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762B1 -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 Google Patents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762B1
KR100609762B1 KR1020060043000A KR20060043000A KR100609762B1 KR 100609762 B1 KR100609762 B1 KR 100609762B1 KR 1020060043000 A KR1020060043000 A KR 1020060043000A KR 20060043000 A KR20060043000 A KR 20060043000A KR 100609762 B1 KR100609762 B1 KR 10060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t
treated water
biofilm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중호
카츠히로 얀베
전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디안
Priority to KR102006004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7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를 1차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수 기준 및 중수로의 재활용을 위해 재차 고도처리를 위한 정화처리장치로 처리수를 송수함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장치에서 오폐수가 불포화상태로 침윤되도록 부하를 최소화하고, 포화상태에서 산소 부족으로 인한 눈 막힘 현상 즉, 폐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동함으로써 정화처리장치의 일일 처리능력에 맞게 송수를 간헐적으로 조절하며, 송수배관을 다수개로 분기시켜 각 분기배관 별로 정화처리상황에 따라 송수량을 별개로 제어하며, 상기 송수배관으로 분배된 처리수는 생물막이 형성되도록 생물막 여과매트에서 흡착, 분해 및 1차 여과되고, 상기 매트의 표면을 덮고 있는 부직포를 따라 상기 매트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직포에 의하여 재차 여과되며, 상기 매트 주위에 충진되어 있는 다공질의 석탄회에 또다시 여과되며, 상기 석탄회에 점착 가공되어 있는 미생물에 의하여 오폐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분해되며, 마지막으로 최종 처리수를 집수하여 방출하는 다공질의 집수 유공관에 설치된 부직포에 의하여 부유물질이 최종 여과되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is first purified, and then the wastewater is returned to the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for advanced treatment for legal discharge water standards and recycling to heavy water. In order to minimize clogging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saturation state, or to close the phenomenon, the pump is operated by using a timer to control the water flow intermittently according to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By branching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treatment situation for each branch pipe, the treated water distributed to the water pipe is adsorbed, decomposed and primary filtration on the biofilm filter mat to form a biofilm, the surface of the mat Filtered again by the nonwoven, moving out of the mat along the covering nonwoven, the mat Filtration is again carried out by porous coal ash filled in the surroundings, and organic matter contained in waste water is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adhered to the coal ash, and finally, installed in a porous collecting oil pipe which collects and discharges the final treated wa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wherein the suspended solids are finally filtered by a nonwoven fabric.

정화처리장치, 타이머, 생물막, 석탄회, 점검구 Purifier, Timer, Biofilm, Fly Ash, Inspection Door

Description

고도수처리장치 및 방법{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송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막 여과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iofilm filtration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통상 여재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ace is not normally formed in the media.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medi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Codes for Major Configurations of Drawings **

100: 자동송수장치 110: 집수관100: automatic water transportation device 110: water collecting pipe

120: 펌프 130, 132, 134: 송수배관120: pumps 130, 132, 134: water supply piping

140, 142, 144: 조절밸브 150, 152, 154: 송수량 표시계140, 142, 144: Control valve 150, 152, 154: Water flow meter

160: 타이머 200: 오폐수 정화처리장치160: timer 200: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210: 구조물 220, 230, 240: 생물막 여과매트210: structure 220, 230, 240: biofilm filter mat

222, 232, 242: 유입포트 224, 234, 244: 분배 유공관222, 232, 242: inflow ports 224, 234, 244: distribution pipe

226, 236, 246: 부직포 228, 238, 248: 점검구226, 236, 246: nonwoven fabric 228, 238, 248: inspection opening

250: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 260: 집수 유공관250: porous ash layer of coal ash 260: water collecting pipe

270: 최종 집수관 280: 차수막270: final collection pipe 280: curtain

290: 마사토 300: 탱크290: Masato 300: tank

본 발명은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1차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수 기준 및 중수로의 재활용을 위해 재차 고도 정화처리장치로 처리수를 송수함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장치에서 오폐수가 불포화상태로 침윤되도록 부하를 최소화하고, 포화상태에서 산소 부족으로 인한 혐기화의 진행을 방지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동함으로써 정화처리장치의 정화처리능력에 맞게 송수를 간헐적으로 조절하며, 송수배관을 다수개로 분기시켜 각 분기배관 별로 정화처리능력에 따른 송수량을 별개로 제어하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he first 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waste water, and then in order to return the treated water to the advanced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for recycling to the legal effluent standards and heavy water, the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Minimizes the load so that the wastewater infiltrates into the unsaturated state, prevents the progress of anaerobicization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saturated state, and operates the pump using a timer to control the water flow intermittently to meet the purification treatment capacity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branching water supply pipes into a plurality of water pipes to separat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treatment capacity for each branch pipe.

또한, 본 발명은, 정화처리장치에서 처리수를 고도 정화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송수배관으로 분배된 처리수가 생물막이 형성되어 있는 생물막 여과매트에서 흡착, 분해 및 1차 여과되고, 상기 매트의 표면을 덮고 있는 부직포를 따라 상기 매트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직포에 의하여 재차 여과되며, 상기 매트 주위에 충진되어 있는 다공질의 석탄회에 또다시 여과되며, 상기 석탄회에 점착 가공되어 있는 미생물에 의하여 오폐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분해되며, 마지막으로 최종 처리 수를 집수하여 방출하는 다공질의 집수 유공관에 설치된 부직포에 의하여 부유물질이 최종 여과되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igh-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treated water in the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the treated water distribu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s adsorbed, decomposed and primary filtered on the biofilm filter mat in which the biofilm is formed, the surface of the mat The orga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wastewater is filtered again by the nonwoven fabric while moving out of the mat along the covering nonwoven fabric, filtered again by the porous coal ash filled around the mat, and the microorganisms adhered to the coal ash.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suspended solids are finally filtered by a nonwoven fabric installed in a porous collecting oil perforated pipe which is decomposed and finally collects and discharges the final treated water.

오폐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분자크기에 따라 물질을 분리하는 막 분리 공정은 얼마 전만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으나, 분리막을 공정상 이용할 경우 에너지 소비가 적고, 상변화와 고온처리 등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오폐수의 고도 처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substances according to the molecular size was not considered technically important until recently, but when the membrane is used in the process, energy consumption is low, and phase change and high temperature treatment are not accompanied. Due to its advantages, it is recently used for advanced treatment of wastewater.

상기 막 분리는 분리막(membrane)이 가진 미세공의 형태 및 크기와 막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그리고 막 분리 대상물질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압력, 농도 그리고 전위차 등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행하여질 수 있으며, 현재의 막 분리 공정에 이용되고 있는 분리막의 종류로는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 기체투과막(gas separation membrane) 혹은 투과증발막(pervaporation membrane)등이 있다. 이러한 막들은 각각의 기공 크기와 재질 및 용도에 따라서 사용 용도에 제한을 갖기 때문에, 특히 오폐수처리나 하수처리에는 그 중에서 정밀여과막(MF)과 한외여과막(UF) 그리고 역삼투막(RO)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membrane sepa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driving force such as pressure, concentration and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micropores of the membran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membrane,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rget material. The membranes used in the current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nclude microfiltration membranes, ultrafiltration membranes, reverse osmosis membranes, gas separation membranes, or pervaporation membranes. ). Since these membranes have limitations on their use depending on their pore size, material, and purpose, the filtration membrane (MF), ultrafiltration membrane (UF),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RO) are mainly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or sewage treatment. .

상기 정밀여과막(MF)과 한외여과막(UF)의 경우, 높은 수투과도와 함께 분리막 시스템의 신뢰도 측면에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야 수처리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오폐수나 산업용 폐수 등을 처리할 때 원수의 수질이 좋지 않은 경우 분리막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불순물을 일정 시간주기로 제거해야 하는 약 품 세정작업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the microfiltration membrane (MF) and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UF),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must be excellent in terms of reliability of the separator system with high water permeability,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is required. If the raw water quality is not good when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mbrane is contaminated. And in order to prolong its life, it is required to clean the chemicals to remove impurities at regular time intervals.

따라서, 분리막의 수명은 막오염(fouling) 현상으로 인하여 단축되고,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주기적으로 분리막의 표면을 세척해야 하며, 입자가 제거된 순수한 상태의 원수만이 사용가능하므로 일반 공업용수, 하천수, 해수 등의 대용량 용수처리에는 부적합하고 전문기술자의 운전이 요구된다.Therefore, the life of the membrane is shortened due to membrane fouling, and to prevent membrane fouling,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ould be periodically cleaned, and only raw water in which the particles are removed can be used. It is inadequate for large-scale water treatment of water, river water, seawater, etc. and requires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technicians.

또한, 흡착을 이용한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러한 활성탄 흡착법은 색도 및 잔류 COD를 제거하는 능력은 좋으나, 주기적으로 활성탄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은 단독 사용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a method using adsorption, such activated carbon adsorption method has a good ability to remove chromaticity and residual COD, but it is not used well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activated carbon and the cost increases. In addition, such a method can not be expected to be a great effect by using alone, there is a limit that must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everal other methods.

게다가, 위에서 기술한 대부분의 오폐수 처리공법들은 인위적으로 구성된 처리공정에만 의존하고 있어,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반응조의 요구 용적이 크고 많은 기계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비교적 높다. 특히 유입수 유량 및 수질의 변화 또는 공기공급장치 고장 등으로 반응조내 미생물 사멸시에 대처능력 부족으로 방류수질의 불안정이 빈번히 발생하고, 폐오니의 발생량이 많아 오니 처리비용이 높은 단점과 약품 세정 및 잉여슬러지의 해양투기로 2차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described above rely only on artificially constructed treatment processes, which require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volume and high mechanical cost of reactors to treat pollutants, resulting in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 In particular, instability of discharged water quality frequently occurs due to lack of coping capacity when microorganisms are killed in the reaction tank due to changes in inflow flow rate and water quality or air supply equipment failure, and waste sludge is generated a lot. There is a problem of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ocean dumping.

이러한 인위적인 처리공법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연정화능력을 이용하는 토양정화법의 사례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는바, 토양정화법은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처리 반응조를 하부에 위치시키고 반응조 상부를 토양으로 덮은 후에 토양층 위에 잔디를 식재하는 것에 의해 토양층에 오염물이 유입될 경우 오염물이 토양생물체의 영양소가 되어 분해, 제거되도록 하는 공법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se artificial treatment method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soil purification method using natural purification ability. Soil purification method is generally used after placing a contaminant treatment tank at the bottom and covering the top of the reactor with soil. When pollutants enter the soil layer by planting the grass on the soil layer, the pollutant becomes a nutrient of soil organisms so that it is decomposed and removed.

이러한 자연정화법을 응용한 대표적 공법은 HBR공법, 모관침윤트랜치공법 및 토양피복형 접촉산화공법을 들 수 있는바, HBR공법은 토양 및 토양 내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토양 미생물 배양조를 공정 내에 설치하여 토양 미생물을 활성화시킨 후에 이것을 반응조로 순환시켜 질소나 인의 처리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법은 배양조 유지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토양정화법의 여러 가지 장점들 중에서 일부만 응용한 경우에 불과하다.Representative methods applying this natural purification method include HBR method, capillary infiltration trench method, and soil coating type contact oxidation method. HBR method does not directly use soil and microorganisms in soil. After activating the soil microorganisms and circulating them in the reacto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itrogen or phosphorus treatment, this method is relatively high in the maintenance cost of the culture tank and only a few of the advantages of the soil purification method are applied. Do.

상기 모관침윤 트랜치공법은 침전분리조, 접촉여과조, 산화침윤정화조, 모관침윤트랜치로 구성되고, 그 중 침전분리조는 유입수 중의 고형물을 침전시키고, 접촉여과조에서는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의 제거가 일어나며, 산화침윤정화조의 상부에 있는 여재는 토양층과 접촉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정화조 상부에서 자라는 식물에게 정화조 유입수내의 유기물, 질소 및 인 등을 공급하게 되며, 이같이 전 처리된 물은 마지막 처리공정인 모관침윤 트랜치의 모관을 통해 스며 나와 모관의 사이펀작용에 의하여 상하, 횡방향으로 이동 분산하면서 토양 내의 미생물에 의해 처리된 후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충전하고 일부는 상부 토양층에 식생된 식물의 영양과 수분으로 공급되거나 대기로 증발되는 방식으로, 이는 유입수가 자연 유하식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기동력이 전혀 필요 없고, 토양을 침투하기 때문에 토양 미생물에 의해 질소 및 인이 제거되는 장점은 있으나 반면에, 소요부지가 다른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토양을 오염시켜 현재는 거의 사용되고 있 지 않다.The capillary infiltration trench method comprises a sedimentation separation tank, a contact filtration tank, an oxidation infiltration purification tank, and a capillary infiltration trench, among which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tank precipitates solids in the influent, and in the contact filtration tank, organic matter is removed by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media. The media at the top of the oxidative infiltration tank is in contact with the soil layer, which supplies the plants growing at the top of the septic tank to supply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septic tank influent, and the pretreated water is the final treatment process. Scattered through the trench's capillary and moved up and down and transversely by the siphon action of the capillary, processed by microorganisms in the soil, then penetrated underground to fill the groundwater, and partly with the nutrition and moisture of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upper soil layer. In the way that it is supplied or evaporated to the atmosphere, It does not require any electric power because it flows into the furnac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by soil microorganisms because it penetrates the soil.However, the required site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other methods and contaminates the soil. Not.

그나마,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관침윤 트랜치 방식에서는 오폐수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있기 때문에 부하가 높아져 포화상태 즉 침윤이 아닌 침투에 의하여 정화가 이루어지고 산소의 공급이 줄어들어 눈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경제상의 문제로 인하여 유공관 주변에 일부분에만 다공질의 광석 내지는 자갈 등을 이용하고 있고, 나머지 하단부분은 모래나, 다공질이 아닌 인공토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질 광석 주변에 오폐수가 이동하면서 처음에는 정화작용이 수행되지만, 해가 거듭될 수록 폐쇄현상으로 인하여 정화속도가 저하되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urrent maternal infiltration trench method, since waste water is continuously injected, the load is increased, so it is purified by infiltration rather than saturation, that is, infiltration, and the supply of oxygen is reduced, which is likely to cause clogging due to economic problems. Due to the use of porous ores or gravel only in part around the perforated pipe, and the bottom of the remaining portion is using sand, or artificial soil that is not porous, so the waste water moves around the porous ore at first Although it is carried out, there is a critical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rate is lowered due to the closing phenomenon as the year is repe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 오폐수를 간헐적으로 송수함으로써,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불포화상태로 정화처리되는 친환경적인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co-friendly purification of unsaturated water in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by intermittently sending the waste water to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It is to provide a high-altitud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공관 주변에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뛰어난 다공성의 여재를 충진함으로써 침윤확산 및 모관의 상승 하강이 이루어지는 오폐수의 흐름과 심층부에 이르기까지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공기의 흐름이 분리될 수 있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l the perforated, permeable, air permeable and porous porous media around the perforated pipe, so that the flow of air to the oxygen supply to the depth of the waste water flow and the depth of the infiltration diffusion and descending of the mother tube It is to provide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be sepa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성의 여재를 충진하고, 여재에 미생물을 점착 가공함으로써 오폐수의 유기물을 분해, 산화, 흡착 및 여과하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rous filter medium and adhesively processing microorganisms on the filter medium to decompose, oxidize, adsorb, and filter organic matter in waste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 및 슬러지 발생을 최소화하는 환경친화적인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odor and sludge generation without using any chemicals.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폐수를 1차로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기준 및 중수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차 정화처리하는 고도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도수처리 장치는, 상기 1차 정화처리수를 송수하는 자동송수장치와, 송수된 처리수를 정화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송수장치는, 상기 처리수가 집수되는 집수관과, 상기 처리수를 집수관으로 유입시키는 펌프와, 상기 집수관으로부터 처리수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송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the first purification treatment for the waste water and then purified again in order to recycle to the legal discharge criteria and heavy water,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And 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rimary purified treatment water, and a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wherein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ipe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is collected, and the treated water.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branched from the water collecting pipe so as to distribute the treated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pipe evenly.

상기 송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송수배관 별로 송수량을 결정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water supply pipe.

상기 송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과하는 송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송수량 표시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indicator that can confirm the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pipe.

상기 펌프에는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부하가 걸려 오폐수가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정화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 및 정지시간을 임의로 조정하면 서 간헐적으로 송수할 수 있는 타이머가 더 구비된다.The pump is further provided with a timer capable of intermittently delivering water while arbitrarily adjusting the operation and stop time of the pump, so that the waste water is purged while maintaining the unsaturated state under the load of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에 설치된다.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is installed i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상기 구조물에는 생물막이 형성되어 오폐수를 1차적으로 흡착 분해하는 생물막 여과매트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다.In the structure, a biofilm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biofilm filter mat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sorb and decompose wastewater first.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는 그 단면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와 양 측면은 폐쇄되어 있는 "

Figure 112006050117161-pat00008
" 형상이며, 차수막 통공구조로 되어 있어, 유입된 오폐수가 전체 매트 안으로 평행하게 유입된다.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the biofilm filtration mat is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both sides are closed.
Figure 112006050117161-pat00008
It is shaped and has a membrane-hole through structure, so that the introduced waste water flows in parallel into the entire mat.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를 상기 매트안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각기 여과매트의 중간 중간에 상기 송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입포트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송수배관은 상기 유입포트 수만큼 다시 분기된다.In the upper part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 port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filtration mat, so that the treated water is evenly supplied throughout the mat, the water supply pipe is the inlet port number As many branches again.

상기 유입포트의 하부에는 유입된 처리수가 생물막 여과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공성의 분배 유공관이 다수 설치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a plurality of porous distribution hol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 so that the introduced treated water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내부와 개방된 상면에는 부직포가 덮여 있고, 상기 부직포는 폭 방향의 양측으로 늘어 드려져 연장된다.The inside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and the open upper surface are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and the nonwoven fabric extends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 안으로 송수되고, 평행을 이루며 유입된 오폐수는 부직포의 사이펀 혹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를 타고 양측으로 완만한 속도로 이동하며, 여재층으로 침윤, 확산하게 된다.Wastewater, which is fed into the biofilm filter mat and flows in parallel, flows at a moderate speed to both sides by the siphon or capillary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and infiltrates and diffuses into the media layer.

상기 구조물 내부에는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주위로 다공질의 여재층이 충진된다.The porous filter layer is filled in the structure around the biofilm filter mat.

상기 여재층에는 다공질로서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석탄회가 사용된다.Coal ash is used as the porous layer, which is porous and has a large space form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media but also inside thereof, which has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breathability, and water absorption.

상기 석탄회에는 다공질 내에 미생물을 점착 가공하여 생물막을 형성한다.The coal ash is subjected to microbial adhesion processing in the porous to form a biofilm.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양쪽 끝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정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매트 별로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At least one check hole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to check whether the treated water is smoothly purified without clogging, thereby enabling inspection for each mat.

상기 점검구의 일측은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점검구를 통하여 지하수를 상기 매트 내부로 유입시켜 막힘 현상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heck opening is exposed to the air so that the biofilm filter mat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groun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t through the check opening to remove the clogging phenomenon.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하부에는 정화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이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다.Under the biofilm filtration mat, a plurality of porous collecting and collecting pipes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final treated water are dispos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t.

상기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의 외주연에는 부직포를 더 포장하고, 봉재하여, 부유 물질을 여과시키고 정화처리수만을 통과시키는 것이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ous water collecting perforated pipe is further wrapped with a nonwoven fabric and sealed to filter the suspended solids and pass only the purified water.

상기 다수의 집수 유공관에서 집수된 최종 처리수를 다시 한 곳으로 집수하여 경사로를 따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집수 유공관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최종 집수관이 경사지게 더 설치된다.In order to collect the final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collecting oil pipes again and discharge them along the ramp, the final water collecting pipe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ter collecting oil pipes are further inclined.

상기 최종 집수관은 상기 구조물 외부에 설치된 최종 집수탱크와 다시 연결됨으로써, 최종 처리수가 외부로 방류된다.The final collection pipe is connected back to the final collection tank installed outside the structure, whereby the final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구조물의 바닥 및 측벽에는 수분이 통과할 수 없는 차수막이 더 설치된다.The bottom and sidewalls of the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rrier film that can not pass moisture.

상기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의 상부에는 마사토가 피복되고, 상기 마사토에는 잔디 기타 식물이 식재되며, 식재된 식물의 뿌리와 그 주위에는 토양 미생물들이 다량 서식하여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나 인의 제거에 관여하여 질소, 인의 제거율을 향상시킨다.Masato is coated on top of the porous ash layer of coal ash, and grass and other plants are planted on the masato, and soil microorganisms inhabit the roots and surroundings of the planted plants to participate in the removal of nitrogen or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 Improves the removal rate of phosphoru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폐수를 1차로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기준 및 중수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차 정화처리하는 고도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를 펌프를 가동하여 집수관으로 집수하는 단계와, 상기 집수관에 집수된 처리수의 압력에 의하여 각 송수배관으로 분배하여 처리수를 정화처리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송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water treatment method for the first 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waste water and then again to the legal discharge criteria and recycled to heavy water,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to the collection pipe by operating a pump And discharging the waste water to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by distributing the water to each water supply pipe by the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pipe.

상기 처리수를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송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의 정화처리능력을 고려하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 정도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송수배관으로 상기 처리수를 간헐적으로 송수하는 것이다.In the step of returning the treated water to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capacity of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so that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can be purified so as not to cause clogging, and by using the timer It controls the operation degree and operation time of the pump, and intermittently sends the treated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송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각 송수배관 별로 송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water supply pipe by using a control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각 송수배관에 설치된 송수량 표시계를 이용하여 각 송수배관 별로 송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이다.By using the water supply indicator installed in each water supply pipe to visually check the water supply for each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the control valve.

상기 처리수를 정화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송수배관에서 분기되어 이송되는 처리수가 유입포트를 통하여 내부에 생물막이 형성되어 처리수를 흡착 분해 하는 생물막 여과매트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urifying the treated water includes a step of introducing the treated water branch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pipes into a biofilm filter medium through which an biofilm is formed through the inlet port to adsorb and decompose the treated water. .

상기 유입포트는 길이로 길게 구비된 생물막 여과매트의 중간 중간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처리수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배 공급하는 것이다.The inlet port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middle of the biofilm filter mat provided with a long length, to distribute and supply the treated water as a whole.

상기 유입포트에는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다공성의 분배 유공관이 연결되어, 유입포트를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매트에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배 공급되는 것이다.The inlet port is connected to a porous distribution pipe lengthwi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film filter mat,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is distributed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mat.

상기 처리수는 부직포의 모세관 현상과 사이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매트의 내부와 상측에 날개처럼 양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부직포를 타고 완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된다.The treated water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while moving slowly through a nonwoven fabric that extends in both sides as wings on the inside and the top of the mat by capillary and siphon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상기 부직포를 통해 1차적으로 흡착, 분해 및 여과된 처리수는, 상기 매트 주위로 충진된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을 통해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된다.The treated water primarily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is again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packed around the mat.

상기 석탄회는 다공질로서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넓은 공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하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공기의 흐름과 처리수의 흐름이 분리되기 때문에,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오폐수의 흡착, 분해 및 여과과정이 진행된다.Since the coal ash is porous and has a large space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media but also inside, it is excellent in permeability, air permeability and water absorption, and maintains an unsaturated state because the air flow and the treated water flow are separated through the space. The process of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of waste water proceeds.

상기 석탄회의 다공질 내부에는 미생물이 점착 가공되어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 분해에 의하여 박테리아류의 미생물들이 증식되어 생물막이 형성되며, 상기 여재층의 심층에까지 미세호기성 또는 임의성의 미생물에 의하여 정화처리된다.In the porous ash of the ash, microorganisms are adhered by microorganisms, and microorganisms of bacteria are multiplied by organic decomposition of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biomass to form a biofilm, and purified by microaerobic or random microorganisms to the depth of the media layer.

상기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를 통과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어 깨끗하게 정화된 처리수는 다시 상기 매트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 주위에 포 장된 부직포를 통하여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된다.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coal ash porous filter layer is again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a nonwoven fabric wrapped around a porous water collecting hol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t.

상기 다수의 집수 유공관으로 집수된 최종 정화처리수는 다시 최종 집수관으로 재집수되어 외부의 탱크로 일시 저장된 후 외부로 방류된다.The final purified water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collecting oil pipes is collected again into the final collecting pipe and temporarily stored in an external tank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양끝 상부에 설치된 점검구를 통하여 상기 매트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물 막힘 정도를 확인하고, 물 빠짐 정도가 불량할 때는 상기 점검구를 통하여 지하수를 유입시켜 세척을 행함으로써 물 막힘 현상을 제거하거나 미연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Check the degree of water blockage of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at through the check holes provided on the upper ends of the biofilm filter mat, and when the water drainage is poor, the ground water flows through the check port to perform the water clogging phenomenon. This can be eliminated or preven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불포화상태에서 정화처리되어 고도수처리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bility is improved by being purified in an unsaturated stat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오폐수를 1차로 정화처리한 후 법적방류기준 및 중수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이송된다.The wastewater is first purifi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ycling to legal discharge criteria and heavy w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도수처리 장치는, 상기 1차 정화처리장치 내에 설치되어 1차 정화처리수를 송수하는 자동송수장치(100)와, 1차 정화처리수를 정화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100 installed in the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configured to deliver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water, and waste water purification of the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water. It is composed of a purification apparatus (200).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송수장치(100)는, 상기 1차 정화처리수가 집수되는 집수관(110)과, 상기 1차 정화처리수를 집수관(110)으로 끌어올리는 펌프(120)와, 상기 집수관(110)의 압력에 의하여 1차 정화처리수를 이송하며, 상기 집수관(110)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송수배관(130, 132, 134)과, 상기 송수 배관(130, 132, 134)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송수배관(130, 132, 134) 별로 송수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차 정화처리수를 제어하는 조절밸브(140, 142, 144)와, 상기 송수배관(130, 132, 134)의 일측에 설치되어 눈금에 의하여 송수량을 표시하는 송수량 표시계(150, 152, 154)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100 includes a collecting pipe 110 for collecting the primary purified water and a pump for raising the primary purified water to the collecting pipe 110 ( 120,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30, 132, 134) branched from the water collecting pipe 110 to transfer the primary purified water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110, and the water supply pipe 130 And control valves 140, 142 and 14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s 130, 132 and 134 to control the first purified wat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water supply pipe 130, 132 and 134, and the water supply pipe (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130, 132, 134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amount display system 150, 152, 154 to display the water supply amount by the sca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펌프(120)에는 타이머(16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타이머(160)는 펌프(120)의 작동 및 정지시간을 임의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송수량을 원하는 시간에 송수함으로써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송수장치는 1차 정화처리수를 연속적으로 중력에 의하여 자연 송수하거나 1차 정화처리수가 펌프에 의하여 연속 주입되기 때문에 이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실제로 오폐수 정화처리과정에서는 오폐수가 포화상태로 흐르게 되어 침윤이 아닌 중력에 의하여 침투작용하기 때문에, 산소 부족 현상으로 인한 혐기화 내지는 눈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화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mer 160 is attached to the pump 120. The timer 160 is used to arbitrarily adjust the operation and stop time of the pump 120, and to prevent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from being loaded by transmitting a desired amount of water at a desired time.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water supply system continuously sends the primary purified water by gravity or the primary purified water is continuously injected by the pump. Therefore, if it is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the waste water becomes saturated i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process. Since the infiltration acts by gravity rather than infilt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function is remarkably deteriorated because anaerobic or clogging occurs due to oxygen de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폐수를 불포화상태로 유지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1차 정화처리수의 송수량과 송수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오폐수가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정화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the waste water in an unsaturated state, in order to adequately supply the oxygen required for aerobic microorganisms, the amount of water and the time of the first purified water is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waste water can be purified while maintaining an unsaturated state. It has its features.

또한, 송수배관(130, 132, 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30), 제2배관(132) 및 제3배관(134)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는 각 배관(130, 132, 134) 별로 송수량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술한 조절 밸브(140, 142, 144)를 통하여 각 배관(130, 132, 134) 별로 송수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배관(130, 132, 134)은 후술할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30, 132, 134 is installed as the first pipe 130, the second pipe 132 and the third pipe 134 as shown in FIG.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qually distributing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of the pipes (130, 132, 134), and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of the pipes (130, 132, 134)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valve (140, 142, 144) To control. The water pipes (130, 132, 134) are connected to the biofilm filter mat (220, 230, 2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송수량 표시계(150, 152, 154)를 통하여 육안으로 각 송수배관(130, 132, 134) 별로 송수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송수장치(100)에 의하면,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서 정화될 수 있는 처리량과 부하를 데이터화하여 1일 정화처리 능력을 미리 계산하고, 예상 처리량과 부하를 고려하여 타이머(160)를 작동하며, 타이머(160)에 의하여 송수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송수량 표시계(150, 152, 154)를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오폐수가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서 불포화상태로 침윤되도록 한다.Through the water level indicators 150, 152 and 154,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water supply pipe 130, 132, 134.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put and load that can be purified by the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are converted into data to calculate the daily purification treatment capacity in advance, and the expected throughput and load are considered. By operating the timer 160 and checking whether the water is being processed by the timer 160 through the water level indicators 150, 152 and 154, so that the waste water infiltrates into the unsaturated state i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Be sure to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처리를 위하여 소정 공간의 구조물(210)이 필요하다. 상기 구조물(210)은 현장 여건에 따라 지상이나 옥상 등 사용되지 않고 있는 공지가 있다면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The structure 210 of a predetermined space is required for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210 can be used anywhere if there is a notice that is not used, such as ground or rooftop,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는, 생물막이 형성되도록 오폐수를 1차적으로 흡착 분해하는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가 장방형의 구조물(210)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다.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는 그 단면이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와 양 측면은 폐쇄되어 있는 "

Figure 112006050117161-pat00009
"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는 차수막 통공구조로 되어 있어, 유입된 오폐수가 전체 매트(220, 230, 240) 안으로 평행하게 유입된다.As shown in FIG. 3,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iofilm filter mat 220, 230, and 240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210 having a rectangular adsorptive decomposition of wastewater to form a biofilm. Are installed in multiple directions.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are cross-sections of which are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both sides are closed.
Figure 112006050117161-pat00009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are formed in the water-permeable membrane through-holes so that the introduced waste water flows in parallel into the entire mats 220, 230, and 24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길이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1차 정화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기 여과매트(220, 230, 240)의 중간 중간에 상기 송수배관(130, 132, 134)과 연결되는 다수의 유입포트(222, 222')(232, 232')(242, 24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가 송수배관(130, 132, 134)은 상기 유입포트(222, 222')(232, 232')(242, 242') 수만큼 다시 분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water is f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filter mats 220, 230, and 240 so as to supply the first purified water uniform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film filter mats 220, 230, and 240. A plurality of inlet ports 222, 222 ′ 232, 232 ′ 242, 242 ′ connected to the pipes 130, 132, 134 are installed. Accordingly, the mall water supply pipes 130, 132, and 134 may be branched again by the number of the inflow ports 222, 222 ', 232, 232', 242, 242 '.

그리고 상기 유입포트(222, 222')(232, 232')(242, 242')는 하부로는 유입된 오폐수가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다공성의 분배 유공관(224, 224')(234, 234')(244, 244')이 상기 여과매트(220, 230, 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The inflow ports 222, 222 ′, 232, 232 ′, 242, 242 ′ are porous to allow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bottom to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film filter mat 220, 230, 240. Dispensing perforated pipes 224, 224 ′ (234, 234 ′) 244, 244 ′ are install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ilter mats 220, 230, 24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내부와 개방된 상면에는 부직포(226, 236, 246)가 덮여 있으며, 특히 상기 부직포(226, 236, 246)는 양 날개가 양측으로 늘어 드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를 통과한 오폐수는 부직포의 사이펀 현상 혹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226, 236, 246)를 타고 양측으로 완만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충진된 다공재 여재로 침윤, 확산되면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non-woven fabrics 226, 236, and 246 are covered with the inside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and particularly, the non-woven fabrics 226, 236, and 246. ) Wings are flanked on both sides. Therefore,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iofilm filter mats 220, 230, and 240 is filled with porous materials filled with the nonwoven fabrics 226, 236, and 246 while moving at a moderate speed to both sides by a siphon phenomenon or a capillary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Infiltrate and diffuse into the media and move.

한편,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주위에는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250)이 충진되어 있다. 상기 석탄회는 다공질로서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물질로서, 점착된 미생물과 토양 미생물과의 공생공존에 의하여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을 기질로 삼으면서 증식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을 광범위하게 분해, 산화, 흡착, 여과하는 기능을 가지며, 미생물의 생식처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종래에 오폐수 정화처리용으로 이용되던 쇄석, 흑토, 모래, 활성탄, 다공질 발포우레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 그 정화효과는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250 is filled around the biofilm filter mat (220, 230, 240). The coal ash is a porous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permeability, breathability, and water absorption. The coal ash is multiplied by using organic matter of wastewater introduced by symbiotic coexistence between adherent microorganisms and soil microorganisms as a substrate, and extensively decomposes, oxidizes, and recycles organic matter of wastewater. It has the function of adsorption and filtration and is used as a habitat for microorganism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ly used for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crushed stone, black soil, sand, activated carbon, porous foam urethane, the price is cheaper and the purification effect is more excellent.

또한, 상기 통기성의 다공질 석탄회에는 유기물 분해 능력이 뛰어난 유용복합미생물이 점착가공되어, 상기 여재층(250) 내부를 오폐수가 통과하면서 흡착 분해되고, 미생물의 비표면적이 높아 정화처리 효과 또한 높아진다.In addition, the porous porous coal ash has a useful composite microorganism having excellent organic matter decomposing ability, and is adsorbed and decomposed while the wastewater passes through the inner filter layer 250,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icroorganism is high,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ect.

따라서, 통기성의 다공질 석탄회에는 상기 유용복합미생물이 점착가공됨으로써, 미생물의 비표면적이 넓어 생물막의 형성이 좋아진다. 즉, 본 발명의 여재층에는 여재 내부의 공간에 미생물을 부착 가공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여 여재에 생물막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ful composite microorganisms are adhered to the porous porous coal ash, whereby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icroorganisms is large, and the formation of the biofilm is improved. That is, in the media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pace for attaching and processing microorganisms in the interior of the media,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biofilm in the media is easy.

이와 같이,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여재 내부로도 무한한 공간이 형성되어, 내생 호흡, 혐기성 대사 그리고 광범위한 포식생물의 활동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 발생이 최소화된다.As such, an infinite space is form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media but also on the media, thereby minimizing sludge generation because endogenous respiration, anaerobic metabolism and extensive predatory activity can be sustain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입수 BOD기준이 100ppm/L 이하일 때, 오폐수를 1ton 처리하는 경우 석탄회는 10ton만 충진되면 충분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luent BOD criterion is 100 ppm / L or less, when only 1 ton of wastewater is treated, only 10 tons of coal ash are sufficient.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상부에는 자동송수장치(1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정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228, 238, 248)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양 단에 설치되어 각 매트별로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점검구(228, 238, 248)는,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상부에 수 직으로 설치되어 상측은 후술할 마사토(290) 피복층 상부로 연통되어 공기 중으로 노출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개폐식 덮개가 탈부착될 수 있다. At least one check hole (228, 238, 248)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220, 230, 240) to check whether the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automatic water supply (100) is purified without clogging. Preferably, it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each biofilm filter mat (220, 230, 240) is possible to check for each mat. The inspection openings 228, 238, and 248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iofilm filter mats 220, 230, and 240, and the upper side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sato 290 coating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exposed to the air. Although not shown, the retractable cover can be detachable.

가령, 관리자의 운전미숙으로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 과다한 부하가 발생하면,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로 유입된 오폐수가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에서 막히게 되어 물 빠짐 정도가 악화되며, 이때 관리자는 점검구(228, 238, 248)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쇄 현상이 확인되면, 상기 점검구(228, 238, 248)를 통해 지하수 등을 유입시켜 세척을 함으로써, 막힘 현상을 제거하거나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n excessive load is generated i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due to an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manager,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is blocked by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and the degree of water drainage is increased. Deterioration, in this case,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is through the check ports (228, 238, 248). When such a closing phenomenon is confirmed, the groundwater or the like is introduced through the check holes 228, 238, and 248 to be washed, thereby removing or preventing the blockage.

상기 구조물(210)의 하부에는 정화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260)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집수 유공관(260)의 외 측에는 부직포가 둘러싸여 봉재되고, 상기 부직포로 부유 물질들을 여과시켜 깨끗한 처리수만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250)의 석탄회가 처리수에 섞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e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ous collecting and collecting pipes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final treated water. A nonwoven fabric is enclosed and encl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llecting oil pipe 260, and the floating material is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to discharge only clean water. This is to prevent the coal ash of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250 is mixed with the treated water and discharged.

상기 다수개의 집수 유공관(260)에서 집수된 최종 처리수를 다시 한 곳으로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최종 집수관(270)이 상기 집수 유공관(260)에 대하여 가로 방향에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최종 집수관(270)은 구조물 외부에 설치된 최종 집수탱크(300)와 다시 연결됨으로써, 최종 처리수는 외부로 방류된다.In order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final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collecting hole 260 to one place again, the final collecting pipe 27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lecting hole 260. The final collection pipe 270 is connected back to the final collection tank 300 installed outside the structure, so that the final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구조물(210)의 바닥에는 수분이 통과할 수 없는 차수막(280)이 설치된다. 상기 차수막(280)은 오폐수나 최종 처리수가 구조물(210)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bottom of the structure 210, a water barrier film 280 is not provided that can pass through. The order film 280 blocks the waste water or the final treated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structure 210.

상기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250)의 상부에는 마사토(290)를 피복하여 잔디 등을 식재한다. 상기 식재된 잔디 기타 식물의 뿌리 주위에는 토양 미생물들이 다량 서식하여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나 인의 제거에 관여하여 질소, 인 제거율을 향상시킨다.The upper portion of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250 is coated with Masato 290 to plant grass and the like. Around the roots of the planted grass and other plants inhabit a large amount of soil microorganisms are involved in the removal of nitrogen or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to improve the nitrogen, phosphorus removal rat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차로 정화처리된 오폐수는 재차 정화처리하기 위하여 자동송수장치(100)를 경유하여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로 보내진다.The waste water purified first is sent to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via the automatic water transmission device 100 for purification.

먼저, 1차 정화처리수는 펌프(120)에 의하여 집수관(110)으로 유입된다. 집수관(110)에 집수된 처리수는 집수관(110)의 압력에 의하여 각 송수배관(130, 132, 134)으로 분배되어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로 압송된다.First, the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pipe 110 by the pump 120.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ipe 110 is distributed to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s 130, 132, and 134 by the pressure of the collecting pipe 110, and is pumped to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200.

이때,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서 막힘 없이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수용능력을 계산하여 그에 맞게 타이머(160)를 작동하며, 각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의 정화 처리 조건에 따라 조절밸브(140, 142, 144)를 조작하여 오폐수의 송수량과 송수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송수량 표시계(150, 152, 154)를 통하여 송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200 calculates the capacity to purify without clogging and operates the timer 160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treatment conditions of each biofilm filtration mat (220, 230, 240) By operating the control valve (140, 142, 144)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and the speed of the waste wa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water transmission through the water level indicator 150, 152, 154.

이와 같이 송수량과 송수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160)와 조절밸브(140, 142, 144) 그리고 송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송수량 표시계(150, 152, 154)를 세트화하고 간헐 송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오폐수 정화처리장치(200)에서 부하가 최소화되고, 오폐수가 불포화상태에서 침윤되어 폐쇄현상이 방지되며,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함으로써 호기성 미생물과 전체적으로는 임의성 조건이 형성되어 광범위한 미생물들에 의한 자연 정화능력이 상승되며, 장시간 반복적 사용에도 정화능력이 상실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and speed of the water supply, the timer 160, the control valves (140, 142, 144) and the water level indicator 150, 152, 154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is set and the intermittent water system By adopting this method, the load is minimized i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200, the wastewater is infiltrated in an unsaturated state, and the closing phenomenon is prevented. Natural cleansing capacity is increased, and the cleansing capacity is not lost even after repeated use for a long time.

상기 송수배관(130, 132, 134)으로 분배된 1차 처리수는 유입포트(222, 232, 242)를 통하여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포트(222, 232, 242)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입포트(222, 232, 242)와 연결되어 있는 분배 유공관(224, 234, 244)을 통하여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 전체 길이에 걸쳐 고르게 분배된다.Primary treatment water distributed to the water supply pipes (130, 132, 134) is introduced into the biofilm filter mat (220, 230, 240) through the inlet ports (222, 232, 242), the inlet ports (222, 232) , 242 ar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pipes 224, 234, and 244 connected to the inflow ports 222, 232, and 242. Is distributed.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 안에는 생물막이 형성되어, 유입된 오폐수가 1차적으로 흡착, 분해, 여과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220, 230, 240) 상측에는 부직포(226, 236, 246)가 날개처럼 양측으로 연장되어 늘어뜨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1차적으로 흡착, 분해, 여과되고 남은 오폐수가 부직포를 타고 여과매트(220, 230, 240)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직포의 모관상승과 사이펀 현상에 의하여 재차 여과된다. 이와 같이, 오폐수가 부직포를 타고 여과되면, 완만한 속도로 오폐수가 이동하기 때문에, 흡착, 분해 및 여과작용이 향상된다.The biofilm is formed in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and 240, and the introduced wastewater is primarily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In addition, since the nonwoven fabrics 226, 236, and 246 are extended on both sides of the mats 220, 230, and 240 so as to extend along the sides of the wings, the waste water remaining after the first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is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While moving out of the mat (220, 230, 240) is filtered again by the rise of the capillary and siphon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In this way, when the waste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the waste water moves at a gentle speed, so that the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actions are improved.

만약, 상기 매트의 차수막 안쪽과 상측의 날개부분의 부직포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으면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부에만 부직포가 있게 되면 물이 적게 유입될 때 물과 부직포가 접촉하지 않아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f the nonwoven fabric of the inner part of the mat and the wing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is not continuously connected, the siphon phenomenon does not occur. If there is only the nonwoven fabric at the upper portion, the water and the nonwoven fabric do not contact when the water is less, the siphon phenomenon occurs. You will not.

상기 부직포(226, 236, 246)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는 재차 구조물(210) 내에 충진된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250)을 통해 확산 침윤하고, 모관 상승 및 하강하면서 불포화상태를 유지하여 유기물을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하게 된다.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s 226, 236, and 246 is again diffused and infiltrated through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250 filled in the structure 210, and maintains an unsaturated state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capillary again.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상기 여재층(250)에는 다공질로서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뛰어난 석탄회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석탄회에는 공기의 흐름과 오폐수의 흐름이 분리된다. 즉, Since the filter layer 250 is made of porous ash which is excellent in permeability, breathability and absorption, the flow of air and the flow of waste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coal ash. In other words,

종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입자 사이에 오폐수와 공기가 동일한 유로로 소통되어 살수, 침윤 중에 공기의 유통이 중단되어, 여재하부에까지 충분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막힘 현상이 발생하고, 고체입자 사이에 생물막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생물막의 탈리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는 여재내부를 통하여 유동하고, 공기는 여재 사이로 통기됨으로써 여재하부에까지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 폐쇄현상 및 탈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6, waste water and ai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ame flow path between solid particles, and the flow of air is stopped during watering and infiltration, and sufficient air is not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media, resulting in a blockage phenomenon. Excessive biofilm was formed between the solid particles to cause biofilm desorp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waste water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medium, and air is passed through the medium to provide sufficient oxygen to the bottom of the medium. The supply is made so that no closing or detachment occurs.

따라서, 대기권의 공기와 처리수의 용존 산소 등이 공급되고, 여재층(250)의 심층에까지 미세호기성 생물에 의한 정화처리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통기성의 다공질 석탄회에는 유용복합미생물 예컨대, 유기성 오폐수의 분해 능력이 우수한 박테리아류가 점착가공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처리능력이 향상되며, 미생물의 비표면적이 넓어 생물막의 형성이 좋아진다.Accordingly, air in the atmosphere, dissolved oxygen of the treated water, and the like are supplied,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by the microaerobic organism can be performed to the deep layer of the filter medium 250. In addition, the porous porous coal ash can be treated with useful complex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having excellent decomposition ability of organic wastewater,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wastewater and improving the biofilm formation due to the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icroorganisms.

상기 오폐수는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250)을 통과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어 깨끗하게 정화되고, 구조물(210)의 하부에 설치된 집수 유공관(260)으로 집수되어 최종 집수관(270)으로 보내진다. 이때, 집수 유공관(260)의 주위에는 부직포 가 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여재층(250)의 미세 여재와 같은 부유물질을 걸러 주게 된다. The wastewater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al ash porous filter layer 250 to be cleansed, collected in a collecting oil hole 260 installed under the structure 210, and then sent to the final collecting pipe 270. At this time, since the nonwoven fabric is wrapped around the water collecting hole 260, the floating material such as the fine media of the media layer 250 is filtered.

이때, 오폐수가 정화되어 하부까지 이르면, 부유물질은 거의 없는 상태이기는 하나 하부의 집수 유공관(260)에 감싸진 부직포로 인하여 석탄회의 여재가 정화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되지 않게 되며, 이를 위하여 다공질 여재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공극을 가진 특수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집수관(270)에 모인 처리수는 방류수 검수조의 기능을 하는 탱크(3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At this time, when the waste water is purified and reaches the bottom, the floating material is almost in a state, but due to the nonwoven fabric wrapped in the bottom collecting oil pipe 260, the filter ash of coal ash is not included in the treated water. It is preferable to use special materials with pores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final collection pipe 2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ank 300 that functions as a discharge water check tank.

유입오폐수의 기준 및 송수량과 송수속도를 잘못 제어하여 생물막 여과매트(220, 230, 240)와 충진된 여재층에서 오폐수의 폐쇄 현상 징후 및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점검구(228, 238, 248)를 통해 지하수 등을 넣어주고 물 빠짐 정도를 봄으로써 물 막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점검구(228, 238, 248)를 통하여 지하수 등을 유입시켜 세척함으로써, 막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Incorrectly controlling the standards of influent wastewater, the amount of water and the rate of water supply, and when there are signs of clogging and clogging of the wastewater in the biofilm filtration mats (220, 230, 240) and the filled media layers, the check holes (228, 238, 248). ) You can check the degree of water blockage by putting groundwater and seeing the water drainage. At this time, by blocking the ground water and the like through the check holes (228, 238, 248),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logging phenomenon.

구조물(210) 상층에서는 마사토(290)가 피복되고, 잔디 등이 식재되어 있기 때문에, 식재된 잔디의 뿌리 주위로 서식하는 토양 미생물에 의하여서도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나 인 등이 제거된다.Since the Masato 290 is coated on the upper layer of the structure 210 and the grass is planted, nitrogen or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is removed even by soil microorganisms inhabiting the roots of the planted gras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공질의 석탄회와 같은 흡수성, 투수성, 통기성이 뛰어난 여재를 사용함으로써 자갈이나 모래와는 달리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로도 무한한 공간이 형성하여 공기 유통을 증진시키고, 공간 사이로 광범위한 미생물을 점착 가공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며, 내생 호흡과 혐기성 대사를 통하여 슬러지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gravel or sand by using a media such as porous coal ash, such as porous coal ash, infinite space is form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media but also to enhance the air circul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chnical idea is to construct the microorganisms by tackifying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between spaces an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ludge through endogenous respiration and anaerobic metabolism.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1차 처리수를 타이머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송수함으로써,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불포화상태로 정화처리되는 고도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First, to provide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in the unsaturated state i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by intermittently send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to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timer.

둘째, 생물막 매트에 부직포를 설치함으로써 사이펀 현상과 모세관 현상을 최대로 활용하여 처리수가 완만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정화처리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Second, by install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biofilm mat is expected to take advantage of the siphon phenomenon and capillary phenomenon to maximize the treatment water while moving the treatment water at a gentle speed.

셋째, 유공관 주변에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뛰어난 천연물질 다공성의 여재를 충진함으로써, 처리수의 흐름과 공기의 흐름이 분리되는 여재이기 때문에,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오폐수의 흡착, 분해 및 여과과정이 일어나고, 막힘 현상이 억제되며, 오폐수의 분해 및 정화능력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Third, by filling the permeability, air permeability and permeability of natural material porous media around the perforated pipes, it is a media that separates the flow of treated water from the flow of air, so that the process of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of waste water while maintaining an unsaturated state This occurs, the blockage phenomenon is suppress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composition and purification ability of the waste water is expected.

넷째, 다공성의 여재로서 산업폐기물인 석탄회를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Fourth, it is expected to be economical by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cycling coal ash which is industrial waste as a porous media.

다섯째, 다공성의 석탄회에 미생물을 점착 가공함으로써, 오폐수의 포함된 유기물질의 분해, 산화, 흡착 및 여과기능이 상승되고 폐슬러지가 최소화되는 작용 효과가 기대된다.Fifth, by sticking microorganisms to porous coal ash, the effect of decomposition, oxidation, adsorption, and filtration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wastewater is increased and waste sludge is minimized.

Claims (36)

오폐수를 1차로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기준 및 중수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차 정화처리하는 고도수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to purify the waste water firstly and then to purify again in order to recycle to the legal discharge standard and heavy water, 상기 고도수처리 장치는,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1차 정화처리수를 송수하는 자동송수장치와, 송수된 처리수를 정화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구성되고,A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rimary purified water and a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상기 자동송수장치는, The automatic transport device, 상기 처리수가 집수되는 집수관과, A collecting pipe for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상기 처리수를 집수관으로 유입시키는 펌프와,A pump for introducing the treated water into a collecting pipe, 상기 집수관으로부터 처리수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송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Comprising a plurality of water pipes branched from the water collecting pipe so as to distribute the treated water evenly from the water collecting pipe,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는,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과 측벽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The upper part is open, the bottom and the side wall,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상기 구조물에는 생물막이 형성되어 오폐수를 1차적으로 흡착 분해하는 생물막 여과매트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며,Biofilms are formed in th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biofilm filter mat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sorb and decompose wastewater primarily.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를 상기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각기 여과매트의 중간 중간에 상기 송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입포트가 다수 설치되고, 상가 송수배관은 상기 유입포트 수만큼 다시 분기되며,In the upper part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a plurality of inflow port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re install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filtration mats so that the treated water can be supplied evenly over the entire mat. Will branch again, 상기 유입포트의 하부에는 유입된 처리수가 생물막 여과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공성의 분배 유공관이 다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rous distribution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so that the treated water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film filter m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프에는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오폐수가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정화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 및 정지시간을 임의로 조정하면서 간헐적으로 송수할 수 있는 타이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The pump is an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imer that can be intermittently transmitted while arbitrarily adjusting the operation and stop time of the pump so that the waste water is purified while maintaining the unsaturated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는 그 단면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와 양 측면은 폐쇄되어 있는 "
Figure 112006050117161-pat00010
" 형상이며, 차수막 통공구조로 되어 있어, 유입된 오폐수가 전체 매트 안으로 평행하게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the biofilm filtration mat is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both sides are closed.
Figure 112006050117161-pat00010
"Shape, and has a membrane-hole through structure,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oduced waste water flows in parallel to the entire m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내부와 개방된 상면에는 부직포가 덮여 있고, 상기 상면에 덮힌 부직포는 폭 방향의 양측으로 늘어 드려져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An inner surface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and an open upper surface are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and the nonwoven fabric covered with the upper surface is stretch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 내부를 수평으로 통과하는 오폐수는 부직포의 사이펀 혹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를 타고 양측으로 완만한 속도로 이동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Wastewater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biofilm filter m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fabric siphon or capillary phenomenon to move the nonwoven fabric at a gentle speed to both sid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조물 내부에는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주위로 다공질의 여재층이 충진되고, 상기 여재층에는 다공질로서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석탄회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In the structure, a porous filter layer is filled around the biofilm filter mat, and the filter layer is porous, and a large space is form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but also inside, so that coal ash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breathability and absorption is used.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정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가 각 매트별로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점검구의 일측은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점검구를 통하여 지하수를 상기 매트 내부로 유입시켜 막힘 현상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Installed on top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at least one check hole is installed for each mat to check whether the treated water is smoothly purified without clogging, and one side of the check hole is exposed to the air to expose the biofilm filter mat. The external water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ground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at through the check opening to remove the blockage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하부에는 정화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이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The lower portion of the biofilm filtration mat is a high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rous collecting and collecting pip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final treated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조물의 바닥 및 측벽에는 수분이 통과할 수 없는 차수막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장치.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and sidewalls of the structure is further installed a water barrier that can not pass moisture. 삭제delete 오폐수를 1차로 정화처리한 후 법적 방류기준 및 중수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차 정화처리하는 고도수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method, the waste water is first purified, and then purified again to be legally discharged and recycled into heavy water. 펌프를 가동하여 집수관으로 집수된 처리수가 각 송수배관으로 분배되는 단계;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collecting pipe to each water supply pipe by operating a pump; 상기 집수관에서 집수된 처리수의 압력에 의하여 각 송수배관을 통하여 오폐수 처리장치로 상기 처리수를 송수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treated water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rough each water supply pipe by the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on pipe; 상기 처리수를 정화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Purifying the treated wa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각 송수배관으로 분배하는 단계는, Distributing to each water pipe, 상기 송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각 송수배관 별로 송수량을 제어하며,By using a control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for each water supply pipe, 상기 처리수를 오폐수 정화처리장치로 송수하는 단계는, The step of sending the treated water to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상기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서 막힘이나 폐쇄 현상 없이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의 정화처리능력을 고려하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 정도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송수배관으로 상기 처리수를 간헐적으로 송수하며,Considering the purification treatment capacity of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so that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can be purged without clogging or closing phenomen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degree and operating time of the pump by using a timer, Intermittently send the treated water, 상기 처리수를 정화처리하는 단계는, Purifying the treated water, 상기 다수의 송수배관에서 분기되어 이송되는 처리수가 유입포트를 통하여 내부에 생물막이 형성되어 처리수를 흡착 분해하는 생물막 여과매트로 유입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방법.A step in which the treated water branch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pipes and transferred is introduced into a biofilm filter medium through which an biofilm is formed through the inlet port to adsorb and decompose the treated water; Advanced water treatment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처리수는 부직포의 모세관 현상과 사이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매트의 내부와 상측에 날개처럼 양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부직포를 타고 완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고,The treated water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by slowly moving the nonwoven fabric which extends in both sides like wings on the in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mat by capillary phenomenon and siphon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상기 부직포를 통해 흡착, 분해 및 여과된 처리수는, 상기 매트 주위로 충진된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을 통해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되며,The treated water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again through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filled around the mat. 상기 석탄회는 다공질로서 여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넓은 공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수성, 통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하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공기의 흐름과 처리수의 흐름이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방법.Since the coal ash is porous and has a large space not only in the surface of the media but also in the interior, it has excellent permeability, breathability and water absorption, and the air flow and the treated water flow are separated through the space. . 삭제delete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처리수는 부직포의 모세관 현상과 사이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매트의 내부와 상측에 날개처럼 양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부직포를 타고 완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고,The treated water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by slowly moving the nonwoven fabric which extends in both sides like wings on the in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mat by capillary phenomenon and siphon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상기 부직포를 통해 흡착, 분해 및 여과된 처리수는, 상기 매트 주위로 충진된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을 통해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되며,The treated water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again through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filled around the mat. 상기 석탄회 다공질 여재층를 통과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어 깨끗하게 정화된 처리수는 다시 상기 매트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성의 집수 유공관 주위에 포장된 부직포를 통하여 재차 흡착, 분해 및 여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방법.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adsorption, decomposition and filtra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coal ash porous media layer is again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through a nonwoven fabric wrapped around a porous water collecting hol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t. . 삭제delete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처리수는 부직포의 모세관 현상과 사이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매트의 내부와 상측에 날개처럼 양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부직포를 타고 완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착, 분해 및 여과되고,The treated water is adsorbed, decomposed, and filtered by slowly moving the nonwoven fabric which extends in both sides like wings on the in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mat by capillary phenomenon and siphon phenomenon of the nonwoven fabric, 상기 생물막 여과매트의 상부에 설치된 점검구를 통하여 상기 매트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물 막힘 정도를 확인하고, 물 빠짐 정도가 불량할 때는 상기 점검구를 통하여 지하수를 유입시켜 물 막힘 현상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수처리 방법.Check the degree of water blockage of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at through the check hol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iofilm filter mat, and if the water drainage is poor, the ground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check hole to remove the water clogging phenomenon Advanced water treatment method.
KR1020060043000A 2006-05-12 2006-05-12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KR100609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00A KR100609762B1 (en) 2006-05-12 2006-05-12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00A KR100609762B1 (en) 2006-05-12 2006-05-12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762B1 true KR100609762B1 (en) 2006-08-08

Family

ID=3718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000A KR100609762B1 (en) 2006-05-12 2006-05-12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76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061B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water and stream purification using layered soil system
KR100303811B1 (en) Biological aerated filter system
KR101815246B1 (en) High efficiency composite wetland system
EP3242859B1 (en) Sewage treatment device, such as a vertical-percolation planted filter, comprising a system for active aeration of a saturated lower layer
US20150101981A1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KR1010270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first rain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by effective microorganisms
KR101186604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activated-bio carrier
CN100584773C (en) Decentralized type sewage and sludge biochemical treatment system
KR100419959B1 (en) Process and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contacting micorbes and Plants in the Swampy land
JP4350358B2 (en) Resource recovery type sewage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ed therefor
WO1993023338A1 (en) Purifying apparatus
KR101865618B1 (en)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of Block Module Type
KR100609762B1 (en) Processing method for sewage purification and equipment therefor
CN114230012A (en) In-situ purification device and treatment method for pollution caused by overflow of discharge port
CN106045210A (en) Advanced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micro-polluted source water
KR100766334B1 (en) bio-filter system for improving reservoir water quality
KR200303060Y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Sewage Treatment Equipment With Forced Air Supply And Method Using Thereof
JP20041546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sewage and service water
JP2002239572A (en) Layered soil type river water cleaning apparatus
CN205442977U (en) Domestic sewage filtration combination processing system
KR20030084435A (en) Mine drainage disposal system forming under the ground channel and method for treating of mine drainage using the same
JPH09155389A (en) River purifying installation
CN220845822U (en) Simple purifying tank device
JPH11347313A (en) Water treatment utilizing capillarity and apparatus therefor
US20240101455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