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637B1 -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5637B1 KR100615637B1 KR1020060020815A KR20060020815A KR100615637B1 KR 100615637 B1 KR100615637 B1 KR 100615637B1 KR 1020060020815 A KR1020060020815 A KR 1020060020815A KR 20060020815 A KR20060020815 A KR 20060020815A KR 100615637 B1 KR100615637 B1 KR 100615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orative piece
- fabric
- base fabric
- decorative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 상에 박음질을 통해 부착 고정시킬 때 다수의 밀착줄을 통해 장식피스가 원단 상에서 유동되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켜 주도록 장식피스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박음질 작업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원단, 장식피스, 롤러, 밀착줄, 박음질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장식피스 부착원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장식피스 고정수단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장식피스 고정수단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원단공급부 20: 원단수거부
30: 원단이송롤러 40: 받침판
50: 박음질부 52: 니들
54: 실 100: 장식피스고정수단
110: 구동롤러 112: 줄삽입홈
120: 제1종동롤러 122: 줄삽입홈
130: 제2종동롤러 132: 줄삽입홈
140-1: 제1밀착줄 140-2: 제2밀착줄
200: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 210: 장식피스원단공급부
220: 장식피스원단수거부 230: 장식피스용 롤러
232: 양각날 240: 가이드판
DF: 장식피스원단 DP: 장식피스
F: 베이스 원단 R: 롤러
본 발명은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분에 장식피스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장식피스를 원단에 박음질할 때 장식피스가 유동되지 않고 정확하게 박음질될 수 있도록 한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은 의류나 스카프 등과 같은 제품을 만드는 재료로, 시대에 따라 항상 그 디자인이 변화하기 때문에 원단업자들은 항상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디자인 창출을 위해 원 단을 직조할 때 다양한 색상의 실들을 이용하여 문양을 넣거나, 염색을 통해 디자인을 연출하거나, 반짝이라고 하는 스팽글을 부착하여 디자인을 연출하거나, 장식피스 등을 부착하여 디자인을 연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장식피스 부착원단은 베이스 원단(F)의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과 문양을 갖는 장식피스(DP)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박음질(B)을 통해 장식피스(DP)를 원단(F)에 부착 고정시켜 제조된다.
여기서 장식피스를 원단에 박음질로 부착 고정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좀 더 설명하면,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를 올려 놓고, 그 상면에 일정 온도의 물에 녹는 성질을 갖는 숄지를 덮어 장식피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박음질을 하여 장식피스를 원단에 부착 고정시켰다. 그런 다음, 원단을 염색하기 위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염색물에 숄지를 넣게 되면, 숄지가 염색물에 녹게 되고, 결과적으로 원단 상에는 장식피스가 남게 되어 원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이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피스 부착원단 제조방법은 장식피스를 원단 상에 박음질로 부착 고정시킬 때 장식피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온도의 물에 잘 녹은 성질의 숄지를 사용하다보니 그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식피스 상에 숄지를 덮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그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를 박음질로 부착 고정시킬 때 다수의 밀착줄을 이용하여 장식피스가 유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숄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음질 작업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피스가 베이스 원단 상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장식피스 부착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는 다수의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원단 상에 다수의 장식피스를 올려 놓고 박음질을 통해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에 부착 고정시켜 장식피스 부착원단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원단 상에 놓여진 다수의 장식피스를 부착 고정시키기 위해 박음질 작업을 할 때 장식피스가 베이스 원단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 지하도록 하기 위한 장식피스고정수단이 설치되되, 장식피스고정수단은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 줄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 형성된 구동롤러와, 구동롤러와 대응되게 줄삽입홈이 형성된 종동롤러와, 일측은 상기 구동롤러의 줄삽입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종동롤러의 줄삽입홈에 결합되어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장식피스가 베이스 원단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식피스를 가압하게 설치된 다수의 밀착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는 구동롤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종동롤러로 구분되고, 상기 밀착줄은 제1밀착줄과 제2밀착줄로 구분되되, 상기 제1밀착줄은 구동롤러와 제1종동롤러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밀착줄은 구동롤러와 제2종동롤러를 연결하게 설치되며, 제1밀착줄과 제2밀착줄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피스를 올려 놓는 부분과 대응되는 베이스 원단의 하부에는 베이스 원단이 처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 주는 받침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피스가 공급되는 부분에는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이 설치되되,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은 장식피스원단이 공급되는 장식피스원단공급부와, 장식피스원단이 수거되는 장식피스원단수거부와, 장식피스원단공급부와 장식피스원단수거부의 사이에서 한 쌍의 장식피스용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장식피스용 롤러의 외주면에는 장식피스 문양의 양각 날이 형성되어 한 쌍의 장식피스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장식피스원단을 양각날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장식피스를 자동 생성 및 베이스 원단 상으로 안내 공급하는 장식피스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방법은 공급된 베이스 원단이 다수의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는 단계; 베이스 원단 상에 다수의 장식피스를 올려 놓는 단계; 베이스 원단과 밀착되고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밀착줄을 통해 다수의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 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 다수의 밀착줄에 의해 베이스 원단 상에 밀착 고정된 장식피스를 박음질을 통해 베이스 원단에 부착 고정시키는 단계; 및 장식피스가 부착 고정된 원단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장식피스 고정수단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분리사시도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 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는 다수의 롤러(R)를 따라 안내 이송되는 베이스 원단(F) 상에 장식피스(DP)를 올려 놓고 이를 박음질을 통해 부착 고정시킬 때 장식피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장식피스고정수단(100)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먼저, 베이스 원단(F)은 원단롤로 도시된 원단공급부(10)에서 원단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는 원단공급부(10)를 원단롤로 도시하였으나,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원단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베이스 원단(F)은 다수의 롤러(R)를 통해 안내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식피스(DP)가 박음질을 통해 부착 고정된 상태로 원단수거부(20)에 의해 수거된다. 즉, 베이스 원단(F)은 처음에는 장식피스(DP)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평하게 안내되고, 박음질 부분에서는 박음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안내되며, 수평으로 안내된 원단이 수직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사이에는 경사지게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원단공급부(10)와 원단수거부(20)의 사이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베이스 원단(F)을 강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원단이송롤러(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원단이송롤러(30)는 그 외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우레탄 재질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의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공지의 구동수단의 일례를 들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어느 하나의 원단이송 롤러에 일단에 연결 설치된 종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시프로킷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으로 구성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베이스 원단(F)이 수평으로 안내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받침판(40)이 설치되어 베이스 원단(F)이 처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장식피스(DP)를 베이스 원단(F) 상에 올려 놓을 때 장식피스(DP)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베이스 원단(F) 상에 놓여진 장식피스(DP)가 베이스 원단(F)과 함께 이송하여 박음질부(50)로 안내될 때 베이스 원단(F)에 놓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장식피스(DP)를 베이스 원단(F) 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장식피스고정수단(100)이 구비된다.
장식피스고정수단(100)은 베이스 원단(F)이 수직으로 안내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구동롤러(110)와, 구동롤러(110)의 상부에 원단 이송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종동롤러(120)와, 구동롤러(1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종동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롤러(110)와 제1종동롤러(120) 및 제2종동롤러(130)에는 각각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 줄삽입홈(112)(122)(1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구동롤러(110)와 제1종동롤러(120)에는 다수의 제1밀착줄(140-1)이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고, 구동롤러(110)와 제2종동롤러(130)에는 다수의 제2밀착줄(140-2)이 수직되게 연결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1밀착줄(140-1)과 제2밀착줄(140-2)은 구동롤러(110)와 제1종동롤러(120) 및 제2종동롤러(130)에 각각 형성된 줄삽 입홈(112)(122)(13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셋팅된 위치에서 유동없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밀착줄(140-1)과 제2밀착줄(140-2)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장식피스(DP)를 베이스 원단(F) 상에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원단(F)과 밀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롤러(110)는 상술한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단이송롤러(30)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즉, 상술한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상술한 구동스프로킷과 동일한 사이즈의 구동스프로킷을 나란하게 연결 설치하고, 구동롤러의 일단에 종동스프로킷을 연결 설치하며, 이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시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구동롤러(110)가 회전하면 그 동력이 제1밀착줄(140-1)과 제2밀착줄(140-2)에 전달되어 제1밀착줄(140-1)과 제2밀착줄(140-2)이 베이스 원단(F)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회전되어 장식피스(DP)의 이송을 돕게 된다. 여기서, 밀착줄은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갖도록 우레탄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베이스 원단(F)이 수직으로 안내되는 부분 즉, 다수의 제2밀착줄(140-2)들의 사이에서 장식피스(DP)를 베이스 원단(F)에 부착 고정시키는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 박음질부(5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박음질부(50)는 일반적인 경편기에서 공지된 기술로 니들(52)이 왕복운동하면서 공급되는 실(54)을 통해 박음질을 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스팽글 실을 추가로 공급하여 원단 상에 스팽글도 함께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원단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베이스 원단(F)은 원단이송롤러(30)가 작동되면서 원단을 이송시키게 되고, 다수의 롤러(R)를 통해 안내되어 원단수거부(20)로 수거된다. 즉, 처음 일부구간은 베이스 원단(F)이 받침판(40)을 통해 수평하게 안내되고, 수평구간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안내되다가 수직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베이스 원단(F)이 받침판(40)을 통해 수평하게 안내될 때 원단(F)의 상면에 다수의 장식피스(DP)를 일정한 배열 또는 불규칙한 배열로 올려 놓게 된다. 장식피스(DP)가 놓여진 원단(F)은 장식피스고정수단(100)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밀착줄(140-1)(140-2)을 통해 장식피스(DP)가 베이스 원단(F) 상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 받아 구동롤러(110)가 회전하게 되면, 베이스 원단(F)에 밀착되게 설치된 제1밀착줄(140-1)과 제2밀착줄(140-2)이 회전 이송되면서 장식피스(DP)가 베이스 원단(F)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원단이 이송되게 한다. 따라서 베이스 원단(F)은 경사지게 또는 수직되게 이송되더라도 장식피스(DP)가 원단(F)에서 떨어지거나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장식피스(DP)가 부착된 상태로 베이스 원단(F)이 수직되게 안내되면, 박음질부(50)에서 박음질을 통해 장식피스(DP)를 베이스 원단(F)에 부착 고정시켜 완성된 장식피스 부착원단를 제조하고, 이 완성 원단은 원단수거부(20)를 통해 수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발명은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를 박음질을 통해 부착 고정시켜 장식피스 부착원단을 제조할 때,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숄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숄지를 덮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고, 숄지에 대응되는 원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밀착줄을 이용하여 장식피스를 원단 상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종래의 숄지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더 확실하게 장식피스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음질 작업을 육안을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박음질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신속하게 확인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장식피스(DP)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성이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를 위해 장식피스(DP)가 공급되는 부분의 베이스 원단(F) 상에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200)이 설치된다.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200)은 장식피스원단(DF)이 공급되는 장식피스원단공급부(210)와, 장식피스원단(DF)이 수거되는 장식피스원단수거부(220)와, 장식피스원단공급부(210)와 장식피스원단수거부(220)의 사이에 설치된 장식피스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장식피스원단공급부(210)와 장식피스원단수거부(220)는 롤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 고 장식피스공급부는 한 쌍의 롤러(23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롤러의 외주면에는 장식피스 문양의 양각날(232)이 형성되어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장식피스원단(DF)을 양각날(232)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장식피스(DP)를 자동 생성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각날(232)에 의해 생성된 장식피스(DP)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판(240)을 통해 안내되어 베이스 원단(F) 상으로 놓여지게 된다.
참고로,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200) 외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나머지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 추가된 본 실시예는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식피스 공급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피스를 정확하게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장식피스의 디자인은 양각날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 상에 박음질을 통해 부착 고정시킬 때 다수의 밀착줄을 통해 장식피스가 원단 상에서 유동되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박음질 작업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 다수의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원단 상에 다수의 장식피스를 올려 놓고 박음질을 통해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에 부착 고정시켜 장식피스 부착원단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원단 상에 놓여진 다수의 장식피스를 부착 고정시키기 위해 박음질 작업을 할 때 장식피스가 베이스 원단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장식피스고정수단이 설치되되,상기 장식피스고정수단은회전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 줄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 형성된 구동롤러와,상기 구동롤러와 대응되게 줄삽입홈이 형성된 종동롤러와,일측은 상기 구동롤러의 줄삽입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종동롤러의 줄삽입홈에 결합되어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장식피스가 베이스 원단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식피스를 가압하게 설치된 다수의 밀착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종동롤러는 구동롤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하 부에 설치되는 제2종동롤러로 구분되고,상기 밀착줄은 제1밀착줄과 제2밀착줄로 구분되되, 상기 제1밀착줄은 구동롤러와 제1종동롤러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밀착줄은 구동롤러와 제2종동롤러를 연결하게 설치되며, 제1밀착줄과 제2밀착줄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장식피스를 올려 놓는 부분과 대응되는 베이스 원단의 하부에는 베이스 원단이 처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 주는 받침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장식피스가 공급되는 부분에는 베이스 원단 상에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이 설치되되,상기 장식피스자동공급수단은장식피스원단이 공급되는 장식피스원단공급부와,상기 장식피스원단이 수거되는 장식피스원단수거부와,상기 장식피스원단공급부와 장식피스원단수거부의 사이에서 한 쌍의 장식피 스용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장식피스용 롤러의 외주면에는 장식피스 문양의 양각날이 형성되어 한 쌍의 장식피스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장식피스원단을 양각날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장식피스를 자동 생성 및 베이스 원단 상으로 안내 공급하는 장식피스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 공급된 베이스 원단이 다수의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는 단계;상기 베이스 원단 상에 다수의 장식피스를 올려 놓는 단계;상기 베이스 원단과 밀착되고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밀착줄을 통해 다수의 장식피스를 베이스 원단 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상기 다수의 밀착줄에 의해 베이스 원단 상에 밀착 고정된 장식피스를 박음질을 통해 베이스 원단에 부착 고정시키는 단계; 및상기 장식피스가 부착 고정된 원단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0815A KR100615637B1 (ko) | 2006-03-06 | 2006-03-06 |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0815A KR100615637B1 (ko) | 2006-03-06 | 2006-03-06 |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15637B1 true KR100615637B1 (ko) | 2006-08-25 |
Family
ID=3760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0815A KR100615637B1 (ko) | 2006-03-06 | 2006-03-06 |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56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4351B1 (ko) | 2010-04-09 | 2013-02-15 | 이영성 | 입체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스팽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92590A (en) | 1981-05-22 | 1982-11-26 | Yoshinoaki Keori Kk | Flange taking method and apparatus |
KR930010346B1 (ko) * | 1991-11-27 | 1993-10-16 | 박희수 | 리본 테이프 제조장치 |
KR100475389B1 (ko) | 2003-04-18 | 2005-03-10 | 전종우 | 테이프가 부착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
2006
- 2006-03-06 KR KR1020060020815A patent/KR1006156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92590A (en) | 1981-05-22 | 1982-11-26 | Yoshinoaki Keori Kk | Flange taking method and apparatus |
KR930010346B1 (ko) * | 1991-11-27 | 1993-10-16 | 박희수 | 리본 테이프 제조장치 |
KR100475389B1 (ko) | 2003-04-18 | 2005-03-10 | 전종우 | 테이프가 부착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4351B1 (ko) | 2010-04-09 | 2013-02-15 | 이영성 | 입체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스팽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57615B1 (en) |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 |
KR100615637B1 (ko) | 장식피스 부착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89639B1 (ko) |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 | |
KR101067750B1 (ko) | 스팽글용 자동 절단 및 부착 장치 | |
US3690273A (en) | Machine installation for forming on successive fields of continuous flexible ribbon complemental parts of decorative patterns | |
KR100792380B1 (ko) | 의류용 장식구슬의 자동 부착장치 | |
KR100524650B1 (ko) | 스팽글 장식원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15986B1 (ko) |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 |
KR101144862B1 (ko) | 스팡글 원단의 제조장치 | |
KR100659936B1 (ko) | 스팡글코드사 제조장치 | |
KR20090010387A (ko) | 피혁상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장치 | |
KR20040005762A (ko) | 자동 스팽글 재봉장치 | |
KR200367807Y1 (ko) | 자수기에서 규격이 다른 스팡글의 봉착장치 | |
KR100817431B1 (ko) | 스팡글 자수기용 스팡글 공급기어 | |
KR200276413Y1 (ko) | 자수기용 구슬공급장치 | |
KR200330631Y1 (ko) | 스팡글 자수기용 스팡글 공급기어 어셈블리 | |
TW436272B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aligning zipper patterns | |
KR101315984B1 (ko) |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 | |
KR100475389B1 (ko) | 테이프가 부착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
KR200145557Y1 (ko) |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 | |
KR101665439B1 (ko) | 이중 원단 봉제 가공장치 | |
KR100463108B1 (ko) | 스팽글 부착장치의 원단 이송장치 | |
KR200320591Y1 (ko) | 테이프가 부착된 원단의 제조장치 | |
JP2001255823A (ja) | 両面印刷テープとその製造法 | |
KR20050005685A (ko) | 스팡글 자수기용 스팡글 공급기어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