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057B1 -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057B1
KR100611057B1 KR1020060038890A KR20060038890A KR100611057B1 KR 100611057 B1 KR100611057 B1 KR 100611057B1 KR 1020060038890 A KR1020060038890 A KR 1020060038890A KR 20060038890 A KR20060038890 A KR 20060038890A KR 100611057 B1 KR100611057 B1 KR 10061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rizontal
sewer pipe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승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 그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 그룹상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 그룹상
Priority to KR102006003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각 변동에 의해 외부적으로 측토압과 수평토압이 가해져올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구성물 상호간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도 긴밀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수평토압이나 측토압에 의해 하수관로가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하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16)가 형성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13)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13)을 막도록 측판(14)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1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15)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12)가 형성되는 상부몸체(10); 상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26)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의 플랜지(16)와 볼트(18)로 고정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23)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23)을 막도록 측판(24)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2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25)가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22)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와 고정되는 하부몸체(20); 이동체삽입홈(11)(21)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판체(3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원통형 하수관고정부(32)가 형성되고, 하수관고정부(32)의 내벽 둘레에 돌기홈부(33)가 형성되며, 하수관고정부(32)는 수평장공(40)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판체(31)의 양측부에 스프링고정판(34)이 볼트로 고정되고, 스프링고정판(34)에 고리(35)가 형성 되는 수평이동체(30); 돌기홈부(33)에 맞물리는 돌기부(37)가 외벽에 형성되어 하수관고정부(32)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수관(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고무관(36); 측판(14)(24)에 형성된 고리(15)(2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고정판(34)에 형성된 고리(35)에 고정되는 스프링(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토압, 수평토압, 하수관, 수평이동체

Description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A connector of sewage pipe using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에서 측토압이 발생하여 일측으로 밀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하수관 10 : 상부몸체
11, 21 : 이동체삽입홈 12, 22 : 수평장공홈부
13, 23 : 측면연통홀 14, 24 : 측판
15, 25 : 고리 16, 26 : 플랜지
17 : 앵커 18 : 볼트
20 ; 하부몸체 30 : 수평이동체
31 : 판체 32 : 하수관고정부
33 : 돌기홈부 34 : 스프링고정판
35 : 고리 36 : 고무관
37 : 돌기부 40 : 수평장공
38 : 스프링
본 발명은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각 변동에 의해 외부적으로 측토압과 수평토압이 가해져올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구성물 상호간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도 긴밀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수평토압이나 측토압에 의해 하수관로가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오·폐수와 빗물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를 모으는 하수도는 하수관로 시설과 하수 처리 시설 및 슬러지 처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수관로시설은 크게 하수관거와 펌프장으로 구성되며 하수관로는 관거, 오수받이, 우수받이, 맨홀, 우수토실, 토구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우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시키는 역활을 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는 시공되는 위치의 토질(경질토, 보통토, 연질토, 극연질토로 구분)에 따라 실제로는 관부식과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초(모래 또는 쇄석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달리 조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토질의 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모래 또는 쇄석을 깔거나 기초받침 PC콘크리트를 연접 설치한 후 이 상부에 관거를 이음 연결하고, 다시 되메우기하여 시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는 종래의 오폐수 하수관로는 경질토와 보통토 내에 시공할 경우에는 그다지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부등침하가 자주 발생하는 연질토와 극연질토에 시공할 경우에는 지반의 부등침하와 지하수 부력에 의한 토압이 전가되어 올 경우 하수관로가 심각하게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하수관로 인근지역에서 침하현상이 발생하면 하수관로가 설치된 곳까지 수평토압이 발생하여 하수관로가 수평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하지 못하면 하수관로가 심각하게 파손 및 이탈되는 문제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실사용시 다량의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켜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은 물론 이고, 지표면으로 심각한 악취를 방출시키는 문제점을 자주 발생시켰다.
또한, 이와 같은 하자를 빈번히 발생시켜 막대한 유지 보수와 주기적인 관리를 취해야 하는 비경제적이고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알려진 하수도관 연결구는 관체 외주면의 리브와 접수판 내주면의 요철홈을 상호 포개지도록 연결하되 그 사이에 패킹재를 끼워넣음으로써 수밀성을 증대시켜 연결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하수관 연결구는 연결구를 받쳐주는 지반이 부동침하되었을 때는 연결구에서 응력이 발생되어 연결구가 구부러지고, 하수도관의 이음부가 서로 어긋나게 되고 비틀려지며 심할 경우에는 이음부가 파손되어 오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부동침하(不同沈下)라 함은 부등침하(不等沈下)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써 구조물을 받쳐주는 지반이 부분적으로 서로 상이하게 침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부동침하는 연약지층, 경사지반, 이질지층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부동침하가 발생되면 구조물에 응력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구조물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부등침하를 포함한 기타 요인에 의해 수평토압이 발생할 때 하수관이 수평토압에 탄력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구성하여 수평토압이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파손하지 못하게 하고, 하수관의 연결부위에 토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 토 압에 의한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하수관이 파열되지 않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측토압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에 의해 하수관을 탄력지지시켜 측토압이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하수관에 탄력적인 압력이 작용하게 하여 지나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을 막도록 측판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평장공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부몸체의 플랜지와 볼트로 고정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을 막도록 측판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장공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가 형성되어 상부몸체와 고정되는 하부몸체; 이동체삽입홈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판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원통형 하수관고정부가 형성되고, 하수관고정부의 내벽 둘레에 돌기홈부가 형성되며, 하수관고정부는 수평장공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판체의 양측부에 스프링고정판이 볼트로 고정되고, 스프링고정판에 고리가 형성되는 수평이동체; 돌기홈부에 맞물리는 돌기부가 외벽에 형성되어 하수관고정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수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고무관; 측판에 형성된 고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고정판에 형성된 고리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 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평이동체(30)에 두개의 하수관(1)이 삽입되어 연결되고, 하수관(1)은 고무관(36)에 의해 보호되면서 연결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부몸체(10)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16)가 형성된다.
상부몸체(10)의 양측부에 측면연통홀(13)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13)을 막도록 측판(14)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1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15)가 형성된다.
상부몸체(10)의 하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12)가 형성된다. 수평장공(40)의 절반인 수평장공홈부(12)는 후술할 하부몸체(20)의 수평장공홈부(22)와 합쳐져 하나의 수평장공(40)이 된다.
하부몸체(20)는 상부몸체(10)와 합쳐져 하나의 몸체가 되고, 하부몸체(2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21)이 형성된다.
하부몸체(20)는 상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26)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의 플랜지(16)와 볼트(18)로 고정되고, 양측부에 측면연통홀(23)이 형성되며, 측면연통홀(23)을 막도록 측판(24)이 볼트로 고정된다.
하부몸체(20)의 측판(2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25)가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22)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와 고정된다.
수평이동체(30)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좌우 수평이동하도록 고정되고, 이동체삽입홈(11)(21)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판체(3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원통형 하수관고정부(32)가 형성된다.
하수관고정부(32)의 내벽 둘레에 돌기홈부(33)가 형성되고, 하수관고정부(32)는 수평장공(40)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수평이동체(30)의 판체(31)의 양측부에 스프링고정판(34)이 볼트로 고정되고, 스프링고정판(34)에 고리(35)가 형성된다.
중공의 원통형인 고무관(36)은 돌기홈부(33)에 맞물리는 돌기부(37)가 외벽에 형성되어 하수관고정부(32)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수관(1)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스프링(38)은 측판(14)(24)에 형성된 고리(15)(2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고정판(34)에 형성된 고리(35)에 고정된다.
두개의 하수관(1)이 고무관(36)의 내부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고무 관(36)은 수평이동체(30)의 하수관고정부(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고무관(36)이 하수관(1)의 둘레를 감싸면서 보호하므로 여러방향의 압력을 흡수하여 하수관을 보호한다.
그리고 특히 측토압의 경우 수평장공(40)을 통하여 좌우 이동할 수 있으므로 토압을 흡수하여 하수관이 파손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때 스프링의 수평이동체(30)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므로 측토압의 압력에 대항하여 지지하여 주되 과압력이 작용할 경우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압력을 흡수하여 하수관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하수관에 발생하는 수평토압에도 하수관이 파손되지 않고 수평토압에 저항하여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하수관고정부 내에 삽입되어 하수관을 고정하는 고무관이 하수관을 파손시키도록 작용하는 압력을 흡수하여 하수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16)가 형성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13)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13)을 막도록 측판(14)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1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15)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12)가 형성되는 상부몸체(10);
    상부가 개방되도록 내부에 이동체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 단부에 플랜지(26)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의 플랜지(16)와 볼트(18)로 고정되며, 양측부에 측면연통홀(23)이 형성되고, 측면연통홀(23)을 막도록 측판(24)이 볼트로 고정되며, 측판(24)에 스프링(38)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25)가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장공(40)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장공홈부(22)가 형성되어 상부몸체(10)와 고정되는 하부몸체(20);
    이동체삽입홈(11)(21)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판체(3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원통형 하수관고정부(32)가 형성되고, 하수관고정부(32)의 내벽 둘레에 돌기홈부(33)가 형성되며, 하수관고정부(32)는 수평장공(40)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판체(31)의 양측부에 스프링고정판(34)이 볼트로 고정되고, 스프링고정판(34)에 고리(35)가 형성되는 수평이동체(30);
    돌기홈부(33)에 맞물리는 돌기부(37)가 외벽에 형성되어 하수관고정부(32)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수관(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고무관(36);
    측판(14)(24)에 형성된 고리(15)(2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고정판(34)에 형성된 고리(35)에 고정되는 스프링(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20060038890A 2006-04-28 2006-04-28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61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90A KR100611057B1 (ko) 2006-04-28 2006-04-28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90A KR100611057B1 (ko) 2006-04-28 2006-04-28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057B1 true KR100611057B1 (ko) 2006-08-10

Family

ID=3759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90A KR100611057B1 (ko) 2006-04-28 2006-04-28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0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397B1 (ko) 수평토압과 수직토압에 견디기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
KR100611678B1 (ko) 공동주택단지내의 비탈길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구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635233B1 (ko)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KR100611057B1 (ko) 측토압과 수평토압을 흡수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0593838B1 (ko) 공동주택 연약지반 내의 상하수관 파손방지구조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54249B1 (ko) 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623930B1 (ko)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0318079Y1 (ko) 하수관로 흄관 부설 받침대
CN110924445B (zh) 一种市政建设用可防堵的窨井装置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0546240B1 (ko) 하수관거 침하방지구조
KR20041431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이음 구조
KR200406944Y1 (ko)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JP2007132072A (ja) 浮上がり防止用マンホ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