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652B1 -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652B1
KR100616652B1 KR1020040095352A KR20040095352A KR100616652B1 KR 100616652 B1 KR100616652 B1 KR 100616652B1 KR 1020040095352 A KR1020040095352 A KR 1020040095352A KR 20040095352 A KR20040095352 A KR 20040095352A KR 100616652 B1 KR100616652 B1 KR 10061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ignal
wake
sa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086A (ko
Inventor
박타준
권용일
김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652B1/ko
Priority to US11/071,518 priority patent/US7324800B2/en
Publication of KR2006005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송신기에서, 웨이크업 신호와 이 웨이크업신호가 지연시간 만큼 지연된 신호를 각각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하고, 이 부호화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수신기에서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받은 신호와 이 수신신호가 지연시간 만큼 지연된 신호를 각각 코럴레이션하여 복호화하고, 이 복호화된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하여 웨이크업을 위한 전원 스위칭 신호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치드 SAW 필터 등의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을 동일하게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가 웨이크업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웨이크업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 리모콘, 수동 코럴레이터, 웨이크업 시스템, 매치드 SAW 필터

Description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WITH PASSIVE CORRELATOR}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에 대한 적용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호화된 송신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복호화된 수신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웨이크업 수신신호가 변환된 직류 스위칭 전압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웨이크업신호 생성부 120 : 시간 지연부
130 : 제1 수동 코럴레이터 131 : 제1 SAW 입력 전극부
132 : 제2 SAW 입력 전극부 133 : 제1 부호화 전극부
134 : 제2 부호화 전극부 135 : SAW 출력 전극부
210 : 제2 수동 코럴레이터 211 : SAW 입력 전극부
212 : 제1 복호화 전극부 213 : 제2 복호화 전극부
214 : SAW 출력 전극부 220 : 신호 증폭부
230 : AC/DC 변환부 240 : 스위칭부
SWK : 웨이크업 신호 SDT1 : 제1 지연 신호
SDT2 : 제2 지연 신호 △t : 지연시간
ANT1 : 송신 안테나 ANT2 : 수신 안테나
SRX : 수신신호
본 발명은 리모콘,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치드 SAW 필터 등의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을 동일하게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가 웨이크업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웨이크업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의 효용성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선과 무선을 통합한 형태의 연결망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속, 저가, 저전력의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 규격에 대한 요구사항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을 구현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스립립모드에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동작하여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웨이크업에 필요한 확인 동작을 위해서, 많은 능동소자 및 회로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많은 전력소비가 수반되는데, 이러한 전력소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중의 하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수신기의 웨이크업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10)와, 상기 송신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20)와, 슬립모드에서 반복적으로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여부의 확인을 제어하고, 수신되는 신호가 자신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웨이크업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40)와, 상기 수신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수신신호를 수신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수신 제어부(40)로 제공하는 수신 처리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웨이크업 과정은, 송신제어부(10)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면, 상기 송신 처리부(20)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때,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수신제어부(40)가 웨이크업 신호의 확인을 제어하면, 상기 수신 처리부(3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과정과, 복조과정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가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인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이면 웨이크업되고,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가 아닐 경우에는 다시 슬립모드로 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웨이크업을 위해서, 수신신호를 복조 등의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서, 믹서나 발진기 등 능동 소자 및 회로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매치드 SAW 필터 등의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을 동일하게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가 웨이크업하는데 필요 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웨이크업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은,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
상기 웨이크업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와 상기 지연된 제1 지연 신호 각각을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이 부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제2 지연 신호와 상기 수신신호 각각을,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고, 이 복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는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웨이크 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제1 SAW 입력 전극부;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의 제1 지연 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제2 SAW 입력 전극부;
상기 제1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부호화 전극부;
상기 제2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2 부호화 전극부; 및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로부터 의 SAW 신호를 합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여 SAW 출력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는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은 수신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SAW 입력 전극부;
상기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1 복호화 전극부;
상기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이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복호화 전극부; 및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를 합성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AW 출력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은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기는 웨이크업 신호(SWK)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와, 상기 웨이크업신호(SWK)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120)와, 상기 웨이크업 신호(SWK)와 상기 지연된 제1 지연 신호(SDT1) 각각을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이 부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와,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STX)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ANT1)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ANT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ANT2)와,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수신신호(SRX)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 만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제2 지연 신호(SDT2)와 상기 수신신호(SRX)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고, 이 복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와,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220)와, 상기 신호 증폭부(220)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230)와, 상기 AC/DC 변환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VSW)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부(2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111)와, 상기 신호발생부(111)로부터의 신호를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 지연부(120)는 시간지연 제어 데이타(DTD)에 따라 지연시간(△t)이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는 신호를 부호화 또는/ 및 복호화할 수 있는 코럴레이션을 수행하 수 있는 수동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매치드 SAW 필터를 비롯하여 FBAR(Film Bulk Acoustic Resonator), 또는 FBAR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를 매치드 SAW 필터로 구현한 적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에 대한 적용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치드 SAW 필터는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로부터의 웨이크 신호(SWK)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제1 SAW 입력 전극부(131)와, 상기 시간 지연부(120)로부터의 제1 지연 신호(SDT1)를 SAW신호로 변 환하는 제2 SAW 입력 전극부(132)와, 상기 제1 SAW 입력 전극부(131)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부호화 전극부(133)와, 상기 제2 SAW 입력 전극부(132)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2 부호화 전극부(134)와,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134)로부터의 SAW 신호를 합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안테나(ANT1)로 출력하여 SAW 출력 전극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133A)과, 상기 제1 전극(133A)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133A)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133B)과, 상기 제1 전극(133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133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133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133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부호화 전극(ce11~ce1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134)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134A)과, 상기 제1 전극(134A)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134A)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134B)과, 상기 제1 전극(134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134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134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134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부호화 전극(ce21~ce24)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치드 SAW 필터는 상기 수신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받은 수신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SAW 입력 전극부(211)와, 상기 SAW 입력 전극부(211)로부터의 SAW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1 복호화 전극부(212)와, 상기 SAW 입력 전극부(211)로부터의 SAW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킨 후, 이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134)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복호화 전극부(213)와,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212)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213)로부터의 SAW 신호를 합성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AW 출력 전극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212)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212A)과, 상기 제1 전극(212A)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212A)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212B)과, 상기 제1 전극(212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212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212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212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복호화 전극(ce31~ce3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복호화 전극부(213)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213A)과, 상기 제1 전극(213A)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213A)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213B)과, 상기 제1 전극(213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213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213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213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전극쌍은,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212)의 각 전극쌍으로부터 지연시간(△t)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시프트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복호화 전극(ce41~ce44)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6에서, (a)는 스펙트럼 도메인에서의 웨이크업 신호의 파형도이고, (b)는 타임 도메인에서의 웨이크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호화된 송신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STX)의 파형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복호화된 수신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의해 복호화된 수신신호의 파형도로서, (a)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와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미스매칭된 경우의 파형도이고, (b)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와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매칭된 경우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웨이크업 수신신호가 변환된 직류 스위칭 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9의 (a)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와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미스매칭된 경우의 파형도이고, (b)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와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매칭된 경우의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먼저, 송신기의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에서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신호(SWK)를 생성하는데, 이때,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SWK)는 단일 펄스신호이거나 복수의 펄수를 갖는 펄수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의 신호 발생부(111)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고, 이 웨이크업 신호는 전력증폭기(112)에 의해서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된다.
그 다음, 시간 지연부(120)에서는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로부터의 웨이크업신호(SWK)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킨다. 여기서, 상기 시간 지연부(120)는 시간지연 제어 데이타(DTD)에 따라 지연시간(△t)을 조절한다.
이러한 지연시간(△t)의 조절을 통해서, 지연시간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웨이크업 대상 기기중에서 하나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유는, 송신기에서의 지연시간과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 수신기가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SWK)와 상기 지연된 제1 지연 신호(SDT1) 각각을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이 부호화된 신호를 합성한다. 이러한 합성된 송신신호(STX)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송신 안테나(ANT1)를 통해서 무선 송신된다.
이와 같이,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가 수신하여 웨이크업 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신기의 수신 안테나(ANT2)를 통해 상기 송신 안테나(ANT1)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는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수신신호(SRX)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 만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제2 지연 신호(SDT2)와 상기 수신신호(SRX)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고, 이 복호화된 신호를 합성하여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가 된다.
그 다음, 신호 증폭부(220)는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데, 여기서, 상기 신호 증폭부(220)의 증폭이득은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 예를 들어, 웨이크업신호의 송신전력,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레벨, 스위칭부의 스위칭 특성 등을 고려해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AC/DC 변환부(230)는 상기 신호 증폭부(220)로부터의 신호를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하는데, 이와 같은 동작으로 하기 스위칭부(240)의 스위칭 동작에 직류 스위칭 전압(VSW)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에 도시된 전압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미스매칭된 경우에 대한 전압으로서, 이와 같이 미스매칭된 경우에는 직류 전압이 대략 0.55V 정도 되어, 이 전압으로는 스위칭 온을 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해, 도 9의 (b)에 도시된 전압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매칭된 경우에 대한 전압으로서, 이와 같이 매칭된 경우에는 직류 전압이 대략 1.4V 정도 되며, 이는 스위칭 온 동작에 충분한 전압이 된다.
그 다음, 스위칭부(240)는 상기 AC/DC 변환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VSW)에 따라 전원공급을 스위칭한다.
이에 따르면, 송신기에서 웨이크업신호가 송신되는 동안에, 상기 송신기에서와 동일한 코럴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가 상기 웨이크업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송신기의 코럴레이션과 다른 코럴레이션을 수행하는 수신기는 웨이크업신호에 응답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되지 못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서,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로부터의 웨이크 신호(SWK)는 제1 SAW 입력 전극부(131)에 의해 SAW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상기 시간 지연부(120)로부터의 제1 지연 신호(SDT1)는 제2 SAW 입력 전극부(132)에 의해 SAW신호로 변환된다.
계속해서, 제1 부호화 전극부(133)는 상기 제1 SAW 입력 전극부(131)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또한, 제2 부호화 전극부(134)는 상기 제2 SAW 입력 전극부(132)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킨다.
이후,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134)로부터의 SAW 신호는 SAW 출력 전극부(135)에 의해 합성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송신 안테나(ANT1)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의 부호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에 의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매치드 SAW 필터의 구조에 따라 부호화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의 부호화 전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쌍에서, 상기 제1 전극(133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133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f1)와, 상기 제2 전극(133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133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f2)의 배치 순서에 따라 부호화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지(f1) 다음에 제2 전극지(f2)가 배치되는 경우를 "1"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배치를 "0"라고 하면, 도 4의 제1 부호화 전극부(133)는 "0,1,0,0"으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도 4의 제2 부호화 전극부(134)는 "0,0,1,0"으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받은 수신신호는 SAW 입력 전극부(211)에 의해 SAW신호로 변환되고, 계속해서, 제1 복호화 전극부(212)는 상기 SAW 입력 전극부(211)로부터의 SAW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133)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2 복호화 전극부(213)는 상기 SAW 입력 전극부(211)로부터의 SAW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킨 후, 이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134)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킨다.
이후,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212)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213)로부터의 SAW 신호는 SAW 출력 전극부(214)에 의해 합성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의 복호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 면,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는 입력되는 신호를 매치드 SAW 필터의 구조에 따라 복호화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212)의 복호화 전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쌍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12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212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f1)와, 상기 제2 전극(212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212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f2)의 배치 순서에 따라 부호화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지(f1) 다음에 제2 전극지(f2)가 배치되는 경우를 "1"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배치를 "0"라고 하면, 도 5의 제1 복호화 전극부(212)는 "0,1,0,0"으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의 제1 부호화 전극부(133)에서의 부호화에 매칭된다. 그리고, 도 5의 제2 복호화 전극부(213)는 "0,0,1,0"으로 부호화를 수행하는데, 이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30)의 제2 부호화 전극부(134)에서의 부호화에 매칭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부호화 과정에 매칭되어 수신기의 복호화가 수행되므로,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스위칭에 필요한 큰 신호로 출력되고, 이 큰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증폭된후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되어,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켜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신기가 웨이크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송수신기에 동일한 구조의 코럴레이터가 적용되므로, 송신기에서 송신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다음단의 증폭기의 증폭율을 낮게 하여도 웨이크업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코럴레이터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웨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매치드 SAW 필터 등의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을 동일하게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기가 웨이크업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웨이크업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
    상기 웨이크업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와 상기 지연된 제1 지연 신호 각각을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이 부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 만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제2 지연 신호와 상기 수신신호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고, 이 복호화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 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의 신호를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지연부는
    시간지연 제어 데이타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t)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치드 SAW 필터는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웨이크 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제1 SAW 입력 전극부;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의 제1 지연 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제2 SAW 입력 전극부;
    상기 제1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부호화 전극부;
    상기 제2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2 부호화 전극부; 및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를 합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여 SAW 출력 전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치드 SAW 필터는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은 수신신호를 SAW신호로 변환하는 SAW 입력 전극부;
    상기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1 복호화 전극부;
    상기 SAW 입력 전극부로부터의 SAW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t)만큼 지연시킨 후, 이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복호화 전극부; 및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로부터의 SAW 신호를 합성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AW 출력 전극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부호화 전극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부호화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복호화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화 전극부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일 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와,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전극쌍은,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의 각 전극쌍으로부터 지연시간(△t)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시프트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복호화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화 전극부의 제1 복호화 전극은
    상기 제1 부호화 전극부의 제1 부호화 전극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화 전극부의 제2 복호화 전극은
    상기 제2 부호화 전극부의 제2 부호화 전극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KR1020040095352A 2004-11-19 2004-11-19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KR10061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52A KR100616652B1 (ko) 2004-11-19 2004-11-19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US11/071,518 US7324800B2 (en) 2004-11-19 2005-03-03 Wake-up system with passive correl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52A KR100616652B1 (ko) 2004-11-19 2004-11-19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86A KR20060056086A (ko) 2006-05-24
KR100616652B1 true KR100616652B1 (ko) 2006-08-28

Family

ID=3656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52A KR100616652B1 (ko) 2004-11-19 2004-11-19 수동 코럴레이터를 갖는 웨이크업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24800B2 (ko)
KR (1) KR100616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67B1 (ko) * 2007-12-18 2009-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정 순환 주기 전원 차단 기법을 적용한 웨이크업 수신기및 웨이크업 방법
JP5135268B2 (ja) * 2009-03-17 2013-02-06 株式会社東芝 無線システム、受信機
US20110128357A1 (en) * 2009-12-01 2011-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reoscopic glasse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FI20115546A0 (fi) * 2011-06-06 2011-06-06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Herätysradio ja menetemä sen muodostamiseksi
JP5711688B2 (ja) * 2012-03-26 2015-05-0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02013220713B4 (de) * 2013-10-14 2017-02-09 Ihp Gmbh - Innovations For High Performance Microelectronics / Leibniz-Institut Für Innovative Mikroelektronik Aufweckempfängerschal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058A (en) * 1988-11-02 1999-11-16 Axonn Corporation Wireless alarm system
US5784403A (en) * 1995-02-03 1998-07-21 Omnipoint Corporation Spread spectrum correlation using saw device
US6774685B2 (en) * 1996-05-13 2004-08-10 Micron Technology, Inc. Radio frequency data communications device
US6212398B1 (en) * 1998-12-03 2001-04-03 Ericsson Inc. Wireless telephone that rapidly reacquires a timing reference from a wireless network after a sleep mode
US7050775B2 (en) * 2002-07-11 2006-05-2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enabling a radio communication unit from standby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16103A1 (en) 2006-06-01
US7324800B2 (en) 2008-01-29
KR20060056086A (ko)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172B1 (ko) 자동 간섭 방지 웨이크업 수신기
KR1006635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립 모드 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7386978B2 (ja) 遠隔無線充電送信端部、受信端部、及びシステム
US8837758B2 (en) Hearing aid and method of driving an output stage
US20080108318A1 (en) Ultra low-power wake-up receiver
WO2003056698A3 (en) Power amplifier
US20060101298A1 (en) Wake-up system using oscillation
KR20090009262A (ko) 펄스-간 듀티 사이클링
KR101442576B1 (ko) 데이터의 무선 수신용 에너지 절약 수신기 어셈블리
US7324800B2 (en) Wake-up system with passive correlators
KR20060089455A (ko) 극소전력을 이용하여 웨이크-업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웨이크-업 방법
KR100616660B1 (ko) 저전력 무선 송수신기
KR100631882B1 (ko)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
GB2484169A (en) Detecting when a communication device emits potentially harmful RF radiation, and in response generating a confusion field to mitigate the hazard
KR100587007B1 (ko)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
KR100616633B1 (ko) 코럴레이션을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
JP2007166196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0595669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송신 알에프신호 제어방법
JP2006339967A (ja) 無線受信機
JP2005502229A5 (ko)
KR100638873B1 (ko) Id검출기능을 갖는 웨이크업 수신기
US20130252549A1 (en) Radio apparatus
JP2002076961A (ja) 携帯通信装置
ATE413047T1 (de) Funkeinrichtung mit energieextraxtionseinrichtung
KR100269344B1 (ko) 무선휴대용단말기의전류공급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