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595B1 -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595B1
KR100613595B1 KR20040060064A KR20040060064A KR100613595B1 KR 100613595 B1 KR100613595 B1 KR 100613595B1 KR 20040060064 A KR20040060064 A KR 20040060064A KR 20040060064 A KR20040060064 A KR 20040060064A KR 100613595 B1 KR100613595 B1 KR 10061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light source
transparent plastic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6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300A (ko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김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원 filed Critical 김광원
Priority to KR2004006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5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5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 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어 공간적 제한이 따르는 장소에서도 효율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면에서 유입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빛 반사요홈들이 가공되어 있으며, 적층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투명 플라스틱 판재와;
상기 투명플라스틱 판재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측면에 형성된 광원 수용 공간내에 광원이 설치되고 그 광원의 전방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의 끝단부에 복수단의 판재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광원수용공간내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가장 근접한 상기 판재 끼움부에 일단이 끼워지고 그의 타단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가장자리부위까지 연장된 투명 보조판과;
상기 투명보조판의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플라스틱 판재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과 비슷한 조도를 가지도록 광원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조절하는 반투명 백색필름과;
상기 후방지지부재에 대향되는 전방 위치로 상기 투명보조판과 전방 플라스틱 판재 사이에 개재되는 전방지지부재와;
상기 전,후방 지지부재와 투명 플라스틱 판재들을 고정 결속하는 나사고정구와;
상기 복수개의 판재끼움부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에 적층되는 광고필름과;
상기 플라스틱 판재의 후방으로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고 전방으로 반사하는 빛 누출차단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고장치

Description

광고장치{Advertisemen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상 광고장치의 A-A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고장치 2(3,4) : 투명 플라스틱 판재
5,6 : 빛반사요홈 7 : 프레임
8 : 광원 9 : 후방지지부재
10 : 패킹 11 : 광원수용공간
12 : 빛반사갓 13 : 끝단부
14,15,16 : 판재끼움부 17 : 투명보조판
18 : 전방지지부재 19 : 나사조임구
20,21 : 불투명 필름 22 : 지지판부재
23 : 광고필름 24 : 빛누출차단판부재
26 : 탄성협지구 27 : 반투명백색필름
본 발명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업점에서 자기의 상호등을 표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광고장치는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광고하기를 원하는 문자 모양을 형성하도록 네온관을 구부려서 형성한 후 조명장치를 광고판의 내외부에 설치하여 빛을 조사해 주므로써 문자등이 드러나도록 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네온관을 이용한 광고판의 경우 네온관을 구부려서 문자등을 표시하게 되므로 작은 문자나 상세한 도형등의 표현이 불가능하며, 대형의 경우 하나의 문자나 도형을 통째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써 표현에 있어 매우 제한적이고 조잡한 광고 효과 밖에 기대할 수 없는 반면, 에너지 소비가 많고, 네온 장치에 사용되는 가스가 환경 문제를 유발시키며, 광고판 후방에 조명장치를 배설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빛이 광고판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기가 곤란한 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시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제어를 통해 다양한 광고 효과를 얻도록 한 광고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수많은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 및 배설하는데 따른 설치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일부 다이오드들이 단선되었을 경우 즉시 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광고 공해를 유발하는 실정이다.
또 최근에는 액정 표시판을 이용한 광고장치가 각광받고 있으나 이는 설치 비용이 너무 고가이어서 일반 상점등에서 간편하고 값싸게 자기의 상호등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장치로서는 적합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발명인은 한국특허등록 번호 114920호, 동 특허등록번호 259013호 및 한국특허출원 제2002-20949호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광고장치들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 특허들은 투명한 복수개의 플라스틱 판재에 특정 문자나 도형을 분할하여 음각에 의해 조각하고 복수개의 적층된 판재들의 측면을 프레임으로 감싸도록 설치한 후, 그 프레임 내에 설치한 광원으로부터 조사한 빛이 플라스틱 판재를 투과해 나가다 조각된 부위에 부딪혀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므로 도형이나 문자가 드러나게 한 것으로서, 각 판재의 측면에 특정 색의 빛만을 통과시키게 되는 채색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도형과 문자가 투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각종 광고 문안이 인쇄된 얇은 칼라 필름을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플라스틱 판재에 적층시켜 광고 도안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값싸게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문자와 도형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네온 방식에 의한 광고장치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발명들은 복수개의 플라스틱 판재의 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프레임내에 공간을 형성한 후 광원들, 예를 들면 형광등이나 백열등 또는 네온관등을 설치하고 있고 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플라스틱 판재의 측면을 통해서만 반사될 뿐 광원의 전방측은 막혀 있고 더우기 그 프레임이 플라스틱 판재를 협지도록 테두리 전면부까지 프레임이 연장되기 때문에 광고 면적이 그만큼 제한되므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광고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광고단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어 공간적 제한이 따르는 장소에서도 효율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고장치는 측면에서 유입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빛 반사요홈들이 가공되어 있으며, 적층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투명 플라스틱 판재와;
상기 투명플라스틱 판재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측면에 형성된 광원 수용 공간내에는 광원을 교체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협지구와 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광원의 빛을 투명 플라스틱 판재측으로 반사하기 위한 빛 반사갓이 설치되고, 상기한 광원의 전방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의 끝단부에 복수단의 판재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삭제
상기 광원에 가장 근접한 상기 판재 끼움부에 일단이 끼워지고 그의 타단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가장자리부위까지 연장된 투명 보조판과;
상기 투명보조판의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과 비슷한 조도를 가지도록 광원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조절하는 반투명 백색필름과;
상기 후방지지부재에 대향되는 전방 위치로 상기 투명보조판과 전방 플라스틱 판재 사이에 개재되는 전방지지부재와;
상기 전,후방 지지부재와 투명 플라스틱 판재들을 고정 결속하는 나사조임구와;
상기 복수개의 판재끼움부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에 적층되는 광고필름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후방으로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고 전방으로 반사하는 빛 누출차단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광고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면중 부호 1로 나타낸 광고장치(1)는 복수개의 투명 플라스틱 판재(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2"로, 설치위치에 따라 전,후방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때에는 "3"과 "4"로 기재하여 설명함)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는 1장도 가능하나 2-5장 정도 복수개를 적층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일측 표면에는 3각형 또는 4각형이나 반원형 단면등 여러가지 단면 형태를 가진 복수개의 빛 반사 요홈(5,6)이 형성되어 있으며, 판재(2)의 측면으로 프레임(7)내에 설치되는 광원(8)으로부터 조사하는 빛이 판재(2)를 타고 흐르다가 빛 반사 요홈(5,6)에 의해 부딪혀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어지게 된다.
상기한 프레임(7)은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재(9)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방지지부재(9)는 패킹(10)을 통해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2)의 측면으로는 광원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수용공간(11)내에 상기 광원(8)이 설치되며, 광원(8)의 일측으로는 투명 플라스틱 판재(2)쪽으로 반사하는 빛 반사갓(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7)의 광원(8)이 설치된 전방은 개방되어 있으며, 프레임(7)의 끝단부(13)에는 복수단의 판재끼움부(14,15,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재끼움부(14,15,16) 중 광원(8)측에 가까이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판재끼움부(14)에 투명 보조판(17)이 끼워지고, 그 투명 보조판(17)의 타단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3)의 가장자리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투명보조판(17)과 최전방의 투명플라스틱 판재(3) 사이에는 전방지지부재(18)가 개재되고, 그 전방지지부재(18)는 복수개의 투명플라스틱 판재(2)를 관통하는 나사조임구(19)에 의해 프레임(7)의 후방지지부재(9)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지지부재(18)(19)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3)(4)와의 접촉면을 카바하도록 상,하 불투명 필름(20)(21)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보조판(17)이 끼워지고 남은 나머지 판재끼움부(15)(16)중 하나에는 플라스틱 판재로 형성되는 지지판부재(22)가 끼워져 장착되고, 그 지지판부재(22)의 표면에는 광고 필름(23)이 적층되어 있다.
또 상기 플라스틱 판재(2)의 후방으로는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고 전방으로 빛을 반사하게 되는 빛누출차단판부재(2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8)의 외측에도 광원(8)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명 플라스틱 판재(2)측으로 반사하기 위한 빛 반사갓(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빛 반사갓(12)은 광원지지부재(25)와 일체로 형성되며, 광원지지부재(25) 역시 프레임(7)본체와 일체로 압출 성형되거나 또는 별개체로 압출성형하여 축방향으로 끼워 결합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광원(8)은 광원지지부재(25)에 장착되는 탄성협지구(26)에 의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한 탄성협지구(26)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광원(8)을 탄력적으로 협지하고, 또 광원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보조판(17)의 표면에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재(2)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과 비슷한 밝기를 가지도록 광원(8)으로부터 직접 투명보조판(17)을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에서 반투명 백색필름(27)이 적층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을 켜게되면 광원(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측면을 통해 흐를 뿐만 아니라 투명보조판(17)을 통해서 전방으로도 직접 빛이 조사된다.
먼저 측면으로 조사되는 빛은 상하 불투명 필름(20,21) 사이를 따라 진행하면서 빛의 직진성이 유도되어 판재(2) 내부면을 수평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빛반사 요홈(5,6)들에 부딪히게 되면서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어 조사되어지게 된다.
이 반사된 빛은 그 전방의 지지판부재(22)와 광고필름(23)을 투과하여 지나면서 광고필름(23)에 도안된 각종 광고도안이 밝게 비추어져 드러나게 된다.
그런데 이 광고필름(23)의 사이드는 광원(8)을 넘어 판재끼움부(14,15,16)까지 연장되어 있어, 투명플라스틱판재(2)들에 의한 반사빛의 영역이 광고필름(23)의 가장자리부위까지는 미치지 못하므로 광고필름(23)의 가장자리는 어둡게 되어 광고문안이 선명치 아니하게 되나, 이때 광원(8)으로부터 투명보조판(17)과 반투명백색 필름(27)을 통해 직접 전방으로 빛이 투사되므로써 광고필름(23)의 가장자리도 밝게 비추게 되는 것이며, 오히려 광원(18)에 인접하여 직광선을 받게 되어 광고필름(23)의 가장자리가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너무 밝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 전체 이미지를 손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코자 광고필름(23)의 중앙부와 비슷한 밝기를 가지도록 빛의 투과정도를 조절하는 반투명 백색 필름(27)을 사용한 것이다.
이로써 광고필름(23)이 프레임(7)의 거의 전체 외곽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광고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광고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광고 필름이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을 차지하도록 설치하고 있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명플라스틱 판재들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전방으로 반사하여 광고필름의 광고문안을 밝히는 것과 함께,광원으로부터 전방으로도 빛이 직접 조사되어지도록 하되 광고 필름의 중앙부와 비슷한 밝기를 가지도록 반투명 필름을 통해 투사되도록 하므로써 같은 설치 면적에 대비하여 광고되는 면적을 최대한 키울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 및 설치 면적의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측면에서 유입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빛 반사요홈(5,6)들이 가공되어 있으며, 적층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투명 플라스틱 판재(2)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9)를 구비하고 있으며, 투명 플라스틱 판재의 측면에 형성된 광원수용공간(11)내에 광원(8)을 교체가능하게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탄성협지구(26)와 이의 일측에 광원의 빛을 투명 플라스틱 판재(2)측으로 반사하기 위한 빛 반사각(12)이 설치되고, 상기한 광원(8)의 전방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끝단부에 복수단의 판재끼움부(14,15,16)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7)과;
    상기 광원(8)에 가장 근접한 상기 판재 끼움부(14)에 일단이 끼워지고 그의 타단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가장자리부위까지 연장된 투명 보조판(17)과;
    상기 투명보조판(17)의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과 비슷한 조도를 가지도록 광원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조절하는 반투명 백색필름(27)과;
    상기 후방지지부재(9)에 대향되는 전방 위치로 상기 투명보조판과 전방 투명 플라스틱 판재(3) 사이에 개재되는 전방지지부재(18)와;
    상기 전,후방 지지부재(18)(9)와 투명 플라스틱 판재(2)들을 고정 결속하는 나사조임구(19)와;
    상기 복수개의 판재끼움부(14,15,16)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판부재(22)와;
    상기 지지판부재에 적층되는 광고필름(23)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의 후방으로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고 전방으로 반사하는 빛 누출차단판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지지부재(18)(9)에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판재(2)와의 접촉면에 걸쳐 불투명 필름(20)(21)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KR20040060064A 2004-07-30 2004-07-30 광고장치 KR10061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0064A KR100613595B1 (ko) 2004-07-30 2004-07-30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0064A KR100613595B1 (ko) 2004-07-30 2004-07-30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300A KR20060011300A (ko) 2006-02-03
KR100613595B1 true KR100613595B1 (ko) 2006-08-21

Family

ID=3712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60064A KR100613595B1 (ko) 2004-07-30 2004-07-30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878A1 (en) * 2007-04-03 2008-10-09 Ni Na You Advertizing signboard with a frame emitting color light
KR100874371B1 (ko) * 2006-09-29 2009-01-30 주식회사 지오컴 도광판을 이용한 싸인
KR20190033219A (ko) 2017-09-21 2019-03-29 김광원 광표출장치
KR20190142960A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이광 광표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01B1 (ko) * 2006-06-20 2007-10-04 주식회사 토탈에이플러스 광고물선전용 타워라이트의 발광 장치
KR100889236B1 (ko) * 2008-06-26 2009-03-16 (주)동방애드컴 지하철용 다층 광고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71B1 (ko) * 2006-09-29 2009-01-30 주식회사 지오컴 도광판을 이용한 싸인
WO2008120878A1 (en) * 2007-04-03 2008-10-09 Ni Na You Advertizing signboard with a frame emitting color light
KR20190033219A (ko) 2017-09-21 2019-03-29 김광원 광표출장치
KR20190142960A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이광 광표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300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334A (en) Lighted display board
KR100631149B1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KR100613595B1 (ko) 광고장치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WO2009093131A1 (en) Illuminated signage and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101911467B1 (ko) 라이팅 광고 패널
US20060080874A1 (en) Dynamic message sign
KR20110003225A (ko) 3차원 입체 광고
GB2358513A (en) Lighting apparatus and illuminated signs
KR200444447Y1 (ko) 로고 표시 판넬의 양면발광 조명장치
KR20200085622A (ko) 시선유도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KR200385064Y1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KR100541229B1 (ko) 광표출장치
KR200233393Y1 (ko) 외부조명등이 구비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101123369B1 (ko) 이미지 표시장치
KR200243386Y1 (ko) 조명 광고판
KR100613596B1 (ko) 광고장치
KR101111250B1 (ko) 광고장치
KR200299714Y1 (ko) 광고간판
JP4320233B2 (ja) 照明型片面看板
KR100772065B1 (ko) 광투과성 다층 플라스틱판을 이용한 사인 및 조명장치
KR200450549Y1 (ko) 저철분 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92871Y1 (ko) 건축물용 입체 간판 구조체
KR200366888Y1 (ko) 광고판
JP3125603U (ja) Ledを用いた簡易ライト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