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899B1 -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899B1
KR100615899B1 KR1020040085054A KR20040085054A KR100615899B1 KR 100615899 B1 KR100615899 B1 KR 100615899B1 KR 1020040085054 A KR1020040085054 A KR 1020040085054A KR 20040085054 A KR20040085054 A KR 20040085054A KR 100615899 B1 KR100615899 B1 KR 10061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lock
heat
support block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523A (ko
Inventor
양철훈
Original Assignee
피앤비월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비월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비월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8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수단으로 히트파이프, 온수관, 전기 히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난방블럭을 구비하는 조립식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블럭(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110)의 상부면에 파형의 오목홈(113)과 돌출턱(11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블럭(110)의 파형 오목홈(113)에는 난방블럭(120)의 충진재 내장부(122)가 얹히도록 하고, 파형 돌출턱(114)에는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이 얹히도록 하며, 상기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 양측단부는 지지블럭(110)의 파형 돌출턱(114) 상단에 결합부재(130)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진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난방장치를 단순화함으로써 구조재 등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지지부재에 의한 단열과 난방부재의 열확산판에 의한 신속한 열전달에 의해 난방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열의 전도성이 우수한 히트파이프를 난방장치의 가열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원적외선에 의한 인체에 유익함 도모 및 에너지 소모량은 극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히트파이프, 난방, 조립식, 원적외선

Description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A assembly type of ondol heat system which insided heating means}
제 1 도 -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 2 도 -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제 3 도 - 도 2의 A-A선 단면도.
제 4 도 -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블럭의 사시도.
제 5 도 -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블럭의 저면사시도.
제 6 도 - 본 발명에 있어서 난방블럭의 분리사시도.
제 7 도 - 본 발명에 있어서 난방블럭의 열확산판 및 충진재 저장부만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제 8 도 -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사시도.
제 9 도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본 발명 난방장치
110: 지지블럭 111: 오목연결부
112: 돌출연결부 113: 파형(波形) 오목홈
114: 파형 돌출턱 114a: 결합부재 삽입홈
115: 보강 격벽(隔璧) 116: 공간부
117: 소음 및 진동방지판
120: 난방블럭 121: 열확산판
122: 충진재 내장부 123: 걸림턱
124: 캡(cap) 125: 충진재
130: 결합부재 131: 체결구
132: 체결구멍 140: 가열수단
A: 가열수단 연결구 B: 열전달부재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수한 열적응답성을 가지며, 설치가 용이하고, 원적외선의 방사가 가능하면서도 저렴한 난방이 가능한 조립식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 난방에는 온수파이프 또는 히트파이프를 매설하고 시멘트로 마감을 하거나, 전기히터를 가열수단으로 하는 패널 또는 시트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방법은 히트파이프의 열적응 답성이 뛰어나 관수량과 난방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어 1990년대초 부터 바닥난방으로 적용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바닥난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대개의 히트파이프는 써머사이폰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설치시 경사를 주어야 하는 등 작업이 다소 곤란하고, 또한 종래의 설치방법에 의해 바닥난방을 할 경우 시멘트를 사용하게 됨으로 양성기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인해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건물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불필요한 곳으로 열에너지가 방출되어 난방비가 상승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신속한 난방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난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0008080호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한 난방장치는 지지블럭의 크기를 난방블럭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써 바닥에 조립설치하기가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며, 또한 난방블럭을 지지하는 지지블럭의 중간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 지지블럭과 난방블럭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 것이며, 또 난방블럭을 지지블럭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바닥난방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난방블럭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의 상부면에 파형의 오목홈과 돌출턱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블럭의 파형 오목홈에는 난방블럭의 충진재 내장부가 얹히도록 하고, 파형 돌출턱에는 난방블럭의 열확산판이 얹히도록 하며, 상기 난방블럭의 양쪽 끝단부를 결합부재로 걸어 지지블럭의 파형 돌출턱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블럭과 난방블럭의 결합이 견고해지고, 설치는 더욱 간편해지는 조립식 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100)는 난방블럭(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110)의 상부면에 파형의 오목홈(113)과 돌출턱(11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블럭(110)의 파형 오목홈(113)에는 난방블럭(120)의 충진재 내장부(122)가 얹히도록 하고, 파형 돌출턱(114)에는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이 얹히도록 하며, 상기 난방블럭(120)의 양쪽 끝단부는 결합부재(130)와 체결구(131)에 의해 지지블럭(110)의 파형 돌출턱(114)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난방블럭(120) 열확산판(121) 양측에는 걸림턱(12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123)은 역시 양측단부에 걸림턱(133)이 형성된 결합부재(130)에 의해 지지블럭(110)의 파형 돌출턱(114) 중간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홈(114a)에 함몰된 상태로 체결구(131)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블럭(110)은 난방블럭(120)을 바닥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지지하고 단열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은 파형 오목홈(113)과 파형 돌출턱(114)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면은 다수개의 보강격벽(115)과 공간부(116)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보강격벽(115)은 상부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공간부(116)는 공기가 충진되어져 난방블럭(120)으로 부터 바닥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16)에는 보다 나은 단열효과를 얻기 위해 단열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110)은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 가로방향으로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양측단부에 각각 오목연결부(111)와 돌출연결부(112)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지지블럭(110)이 서로 연달아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인해 상기 지지블럭(110)을 바닥에 늘어놓아 설치하더라도 퍼즐처럼 서로 짜맞춤이 가능하게 되어 가지런히 배열해놓고 그 위에 난방블럭(120)을 올린 다음 결합부재(130)와 체결구(131)로 난방블럭(120)을 지지블럭(110)에 결합만 시키면 난방장치의 설치가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난방블럭(120)은 상부에는 양측단부에 걸림턱(123)을 구비하는 열확산판(1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충진재(125)가 채워진 충진재 내장부(1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충진재(125) 중간에는 가열수단(140)이 내장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걸림턱(123)은 결합의 견고성 및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난방블럭(120)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럭(110)의 파형 오목홈(113)에 얹어졌을 때 상기 걸림턱(123)은 지지블럭(110)의 파형 돌출턱(114) 상단, 특히 상기 파형 돌출턱(114)의 중간 결합부재 삽입홈(114a)에 끼워지게 되어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되며 그 자체로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 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난방블럭(120)의 충진재 내장부(122)에 채워지는 충진재(125)로는 열보존력이 좋고 원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는 황토나 맥반석, 자갈, 모래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재(125) 중간에 난방블럭(120)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내장되는 는 가열수단(140)으로는 히트파이프(heat-pipe)가 가장 바람직하나, 전기히터나 난방보일러용 온수관, 기타 관(管)의 형태를 갖는 히터장치(heating devic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블럭(110)에는 작업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두개의 파형 오목홈(113)을 형성하여 하나의 지지블럭(110)에 두개의 난방블럭(1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지지블럭(110) 저면에는 상부로 부터 바닥으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력성이 좋은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음 및 진동방지판(117)이나 공지의 소음 및 진동방지캡(cap) 등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은 가열수단(140)에 의해 발생한 열을 보다 신속하게 상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따라서 열전도성이 좋은 구리판이나 알루미늄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난방블럭(120)의 양측면에는 캡(124)을 형성하여 충진재 내장부(122)에 채워지는 충진재(125)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열수단(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설치시 경사를 주어야 하는 써머사이폰식 히트파이프의 경우 상기 캡(124)에 의해 자체적으로 경사가 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 난방장치(100)는 먼저 바닥에 다수개의 지지블럭(110)을 배치하게 되면 파형 오목홈(113)이 길게 형성되어진 상태가 되고, 그 위에 난방블럭(120)을 나란히 얹어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지지블럭(110) 위에 배열된 난방블럭(120)의 가열수단(140) 일측 끝단, 또는 양단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공지의 가열수단 연결구(A)를 연결하고, 상기 가열수단 연결구(A)는 다시 미도시된 히팅장치에 연결되어지는 열전달부재(B)에 연결되어져 열원(熱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다수개의 지지블럭의 실내의 바닥면적과 형상을 감안하여 배치한 후 그 위에 난방블럭을 얹고, 상기 난방블럭을 지지블럭에 결합부재와 체결구로 결합만 하면 난방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는 구조여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콘크리트 양생기간 등이 필요없게 되어 난방설치작업기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난방장치를 단순화함으로써 구조재 등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지지부재에 의한 단열과 난방부재의 열확산판에 의한 신속한 열전달에 의해 난방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열의 전도성이 우수한 히트파이프를 난방장치의 가열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원적외선에 의한 인체에 유익함 도모 및 에너지 소모량은 극소화 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가열수단으로 히트파이프, 온수관, 전기 히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난방블럭을 구비하는 조립식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블럭(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110)의 상부면에 파형의 오목홈(113)과 돌출턱(114)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블럭(110)의 파형 오목홈(113)에는 난방블럭(120)의 충진재 내장부(122)가 얹히도록 하고, 파형 돌출턱(114)에는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이 얹히도록 하며, 상기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 양측단부는 지지블럭(110)의 파형 돌출턱(114) 상단에 결합부재(130)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블럭(120)의 열확산판(121) 양측단부에는 걸림턱(123)이 형성되고, 결합부재(130)의 양측단부에도 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상기 열확산판(121)의 걸림턱(123)이 결합부재(130)의 걸림턱(123)에 걸려 지지블럭(110)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홈(114a)에 함몰된 상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10)의 하부는 다수개의 보강격벽(115)과 공간부(116)가 형성되도록 하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오목연결부(111)와 돌출연결부(1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10) 저면에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음 및 진동방지판(117)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1020040085054A 2004-10-22 2004-10-22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10061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54A KR100615899B1 (ko) 2004-10-22 2004-10-22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54A KR100615899B1 (ko) 2004-10-22 2004-10-22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23A KR20060035523A (ko) 2006-04-26
KR100615899B1 true KR100615899B1 (ko) 2006-08-29

Family

ID=371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54A KR100615899B1 (ko) 2004-10-22 2004-10-22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50Y1 (ko) * 2011-02-23 2013-02-14 김봉재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용 난방 배관 패널
KR200472878Y1 (ko) 2012-11-19 2014-05-27 김봉재 건축용 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462U (ko) * 1992-01-08 1993-08-21 정병강 조립식 온돌판
KR950028094U (ko) * 1994-03-11 1995-10-20 김기 건식 온돌용 조립식 압출재 온돌판
KR200204241Y1 (ko) 2000-06-12 2000-11-15 정태원 온수보일러용 온돌시공판넬
KR200319519Y1 (ko) 2003-04-01 2003-07-18 주식회시 신영기연 냉. 온 공기온돌구조
KR20040052549A (ko) * 2004-03-24 2004-06-23 피앤비월드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462U (ko) * 1992-01-08 1993-08-21 정병강 조립식 온돌판
KR950028094U (ko) * 1994-03-11 1995-10-20 김기 건식 온돌용 조립식 압출재 온돌판
KR200204241Y1 (ko) 2000-06-12 2000-11-15 정태원 온수보일러용 온돌시공판넬
KR200319519Y1 (ko) 2003-04-01 2003-07-18 주식회시 신영기연 냉. 온 공기온돌구조
KR20040052549A (ko) * 2004-03-24 2004-06-23 피앤비월드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50Y1 (ko) * 2011-02-23 2013-02-14 김봉재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용 난방 배관 패널
KR200472878Y1 (ko) 2012-11-19 2014-05-27 김봉재 건축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23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2582A1 (en) Radiant heat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19373A (ko) 난방 시스템
KR100615899B1 (ko) 가열수단을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WO2011033324A1 (en) Thermo-frame element, and heat-radiating, radiant heat absorbing, air-heating and air-recooling bordering surfaces formed with this thermo-frame element
KR200390663Y1 (ko) 조립식 온돌난방용 패널
CN202596114U (zh) 一种用于干式铺装的地暖铺板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200197456Y1 (ko) 온수온돌용동파이프금속배관광판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CA2302413A1 (en) Panel for air conditioning and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panel
KR100917448B1 (ko) 온돌마루
CN201141183Y (zh) 一种易安装的成型保温板
KR20040052549A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1976387B1 (ko) 황토 찜질방 컨테이너 하우스
KR20050061434A (ko) 이중관식 히트파이프 난방유니트
KR100651184B1 (ko) 배관 블록 및 건식 난방 시스템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200353343Y1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19990013136A (ko)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20050021749A (ko) 조립식 온돌 패널 및 그 설치방법
JPH1082013A (ja) 融雪パネル及び融雪構造
KR200163491Y1 (ko) 견운모의 소재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온수 온돌 난방 조립식 판넬 시스템
KR200163424Y1 (ko) 난방용온수관의시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