotic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08Randomization, e.g. dummy operations or u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광대역-DCSK 변조방법은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광대역 혼돈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 정보신호와 지연된 광대역 혼돈신호를 승산하는 단계, 및 광대역 혼돈신호와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송신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APLL, 믹서, FM 변조기 등이 없이 구현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송신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광대역 혼돈신호를 이용한 변조를 수행하기 때문에, 잡음특성과 보안성능이 우수하고, 멀티패스에 강하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광대역 혼돈신호, 광대역-DCSK, 직교코드, PSD 마스크

Description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Wide band-DCSK modula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thereof, Wide band-DCSK demodulation metho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DCSK 변조를 수행하는 송신장치와 광대역-DCSK 복조를 수행하는 수신장치로 구축된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UWB-DCSK 통신시스템의 자기상관 분산을 나타낸 도면,
도 2b에 NB-DCSK 통신시스템의 자기상관 분산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UWB-DCSK, UWB-DCOOK, 및 NB-FM-DCSK 통신시스템들의 잡음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DCSK 변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은 광대역-DCSK 변조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파형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DCSK 복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는 광대역-DCSK 복조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송신장치 110 : UWB 혼돈신호 생성부
120 : T/2 지연부 130 : 승산부
140 : 스위칭부 200 : 수신장치
220 : 상관부 230 : 검출부
본 발명은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선형신호인 광대역 혼돈신호를 이용한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혼돈신호(Chaotic Signal)를 이용한 변조방식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바, 이하에서 이들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혼돈신호를 이용한 변조방식으로서, UWB-DCOOK(Ultra Wide Band-Direct Chaos On Off Keying) 변조방식을 들 수 있다. UWB-DCOOK 변조방식은 잡음성능(Noise Performance)이 나쁘며, 멀티패스(multipath)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는 비동기 변조방식이기 때문에, 다원접속(Multiple Access)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혼돈신호를 이용한 다른 변조방식으로서, NB-DCSK(Narrow Band-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들 수 있다. NB-DCSK 변조방식은 협대역 통신시 스템을 위한 변조방식이어서, UWB 통신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통신시스템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변조를 위해서는 APLL(Analog Phase Locked Loop)과 믹서가 필요한데, 이는 통신장비의 전력소모량과 제조단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전송되는 심볼마다 에너지가 균일하지 않아 수신신호의 자기상관 분산이 높아지는 바, 이는 수신단에서의 수신성능의 열화로 이어진다.
혼돈신호를 이용한 또 다른 변조방식으로서, NB-FM-DCSK(Narrow Band-Frequency Modulation-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들 수 있다. NB-FM-DCSK 변조방식은, NB-DCSK 변조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FM 변조기를 이용하여 심볼마다 에너지가 균일해지도록 한 변조방식이다. 그러나, NB-FM-DCSK 변조방식 역시 협대역 통신시스템을 위한 변조방식이어서, UWB 통신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통신시스템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NB-FM-DCSK 변조방식은 FM 변조기와 DCSK 변조기를 모두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이는 통신장비의 전력소모량과 제조단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통신시스템에 적용가능하고, 전력소모와 제조비용을 낯추며, 멀티패스에 강하고, 다원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대역 혼돈신호를 이용한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혼돈신호 생성부;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 정보신호와 상기 지연부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광대역 혼돈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출력하는 승산부; 및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와 상기 승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송신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기준 전력스펙트럼밀도 마스크에 부합하는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보신호는,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교코드는, 왈시코드 및 골드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부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반주기 지연시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법은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혼돈신호 생성단계;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단계; 정보신호와 상기 지연된 광대역 혼돈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출력하는 승산단계; 및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와 상기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송신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돈신호 생성단계는, 소정의 기준 전력스펙트럼밀도 마스크에 부합하는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돈신호 생성단계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보신호는,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교코드는, 왈시코드 및 골드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단계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반주기 지연시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는,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된 변조신호를 상관하여 상관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부; 및 상기 상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정보신호를 복원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복조방법은,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된 변조신호를 상관하여 상관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단계; 및 상기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정보신호를 복원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로 구축된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송신장치(100)는 비선형신호인 광대역 혼돈신호(Chaotic Signal)를 이용한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를 통해, 정보신호를 송신한다. 본 송신장치(100)는 UWB(Ultra Wide Band : 초광대역) 혼돈신호 생성부(110), T/2 지연부(120), 승산부(130), 스위칭부(140), 및 송신안테나(150)를 구비한다.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는 UWB 대역의 혼돈신호를 생성하여, T/2 지연부(120)와 스위칭부(140)로 각각 출력한다. UWB 혼돈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는 소정의 기준 전력스펙트럼밀도(Power Spectral Density : PSD) 마스크에 부합하는 UWB 혼돈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PSD 마스크는 FCC에서 규정한 것일 수 있다.
T/2 지연부(120)는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UWB 혼돈신호를 반주기(T/2) 지연시켜 승산부(130)로 출력한다.
승산부(130)는 T/2 지연부(120)에서 출력되는 UWB 혼돈신호와 입력되는 정보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산신호를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승산부(130)로 입력되는 정보신호는 직교코드(Orthogonal Codes)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가능한 직교코드로서, 왈시코드(Walsh Codes), 골드코드(Gold Codes) 등을 들 수 있다.
스위칭부(140)는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UWB 혼돈신호와, 승산부(130)에서 출력되는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동작한다. 스위 칭부(140)의 스위칭동작은 T/2마다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40)는 처음 T/2 동안에는 UWB 혼돈신호가, 다음 T/2 동안에는 승산신호가, 그 다음 T/2 동안에는 UWB 혼돈신호가, .... , 각각 출력되도록 스위칭동작한다.
스위칭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에 해당하며, 이 변조신호는 송신안테나(150)를 통해 수신장치(200)로 송신된다.
한편, 본 수신장치(200)는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광대역-DCSK 복조함으로서, 정보신호를 복원한다. 본 수신장치(200)는 수신안테나(210), 상관부(220), 및 검출부(230)를 구비한다.
상관부(220)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상관하여 상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관신호를 검출부(230)로 출력한다. 상관부(220)는 T/2 지연부(222), 승산부(224), 및 적분부(226)를 구비한다.
T/2 지연부(222)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반주기(T/2) 지연시켜 승산부(224)로 출력한다.
승산부(224)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와 T/2 지연부(222)에서 출력되는 반주기(T/2) 지연된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산신호를 적분부(226)로 출력한다.
적분부(226)는 승산부(224)에서 출력되는 승산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한다. 적분부(226)에서 출력되는 적분신호가 상관신호에 해당하며, 이 상관신호는 검출부(230)로 출력된다.
검출부(230)는 상관부(212)에서 출력되는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0' 또는 '1'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정보신호를 복원한다.
한편, 송신신호의 비트당 에너지가 균일하여야 수신장치(200)의 수신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송신신호의 비트당 에너지가 균일하지 않으면, 수신장치(200)에서의 자기상관 분산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수신장치(200)에서의 자기상관 분산은 전송대역폭과 비트폭에 반비례하므로, 전송대역폭과 비트폭을 크게 하면 자기상관 분산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전송대역폭과 비트폭이 너무 커지면 잡음성능(Noise Performance)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송대역폭과 비트폭은 상기한 양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수신장치(200)에서의 자기상관 분산을 낮추고 잡음성능이 열화되지 않도록 하는 전송대역폭으로 2㎓(3.1∼5.1㎓)이 적절하고, 비트폭으로 200㎱가 적절하다.
도 2a에는 상기한 조건에서 UWB-DCSK 통신시스템의 자기상관 분산을 나타었다. 도 2a에 도시된 UWB-DCSK 통신시스템의 자기상관 분산은, 도 2b에 도시된 NB-DCSK 통신시스템의 자기상관 분산 보다 훨씬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상기한 조건에서 UWB-DCSK 통신시스템의 잡음성능을, UWB-DCOOK, NB-FM-DCSK 통신시스템들의 잡음성능과 함께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UWB-DCSK 통신시스템의 잡음성능은 NB-FM-DCSK 통신시스템의 잡음성능과 대등하고, UWB-DCOOK 통신시스템의 잡음성능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보신호로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를 이용한 이유는 수신장치(200)의 복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직교코드는, 상호상관(Cross Correlation)이 '0'이고, 자기상관(Auto Correlation)이 '1'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보신호로서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를 이용하게 되면, 동일 주파수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원접속(Multiple Access)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본 송신장치(100)의 광대역-DCSK 변조과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DCSK 변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송신장치(100)에 마련된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는 UWB 대역의 혼돈신호를 생성한다(S310). S310단계에서 생성되는 UWB 혼돈신호는 소정의 기준 PSD 마스크에 부합하는 UWB 혼돈신호이다. 그리고, 전송대역폭은 2㎓(3.1∼5.1㎓)이고, 비트폭은 200㎱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5의 (a)에는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UWB 혼돈신호를 간략화하여 나타내었다.
그러면, T/2 지연부(120)는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UWB 혼돈신호를 반주기(T/2) 지연시킨다(S320). 도 5의 (b)에는, T/2 지연부(120)에서 반주기(T/2) 지연된 UWB 혼돈신호를 나타내었다.
그러면, 승산부(130)는 T/2 지연부(120)에서 반주기(T/2) 지연되는 UWB 혼돈 신호와 입력되는 정보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생성한다(S330). S330단계에서 입력되는 정보신호는 왈시코드, 골드코드 등과 같은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c)에는 정보신호로서 "1 0 0 1"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5의 (d)에는 "1"이 [1 1]로 "0"이 [1 -1]로 각각 부호화되도록 하는 왈시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5의 (e)에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반주기(T/2) 지연된 UWB 혼돈신호와, 도 5의 (d)에 나타낸 왈시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의 승산함으로서 생성되는 승산신호를 나타내었다.
그러면, 스위칭부(140)는 UWB 혼돈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UWB 혼돈신호와, 승산부(130)에서 생성되는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동작한다(S340). 스위칭부(140)의 스위칭동작은 T/2마다 이루어진다.
도 5의 (f)에는 도 5의 (a)에 나타낸 UWB 혼돈신호와, 도 5의 (e)에 나타낸 승산신호가 T/2마다 번차례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동작함으로서 생성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처음 T/2 동안에는 UWB 혼돈신호가, 다음 T/2 동안에는 승산신호가, 그 다음 T/2 동안에는 UWB 혼돈신호가, .... , 각각 출력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것으로 하였다.
스위칭부(140)에서 출력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는 송신안테나(150)를 통해 수신장치(200)로 송신된다.
이하에서는, 본 수신장치(200)의 광대역-DCSK 복조과정에 대해,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DCSK 복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7는 광대역-DCSK 복조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수신장치(200)의 상관부(220)에 마련된 T/2 지연부(222)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반주기(T/2) 지연시킨다(S410).
도 7의 (a)에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도 5의 (f)에 나타낸 신호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7의 (b)에는, T/2 지연부(222)에서 반주기(T/2) 지연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나타내었다. 도 7의 (a)와 (b)에서 빗금친 부분은 기준신호에 해당하고, 빗금없는 부분이 정보신호에 해당한다.
그러면, 승산부(224)는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광대역-DCSK 변조신호와 T/2 지연부(222)에서 출력되는 반주기(T/2) 지연된 광대역-DCSK 변조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생성한다(S420). 그리고, 적분부(226)는 승산부(224)에서 출력되는 승산신호를 적분한다(S430). 적분부(226)에서 출력되는 적분신호는 상관신호에 해당한다.
도 7의 (c)에는 적분부(226)에서 출력되는 상관신호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도 5의 (c)에 도시된 신호를 반주기(T/2) 지연시킨 신호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검출부(230)는 적분부(226)에서 출력되는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0' 또는 '1'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정보신호를 복원한다(S440).
지금까지, 광대역-DCSK 변조방법과 광대역-DCSK 복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 다. 이와 같은 변/복조방법은 광대역 통신시스템, 특히, UWB 통신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PLL, 믹서, FM 변조기 등이 없이 구현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송신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 혼돈신호를 이용한 변조를 수행하기 때문에, 잡음특성과 보안성능이 우수하고, 멀티패스에 강하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신장치의 복조성능이 향상되게 되고, 다원접속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발생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혼돈신호 생성부;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지연시켜 출력 하는 지연부;
    정보신호와 상기 지연부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광대역 혼돈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출력하는 승산부; 및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와 상기 승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송신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기준 전력스펙트럼밀도 마스크에 부합하는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 생성부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코드는,
    왈시코드 및 골드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반주기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혼돈신호 생성단계;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단계;
    정보신호와 상기 지연된 광대역 혼돈신호를 승산하여 승산신호를 출력하는 승산단계; 및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와 상기 승산신호가 번차례로 송신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 생성단계는,
    소정의 기준 전력스펙트럼밀도 마스크에 부합하는 광대역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 생성단계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혼돈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직교코드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코드는,
    왈시코드 및 골드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단계는,
    상기 광대역 혼돈신호를 반주기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 변조방법.
  13.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된 변조신호를 상관하여 상관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부; 및
    상기 상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정보신호를 복원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4.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된 변조신호를 상관하여 상관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단계; 및
    상기 상관신호의 레벨검출을 통해, 정보신호를 복원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DCSK(Differential Chaos Shift Keying) 복조방법.
KR20050018683A 2005-03-07 2005-03-07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KR10061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8683A KR100618389B1 (ko) 2005-03-07 2005-03-07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PCT/KR2006/000770 WO2006109925A1 (en) 2005-03-07 2006-03-06 Wide band-dcsk modula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thereof, wide band-dcsk demodulation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11/368,630 US20060198522A1 (en) 2005-03-07 2006-03-07 Wide band-DCSK modula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thereof, wide band-DCSK demodulation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JP2006061697A JP2006254443A (ja) 2005-03-07 2006-03-07 広帯域−dcsk変調方法、それを適用した送信装置、広帯域−dcsk復調方法、およびそれを適用した受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8683A KR100618389B1 (ko) 2005-03-07 2005-03-07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389B1 true KR100618389B1 (ko) 2006-09-01

Family

ID=3694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8683A KR100618389B1 (ko) 2005-03-07 2005-03-07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98522A1 (ko)
JP (1) JP2006254443A (ko)
KR (1) KR100618389B1 (ko)
WO (1) WO20061099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2425B2 (en) 2012-08-14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sing dual band pass filter
CN113784381A (zh) * 2021-10-13 2021-12-10 厦门大学 基于混沌压缩感知的超宽带通信系统测量矩阵设计方法
CN117118790A (zh) * 2023-10-23 2023-11-24 广东工业大学 基于码块索引调制的dcsk通信方法及相关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0492B (zh) * 2010-11-01 2012-10-10 重庆盖尔乐普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正交码复用的差分混沌移位键控调制解调方法
US20120170618A1 (en) * 2011-01-04 2012-07-05 ABG Tag & Traq, LLC Ultra wideband time-delayed correlator
CN106161310B (zh) * 2016-07-21 2019-05-17 南京邮电大学 一种多载波差分混沌移位键控调制解调方法及调制解调器
CA3031607C (en) 2016-07-28 2021-06-0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transmitter, optical receiver, optical data transmission system, optical transmission method, and optical reception method
CN106357576B (zh) * 2016-10-28 2019-08-06 河南理工大学 基于哈达玛矩阵的相关延迟键控混沌通信方法
CN113055154B (zh) * 2021-03-26 2022-04-22 湖南工学院 可重复混沌扩频dcsk调制解调方法及调制解调器
CN113242198B (zh) * 2021-04-29 2022-06-21 福州大学 一种基于Walsh码的PI-DCSK调制解调方法及系统
CN114944875B (zh) * 2022-05-06 2023-05-16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超正交电光混沌保密通信系统和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1974B1 (en) * 1997-06-23 2001-1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aotic digital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s
US6212239B1 (en) * 1998-01-09 2001-04-03 Scott T. Hayes Chaotic dynamics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through dropouts in symbolic dynamics digital communication signals
WO2000074331A1 (en) * 1999-05-27 2000-12-07 Nortel Networks Limited A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haotic signal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extracting chaotic signals
US6552588B1 (en) * 2001-10-05 2003-04-22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pseudo-random non-periodic digital sequences
US7711116B2 (en) * 2003-07-08 2010-05-04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digital messages
US7593531B2 (en) * 2004-05-07 2009-09-22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eiving chaotic signals
KR100757471B1 (ko) * 2005-12-08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Igi 가 삽입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2425B2 (en) 2012-08-14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sing dual band pass filter
CN113784381A (zh) * 2021-10-13 2021-12-10 厦门大学 基于混沌压缩感知的超宽带通信系统测量矩阵设计方法
CN113784381B (zh) * 2021-10-13 2024-02-27 厦门大学 基于混沌压缩感知的超宽带通信系统测量矩阵设计方法
CN117118790A (zh) * 2023-10-23 2023-11-24 广东工业大学 基于码块索引调制的dcsk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7118790B (zh) * 2023-10-23 2023-12-22 广东工业大学 基于码块索引调制的dcsk通信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9925A1 (en) 2006-10-19
US20060198522A1 (en) 2006-09-07
JP2006254443A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389B1 (ko) 광대역-dcsk 변조방법, 이를 적용한 송신장치, 광대역-dcsk 복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수신장치
Kaddoum et al. Design of a high-data-rate differential chaos-shift keying system
US7660338B2 (en) Hybrid spread spectrum radio system
KR100665325B1 (ko) 온-오프 키잉을 적용한 코드분할 다중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7583582B2 (en) M-ary orthogonal keying system
US7787355B2 (en) M-ary orthogonal keying system
US7079567B2 (en) Digital modulation system using extended code set
US5687190A (en) Non-coherent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for detecting bit/symbol chip sequences using threshold comparisons of chip sequence correlations
Has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HSS and DSSS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US6674790B1 (e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concatenated spreading sequences to provide data modulated spread signals having increased data rates with extended multi-path delay spread
EP0817396B1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with transmitted reference
EP1077532A1 (en) Spread Spectrum Signal Generator and Decoder for Single Sideband Transmission
JP39176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機、無線受信機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5568507A (en) Geometric harmonic modulation (GHM) - analog implementation
US8102897B1 (e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 and method with plural chipping rates
Huang et al. Performances of impulse train modulated ultra-wideband systems
KR20010022743A (ko) 확산 스펙트럼 다중접속 코딩을 위한 구조
US8335288B2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Berber et al. Fading mitigation in interleaved chaos-based DS-CDMA systems for secure communications
Benedetto et al. Analysis of an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employing Gold sequences
Warty et al. Spreading codes for multiuser estimation in non coherent and non cooperative environments
JP2883775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法
JPH0964784A (ja) スペクトラム拡散伝送装置
Solms et al. Maximum entropy performance analysis of spread-spectrum multiple-access communications
Lau et al. Chaos-based modulation and demodulati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