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321B1 -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321B1
KR100616321B1 KR1020060065907A KR20060065907A KR100616321B1 KR 100616321 B1 KR100616321 B1 KR 100616321B1 KR 1020060065907 A KR1020060065907 A KR 1020060065907A KR 20060065907 A KR20060065907 A KR 20060065907A KR 100616321 B1 KR100616321 B1 KR 10061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ar
ceiling
building
coupled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to KR102006006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서트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주며, 엠바 부재가 천정 달대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 되어 상기 엠바부재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고, 조립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2100)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2200)에 연결되는 천정 달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 부재의 중간에는 힌지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200)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1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상기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100),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높이를 미세조정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엠바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엠바 연결부(2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양 가장자리가 접촉되는 상기 엠바 부재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체결 부(9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천정 달대.

Description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Building ceiling hanger assembly with perpendicularity tun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인서트 결합부(11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고 힌지부(120)에 의해 높이 조절부(150)가 수직으로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엠바 바닥면부(550)에 형성된 오목부 암나사부(560)와 육각렌치 삽입부(9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천정 달대부 110 : 인서트 결합부
120 : 힌지부 150 : 높이 조절부
152 : 높이 조절부 수나사부 200 : 엠바 연결부
210 : 천정 달대부 결합부 220 : 연결부 상부 암나사부
250 : 엠바 접촉부 260 : 연결부 하부 암나사부
500 : 오목부를 가진 엠바 501 : 엠바 몸체부
550 : 엠바 바닥면부 552 : 엠바 바닥면 오목부
560 : 오목부 암나사부 900 : 볼트 체결부
910 : 볼트 920 : 육각렌치 삽입부
2100 : 콘크리트 슬래브 2200 : 인서트
본 발명은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2100)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2200)에 연결되는 천정 달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 부재의 중간에는 힌지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200)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1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상기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100),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높이를 미세조정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엠바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엠바 연결부(2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양 가장자리가 접촉되는 상기 엠바 부재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체결 부(9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천정 달대는 천정 안에 감추어지는 부재이고, 숙련된 기능공에 의해 어는 정도 수직이 맞지 않아도 천정판 자체는 고르게 수평을 유지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천정 안 공간도 경우에 따라 노출되어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이어서 천정 달대가 불규칙하게 배치된 것은 추후에 조정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천정 달대가 고르게 수직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천정판 설치시 한 번 더 손이 갈 수 밖에 없다.
만약,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서트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주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엠바 부재가 천정 달대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엠바 부재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조립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서트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주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엠바 부재가 천정 달대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엠바 부재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 달대부(100), 엠바 연결부(200),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볼트 체결부(9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인서트 결합부(11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고 힌지부(120)에 의해 높이 조절부(150)가 수직으로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 는 단면도이다.
상기 힌지부(120)는 인체에 있어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높이 조절부(150)가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2100)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2200)에 연결되는 천정 달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 부재의 중간에는 힌지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200)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1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상기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100),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높이를 미세조정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엠바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엠바 연결부(2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양 가장자리가 접촉되는 상기 엠바 부재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체결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정 달대부(100)는 상기 인서트(2200)와 결합되는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2200)와 결합되는 상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서트 결합부(110), 상기 엠바 연결부(2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결합되는 하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 수나사부(15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150), 상기 인서트 결합부(110)와 상기 높이 조절부(150)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부재인 힌지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상기 인서트 결합부(11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고 상기 힌지부(120)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부(150)가 수직으로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인서트(2200)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1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상기 천정 달대부(100)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서트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주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엠바 연결부(200)는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속이 찬 원통 부재로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 상기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의 상부 표면의 중앙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하단부의 수나사산 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부 암나사부(220),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와 연속되고, 양단부가 상기 오목부 를 가진 엠바(500)의 양 가장자리 밑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엠바 접촉부(250), 상기 엠바 접촉부(250)의 하부 표면의 중앙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부(900)에 의해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와 함께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하부 암나사부(2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엠바 바닥면부(550)에 형성된 오목부 암나사부(560)와 육각렌치 삽입부(9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는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엠바 몸체부(501)의 하부면인 엠바 바닥면부(550)의 중앙부위에 상기 엠바 몸체부(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오목 부위로 형성되는 엠바 바닥면 오목부(552), 상기 엠바 바닥면 오목부(552)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부(900)에 의해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함께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 암나사부(5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부(900)는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부재의 머리에는 육각렌치가 삽입되어 상기 볼트 부재를 조여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육각렌치 삽입부(920)가 형성되는 볼트(9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엠바 연결부(200)는 양단부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양 가장자리 밑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 체결부(900)에 의해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와 함께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즉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는 그 밑면 부분이 볼트로 체결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엠바 부재가 천정 달대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천정 달대부(100), 상기 엠바 연결부(200),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상기 볼트 체결부(900)는 모두 조립 부재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서트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도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해주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엠바 부재가 천정 달대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엠바 부재가 쉽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2100)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2200)에 연결되는 천정 달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 부재의 중간에는 힌지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2200)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1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지 못해서 상기 천정 달대 부재가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100);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높이를 미세조정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표면에 암나사부를 가진 원형 홈이 형성되어 엠바 부재와 볼트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엠바 연결부(2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양 가장자리가 접촉되는 상기 엠바 부재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체결부(9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달대부(100)는
    상기 인서트(2200)와 결합되는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2200)와 결합되는 상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서트 결합부(110);
    상기 엠바 연결부(2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결합되는 하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 수나사부(15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150);
    상기 인서트 결합부(110)와 상기 높이 조절부(150)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부재인 힌지부(120);
    를 포함하는 천정 달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바 연결부(200)는
    상기 천정 달대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속이 찬 원통 부재로 형성되는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
    상기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의 상부 표면의 중앙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부(100)의 하단부의 수나사산 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부 암나사부(220);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천정 달대부 결합부(210)와 연속되고, 양단부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양 가장자리 밑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엠바 접촉부(250);
    상기 엠바 접촉부(250)의 하부 표면의 중앙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부(900)에 의해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와 함께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하부 암나사 부(260);
    를 포함하는 엠바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는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엠바 몸체부(501)의 하부면인 엠바 바닥면부(550)의 중앙부위에 상기 엠바 몸체부(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오목 부위로 형성되는 엠바 바닥면 오목부(552);
    상기 엠바 바닥면 오목부(552)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부(900)에 의해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함께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 암나사부(560);
    를 포함하는 오목부를 가진 엠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부(900)는
    상기 엠바 연결부(200)와 상기 오목부를 가진 엠바(500)를 볼트 체결 결합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부재의 머리에는 육각렌치가 삽입되어 상기 볼트 부재를 조여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육각렌치 삽입부(920)가 형성되는 볼트(910)를 포함하는 볼트 체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KR1020060065907A 2006-07-13 2006-07-13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KR10061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07A KR100616321B1 (ko) 2006-07-13 2006-07-13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07A KR100616321B1 (ko) 2006-07-13 2006-07-13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321B1 true KR100616321B1 (ko) 2006-08-28

Family

ID=3760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907A KR100616321B1 (ko) 2006-07-13 2006-07-13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67A (zh) * 2018-02-12 2018-06-15 石家庄常宏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活动拆卸吊顶的装置及方法
CN110886425A (zh) * 2019-11-19 2020-03-17 苏州金螳螂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骑跨建筑横梁的快速调平式吊顶安装结构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67A (zh) * 2018-02-12 2018-06-15 石家庄常宏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活动拆卸吊顶的装置及方法
CN108166667B (zh) * 2018-02-12 2024-01-26 石家庄常宏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活动拆卸吊顶的装置及方法
CN110886425A (zh) * 2019-11-19 2020-03-17 苏州金螳螂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骑跨建筑横梁的快速调平式吊顶安装结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651B1 (en) Suspended storage device
US10240715B2 (en) Adjustable panel mount
CN102076919B (zh) 由型材和连接件组成的用于形成承载结构的系统
US20090173926A1 (en) Stair Rail Assembly
CA2554647A1 (en) Suspended storage shelf
RU2684671C1 (ru)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JP4745844B2 (ja) 吊りボルト振れ止め装置
CN112554485B (zh) 墙面装饰板可调节安装结构以及墙面装饰板的安装方法
KR100728793B1 (ko)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0616321B1 (ko) 수직 조절기능을 가진 건축물 천정 달대 조립체.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RU2008104325A (ru) Стандартная система со сжатым стержнем для вантовой фасад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EP1314833B1 (en) Bar system
KR20070072839A (ko) 실내 다용도걸이. 길이조절 봉 설치.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102203309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GB2397310A (en) Mullion support bracket
JP2009270708A (ja) アジャスタボルト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KR200233192Y1 (ko) Lcd 프로젝터 고정유니트
KR200335070Y1 (ko) 벽체 시스템의 지주 지지 런너의 조절볼트 장치
KR100919283B1 (ko) 맨홀 체결장치
JP3330136B2 (ja) ケーブルラック支持用のフラットバーの吊りボルトへの取付け構造及びケーブルラック支持用のフラットバーの保持部材
KR20100103956A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KR200254969Y1 (ko)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