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225B1 - 정보수신방법,정보수신장치및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수신방법,정보수신장치및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225B1
KR100618225B1 KR1019980036465A KR19980036465A KR100618225B1 KR 100618225 B1 KR100618225 B1 KR 100618225B1 KR 1019980036465 A KR1019980036465 A KR 1019980036465A KR 19980036465 A KR19980036465 A KR 19980036465A KR 100618225 B1 KR100618225 B1 KR 10061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word
notice
cont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539A (ko
Inventor
고지 미우라
다케시 이마나카
히데미 헨미
사토시 마쯔우라
준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다음회 송신예정의 정보내용을 나타내는 다음회 키워드로 이루어지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부가정보를 합성하는 수신정보 합성부와, 수신정보 합성부에서 합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와 동시에 다음회 송신 예정정보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수신방법, 정보 수신장치 및 매체{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AND MEDIU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정보 송신장치로부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나 공중전화 회선 등을 통해 보내져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용 가능한 정보 수신방법, 정보 수신장치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터넷이나 PC통신 등과 같이 공중회선을 이용하여 동화상, 정지 화상, 음성, 문자, 프로그램 등의 정보 교환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이나 PC통신 어느 쪽의 경우도 정보의 입수자 측이 정보의 발신 기지에 액세스하여 발신기지의 기억장치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도입하는(다운로드) 형태를 취하고 있고, 입수자 측에서는 정보의 발신기지에 대하여 아무런 액션도 취하지 않고 정보를 얻을 수는 없다. 즉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과 같이 단지 채널을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는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입수자 측에서의 조작이 요구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에서는 선전 광고용이나 홍보용 정보 통신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통신의 과제에 대하여, 최근 정보의 발신기지로부터 정보를 수취하고 싶은 다수의 입수자 측에 공중회선을 통하여 액세스하고, 입수자 측(각 가정)에서의 정보의 필요 유무에 관계없이 정보를 입수자 측에 보내어 입수자 측에서 축적시켜 두도록 하고, 입수자 측에서는 데이터 축적장치(즉 데이터 수신장치)의 표시조작을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의 채널 선택과 같은 조작으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정보통신 시스템이 고안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계에서도 방송 신호가 포함된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통합 디지털 시스템(ISDB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시스템이라 함) 등이 알려져 있다. ISDB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그들을 통합 다중화 하여 송신하고 있어, 각종 정보의 통합 다중화에 대응하여 이들 정보의 그 밖의 수신측에서의 제어정보로서 사용하는 부가정보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면 뉴스, 스포츠, 일기예보, 레저정보, 프로그램 관련정보 등 각종 정보를 송신하는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공중회선의 통신용량의 증가나, 디지털 방송과 같은 원래 대역이 넓은 수단의 이용에 의해 대량의 정보가 송신되게 되면 수신장치로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에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정보제공 측으로서는 이용자가 계속적인 열람을 하여 주기를 원하는 요구 때문에 송신정보에 키워드를 부가하거나 송신 스케줄을 미리 송신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8-263410에서는 수신측에서 원하는 정보에 대한 키워드를 지정해두고, 수신정보에 부가된 키워드와 대조함으로써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수신 키워드만으로는 수신측으로서도 지정한 정보 이외의 것을 열람하지 않게 되어 새로운 정보를 발견할 기회가 감소하고, 송신측으로서도 새로운 이용자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수신단말의 소비전력의 증가가 문제로 되어, 이용자에게 있어서 불필요한 정보가 송신되고 있는 동안은 수신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고자 하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지만, 종래의 수신장치에서는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되어 올 예정의 정보의 내용을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정보량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 수신방법, 정보 수신장치 및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에 비해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정보 수신방법, 정보 수신장치 및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a)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 (b) 상기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는 예고정보; 및 (c)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단계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를 합성하여 나란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고정보는 제 2 콘텐츠 정보의 예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는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으로부터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고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고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을 갖는 제 2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며, 그 제 2 콘텐츠 정보에 앞서서 송신되어 오는 예고정보와 식별자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되어 오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상기 수신되어 오는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를 합성하여 나란히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수신정보 처리 및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예고정보는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수단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되고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관련되도록 하는 예고정보를 포함하는 예고정보, 및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로부터 상기 예고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예고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며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관련되도록 하는 예고정보를 포함하는 예고정보, 및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로부터 상기 예고정보를 분리하는 정보 분리수단; 상기 예고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재구성하는 정보 재구성수단; 및 재구성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어 오는 상기 관련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성 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는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7 발명은, 상기 예고정보는 예고 키워드이고, 상기 예고 키워드는 저장되며, 상기 예고 키워드를 판독하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예고 키워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8 발명은, 상기 예고정보는 예고 키워드이고, 상기 장치는 수신한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저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고 키워드를 판독하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정보 처리 및 표시수단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9 발명은,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상기 정보는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정보가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예고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의 만료일과, 상기 예고 키워드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식별자, 상기 예고 키워드 및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에 대한 상기 만료일 각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 키워드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시각과 상기 각 예고 키워드의 상기 각 만료일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그 만료일이 종료된 각 예고 키워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상기 정보의 예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0 발명은, 정보 수신장치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정보가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예고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의 만료일과, 상기 예고 키워드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 키워드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저장수단;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이 취득한 상기 현재시각과 상기 각 예고 키워드의 상기 만료일을 비교하는 만료일 비교수단; 상기 만료일 비교수단에 의해 그 만료일이 끝난 것으로 결정된 각 예고 키워드를 삭제하는 부가정보 삭제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상기 정보의 예고를 표시하는 관련정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1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내용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예고 키워드와 새롭게 수신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와,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2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내용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예약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과,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를 축적하는 예약 키워드 축적수단과, 상기 예약 키워드 축적수단에 축적된 예고 키워드와 상기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에 의해서 새롭게 수신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키워드 비교수단과, 이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5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의 상기 색인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색인들 중에서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색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6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의 색인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색인 표시수단; 상기 색인 중에서 색인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된 색인을 이용하여 예약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예약정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7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8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9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수단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수단과, 현재시각을 출력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과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으로 출력되는 현재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0 발명은,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1 발명은,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2 발명은,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정보 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도 송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와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키워드로부터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나란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3 발명은, 정보 수신장치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정보 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도 송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키워드와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키워드로부터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나란히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4 발명은,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에 상기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5 발명은,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에 상기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6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 상기 예고 키워드 및 내용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에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7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 상기 예고 키워드, 및 내용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에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8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의 만료일을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에 상기 만료일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9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의 만료일을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에 상기 만료일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0 발명은,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미리 대응 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1 발명은,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미리 대응 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2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일정시간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콘텐츠 정보에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3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일정시간 송신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특정한 콘텐츠 정보에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수단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특정 콘텐츠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과 동기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수단과, 현재시각을 출력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과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으로 출력되는 현재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4 발명은,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5 발명은,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6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이 항목 중에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양쪽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7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이 항목 중에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양쪽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8 발명은,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적어도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내용 키워드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와 같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에 대한 다른 키워드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의 표시 순서를 선정하여 이를 표시하고 수신정보의 예약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단계; 예약을 위해 지정된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예고 키워드와 새로이 수신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는 일방향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9 발명은, 정보 수신장치로서, 적어도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내용 키워드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와 같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에 대한 다른 키워드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예약 분류항목 저장수단; 상기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빈도 계산수단;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의 표시 순서를 선정하여 이를 표시하고 수신정보의 예약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수단; 예약을 위해 지정된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예약 키워드 저장수단; 상기 저장된 예고 키워드와 새로이 수신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키워드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는 일방향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0 발명은, 이미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분류항목의 빈도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 및 콘텐츠 정보 축적일시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하는 콘텐츠 정보의 후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1 발명은,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저장하는 예약 분류항목 저장수단; 상기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빈도 계산수단; 상기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일시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저장일시 저장수단;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 및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삭제하는 콘텐츠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선정하는 삭제후보 선정수단; 및 상기 삭제후보 선정수단에 의해 선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2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여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3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의 완료를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4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여,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5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의 완료를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정보 회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6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고, 축적이 완료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 키워드를 축적하여, 상기 축적한 내용 키워드를 정기적으로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7 발명은,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축적이 완료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 키워드를 축적하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축적수단과, 상기 축적 완료 콘텐츠 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된 내용 키워드를 정기적으로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정보 회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8 발명은, 제 5발명의 각 단계 또는 그 전부나 일부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l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101는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등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102는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부, 103은 정보 수신부(101)에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와 부가정보 수신부(102)에서 수신된 예고 키워드를 합성하는 수신정보 합성부, 104는 수신정보 합성부(103)에서 합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도 1에서는 정보 수신부(101), 부가정보 수신부(102)는 모두 위성방송의 수신수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 정보가 각각 다른 방송채널에서 방송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것과는 별개로 한쪽의 정보가 위성방송으로 보내지고, 다른 쪽 정보가 공중 전화회선으로 보내져 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정보 수신부(101)는 본 발명의 제 1 수신수단에, 부가정보 수신부(102)는 제 2 수신수단에 해당한다. 또 본 발명의 수신정보 처리·표시수단은 수신정보 합성부(103) 및 디스플레이부(104)를 포함하는 수단이다. 또 예고 키워드는 본 발명의 예고정보의 일례이지만,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좁은 의미의 키워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문자 이외의 숫자, 일러스트레이터나 도형 또는 색채가 실시된 문자·숫자·도형, 음성에 의한 정보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28에 도시한다. 또 도 28은 기본적으로 범용 계산기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며, 위성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수단이 추가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01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에까지 재구성된다. 복호후 데이터 부가된 식별자를 판단하여 예고 키워드인 경우에는 단계 202로,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20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 식별자에 대한 상기 판단은 정보 수신부(101)와 부가정보 수신부(102)의 쌍방에서 행하여진다. 어떤 채널이라도 여러 가지의 데이터가 다중화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패킷을 조합한 후에 식별자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중화 되어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송국부터의 통지나, 노래방 등의 다른 서비스 데이터 등이 생각된다.
단계 202에서는 수신정보 합성부(103)에 의해 예고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수신정보와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정보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기술되어 있다고 하고, 전용 브라우저로 열람되는 것으로 한다. 수신된 예고 키워드는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예고 키워드로부터 도 4의 (a)에 도시된 HTML 파일을 작성하고, 또 도 4의 (c)에 도시된 새로운 합성의 기초가 되는 파일을 작성한다.
단계 203에서는 수신정보 합성부(103)에 의해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예고 키워드와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202에서 준비한 기초가 되는 파일과 합성하기 위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명을 변경한다.
단계 204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4)에 의해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의 표시가 행해진다. 정보의 열람은 HTML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단계 202 및 단계 203에서 HTML의 프레임 태그를 이용하여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가 동시에 표시되 도록 합성되어 있으므로, 도 4의 (c)에 도시된 베이스 파일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콘텐츠 정보와 동시에 예고 키워드를 열람할 수 있다. 표시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용자는 수신정보 열람시에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인 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한다고 하였지만, 이들을 합성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상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콘텐츠 정보와, 예고 정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가,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복수종류의 콘텐츠 정보가 복수의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경우, 각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관한 내용의 예고정보가 어느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것인지는 이 관련성 정보가 없으면 수신장치에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또 이 관련성 정보는 별개로 보내져도 되고, 콘텐츠 정보가 예고정보의 어느 하나에 부가되어 보내져도 된다.
( 제 2 실시예 )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l에 도시된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601은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등의 콘텐츠 정보 중에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의 정보내용을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602는 정보 수신부(601)에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 중의 예고 키워드를 수신정보로부터 분리하는 정보 분리부이다.
또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정보 수신부(601)는 정보 수신수단에 해당하고, 정보 분리부(602)는 정보 분리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01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로까지 재구성된다. 재구성된 데이터에는 반드시 예고 키워드가 포함되고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가 텍스트, 화상 및 음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예고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은 통신 용량의 낭비가 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구성요소에 예고 키워드를 부가하도록 한다. 예고 키워드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식별자에 따라 판단되고,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702로,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705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702에서는 콘텐츠 정보 중의 예고 키워드를 수신정보로부터 분리한다. 예고 키워드가 포함되는 정보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예고 키워드 사이즈와 키워드가 연속하여 부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예고 키워드가 수신정보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다고 정해져 있는 경우, 선두로부터 지정 사이즈를 판독하여 예고 키워드의 사이즈를 안다. 그 후 판독된 장소로부터 판독된 예고 키워드의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예고 키워드를 분리한다.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서 예고 키워드 사이즈의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에는 부호 801을, 예고 키워드의 저장영역에는 부호 802를, 또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에는 부호 803을 붙였다. 영역 803에는 콘텐츠 정보로서 HTML 파일이나 AV 데이터 스트림이 저장된다.
단계 703∼706은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 201∼204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용자는 수신정보 열람시에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의 정보의 내용 확인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한다고 하였지만, 이들은 합성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상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 제 3 실시예 )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9에서 901은 수신한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별로, 예고 키워드를 축적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에서 상기 분류 항목은 송신되는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따라 방송국 측에서 미리 작성된 것이며, 부가정보에 포함시켜 송신된다.
또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는 본 발명의 부가정보 축적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00l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로까지 재구성된다. 복호 후 데이터 부가된 식별자를 판단하여 부가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1002로,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100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002에서는 수신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부가정보는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로 구성되고, 그 포맷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포맷에 따라 인출된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이전 수신된 분류항목에 대한 예고 키워드를 새롭게 수신한 경우에는, 그 예고 키워드는 겹쳐 쓰기(overwrite)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가 표 형식으로 축적되어 있다.
단계 1003에서는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행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단계 1004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005에 처리를 이행한다. 이용자가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리모콘의 키나 화면상의 GUI를 이용한다. 즉 예고 키워드의 열람의 판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표시된 메뉴를 리모콘 등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은 디스플레이부(104)가 담당하게 되고, 예고 키워드의 열람의 디스플레이부(104)에서 행해진다.
단계 1004에서는 예약 키워드를 표시한다. 예약 키워드의 표시에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를 모든 분류항목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한다. 표시 예를 도 12에 도시한다.
단계 l005에서는 콘텐츠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는 HTML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보의 열람은 HTML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용자는 분류항목마다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의 정보 내용확인이 가능해진다.
또 제 3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예고 키워드의 축적 및 표시를 하였지만 반드시 계층적으로 행할 필요는 없다.
( 제 4 실시예 )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서 1301은 수신한 정보가 속하는 분류항목마다 예고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을 축적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 1302는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클록, 1303은 클록(1302)에 의해 취득된 현재시각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을 비교하는 유효기한 비교부, 1304는 유효기한 비교부(1303)에 의해 유효기한이 지났다고 판단된 예고 키워드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는 부가정보 삭제부이다.
또 상기 구성요소에서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1301)는 부가정보 축적수단에 클록(1302)은 현재시각 취득수단에 해당하고, 유효기한 비교부(1303)는 유효기한 비교수단에 해당하며, 부가정보 삭제부(1304)는 부가정보 삭제수단에, 디스플레이부(104)는 관련정보 디스플레이 수단에 해당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1401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에까지 재구성된다. 복호 후 데이터 부가된 식별자를 판단하여, 부가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1402로,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1404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402에서는 수신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부가정보는 분류항목, 예고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으로 구성되며, 그 포맷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포맷에 따라 인출된 분류항목, 예고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이전 수신된 분류항목에 대한 예고 키워드를 새롭게 수신한 경우에는 그 정보는 겹쳐 쓰기 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항목, 예고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이 표 형식으로 유효기한의 순서로 축적되어 있다.
단계 1403에서는 유효기한이 지난 예고 키워드를 체크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예고 키워드를 유효기한의 순서로, 현재시각과 비교하여 유효기한이 지난 것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한다.
단계 1404∼단계 1406은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계 1003∼1005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용자는 분류항목마다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의 정보 내용확인이 가능해진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5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서 1601은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된 예고 키워드를 본 사용자가 수신정보를 예약지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 1602는 키 입력부(1601)에 의해 예약된 정보의 예고 키워드를 예약 키워드로서 축적하고, 그 예고 키워드의 분류항목도 대응시켜 축적하는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이다. 1603은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예약 키워드와, 부가정보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키워드 비교부이다. 여기에서 내용 키워드는 부가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현재 송신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키워드이다. 1604는 키워드 비교부(1603)에 의해 예약된 콘텐츠 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그 수신정보를 축적하는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또 키워드 비교부(1603)는 상기 비교 결과, 쌍방의 키워드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예약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대하여 정보 수신부(101)로부터 그 내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의 기록을 지시하는 수단이다.
또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키 입력부(160l)는 본 발명의 예약 지정수단에 해당하고, 예약키워드 데이터베이스(1602)는 예약 키워드 축적수단에 해당하고, 키워드 비교부(1603)는 키워드 비교수단에 해당하며,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는 예약정보 축적수단에, 부가정보 수신부(102)는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701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로까지 재구성된다. 복호 후 데이터 부가된 식별자를 판단하여 부가정보의 경우에는 단계 1702로, 콘텐츠 정보의 경우에는 단계170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702에서는 수신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부가정보는 분류항목, 내용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로 구성되고, 그 포맷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포맷에 따라 인출된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이전 수신된 분류항목에 대한 예고 키워드를 새롭게 수신한 경우에는, 그 예고 키워드는 겹쳐 쓰기 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항목과 예고 키워드가 표 형식으로 축적되어 있다.
단계 1703에서는 수신정보가 이용자에 의해서 예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키워드와 이번 수신한 부가정보에 포함되는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은 경우에는 단계 1704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705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704에서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단계 1705에서는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단계 1706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709로 처리를 이행한다. 이용자가 예고 키워드의 열람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리모콘의 키나 화면상의 GUI를 이용한다.
단계 1706에서는 예고 키워드를 표시한다. 예고 키워드의 표시에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를 모든 분류항목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한다.
단계 l707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고 키워드로부터 예약을 접수한다. 예약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709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708에서는 키 입력부에서 키 입력을 접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GUI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예고 키워드를 지정한다. 지정된 예고 키워드는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다. 지정된 예고 키워드는 다음회의 정보 수신시부터 유효하게 된다.
단계 1709에서는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계 1005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한다.
또 제 5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6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에서 1801는 인덱스 작성부이다. 인덱스 작성부(1801)는 키워드 비교부(1603)로부터의 지시를 얻어, 예약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기록되는 콘텐츠 정보에 부가하기 위한 인덱스를 작성하는 수단이다. 또 인덱스 작성부(180l)는 본 발명의 예약정보 작성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901∼단계 1902는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1701∼l702와 같은 동작을 한다.
단계 1903에서는 수신정보가 이용자에 의해 예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키워드와 이번 수신한 부가정보에 포함되는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은 경우에는 단계 1904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906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1904에서는 정보 수신부(l01)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수신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l604)에 축적한다.
단계 1905에서는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축적된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분류항목 및 내용 키워드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축적한다.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항목, 내용 키워드 수신정보를 표 형식으로 대응시켜 보존하고 있다.
단계 1906∼단계 1910은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5∼17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약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인덱스로서, 분류항목이나 예약 키워드(도 20 참조)를 작성하여 콘텐츠정보와 동시에 저장한다. 또 제 6 실시예에서는 분류항목에 계층을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더욱 상세히 분류하기 위해 다단계층을 설치해도 된다.
또 제 6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7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에서 2101은 인덱스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시키기 위한 인덱스 표시 제어부이다. 2102는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된 인덱스를 본 사용자가 표시되어 있는 인덱스를 선택하기 위한 인덱스 선택부이다. 2103은 인덱스 선택부(2102)에서 선택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콘텐츠 정보나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시키기 위한 예약정보 표시제어부이다.
또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인덱스 표시 제어부(2101)는 본 발명의 인덱스 표시수단에 해당하고, 인덱스 선택부(2102)는 인덱스 선택수단에 해당하며, 예약정보 표시제어부(2103)는 예약정보 표시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2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201∼단계 2210은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단계 1901∼단계 1910과 같은 처리를 한다.
단계 2211에서는 이용자가 예약정보를 열람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예약정보의 열람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단계 2212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용자가 예약정보의 열람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리모콘의 키나 화면상의 GUI 등을 이용한다.
단계 2212에서는 예약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방법의 일례로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화면의 왼쪽에는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분류항목과 키워드를 표시하고, 리모콘 등의 선택수단으로 그들을 선택함으로써 화면의 오른쪽에 선택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약된 정보를 표시·열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제 7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8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16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에서 2401은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클록, 2402은 수신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이다. 전원공급 제어부(2402)는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l602)에 축적되어 있는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와 클록(2401)으로부터 취득한 현재일시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 정보 수신부(101)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2403은 송신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 정보가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기간(이하, 이것을 수신기간이라 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부이다. 또 송신국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수신기간에 대한 정보에는 그 콘텐츠 정보(예를 들면, 방송프로)의 방송 채널을 특정하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클록(2401)은 본 발명의 현재시각 취득수단에 해당하고, 전원공급 제어부(2402)는 전원공급 제어수단에 해당하며, 수신기간 수신부(2403)는 수신기간 수신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501에서는 정보 수신부(101)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이 축적되어 있다. 그 일시와 클록(2401)으로부터 취득한 현재일시를 전원공급 제어부(2402)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2502로 처리를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501을 반복한다.
또 통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송신시간(송신시각과 수신시각의 오차, 즉 송신에 걸리는 시간)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 송신시간을 상술한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에 가산한 것을 다음 회 송신 예정 일시로서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장치측에서,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수신장치측의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달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미리 수신장치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신장치측에 보정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 송신장치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에는 상술한 송신시간은 가산되어 있지 않다.
단계 2502에서는 전원공급 제어부(2402)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정보 수신부(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보 수신을 시작시킨다. 또한 정보 수신부(101)에서의 수신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단계 2503에서는 상기 수신시간과, 수신기간 수신부(2403)에 의해 수신되고, 그 후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송신되어 기록되어 있는 수신기간을 전원공급 제어부(2402)가 비교한다. 그리고 수신시간 쪽이 수신기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단계 2503을 반복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504로 처리를 이행하고, 정보 수신부(101)로의 전원공급을 종료시킨다.
또 예를 들면 일반 공중회선 등과 같이 통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수신기간이 미리 예측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느린 통신 속도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계산한 기간을 상기 수신기간으로서 송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콘텐츠 정보의 송신완료를 표현하는 식별자를 콘텐츠 정보의 마지막에 부가해 둔다. 그리고 수신장치에서는 그 식별자를 수신 후 즉시 전원정보 수신부(101)로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킨다.
또 이것과는 달리 송신기간과 수신기간의 오차가 미리 예측되는 경우로서, 송신될 예정인 콘텐츠 정보의 송신기간이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수신장치에 다음과 같은 예측수단을 구비하면 된다. 즉 그 예측수단이란 수신장치가 미리 수신한 상기 송신기간에 대하여 통신로의 상태에 따른 보정을 가한 기간을 상술한 수신기간으로서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 상기 오차를 송신측에서 미리 고려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계 2504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파는 스트림에서 패킷으로 조립되고, 또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성단위(예를 들면 파일, 프로그램 등)로까지 재구성된다. 복호 후 데이터 부가된 식별자를 판단하여 부가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2505로, 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2506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2505에서는 수신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부가정보는 분류항목, 내용 키워드, 예고 키워드,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으로 구성되고, 그 포맷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포맷에 따라 인출된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추가된다. 이전 수신된 분류항목에 대한 예고 키워드를 새롭게 수신한 경우에는 그 예고 키워드는 겹쳐 쓰기 된다.
단계 2506에서는 정보 수신부(101)에서 수신한 수신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04)에 축적한다.
단계 2507∼단계 2511은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5∼17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 수신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킨다.
또 제 8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 수신기간 수신부에 있어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전원 제어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정보의 도착시각 및 수신기간을 이용하여 정보의 취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키워드 비교부(1603)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6에서 서술한 키워드 비교부(1603)를 설치하고, 시각의 비교에 덧붙여 키워드의 비교도 행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방송예정 일시가 변경이 된 경우나, 방송채널이 변경이 된 경우에도 더욱 확실하게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 제 9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6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에서 2601은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클록, 2602는 수신부 및 부가정보 수신수단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 2603은 수신기간 수신부이다.
또 상기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클록(2601)은 본 발명의 현재시각 취득수단에 해당하고, 전원공급 제어부(2602)는 전원공급 제어수단에 해당되며, 수신기간 수신부(2603)는 수신기간 수신수단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8 실시예에서 서술한 구성(도 24 참조)에, 추가로 키워드 비교부(1603)를 설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시각의 비교에 의해서만 프로그램 녹화를 개시하는지의 여부를 정하는 상기 제 8 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의 방송예정 일시가 변경된 경우나, 방송채널이 변경된 경우에도 키워드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예약한 프로그램의 녹화를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701에서는 정보 수신부 및 부가정보 수신부에 전원공급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이 축적되어 있다. 그 송신 예정일시와 클록(2601)으로부터 취득한 현재일시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2702로 처리를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701을 반복한다.
또 통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송신시간(송신시각과 수신시각의 오차, 즉 송신에 걸리는 시간)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 송신시간을 상술한 다음 회 송신예정 일시에 가산한 것을 다음 회 송신 예정 일시로서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장치측에서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수신장치측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달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미리 수신장치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신장치측에 보정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 송신장치 측에서 송신되는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에는 상술한 송신시간은 가산되어 있지 않다.
단계 2702에서는 정보 수신부 및 부가정보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보 수신을 시작시킨다. 또한 수신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단계 2703에서는 수신시간과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수신기간을 비교하여 수신시간 쪽이 짧은 경우에는 단계 2703을 반복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704로 처리를 이행하고, 정보 수신부 및 부가정보 수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종료시킨다.
또 예를 들면 일반 공중회선 등과 같이 통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수신기간이 미리 예측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느린 통신 속도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계산한 기간을 상기 수신기간으로서 송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콘텐츠 정보의 송신완료를 표현하는 식별자를 콘텐츠 정보의 마지막에 부가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에서는 그 식별자를 수신한 후 즉시 전원정보 수신부(101)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킨다.
또 이것과는 달리 송신기간과 수신기간의 오차가 미리 예측되지 않는 경우로서 송신될 예정의 콘텐츠 정보의 송신기간이 송신측에서 송신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수신장치에 상기 제 8 실시예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예측수단을 구비하면 된다.
단계 2704∼단계 2705는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단계 2504∼2505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단계 2706∼단계 2712는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3∼17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 수신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킨다.
또 제 9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 수신기간 수신부에 있어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전원 제어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정보의 도착시각 및 수신기간을 이용하여 정보의 취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 제 10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9는 도 24에 도시된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에서 2901은 특정 콘텐츠 정보의 송신되는 시간과 동기하여 수신부 및 부가정보 수신수단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부이다.
또 상기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부(2901)는 본 발명의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3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001에서는 정보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정보에 대한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과, 각 예고 키워드에 대한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이 축적되어 있다. 특정한 정보는 예를 들면 뉴스나 일기예보와 같은 일반성이 높은 것이다. 이러한 일반성이 높은 정보는 이용자에게 열람되는 것이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특정정보에 대한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을 보존한다. 정보송신측에서는 특정 정보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예고 키워드를 확실히 정보 수신측에 송신하기 위해 정보송신측에서는 예고 키워드를 특정정보 정보 송신시에 동시에 송신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송신 예정일시와 클록(2401)으로부터 취득한 현재일시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3002로 처리를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001을 반복한다.
또 통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송신시간(송신시각과 수신시각의 오차, 즉 송신에 걸리는 시간)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 송신시간을 상술한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에 가산한 것을 다음 회 송신 예정 일시로서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장치측에서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수신장치측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달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을 미리 수신장치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신장치측에 보정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 송신장치 측에서 송신되는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에는 상술한 송신시간은 가산되어 있지 않다.
단계 3002∼단계 3011은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단계 2502∼단계 2511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 수신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특정정보 및 예고 키워드를 확실하게 수신한다.
또 제 10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 수신기간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전원 제어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정보의 도착시각 및 수신기간을 이용하여 정보의 취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 제 11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2는 도 16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에서 3201은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 3202는 빈도 계산부, 3203은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부, 3204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또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3201)는 지금까지 예약된 예고 키워드가 첨부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의 분류항목을 축적하는 수단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3201)는 본 발명의 예약 분류항목 축적수단에 해당하고, 빈도 계산부(3202)는 빈도 계산수단에 해당하고,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부(3203)는 표시순서 선정수단에 해당하며, 디스플레이부(3204)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3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301∼단계 3305는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1701∼1705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306에서는 예고 키워드를 표시한다. 예고 키워드의 표시에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를 모든 분류항목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3204)에 표시한다. 표시하는 분류항목의 순서는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3201)에 기억되는 빈도에 따라 행해진다. 이 빈도는 빈도 계산부(3202)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부(3203)에서 표시순서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표시순서는 예약된 정보를 많이 포함하는 분류 항목부터 표시한다.
여기에서 빈도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3201)에는 지금까지 예약된 예고 키워드의 분류항목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순서로 축적되어 있다. 빈도 계산부(3202)에서는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3201)에 축적되는 예약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한다. 도 42의 예에서는, 재니즈 월드가 5건, 세계명작 극장이 1건, 아시아 여행이 2건으로 된다.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부(3203)에서는 빈도 계산부(3202)에서 계산된 빈도순, 즉 재니즈 월드, 아시아 여행, 세계명작 극장의 순서로 표시순서를 결정한다.
단계 3307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고 키워드로부터 예약을 접수한다. 예약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309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3308에서는 키 입력부로부터 키 입력을 접수하고, 디스플레이 상에서 GUI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예고 키워드를 지정한다. 지정된 예고 키워드는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지정된 분류 항목은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지정된 예고 키워드는 다음회의 정보 수신시부터 유효하게 된다.
단계 3309에서는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여, 예약에 이용하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자가 선택하기 쉬운 순서로 표시한다.
또 제 11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12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에서 3401은 콘텐츠 정보축적 일시 데이터베이스, 3402는 삭제후보 선정부, 3403은 디스플레이부이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콘텐츠 정보축적 일시 데이터베이스(3401)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정보축적 일시 기억수단에 해당하고, 삭제후보 선정부(3402)는 삭제후보 선정수단에 해당하며, 디스플레이부(3403)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3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50l∼단계 3503은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단계 3301∼단계 3303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504에서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축적한 일시를 콘텐츠 정보축적 일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단계 3505는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3305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506에서는 예고 키워드의 표시를 행한다. 예고 키워드의 표시에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를 모든 분류항목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3204)에 표시한다.
단계 3507∼단계 3508은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3307∼3308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509에서는 콘텐츠 정보의 삭제후보의 표시를 행한다. 삭제하는 콘텐츠 정보의 후보의 선정은,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의 축적일시가 오래된 것부터 5개로 하거나, 또는 축적되는 콘텐츠 정보의 가장 적은 분류항목에 속하는 것 전부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선정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 삭제후보는 예약을 행할 때 언제나 하지 않고, 축적 콘텐츠 정보수가 어느 정해진 일정한 값을 넘은 경우만 행해도 된다.
단계 3510에서는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33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과 함께 콘텐츠 정보의 삭제후보를 표시한다.
또 삭제후보의 표시는 콘텐츠 정보의 예약시에 하도록 하였지만, 이용자가 콘텐츠 정보의 삭제를 희망하는 경우에 행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리모콘 키나 화면상의 GUI를 이용한다.
또한 제 12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13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6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6에서 3601은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 3602는 메시지 표시부이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3601)는 본 발명의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에 해당하고, 메시지 표시부(3602)는 메시지 표시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3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701∼단계 370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1∼단계 1703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704에서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축적이 완료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예약정보가 축적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메시지의 표시는 음(音)을 수반해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에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들어갔을 때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메시지는 열람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반복 표시해도 된다.
단계 3705∼단계 370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5∼단계 1709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고, 정보가 축적된 경우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 제 13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14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8은 도 16에 도시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8에서 3801은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 3802는 정보 회신부이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3801)는 본 발명의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에 해당하고, 정보 회신부(3802)는 정보 회신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3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901∼단계 390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1∼단계 1703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3904에서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축적이 완료되었을 때에 미리 정해진 정보 회신장소에 콘텐츠 정보가 축적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회신한다. 이 동작은 정보 회신부(3802)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 동작은 콘텐츠 정보가 유료인 경우에 축적이 완료된 시점에서 요금을 부과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정보 회신장소는 정보 송신원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단계 3905∼단계 390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5∼단계 1709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고, 정보가 축적된 경우에 그 취지를 정보 회신장소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회신장소를 미리 정하고 있었지만, 콘텐츠 정보에 정보 회신장소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정보 회신장소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미리 대응시키고, 이들의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정보 회신장소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제 14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 제 15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정보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0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부분을 포함하므로, 그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0에서 4001은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 4002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4003은 정보 회신부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각각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4001)는 본 발명의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에 해당하고,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002)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축적수단에 해당하며, 정보 회신부(4003)는 정보 회신수단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수신장치의 동작을 도 4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01∼단계 410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1∼단계 1703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단계 4104에서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축적이 완료된 콘텐츠 정보의 내용 키워드를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단계 4105에서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정보를 정보 회신장소에 회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축적완료된 콘텐츠 정보가 요금부과 대상인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행해진다. 요금부과 되지 않은 콘텐츠 정보가 축적되었는지의 여부는 방송국 혹은 크레디트 회사에는 필요 없다. 따라서 이 경우 회신할 필요가 없다. 또 이와 같은 판단은 정보회신부(4003)가 행한다.
또 정보 회신장소로의 회신은 미리 정해진 회신시각에 일괄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클록으로부터 얻어진 현재시각과 회신시각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4106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107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4106에서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정보를 정보 회신장소에 회신한다. 이 동작은 콘텐츠 정보가 유료인 경우에 축적이 완료된 시점에서 요금부과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유효하고,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될 때마다 회신을 하는 것을 하지 않으므로 통신요금이 절약될 수 있다. 또 정보 회신장소는 정보 송신원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단계 4107∼단계 41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계 1705∼단계 1709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고 키워드로부터 보존해 두고 싶은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고, 정보가 축적된 경우에 그 취지를 정기적으로 정리하여 정보 회신장소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회신장소를 미리 정하고 있었지만, 콘텐츠 정보에 정보 회신장소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정보 회신장소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미리 대응시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정보 회신장소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제 15 실시예에서는 통신수단으로서 위성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였지만, 공중 전화회선, CATV 회선,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에 있어서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부와 부가정보 수신부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수단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정보 송신장치로부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나 공중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정보와 다음 회 송신예정 정보의 키워드를 수신하고, 보존하고 싶은 정보를 상기 다음 회 키워드의 내용을 열람함으로써 판단하여 축적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 셋톱박스 등의 수신장치나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이상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서 각 구성부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로서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각 수단 또는 각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작성하고,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정보 수신장치로서 단체(單體)로 제조하고, 그들과,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TV, FAX,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체로 내장하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정보 기억장치에 소프트웨어로서 구성한 경우의 프로그램을 기록해두면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 자체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해 주면 기존 퍼스널 컴퓨터나 TV가 본 발명을 실시할 능력을 얻은 퍼스널 컴퓨터나 TV에 그레이드 업 할 수 있다.
또한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로서 이용하는 키워드는 복수의 키워드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예고 키워드는 콘텐츠 정보에 부가된다고 하였으나,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를 미리 대응시키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예고 키워드와 내용 키워드는 콘텐츠 정보에 부가된다고 하였으나, 콘텐츠 정보와 예고 키워드와 내용 키워드를 미리 대응시키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은 예고 키워드에 부가된다고 하였지만, 예고 키워드와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을 미리 대응시키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예고 키워드에 예고 키워드의 유효기한을 부가해도 된다.
또한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은 콘텐츠 정보에 부가된다고 하였지만,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과 콘텐츠 정보를 미리 대응시키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정보에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을 부가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수신장치에 의하면, 다음 회 송신될 예정의 정보내용을 나타내는 다음 회 키워드를 부가정보로서 수신함으로써 수신정보 열람시에 다음 회 송신 예정정보인 내용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로서 정보가 속하는 분류항목, 다음 회 키워드의 유효기한, 금회 키워드를 추가함으로써 분류항목마다 다음 회 수신정보의 내용확인, 유효기한이 지난 부가정보의 비 표시, 다음 회 키워드의 정보선택 축적 · 표시 · 열람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가정보로서 다음 회 송신 예정일시 및 수신기간을 추가함으로써, 지정된 정보의 다음 회 송신예정 일시부터 수신기간 만큼 정보 수신수단 또는 정보 수신수단 및 부가정보 수신수단의 쌍방에 전원공급을 하고, 그 이외의 기간은 전원공급을 하지 않음으로서 정보 수신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드시 수신되는 특정한 콘텐츠 정보에 부가된 다음 회 키워드를 수신함으로써 확실하게 다음 회 송신예정 내용의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의 빈도를 상기 예고 키워드가 속하는 분류항목별로 축적함으로써, 예고 키워드 및 삭제후보의 표시순서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시점에서 그 취지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표시, 정보 회신장소로의 회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정보 내용을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정보량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예고 키워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합성정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데이터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데이터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표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데이터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데이터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표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l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데이터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601 : 정보 수신부 102 : 부가정보 수신부
103 : 수신정보 합성부 104, 3204, 3403 : 디스플레이부
602 : 정보 분리부
901, 1301 :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
1302, 2401, 2601 : 클록 1303 : 유효기한 비교부
1304 : 부가정보 삭제부 1601 : 키입력부
1602 : 예약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1603 : 키워드 비교부
1604 :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 1801 : 인덱스 작성부
2101 : 인덱스 표시부 2102 : 인덱스 선택부
2103 : 예약정보 표시부 2402, 2602 : 전원공급 제어부
2403, 2603 : 수신기간 수신부 2901 :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수단
3201 : 예약 분류항목 데이터베이스 3202 : 빈도 계산부
3203 : 예고 키워드 표시 선정부
3401 : 콘텐츠 정보축적 일시 데이터베이스
3402 : 삭제후보 선정부
3601, 3801, 4001 :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부
3602 : 메시지 표시부 3802 : 정보 회신수단
4002 :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4003 : 정보회신부

Claims (68)

  1. (a)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 (b) 상기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는 예고정보; 및 (c)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단계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를 합성하여 나란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고정보는 제 2 콘텐츠 정보의 예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는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으로부터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고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제 1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고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을 갖는 제 2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며, 그 제 2 콘텐츠 정보에 앞서서 송신되어 오는 예고정보와 식별자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되어 오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상기 수신되어 오는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를 합성하여 나란히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수신정보 처리 및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예고정보는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수단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3.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되고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관련되도록 하는 예고정보를 포함하는 예고정보, 및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로부터 상기 예고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예고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4.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에 부가되고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의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될 예정이며 상기 제 2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관련되도록 하는 예고정보를 포함하는 예고정보, 및 상기 예고정보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로부터 상기 예고정보를 분리하는 정보 분리수단;
    상기 예고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재구성하는 정보 재구성수단; 및
    재구성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어 오는 상기 관련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성 정보와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는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정보는 예고 키워드이고,
    상기 예고 키워드는 저장되며,
    상기 예고 키워드를 판독하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예고 키워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정보는 예고 키워드이고,
    상기 장치는 수신한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저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고 키워드를 판독하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정보 처리 및 표시수단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9.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상기 정보는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정보가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예고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의 만료일과, 상기 예고 키워드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 상기 식별자, 상기 예고 키워드 및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에 대한 상기 만료일 각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 키워드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시각과 상기 각 예고 키워드의 상기 각 만료일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그 만료일이 종료된 각 예고 키워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상기 정보의 예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10. 정보 수신장치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정보가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예고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 각각의 만료일과, 상기 예고 키워드도 수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정보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예고 키워드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저장수단;
    현재시각을 취득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이 취득한 상기 현재시각과 상기 각 예고 키워드의 상기 만료일을 비교하는 만료일 비교수단;
    상기 만료일 비교수단에 의해 그 만료일이 끝난 것으로 결정된 각 예고 키워드를 삭제하는 부가정보 삭제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상기 정보의 예고를 표시하는 관련정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11.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내용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예고 키워드와 새롭게 수신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와,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12.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내용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예약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과,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를 축적하는 예약 키워드 축적수단과,
    상기 예약 키워드 축적수단에 축적된 예고 키워드와 상기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에 의해서 새롭게 수신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키워드 비교수단과,
    이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의 상기 색인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색인들 중에서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색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의 색인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색인 표시수단;
    상기 색인 중에서 색인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된 색인을 이용하여 예약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예약정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17.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18.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19.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수단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수단과,
    현재시각을 출력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과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으로 출력되는 현재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1.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22.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정보 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도 송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와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키워드로부터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나란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3. 정보 수신장치로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정보 보다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도 송신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키워드와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식별자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상기 키워드로부터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나란히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24. 제 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에 상기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5.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에 상기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2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 상기 예고 키워드 및 내용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에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 상기 예고 키워드, 및 내용 키워드를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텐츠 정보에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2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의 만료일을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에 상기 만료일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2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의 만료일을 미리 상호 관련짓고,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을 수신한 후, 상기 관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에 상기 만료일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3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31.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수신기간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32.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일정시간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콘텐츠 정보에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수신정보의 예약지정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수신한 수신기간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33. 영상, 음성,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일정시간 송신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특정한 콘텐츠 정보에 시간적으로 늦게 송신될 예정인 관련정보의 키워드를 예고 키워드로서 부가하고, 또한 상기 관련정보의 도착시각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수신기간으로서 부가하여 송신되는 정보송신이 있을 때,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기간을 수신하는 수신기간 수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수단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특정 콘텐츠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과 동기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동기형 전원공급 제어수단과,
    현재시각을 출력하는 현재시각 취득수단과,
    상기 예고 키워드를 표시하는 예고 키워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수신정보를 지정하는 예약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예약 지정수단에 의해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간 수신수단으로 수신한 수신기간과 상기 현재시각 취득수단으로 출력되는 현재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간은 정보의 도착시각과 수신을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정보 수신장치.
  3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이 항목 중에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양쪽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3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이 항목 중에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양쪽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38. 정보 수신방법으로서,
    적어도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내용 키워드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와 같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에 대한 다른 키워드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의 표시 순서를 선정하여 이를 표시하고 수신정보의 예약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단계;
    예약을 위해 지정된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예고 키워드와 새로이 수신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는 일 방향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39. 정보 수신장치로서,
    적어도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는, 내용 키워드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및 예고 키워드와 같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송신되도록 예정된 관련 정보에 대한 다른 키워드와 함께 송신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내용 키워드와 상기 예고 키워드를 수신하는 부가 키워드 수신수단;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상기 분류항목의 상세를 나타내는 예고 키워드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정보의 색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예약정보 작성수단;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예약 분류항목 저장수단;
    상기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빈도 계산수단;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예고 키워드의 표시 순서를 선정하여 이를 표시하고 수신정보의 예약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된 예고 키워드의 지정을 받아들이는 예고 키워드 표시순서 선정수단;
    예약을 위해 지정된 상기 예고 키워드를 저장하는 예약 키워드 저장수단;
    상기 저장된 예고 키워드와 새로이 수신한 내용 키워드를 비교하는 키워드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정보는 일 방향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40. 제 38항에 있어서,
    이미 예약 지정된 예고 키워드 중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분류항목의 빈도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 및 콘텐츠 정보 축적일시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하는 콘텐츠 정보의 후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예고 키워드 중 이미 예약 지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항목을 저장하는 예약 분류항목 저장수단;
    상기 분류항목의 빈도를 계산하는 빈도 계산수단;
    상기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일시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저장일시 저장수단;
    상기 계산된 분류항목의 빈도 및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삭제하는 콘텐츠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후보를 선정하는 삭제후보 선정수단; 및
    상기 삭제후보 선정수단에 의해 선정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4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여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4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의 완료를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4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여,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4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의 완료를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예약정보 축적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정보 회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4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고, 축적이 완료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 키워드를 축적하여, 상기 축적한 내용 키워드를 정기적으로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4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지정된 콘텐츠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것을 판정하는 예약정보 축적완료 판정수단과,
    축적이 완료된 상기 콘텐츠 정보의 내용 키워드를 축적하는 축적완료 콘텐츠 정보 축적수단과,
    상기 축적 완료 콘텐츠 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된 내용 키워드를 정기적으로 콘텐츠 정보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정보 회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48. 제 5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4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5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방법.
  5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5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와, 상기 예고 키워드와, 상기 내용 키워드를 미리 대응지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다른 시간에 각각 다른 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송신에 대하여, 수신한 후 상기 대응된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에 예고 키워드, 내용 키워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장치.
  53. 제 6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4. 제 7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5. 제 8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6. 제 13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7. 제 14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8. 제 15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59. 제 16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0. 제 21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1. 제 24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2. 제 25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3. 제 26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4. 제 27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5. 제 31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6. 제 50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7. 제 52항 기재의 각 수단 또는 각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68. 제 1 항 기재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19980036465A 1997-09-04 1998-09-04 정보수신방법,정보수신장치및매체 KR100618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8786 1997-09-04
JP???9-238786 1997-09-04
JP23878697 199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39A KR19990029539A (ko) 1999-04-26
KR100618225B1 true KR100618225B1 (ko) 2006-10-24

Family

ID=1703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465A KR100618225B1 (ko) 1997-09-04 1998-09-04 정보수신방법,정보수신장치및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483848B1 (ko)
EP (1) EP0903957A3 (ko)
KR (1) KR100618225B1 (ko)
CN (2) CN11784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9025B2 (ja) * 1998-12-10 2008-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映像自動録画装置
GB2347239B (en) * 1999-02-22 2003-09-24 Nokia Mobile Phones Ltd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KR100344582B1 (ko) * 2000-04-17 2002-07-20 주식회사 디티비로 방송수신장치와 부가정보제공장치를 이용한 부가정보서비스 방법
US8069468B1 (en) * 2000-04-18 2011-11-29 Oracle America, Inc. Controlling access to information over a multiband network
US20020065929A1 (en) * 2000-11-28 2002-05-30 Navic Systems Inc. Protocol extensions to increase reliability of bulk data transmissions
US7047273B2 (en) 2000-11-28 2006-05-16 Navic Systems, Inc. Load balancing in set top cable box environment
CN100437549C (zh) * 2002-09-04 2008-11-26 珠海市零壹网络标准数据有限责任公司 一种计算机多元供需信息适配处理系统及方法
US7684409B2 (en) * 2004-06-10 2010-03-23 The Directv Group, Inc. Efficient message delivery in a multi-channel uni-directional communications system
US7239290B2 (en) * 2004-09-14 2007-07-03 Kyocera Wireles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 capacitively-loaded loop antenna
JP2006261727A (ja) * 2005-03-15 2006-09-28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装置
US20090273542A1 (en) * 2005-12-20 2009-11-05 Kakuya Yamamoto Content presentation apparatus, and content presentation method
JP4193863B2 (ja) * 2006-04-18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デックス作成機能付き携帯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042385B2 (en) * 2008-03-05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scheduling based on resource contention
US9277021B2 (en) * 2009-08-21 2016-03-01 Avaya Inc. Sending a user associated telecommunication address
US8873760B2 (en) * 2010-12-21 2014-10-28 Motorola Mobility Llc Service key delivery system
CN104571813B (zh) * 2014-12-12 2019-03-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611A (en) * 1991-08-12 1993-05-11 Keen Y. Yee Automatic tuning radio/TV using filtered seek
JPH07143079A (ja) 1993-11-19 1995-06-02 Media Rinku:Kk 放送システム
JP3237362B2 (ja) * 1993-12-27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
ES2397154T3 (es) * 1994-05-20 2013-03-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étodo y sistema mejorado de guía electrónica de horario de programas de televisión
GB2289782B (en) * 1994-05-23 1998-02-04 Gareth Bertram Steven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levision apparatus
US5784380A (en) * 1995-02-24 1998-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H08263410A (ja) 1995-03-20 1996-10-11 Fujitsu Ltd 受信装置
US5652613A (en) * 1995-06-07 1997-07-29 Lazarus; David Beryl Intelligent electronic program guide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215652B1 (ko) * 1995-08-31 1999-08-16 윤종용 정보텔레비젼과 정보데이터 처리방법
US5959623A (en) * 1995-12-08 1999-09-28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selected set of advertisements
US5635989A (en) * 1996-02-13 1997-06-03 Hughes 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searching a television program guide
US5828419A (en) * 1996-02-29 1998-10-27 Hughes 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guides utilizing icons
JP3601181B2 (ja) * 1996-04-19 200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
EP0810767B1 (en) * 1996-05-30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US5903816A (en) * 1996-07-01 1999-05-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like stills with hyper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6807A1 (en) 2002-12-26
US7079497B2 (en) 2006-07-18
KR19990029539A (ko) 1999-04-26
CN100370826C (zh) 2008-02-20
US6483848B1 (en) 2002-11-19
CN1547338A (zh) 2004-11-17
EP0903957A2 (en) 1999-03-24
CN1178473C (zh) 2004-12-01
EP0903957A3 (en) 2005-08-17
CN1212531A (zh)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225B1 (ko) 정보수신방법,정보수신장치및매체
CN101529909B (zh) 一种用于向多媒体设备分配广告和/或内容的方法及设备
KR100281989B1 (ko) 프로그램 정보 방송시스템, 방송장치, 및 수신단말장치
KR100801366B1 (ko) 정보 제공장치, 정보 이용장치, 정보 가공장치, 정보제공시스템, 정보 제공방법, 정보 이용방법 및 기록매체
US8566872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program contents delivery system
JP2004538725A (ja) 幾つかのepgソースを1つの信頼性のあるepgに合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9990062819A (ko) 프로그램 정보 작성 방법과 장치 및 방송 시스템의 정보 처리용수신 장치
RU232808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передача ассоциированных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в содержимого (crid) tv-anytime
EP1134976B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information list forming method, information delet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ing method
JP3418540B2 (ja) 蓄積型情報放送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の受信端末装置
EP0817413A2 (en) Data sending/receiving system, data broadcas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apparatus for television broadcasting
WO2008052908A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metadata of audio-video asset in television network
US20100036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multimedia content
CN100571315C (zh) 一种电子业务指南表元数据的传输方法
EP1244309A1 (en) A method and microprocessor system for forming an output data stream comprising metadata
US20070073900A1 (en) Par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ortening download time delay of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JP3418539B2 (ja) 蓄積型情報放送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の受信端末装置
JP2004274257A (ja) データ放送における送出装置、受信装置、及び視聴履歴情報利用型放送システム
JP4755739B2 (ja) 情報受信装置
US200301266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ntents
KR101366087B1 (ko)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JPH10210378A (ja) 電子番組ガイドシステム
JP2003219374A (ja) 受信装置、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3617785B2 (ja) 放送システムと、その情報参照方法及び受信装置
JP3494812B2 (ja) データ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