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691B1 -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 Google Patents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691B1
KR100614691B1 KR1020030068703A KR20030068703A KR100614691B1 KR 100614691 B1 KR100614691 B1 KR 100614691B1 KR 1020030068703 A KR1020030068703 A KR 1020030068703A KR 20030068703 A KR20030068703 A KR 20030068703A KR 100614691 B1 KR100614691 B1 KR 10061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base
rotary table
articl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751A (ko
Inventor
송영태
Original Assignee
송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태 filed Critical 송영태
Priority to KR102003006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6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03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 B65C9/181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65C9/1819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a vacuum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2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wetting, e.g. by applying liquid glue or a liquid to a dry glue coating
    • B65C9/220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wetting, e.g. by applying liquid glue or a liquid to a dry glue coating using spraying means
    • B65C9/2213Applying the liquid on the label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회전가능하게 이송하는 로터리테이블과,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마련되어 물품을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대해 회전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재치대와,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물품에 롤형상으로부터 절단된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드럼을 구비한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라벨을 상기 라벨부착드럼 방향으로 공급하는 라벨공급장치와; 상기 라벨부착드럼이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물품 상의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무빙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베이스는, 설치면에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로터리테이블의 회전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베이스부와;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지지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기와 같은 물품의 크기변화에도 부품의 교환을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상의 물품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물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ROTARY TYPE LABEL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라벨부착기에 마련된 라벨부착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라벨부착장치에 마련된 무빙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빙베이스의 작동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벨부착기에 마련된 라벨공급장치의 상세도
도 6은 도 5의 라벨공급장치의 I마크인식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벨부착기 3 : 용기
5 : 라벨 6 : I마크
10 : 용기이송장치 11 : 제1컨베이어
12 : 제2컨베이어 13 : 이송스크루
17 : 로터리테이블 18 : 재치대
20 : 라벨공급장치 21 : 라벨지지대
25 : I마크인식부 27 : 서보유닛
28 : 서보드럼 30 : 라벨부착장치
31 : 라벨부착드럼 34 : 라벨커팅유닛
35 : 커팅드럼 36 : 커팅부
38 : 접착제도포부 40 : 무빙베이스
41 : 베이스프레임 42 : 제1레일지지대
43 : 제1가이드레일 44 : 제1슬라이딩부재
45 : 제1레버연결부재 46 : 제1조작레버
51 : 제1베이스부 52 : 제2레일지지대
53 : 제2가이드레일 54 : 제2슬라이딩부재
55 : 제2레버연결부재 56 : 제2조작레버
61 : 제2베이스부 62 : 체결부
본 발명은,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용기와 같은 물품에 라벨을 부착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부착기는 식용유 및 음료수와 같은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와 같은 물품에 상품명 등이 기재된 라벨을 부착하도록 마련된 기계이다.
이러한 라벨부착기는 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용기이송장치와, 용기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라벨부착드럼을 갖는 라벨부착장치와, 라벨부착장치로 라벨을 공급하기 위한 라벨공급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벨부착기는 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장치의 방식에 따라 로터리타입과, 인라인타입으로 구분된다.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는 용기가 라벨부착드럼과 접촉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라벨이 부착되도록 용기를 회전가능하게 이송하는 로터리테이블이 마련된다. 그러나, 인라인타입 라벨부착기는 용기가 라벨부착드럼과 접촉하여 라벨부착드럼에 의해 회전하여 라벨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로터리타입의 로터리테이블과 같은 구성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하 명세서에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는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56767호 및 한국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86-0001548호에 개시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는 라벨이 부착되도록 용기를 공급하는 컨베이어 및 용기반송테이블 등이 마련되며, 용기반송테이블 상에 위치한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라벨첩착기구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사용되는 용기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라벨첩착기구는 라벨부착기의 본체에 고정된 취착대와, 취착대에 고정되며 용기와 접촉하여 라벨을 용기에 부착하는 라벨이송드럼과, 라벨이송드럼 상에 부착된 라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호도포장치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취착대는 라벨부착기의 본체에 보올 및 요홈의 맞춤조립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며, 라벨첩착기구를 착탈가능하도록 라벨부착기의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라벨부착기는 라벨첩착기구가 착탈가능하게만 마련되어 라벨이 부착될 용기의 직경의 변화와 같이 용기의 크기가 변하게 되면 용기에 맞게 라벨첩착기구와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교환해야만 하므로 생산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용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들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부착할 수 있게 라벨부착드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와 같은 제품의 크기변화시 부품의 교환을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각형상의 용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제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을 회전가능하게 이송하는 로터리테이블과,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마련되어 물품을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대해 회전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재치대와,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물품에 롤형상으로부터 절단된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드럼을 구비한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라벨을 상기 라벨부착드럼 방향으로 공급하는 라벨공급장치와; 상기 라벨부착 드럼이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물품 상의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무빙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베이스는, 설치면에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로터리테이블의 회전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베이스부와;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지지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가 물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된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베이스부에 일체로 결합된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부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치대는 거의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벨공급장치는, 상기 라벨에 마련된 I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라벨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I마크인식부와; 상기 무빙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라벨의 공급편차를 줄이도록 상기 무빙베이스의 이동거리와 상기 I마크인식부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상기 라벨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서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물품은 일반적으로 라벨(5)을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물건들일 수 있으며, 이하 명세서에서는 식용유 및 음료수와 같은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병형상으로 마련된 용기(3)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1)는 용기(3)와 같은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용기이송장치(10)와, 용기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된 용기(3)에 라벨(5)을 부착하기 위한 라벨부착장치(30)와, 라벨부착장치(30)로 라벨(5)을 공급하기 위한 라벨공급장치(20)를 포함한다.
용기(3)는 주로 플라스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3)는 원형일 수도 있으며, 다른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용기(3)는 라벨(5)상에 인쇄된 상표 등이 용기(3)의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라벨(5)을 일정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용기(3)에 라벨(5)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5)은 롤형상으로 감겨 후술할 라벨공급장치(20)의 라벨지지대(21)에 장착된다. 그리고, 라벨(5)은 비닐류나 종이류의 재질로 제작되어 필름형상으로 라 벨지지대(21)에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라벨(5)은 라벨공급장치(20)에 의해 공급되어 후술할 라벨커팅유닛(34)에 의해 절단된 상태로 후술할 라벨부착장치(30)의 라벨부착드럼(31)에 의해 용기(3)에 부착된다. 그리고, 라벨(5)에는 라벨(5)이 절단되는 간격만큼의 이격간격을 두고 후술할 I마크인식부(25)에 의해 인식되도록 I마크(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이송장치(10)는 앞 공정으로부터 용기(3)를 이송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11)와, 제1컨베이어(11)로부터 이송된 용기(3)를 회전가능하게 라벨부착장치(30)로 이송하는 로터리테이블(17)과, 로터리테이블(17)로부터 이송된 용기(3)를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컨베이어(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이송장치(10)는 제1컨베이어(11)와 로터리테이블(17)사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용기(3)들 사이의 이격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송스크루(13)와, 이송스크루(13)로부터 이송된 용기(3)를 로터리테이블(17)로 이송하는 공급스타휠(15)과, 로터리테이블(17)로부터 이송된 용기(3)를 제2컨베이어(12)로 이송하는 배출스타휠(1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테이블(17)은 복수의 용기(3)를 순차적으로 라벨부착장치(30)로 이송하기 위해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리테이블(17)에는 용기(3)를 지지하는 복수의 재치대(18)가 마련된다.
재치대(18)는 로터리테이블(17)의 가장자리에 로터리테이블(1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로터리테이블(17)은 로터리테이블(17)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용기(3)를 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재치대(18)는 공전하는 용기(3)를 용기(3)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자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재치대(18)는 로터리테이블(17)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캠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부착장치(30)는 로터리테이블(17)에 의해 이송된 용기(3)에 라벨(5)을 부착하는 라벨부착드럼(31)과, 라벨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된 라벨(5)을 절단하여 라벨부착드럼(31)에 공급하는 라벨커팅유닛(34)과, 라벨부착드럼(31) 및 라벨커팅유닛(34)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무빙베이스(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벨부착장치(30)는 라벨부착드럼(31)에 부착된 라벨(5)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38)를 더 포함하며, 접착제도포부(38)도 역시 무빙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부착드럼(31)은 원통 형상으로 그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라벨부착드럼(31)의 외주면에는 라벨커팅유닛(34)과 근접한 위치에서는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절단된 라벨(5)을 흡착하며 용기(3)와 근접한 위치에서는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여 라벨(5)이 용기(3)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착공(미도시)이 마련된다. 그리고, 라벨(5)이 부착되는 라벨부착드럼(31)의 외주면의 각속도는 로터리테이블(17) 및 재치대(18)에 의해 회전하는 용기(3)의 외주면의 각속도보다는 같거나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라벨(5)이 용기(3)에 부착될 때 용기(3)의 외주면의 각속도가 라벨부착드럼(31)의 외주면의 각속도보다 더 빠르게 되면, 라벨(5)이 용기(3)의 외주면에 인장력을 가지며 느슨하지 않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벨커팅유닛(34)은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는 라벨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된 라벨(5)과 접촉하여 라벨(5)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37)가 돌출 장착된 커팅드럼(35)과, 커팅드럼(35)의 일측에 배치되며 커팅드럼(35)의 회전에 의해 커팅드럼(35)의 커터(37)와 접촉하여 그 사이에 위치한 라벨(5)을 절단하도록 커터(37)가 장착된 커팅부(36)를 포함한다.
커팅드럼(35)의 외주면에는 라벨부착드럼(31)과 같이 다수의 흡착공(미도시)이 마련된다. 그리고, 커팅드럼(35)의 흡착공은 라벨공급장치(20)와 근접한 위치에서는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라벨(5)을 흡착하며, 라벨부착드럼(31)과 근접한 위치에서는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여 절단된 라벨(5)이 라벨부착드럼(31)에 부착되도록 한다.
무빙베이스(40)는 라벨부착드럼(31)이 로터리테이블(17) 상에서 회전하는 용기(3)에 라벨(5)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라벨부착드럼(31)을 로터리테이블(17)의 회전축선에 가로방향으로 2축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무빙베이스(40)는 라벨부착드럼(31)과 접착제도포부(38) 및 라벨커팅유닛(34)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빙베이스(40)는 설치면에 배치된 베이스프레임(41)과, 베이스프레임(41)에 지지되며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해 용기(3)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제1베이스부(51)와, 제1베이스부(51)에 지지되며 제1베이스부(51)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제2베이스부(61)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41)은 라벨부착기(1)가 설치되는 공장의 바닥면과 같은 설치면 에 제1 및 제2베이스부(51,61)와, 라벨부착장치(3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41)은 사각블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41)에는 제1베이스부(51)가 용기(3)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된 제1가이드레일(43)과, 제1가이드레일(43)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4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레일지지대(42)와, 제1레일지지대(42)에 지지되어 제1베이스부(51)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1조작레버(4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43)은 한 쌍의 긴 바아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레일지지대(42)에 이격간격을 두고 용기(3)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제1가이드레일(43)에는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제1슬라이딩부재(4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43)에 각각 결합된 제1슬라이딩부재(44)는 제1레버연결부재(4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라이딩부재(44)는 스크루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제1베이스부(51)에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각 제1가이드레일(43)에 한 쌍의 제1슬라이딩부재(44)가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레버연결부재(45)는 제1조작레버(46)와 나사결합되어 제1조작레버(46)의 회전에 의해 제1슬라이딩부재(44)와 일체로 제1가이드레일(43)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제1레일지지대(42)는 이격된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43)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레일지지대(42)의 일측에는 제1조작레버(4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레버지지공(47)이 마련된다.
제1조작레버(46)는 긴 바아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레버지지공(47)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레일연결부재(45)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1조작레버(46)에 는 제1레버지지공(4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3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베이스부(51)는 베이스프레임(41)과 같이 사각블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측은 제1슬라이딩부재(44)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베이스부(51)에는 제2베이스부(61)가 용기(3)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된 제2가이드레일(53)과, 제2가이드레일(53)을 지지하도록 제1베이스부(5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레일지지대(52)와, 제2레일지지대(52)에 지지되어 제2베이스부(61)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2조작레버(5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레일(53)은 제1가이드레일(43)과 같이 한 쌍의 긴 바아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레일(53)은 제2레일지지대(52)에 이격간격을 두고 용기(3)방향의 가로방향 즉, 제1가이드레일(43)의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제2가이드레일(53)에는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제2슬라이딩부재(5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53)에 각각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54)는 제2레버연결부재(5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슬라이딩부재(54)는 스크루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제2베이스부(61)에 일체 로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각 제2가이드레일(53)에 한 쌍의 제2슬라이딩부재(54)가 이격되게 마련된다.
제2레버연결부재(55)는 제2조작레버(56)와 나사결합되어 제2조작레버(56)의 회전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54)와 일체로 제2가이드레일(53)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제2레일지지대(52)의 일측에는 제2조작레버(5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레버지지공(57)이 마련된다.
제2레버지지공(57) 및 제2조작레버(56)는 제1레버지지공(47) 및 제1조작레버(46)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상략한다.
제2베이스부(61)는 거의 사각블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측은 제2슬라이딩부재(54)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베이스부(61)에는 라벨부착드럼(31)과 접착제도포부(38) 및 라벨커닝유닛(34)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부(62)가 마련된다.
라벨공급장치(20)는 롤형태로 감긴 라벨(5)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라벨지지대(21)와, 라벨지지대(21)로부터 이송된 라벨(5)을 라벨커팅유닛(34)으로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보조롤러(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벨공급장치(20)는 라벨지지대(21)와 라벨커팅유닛(34)사이에 라벨(5)의 I마크(6)를 인식하여 라벨(5)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I마크인식부(25)와, I마크인식부(25)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라벨(5)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서보유닛(2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마크인식부(25)는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라벨(5)의 I마크(6)를 인식할 수 있도록 라벨(5)의 공급경로 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I마크인식부(25)는 라벨(5)의 위치정보를 서보유닛(27)으로 송신하게 되며, 이러한 라벨(5)의 위치신호에 따라 서보유닛(27)을 통해 라벨커팅유닛(34)으로 공급되는 라벨(5)의 절단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서보유닛(27)은 회전가능하게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라벨(5)과 접촉하여 라벨(5)을 라벨커팅유닛(34)으로 공급하는 서보드럼(28)과, 라벨(5)을 사이에 두고 서보드럼(28)의 대향측에 자유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보조드럼(29)과, 서보드럼(28)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미도시)와,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무빙베이스(4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라벨(5)의 공급편차를 줄이도록 무빙베이스(40)의 이동거리와 I마크인식부(25)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라벨(5)의 공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무빙베이스(40)가 이동하게 되면, 무빙베이스(40)와 일체로 결합된 라벨커팅유닛(34)도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라벨커팅유닛(34)과 서보유닛(27)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라벨(5)의 공급편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라벨커팅유닛(34)과 서보유닛(27)사이의 거리가 변함으로써 라벨(5)의 절단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는 무빙베이스(40)의 이동거리와, I마크인식부(25)의 공급신호에 따라 서보드럼(28)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무빙베이스(40)의 이동에 따른 라벨(5)의 공급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이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1)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이송장치(10)로부터 사각형상의 용기(3)를 라벨부착장치(30)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용기(3)는 로터리테이블(17) 및 재치대(18)에 의해 공전 및 자전하면서 라벨부착드럼(31)과 접하게 된다. 그러면, 라벨공급장치(20) 및 라벨부착장치(30)에 의해 라벨(5)을 용기(3)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그리고,
그리고, 용기(3)가 다른 크기의 용기(3)로 바뀌게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용기(3)의 경우에는 라벨(5)을 부착하는 시작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뀐 용기(3)에 라벨(5)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바뀐 용기(3)에 라벨(5)이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무빙베이스(40)의 제1조절레버(46) 및 제2조절레버(56)를 조작하여 라벨부착드럼(31)을 2축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I마크인식부(25)에 의해 송신된 라벨(5)의 위치신호 및 무빙베이스(40)의 이동거리에 따라 서보유닛(27)을 통해 라벨(5)의 공급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무빙베이스(4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라벨(5)의 공급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는 라벨부착드럼을 로터리테이블의 회전축선에 가로방향으로 2축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무빙베이스를 마련함으로써, 라벨이 부착될 용기와 같은 제품의 크기가 변하여도 무빙베이스를 이용하여 라벨부착드럼을 이동시키면 되므로 부품의 교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의 교환을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상의 용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제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I마크인식부 와 서보유닛을 마련함으로써, 무빙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라벨의 공급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빙베이스(40)의 제1베이스부(51) 및 제2베이스부(61)가 각각 용기(3)방향 및 용기(3)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나, 무빙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되는 라벨부착드럼(31)이 로터리테이블(17) 상의 용기(3)의 외주면에 가로방향으로 근접 및 이탈가능하게 다른 방향으로 2축 이동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와 같은 제품의 크기변화에도 부품의 교환을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상의 용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제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I마크인식부 와 서보유닛을 마련함으로써, 무빙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라벨의 공급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물품을 회전가능하게 이송하는 로터리테이블과,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마련되어 물품을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대해 회전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재치대와,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물품에 롤형상으로부터 절단된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드럼을 구비한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로터리테이블의 회전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베이스부와,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지지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라벨부착드럼이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물품 상의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시작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라벨부착드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무빙베이스와;
    상기 라벨에 마련된 I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라벨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I마크인식부와, 상기 무빙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라벨의 공급편차를 줄이도록 상기 무빙베이스의 이동거리와 상기 I마크인식부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상기 라벨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서보유닛을 가지며, 상기 라벨을 상기 라벨부착드럼 방향으로 공급하는 라벨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가 물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된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 며,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베이스부에 일체로 결합된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와 일체로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베이스부에 대해 각각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제2베이스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4. 삭제
  5. 삭제
KR1020030068703A 2003-10-02 2003-10-02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KR10061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03A KR100614691B1 (ko) 2003-10-02 2003-10-02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03A KR100614691B1 (ko) 2003-10-02 2003-10-02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25U Division KR200339519Y1 (ko) 2003-10-02 2003-10-02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51A KR20050032751A (ko) 2005-04-08
KR100614691B1 true KR100614691B1 (ko) 2006-08-25

Family

ID=3723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03A KR100614691B1 (ko) 2003-10-02 2003-10-02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6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51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3651A (en) Universal roll-fed label cutter
US6328832B1 (en) Labeling apparatus with web registration, web cutting and carrier mechanisms, and methods thereof
US4300974A (en) Cable drive turret for decoration of articles
CN104276315A (zh) 贴标机及对容器贴标的方法
US4201621A (en) Label applicator for irregularly shaped articles
US10343808B2 (en) Labeling machine
EP0944528A1 (en) Roll-fed labelling apparatus
CN206155934U (zh) 一种高速圆瓶贴标机
JP5329643B2 (ja) フィルムオープナー
US4239569A (en) Heat transfer labeling machine
US6450230B1 (en)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KR101462267B1 (ko) 의약품 보관용기용 회전형 라벨설명서 부착장치
US6998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heat transfer decorating machine for different package configurations
KR200339519Y1 (ko)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KR100614691B1 (ko) 로터리타입 라벨부착기
GB2410734A (en) Installation for placing sleeves on products such as bottles
KR200337759Y1 (ko) 라벨부착기
EP2468640B1 (en) System for fitting a tubular film
US68873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ly cleaning a package for a heat transfer decorating machine
KR200337760Y1 (ko) 라벨부착기
JP2000203545A (ja) ラベル取付け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ラベル取付け装置
JP4833661B2 (ja) フィルム受渡装置
WO2000000397A2 (en) Labelling apparatus and method
JP4729192B2 (ja) フィルム供給装置
JPWO2012086066A1 (ja) フィルム被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