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256B1 -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 - Google Patents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256B1
KR100618256B1 KR1020000040429A KR20000040429A KR100618256B1 KR 100618256 B1 KR100618256 B1 KR 100618256B1 KR 1020000040429 A KR1020000040429 A KR 1020000040429A KR 20000040429 A KR20000040429 A KR 20000040429A KR 100618256 B1 KR100618256 B1 KR 10061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hybacterium
sheet
generation
acid
arabi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788A (ko
Inventor
이토에이조
이토나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이페르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4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23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260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3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263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07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이페르멘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이페르멘텍
Publication of KR2001004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으로서는, 황색 포도상 구균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접종함으로써 해당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도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은 신규이며, 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수탁번호: FERM BP-6848)로서 미생물기탁을 위한 국제기탁당국에 기탁되어 있다.

Description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 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METHOD FOR ELIMINATING STAPHYLOCOCCUS AUREUS, NOVEL MICROORGANISM OF GENUS BRACHYBACTERIUM, AND CARE GARMENT, CARE SHEET OR CARE BEDCLOTHES, EACH BEING IMMOBILIZED WITH MICROORGANISM OF GENUS BRACHYBACTERIUM}
도 1은 4시간 배양후의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의 형태의 현미경사진을 표시한 도면
도 2는 24시간 배양후의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의 형태의 현미경사진을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침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까는 이불 2: 속솜
3: 직물이불잇 4: 브라키박테리움종 고정화 시트
5: 원적외선발생물고정화 시트
본 발명은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屬)의 신규의 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세균으로서는, 현재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브라키박테리움 콘글로메라툼(Brachybacterium conglomeratum)
브라키박테리움 패시움(Brachybacterium faecium)
브라키박테리움 네스테렌코비이(Brachybacterium nesterenkovii)
브라키박테리움 파라콘글로메라툼(Brachybacterium paraconglomeratum)
브라키박테리움 람노섬(Brachybacterium rhamnosum)
그러나, 이들 박테리움속의 세균의 산업적 이용성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브라키박테리움속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박테리움종(種)은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지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상기 박테리움종을 이용해서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브라키박테리움속에 속하는 신규의 유용한 균주를 발견해서 예의 탐색을 행한 결과,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다른 세균과 마찬가지로, 황색구균에 대한 항균기능을 지닌 균주를 분리하는 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 미생물을 제공하 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각각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 (1) 내지 (3)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1) 황색 포도상 구균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접종함으로써 해당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2) 하기의 균학적 성질을 지닌, 브라키박테리움속에 속하는 신규의 미생물.
1. 형태: 다형성 간상균(도 1 및 도 2 참조)
2. 그램염색성: +
3. 포자: -
4. 운동성: -
5. 산소에 대한 태도: 호기성
6. 옥사다제: -
7: 카탈라제: +
8. 군락의 색조: 황색계
9. 항산성: -
10. 간상-구균 사이클: +(도 1 및 도 2 참조)
11. 군락의 주변세포의 신장: -
12. 세포벽의 디아미노산: 메조-디아미노피멜산(전체세포로부터 의 산가수분해물에 의거해서 추정)
13. 글리콜릴시험: -(아세틸형)
14. 세포벽의 아리비노갈락탄폴리머: -(전체세포로부터의 산가수분해물에 의 거해서 추정)
15. 미콜산: -
16. 퀴논계: MK-7, MK-8
17. 균체내 DNA의 GC함량
(HPLC법에 의함): 72몰%
18. 질산염의 환원: +
19. 탈질반응; +
20. 메틸레드시험: -
21. V-P반응: -
22. 인돌의 생성: -
23. 황화수소의 생성:
TSI한천중에서: -
아세트산납한천중에서: -(아세트산납은 첨가하지 않고 아세트 산납시험지를 현탁해서 시험을 행하였 음)
24. 전분의 가수분해: +
25. 시트르산의 이용:
코서(Koser)의 배지: -
크리스텐센(Christensen)의 배지: -
26. 무기질소원의 이용:
질산염: -
암모늄염: 미약
27. 색소의 형성: +(황색계)
28. 우레아제: -
29. 옥시다제: -
30. 생육의 범위(맑은 고기스프를 이용해서 시험):
pH(0.5간격으로): 6.0 내지 10.0
온도(1℃간격으로): 9 내지 42℃
31. 산의 생성:
D-아라비노스: -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멜레지토스: -
D-리보스: -
32. 가스의 생성: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3)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및/또는 간호용 침구.
상기 신규의 브라키박테리움종의 균학적 성질의 시험 및 그들의 분류는, 하기 문헌에 따라 행하였다.
(1) 인터내셔널 저널 시스테마틱 박테리올로지(International Journal Systematic Bacterilology), 제 38권, 제 45쪽 내지 제 48쪽(1988).
(2) 인터내셔널 저널 시스테마틱 박테리올로지(International Journal Systematic Bacterilology), 제 42권, 제 74쪽 내지 제 78쪽(1992).
(3) 인터내셔널 저널 시스테마틱 박테리올로지(International Journal Systematic Bacterilology), 제 46권, 제 81쪽 내지 제 87쪽(1996).
(4) 인터내셔널 저널 시스테마틱 박테리올로지(International Journal Systematic Bacterilology), 제 45권, 제 160쪽 내지 제 168쪽(1995).
그 결과, 상기 미생물은, 다형성을 표시하는 무배아의 그람양성 간상균이기 때문에 브라키박테리움종으로 동정되었으나, 균체성분의 분석결과가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어느 균체종과도 일치하지 않아, 브라키박테리움속에 속하는 신규의 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균은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수탁번호: FERM BP-6848)로서 미생물기탁을 위한 국제기탁당국에 기탁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 미생물의 균학적 성질을 설명한다.
1. 형태: 다형성 간상균(도 1 및 도 2 참조)
2. 그램염색성: +
3. 포자: -
4. 운동성: -
5. 산소에 대한 태도: 호기성
6. 옥사다제: -
7: 카탈라제: +
8. 군락의 색조: 황색계
9. 항산성: -
10. 간상-구균 사이클: +(도 1 및 도 2 참조)
11. 군락의 주변세포의 신장: -
12. 세포벽의 디아미노산: 메조-디아미노피멜산(전체세포로부터 의 산가수분해물에 의거해서 추정)
13. 글리콜릴시험: -(아세틸형)
14. 세포벽의 아리비노갈락탄폴리머: -(전체세포로부터의 산가수분해물에 의 거해서 추정)
15. 미콜산: -
16. 퀴논계: MK-7, MK-8
17. 균체내 DNA의 GC함량
(HPLC법에 의함): 72몰%
18. 질산염의 환원: +
19. 탈질반응; +
20. 메틸레드시험: -
21. V-P반응: -
22. 인돌의 생성: -
23. 황화수소의 생성:
TSI한천중에서: -
아세트산납한천중에서: -(아세트산납은 첨가하지 않고 아세트 산납시험지를 현탁해서 시험을 행하였 음)
24. 전분의 가수분해: +
25. 시트르산의 이용:
코서(Koser)의 배지: -
크리스텐센(Christensen)의 배지: -
26. 무기질소원의 이용:
질산염: -
암모늄염: 미약
27. 색소의 형성: +(황색계)
28. 우레아제: -
29. 옥시다제: -
30. 생육의 범위(맑은 고기스프를 이용해서 시험):
pH(0.5간격으로): 6.0 내지 10.0
온도(1℃간격으로): 9 내지 42℃
31. 산의 생성:
D-아라비노스: -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멜레지토스: -
D-리보스: -
32. 가스의 생성: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은 일반영양배지의 어느 것에서도 잘 성장할 수 있다.
미생물의 배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27℃에서 양호하게 증식한다.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의 형태적 성질은 하기와 같다.
(1) 세포의 형 및 크기:
1-1. 육즙한천배지에서의 배양:
30℃, 6시간 배양의 경우, 1.2 내지 1.4×1.5 내지 1.9미크론 크기의 다형성의 단간상균 형태; 및
30℃, 24시간 배양의 경우, 1.2 내지 1.4×1.2 내지 1.5미크론 크기의 구균형태.
1-2. 육즙액체배지에서의 배양:
30℃, 24시간 배양의 경우, 1.0 내지 1.2×1.3 내지 1.4미크론 크기의 구균형태.
(2) 세포의 다형성
간상-구균형태 사이클을 지닌 다형성이 관찰됨(도 1 및 도 2 참조).
(3) 운동성이 확인되지 않음.
(4) 포자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음.
각 배지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미생물의 배양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육즙한천평판배지에서의 배양:
군락은 평활하고, 전체가장자리에서 광택이 관찰됨.
황색계의 군락색소의 생성이 관찰됨.
(2) 육즙액체배지에서의 배양:
배지전체에 있어서의 균의 생육 및 침전이 관찰됨.
표면피막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음.
(3) 육즙젤라틴천자(puncture)를 이용한 배양:
배지의 상부에 균의 생육이 관찰되나, 액화는 관찰되지 않음.
(4) 리트머스밀크에서의 배양:
배지전체에서 균의 생육이 관찰되나, 응고 또는 액화는 관찰되지 않음.
산의 형성은 약간 관찰되었음.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미생물은, 물이나 액체배지에 분산시켜 분산액의 상태에서 각종 용도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해당 미생물군을 담체에 고정해서 취급을 용이하게 한 담체고정화미생물군의 형태로 이용한다.
미생물군을 고정하기 위한 담체로서는, 미생물의 보존용량이 크고, 또 미생물의 활성화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로서는, 암석(예를 들면, 진주암 및 규조토) 또는 그 분쇄물, 조약돌, 모래, 플라스틱, 세라믹(예를 들면, 알루미나, 실리카, 천연제올라이트 및 합성제올라이트) 또는 탤크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다공질세라믹스, 다공질 플라스틱과 같은 연속 통기구성을 지닌 다공질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진주암의 분쇄물을 고온고압에서 유지하여 열처리한 후, 급격히 감압해서 다공질로 한 미세분말(상품명: 펄라이트)은, 균류를 양생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공질재료에 있어서, 통기구멍의 직경은 2 내지 1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또, 이와 같은 담체의 성상(형상)으로서는, 덩어리형상물, 과립, 분체, 미분말, 판형상물 또는 침형상물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되나, 바람직하게는, 평균입자크기가 2mm이하, 특히 50㎛ 내지 1mm 정도인 분말과립체이다. 또, 이와 같은 담체고정화 미생물군은, 필요에 따라, 천이나 망 등의 통수성이나 통기성이 좋은 용기에 수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이들외에, 리본이나 시트형상의 직포나 부직포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신규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브라키박테리움종은, 천이나 종이로 이루어진 의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천으로 이루어진 의류로서는, 직포나 부직포(이하, 담체라고 칭할 경우도 있음)로 만들어져 있다. 그 재료로서는, 목면, 마 등의 천연섬유 또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를 들 수 있고, 직포나 부직포로 이루어진 천 또는 종이를 기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키박테리움종은 천상에 고정되어 있다. 브라키박테리움종은 부분 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그렇지 않으면, 브라키박테리움종고정화 천 혹은 종이제의 리본을 의류에 꼬매거나 부착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의류를 구성하는 천의 일부의 재료로서는, 원적외선방사특성을 지닌 산화물세라믹스입자가,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혼입되어 있는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원적외선방사성 산화물세라믹스로서는, 점토에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등의 M금속산화물을 첨가해서 소결시킨 것을 들 수 있고; 산화물 세라믹스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ZrO2-SiO2계 세라믹스, Al2O 3-SiO2계 세라믹스, TiO2-Cr2O3계 세라믹스, Al2O3-(Si, Ti)C 2계 세라믹스 및 (Al, Fe, B, Cr)2O3-SiO2-(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산화물계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산화물세라믹스는, 체온과 거의 동일한 35.5 내지 36.5℃로 데웠을 때, 인체의 적외선흡수파장과 일치하는 파장피크가 8 내지 14㎛인 전자파를 방사하는 원적외선방사특성을 지닌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신규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브라키박테리움종은, 천이나 종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천으로 이루어진 시트로서는, 직포나 부직포(이하, 담체라고 칭할 경우도 있음)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담체상에 미생물군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미생물군(이하, 간단히 미생물군으로 약칭할 경우도 있음)의 분산액을 담체와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건조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미생물군을 직접 담체에 충분히 배양시켜도 된다.
담체상에 고정화되는 미생물군의 양은, 고정화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200억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 내지 100억개/㎤이다.
본 발명의 담체고정화된 미생물군은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균 및 제균에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은 양돈장이나 공중변소 등에 사용할 경우 탈취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키박테리움종고정화 의류나 시트는, 의외로 장기 요양자 등의 욕창방지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탈취효과도 확인되었다.
또, 상기 신규의 미생물은, 쥐에 의한 경구투여시험에 의해 그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효과로부터, 상기 브라키움박테리움종고정화 의류나 시트는, 간호용 의류나 간호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간호용 시트는, 그대로 또는 장신구가 부착된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를 내부에 포함시킨 침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침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까는 이불(즉, 요)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의한 까는 이불(1)의 단면도이다.
까는 이불(1)은, 속솜(2)을 직물이불잇(3)으로 둘러싼 것으로, 속솜(2)중에는, 그 전체에 걸쳐서 뻗어 있는 브라키박테리움종고정화 시트(4) 및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발생물고정화 시트(5)가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다.
속솜(2)으로서는, 통상의 목면, 양모, 진견, 카멜, 또는 폴리에스테르나 레 이온 등의 화학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직물이불잇(3)은 목면, 양모, 견, 또는 폴리에스테르나 레이온 등의 합성섬유를 이용해서 제작한 통상의 천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키박테리움종고정화 시트(4)는, 주로, 목면, 마 등의 천연섬유 또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를 이용해서 직포 또는 부직포의 형태로 형성된 천 혹은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종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천상에는 브라키박테리움종이 고정되어 있다.
원적외선발생물고정화 시트(5)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레이온 등의 합성섬유로, 원적외선방사특성을 지닌 산화물세라믹스입자가 바람직하게는 해당 섬유내부에 혼입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원적외선방사성 산화물세라믹스로서는, 점토에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등의 M금속산화물을 첨가해서 소결시킨 것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ZrO2-SiO2계 세라믹스, Al2O3-SiO2계 세라믹스, TiO2-Cr2O3계 세라믹스, Al2O3-(Si, Ti)C2계 세라믹스 및 (Al, Fe, B, Cr)2O3-SiO2-(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산화물계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물세라믹스는, 체온과 거의 동일한 35.5 내지 36.5℃로 데웠을 때, 인체의 적외선흡수파장과 일치하는 파장피크가 8 내지 14㎛인 전자파를 방사하는 원적외선방사특성을 지닌 것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브라키박테리움종 및 원적외선발생물을 각각 별개의 고정화시트에 고정화시켰으나, 동일한 고정화시트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 한, 고정화시트는 사용하지 않고, 속솜(2)에 직접 브라키박테리움종 및 원적외선발생물을 부착시켜도 되고, 또는 직물이불잇(3)에 부착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키박테리움종 및 원적외선발생물을 고정화시킨 직물이불잇(3)도, 브라키박테리움종 및 원적외선발생물을 함유하는 직물이불잇(3)으로 표현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다음과 같은 조성의 배지를 제조하였다.
배지:
펩톤: 5g
고기엑스: 5g
물: 500㎖
배지의 pH: 6.8±0.2.
이상의 조성의 배지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접종하고, 30℃에서 진탕배양을 행하였다. 상기 균이 대수기에 이르렀을 때, 살균한 생리식염수로 상기 배지를 희석하여 생균수를 약 1×108개/㎖로 조정하고, 이 조정액을 직접 황색 포도상 구균에 부어 접종한 바, 할로크로미즘(halochromism)이 관찰되었다. 상기 종이외의 브라키박테리움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실험을 행한 바, 이 경우에는, 상기 신규의 균주의 경우에 관찰되었던 것보다는 기능이 열화되었으나,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 할로크로미즘이 관찰되었다.
이와 별도로, 상기에서 얻어진 조정액을 원심분리기에 걸어, 균체를 분리하 한 후, 잘 세정하여, 담체에 부착시켜 분말로 하였다. 담체로서는, 규조토를 연소해서 분쇄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분말상태의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1개체 그대로 부패한 정어리에 끼얹은 후, 25℃에서 보관하였다. 2시간 보관후에 그 악취를 조사한 바, 명확하게 악취가 감소하였다. 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신선한 정어리에 끼얹어 25℃에서 보관한 바, 48시간 경과후에도 부패악취는 나지 않았다. 한편,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끼얹는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25℃에서 보관한 정어리는, 24시간후에 악취가 강하게 났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는 탈취작용 및 신선도보존작용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2: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하트인퓨전-부이용(Hart infusion-bouillon)배지에 접종해서 30℃에서 진탕배양을 행하였다.
상기 균이 대수기에 이르렀을 때, 상기 배지를 살균한 생리식염수에 희석해서, 생균수를 1×108개/㎖정도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조정액을 최종농도가 1×104개/㎠정도가 되도록 천이나 종이 등의 담체에 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재료를 건조시켜, 욕의(浴衣: bath robe)를 제작하였다.
이 욕의를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착용시킨 바, 6개월후에도 욕창은 생기지 않았다.
이 욕의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에는 마찬가지 환경의 환자에 있어서는, 빠르 게는 1개월후, 느리게는 3개월후에 욕창이 생겼다. 이들 환자의 어느 누구에 있어서도, 욕창방지용의 특별한 기구는 사용하지 않았다.
땀 등의 영양물에 의해 상기 균은 6시간후에는 3×107개/㎠까지 증식되었다. 이 증식된 브라키박테리움종의 할로크로미즘에 의해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할로크로미즘에 의해, 포도상 구균에 의해 발병하는 폐렴, 패혈증, 척수염, 포도상 구균장염, 포도상 구균성 열상같은 증후군 및 독소성 쇼크증후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시예 3:
브라키박테리움속의 균주 AAA-a를, 하트인퓨전-부이용(Hart infusion-bouillon)배지에 접종해서 30℃에서 진탕배양을 행하였다.
상기 균이 대수기에 이르렀을 때, 상기 배지를 살균한 생리식염수에 희석해서, 생균수를 1×108개/㎖정도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조정액을 최종농도가 1×104개/㎠정도가 되도록 천이나 종이 등의 담체에 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재료를 건조시켜, 90×180㎝의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 시트를, 누워서 지내는 환자의 침구에 사용한 바, 6개월후에도 욕창은 생기지 않았다. 또, 해당 균은, 땀 등의 영양물에 의해 6시간후에는 3×107개/㎠까지 증식되었다. 이 증식된 브라키박테리움종의 할로크로미즘에 의해,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거할 수 있고, 또는 황색 포도상 구군의 증식을 억제해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를 사용하지 않은 이외에는 마찬가지 환경의 환자에 있어서는, 빠르게는 1개월후에, 느리게는 3개월후에 욕창이 생겼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등에 의해, 포도상 구균에 의해 발병하는 폐렴, 패혈증, 척수염, 포도상 구균장염, 포도상 구균성 열상같은 증후군 및 독소성 쇼크증후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신규의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군은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균 및 제균에 효과가 있으며, 예를 들어, 양돈장이나 공중변소 등에 사용할 경우 탈취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본 발명의 브라키박테리움종고정화 의류나 시트는, 의외로 장기 요양자 등의 욕창방지효과를 발휘하고, 게다가, 탈취효과도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신규의 미생물은, 쥐에 의한 경구투여시험에 의해 그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로부터, 상기 브라키움박테리움종고정화 의류나 시트는, 간호용 의류나 간호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 간호용 시트는, 그대로 또는 장신구가 부착된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시트를 내부에 포함시킨 침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신규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의류나 침구 등은, 포도상 구균에 의해 발병하는 폐렴, 패혈증, 척수염, 포도상 구균장염, 포도상 구균성 열상같은 증후군 및 독소성 쇼크증후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황색 포도상 구균에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접종함으로써 해당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제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2. 하기의 균학적 성질을 지닌, 브라키박테리움속에 속하는 신규의 미생물.
    1. 형태: 다형성 간상균(도 1 및 도 2 참조)
    2. 그램염색성: +
    3. 포자: -
    4. 운동성: -
    5. 산소에 대한 태도: 호기성
    6. 옥사다제: -
    7: 카탈라제: +
    8. 군락의 색조: 황색계
    9. 항산성: -
    10. 간상-구균 사이클: +(도 1 및 도 2 참조)
    11. 군락의 주변세포의 신장: -
    12. 세포벽의 디아미노산: 메조-디아미노피멜산(전체세포로부터 의 산가수분해물에 의거해서 추정)
    13. 글리콜릴시험: -(아세틸형)
    14. 세포벽의 아리비노갈락탄폴리머: -(전체세포로부터의 산가수분해물에 의 거해서 추정)
    15. 미콜산: -
    16. 퀴논계: MK-7, MK-8
    17. 균체내 DNA의 GC함량
    (HPLC법에 의함): 72몰%
    18. 질산염의 환원: +
    19. 탈질반응; +
    20. 메틸레드시험: -
    21. V-P반응: -
    22. 인돌의 생성: -
    23. 황화수소의 생성:
    TSI한천중에서: -
    아세트산납한천중에서: -(아세트산납은 첨가하지 않고 아세트 산납시험지를 현탁해서 시험을 행하였 음)
    24. 전분의 가수분해: +
    25. 시트르산의 이용:
    코서(Koser)의 배지: -
    크리스텐센(Christensen)의 배지: -
    26. 무기질소원의 이용:
    질산염: -
    암모늄염: 미약
    27. 색소의 형성: +(황색계)
    28. 우레아제: -
    29. 옥시다제: -
    30. 생육의 범위(맑은 고기스프를 이용해서 시험):
    pH(0.5간격으로): 6.0 내지 10.0
    온도(1℃간격으로): 9 내지 42℃
    31. 산의 생성:
    D-아라비노스: -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멜레지토스: -
    D-리보스: -
    32. 가스의 생성: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3.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의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이 하기의 균학적 성질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의류:
    1. 형태: 다형성 간상균
    2. 그램염색성: +
    3. 포자: -
    4. 운동성: -
    5. 산소에 대한 태도: 호기성
    6. 옥사다제: -
    7: 카탈라제: +
    8. 군락의 색조: 황색계
    9. 항산성: -
    10. 간상-구균 사이클: +
    11. 군락의 주변세포의 신장: -
    12. 세포벽의 디아미노산: 메조-디아미노피멜산
    13. 글리콜릴시험: -(아세틸형)
    14. 세포벽의 아리비노갈락탄폴리머: -
    15. 미콜산: -
    16. 퀴논계: MK-7, MK-8
    17. 균체내 DNA의 GC함량
    (HPLC법에 의함): 72몰%
    18. 질산염의 환원: +
    19. 탈질반응; +
    20. 메틸레드시험: -
    21. V-P반응: -
    22. 인돌의 생성: -
    23. 황화수소의 생성:
    TSI한천중에서: -
    아세트산납한천중에서: -
    24. 전분의 가수분해: +
    25. 시트르산의 이용:
    코서(Koser)의 배지: -
    크리스텐센(Christensen)의 배지: -
    26. 무기질소원의 이용:
    질산염: -
    암모늄염: 미약
    27. 색소의 형성: +(황색계)
    28. 우레아제: -
    29. 옥시다제: -
    30. 생육의 범위(맑은 고기스프를 이용해서 시험):
    pH(0.5간격으로): 6.0 내지 10.0
    온도(1℃간격으로): 9 내지 42℃
    31. 산의 생성:
    D-아라비노스: -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멜레지토스: -
    D-리보스: -
    32. 가스의 생성: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5. 제 3항에 있어서, 취침용 의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의류.
  6. 제 3항에 있어서, 한쌍의 장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의류.
  7. 제 3항에 있어서, 한쌍의 양말 또는 전통의 일본식 양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의류.
  8. 제 3항에 있어서, 속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의류.
  9.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간호용 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이 하기의 균학적 성질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시트:
    1. 형태: 다형성 간상균
    2. 그램염색성: +
    3. 포자: -
    4. 운동성: -
    5. 산소에 대한 태도: 호기성
    6. 옥사다제: -
    7: 카탈라제: +
    8. 군락의 색조: 황색계
    9. 항산성: -
    10. 간상-구균 사이클: +
    11. 군락의 주변세포의 신장: -
    12. 세포벽의 디아미노산: 메조-디아미노피멜산
    13. 글리콜릴시험: -(아세틸형)
    14. 세포벽의 아리비노갈락탄폴리머: -
    15. 미콜산: -
    16. 퀴논계: MK-7, MK-8
    17. 균체내 DNA의 GC함량
    (HPLC법에 의함): 72몰%
    18. 질산염의 환원: +
    19. 탈질반응; +
    20. 메틸레드시험: -
    21. V-P반응: -
    22. 인돌의 생성: -
    23. 황화수소의 생성:
    TSI한천중에서: -
    아세트산납한천중에서: -
    24. 전분의 가수분해: +
    25. 시트르산의 이용:
    코서(Koser)의 배지: -
    크리스텐센(Christensen)의 배지: -
    26. 무기질소원의 이용:
    질산염: -
    암모늄염: 미약
    27. 색소의 형성: +(황색계)
    28. 우레아제: -
    29. 옥시다제: -
    30. 생육의 범위(맑은 고기스프를 이용해서 시험):
    pH(0.5간격으로): 6.0 내지 10.0
    온도(1℃간격으로): 9 내지 42℃
    31. 산의 생성:
    D-아라비노스: -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멜레지토스: -
    D-리보스: -
    32. 가스의 생성:
    L-아라비노스: -
    D-크실로스: -
    D-글루코스: -
    D-만노스: -
    D-프럭토스: -
    D-갈락토스: -
    말토스: -
    슈크로스: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D-소르비톨: -
    D-만니톨: -
    이노시톨: -
    글리세린: -
    전분: -.
  11. 제 9항에 의한 시트로 이루어진 침대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2. 제 9항에 의한 시트를 함유하는 모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포가 면모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4. 제 9항에 의한 시트를 함유하는 이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이, 덮는 이불, 홑이불 또는 까는 이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6. 제 9항에 의한 시트를 함유하는 침대용 매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17. 제 9항에 의한 시트를 함유하는 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KR1020000040429A 1999-07-14 2000-07-14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 KR10061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4099A JP4452346B2 (ja) 1999-07-14 1999-07-14 黄色ブドウ球菌の除菌方法および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新規微生物
JP1999-201040 1999-07-14
JP1999-212609 1999-07-27
JP21260999A JP4233695B2 (ja) 1999-07-27 1999-07-27 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微生物を担持させた介護用シート及び寝具
JP1999-212633 1999-07-27
JP21263399A JP4330714B2 (ja) 1999-07-27 1999-07-27 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微生物を担持させたことを特徴とする介護用衣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88A KR20010049788A (ko) 2001-06-15
KR100618256B1 true KR100618256B1 (ko) 2006-09-04

Family

ID=3752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429A KR100618256B1 (ko) 1999-07-14 2000-07-14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2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8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Antagonistic effects of intestinal Lactobacillus isolates on pathogens of chicken
Toba et al. Reutericin 6, a new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LA 6
CN109010899A (zh) 包含微生物抑制性组合物的卫生用品
US6264967B1 (en) Method for eliminating Staphylococcus aureus, novel microorganism of genus Brachybacterium, and care garment, care sheet or care bedclothes, each being immobilized with microorganism of genus Brachybacterium
Seo et al. Bile tolerant Lactobacillus reuteri isolated from pig feces inhibits enteric bacterial pathogens and porcine rotavirus
KR102176078B1 (ko) 유기물 중 탄수화물과 단백질 및 섬유소에 대한 분해능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300 균주를 포함하여 배양하는 고체배양 방법
Bagde et al. Improving the stability of bacteriocin extracted from Enterococcus faecium by immobilization onto cellulose nanocrystals
El Barnossi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sp. Gn-A11-18isolated from decomposing solid green household waste in water and soil against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CN114292781B (zh) 一种长双歧杆菌sysu-02及其应用
EP3180420B1 (en) Bacterium of bacillus subtilis ssp. shriramensis and uses thereof
CN101230327B (zh) 一株可产生铁载体的植物病原真菌拮抗菌及其应用
Mahony et al. Two bacteriophages of Clostridium difficile
El‐Bendary et al. Myco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Aspergillus caespitosus: Characterization, antimicrobial activities, cytotoxicity, and their performance as an antimicrobial agent for textile materials
Leggatt et al. Characterisa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plants during micropropagation
KR100618256B1 (ko) 황색 포도상 구균의 제균방법, 브라키박테리움속의 신규의미생물 및 각각 브라키박테리움속의 미생물을 고정화시킨간호용 의류, 간호용 시트 또는 간호용 침구
JP4918519B2 (ja) 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微生物を担持させた介護用衣料
JP4233695B2 (ja) 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微生物を担持させた介護用シート及び寝具
JP4330714B2 (ja) ブラキバクテリウム属に属する微生物を担持させたことを特徴とする介護用衣料
CN100560716C (zh) 草绿色链霉菌
JP3897750B2 (ja) 生ゴミの分解菌、微生物製剤、及び分解処理方法
NZ508017A (en) Garments and bed clothing, coated with microorganisms of genus Brachybacterium, that can prevent pneumonia, sepsis, myelitis, staphylococcal enteritis, staphylococcal burn-like syndrome and toxic shock syndrome
RU2215027C2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lactobacillus rhamnosus 12l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регулирующих микрофлору кишечника у детей раннего возраста
Trick et al. Characterization of Herpetosiphon spec.—A gliding filamentous bacterium from bulking sludge
RU2210592C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Bifidobacterium longum 58B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РЕГУЛИРУЮЩИХ МИКРОФЛОРУ КИШЕЧНИКА У ДЕТЕЙ РАННЕГО ВОЗРАСТА
KR101802930B1 (ko) 글루코노박터 우치무레 GFC-cellul15 균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