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611B1 -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611B1
KR100609611B1 KR1020050073602A KR20050073602A KR100609611B1 KR 100609611 B1 KR100609611 B1 KR 100609611B1 KR 1020050073602 A KR1020050073602 A KR 1020050073602A KR 20050073602 A KR20050073602 A KR 20050073602A KR 100609611 B1 KR100609611 B1 KR 10060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frame
finishing
integrally
flow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067A (ko
Inventor
장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7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6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단지 내의 보도 또는 공원 부지 내에 친환경적인 화단 시설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대폭적인 공기 단축과 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장기간에 걸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호 휀스를 시공하지 않아도 식재된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전,후방에는 노출면에 고정 막대를 삽입 할수 있는 관통공 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에 배치된 마감 블록 사이에는 "V"형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 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의 사이에는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프레임과; 상기 기초 프레임의 각 "V"형 거치홈 일측 상부에 마감 블록의 일측 경사면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소형 거치 블록과; 상기 기초 프레임의 각 "V"형 거치홈 타측 상부에 마감 블록의 타측 경사면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소형 거치 블록의 상단을 끼움할 수 있는 끼움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대형 거치 블록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친 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초 프레임,소형,대형 거치블록,휀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foundation structure of flower garden facilities for development house a environment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변형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프레임 11 : 고정 막대
12 : 관통공 13 : 마감 블록
14 : "V"형 거치홈 15 : 연결대
16 :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
20a,20b : 소형, 대형 거치 블록 21a,21b : 고정공
22a,22b : 통로 23 : 끼움턱
24 : 휀스 25 : 고정구
26a,26b : 경사면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단지 내의 보도 또는 공원 부지 내에 친환경적인 화단 시설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대폭적인 공기 단축과 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장기간에 걸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호 휀스를 시공하지 않아도 식재된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계획 신도시와 같이 대단위로 이루어지는 건축단지의 곳곳에는 다수의 화단시설이 필수적으로 조성된다.
이는 단지 내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주거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포장으로 인해 열섬화되는 도심의 주거 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이러한 목적으로 건축단지 내에 마련되는 화단은 공터 및 보도 또는 잔디가 덮여 있는 공간에 추가로 화단을 형성할 경우에는 화단을 조성시키고자 하는 목적 지반 상에 위치한 보도 블록이나 잔디를 정리한 후 이렇게 보도 블록이나 잔디가 정리된 목적 지반의 사방 외곽 라인에 화단 경계목을 먼저 설치하고, 이 화단 경계목 내에 위치한 토양을 약 30cm가량 터파기한 후 이 터파기된 내측에 토양중의 산소량(酸素量)을 많게 하기 위해 부옆토(腐葉土)나 퇴비를 10cm정도 두께로 깔아 주고 그 위에 파 올린 흙을 다시 덮어 주어 형성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조성된 화단은 지반의 형질을 크게 연약화 시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화단 경계목이 부등침하 현상에 의해 주변에 위치한 보도보다 침하게 되거나 토압에 의해 구획시킨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위에 위치한 일반 토사가 부옆토(腐葉土)나 퇴비로 이루어진 토양 내로 침투하게 되어 주기적으로 화단 내의 토양을 갈아주어야 하는 관리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람들의 통행량이 많은 곳에 위치한 화단일 경우에는 식재된 식물의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 별도의 휀스를 제작 설치해 주어야 하는 불편하고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기존 화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실상 도심지라 할 수 있는 단지 환경과는 조화를 이루기에는 미흡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단지 내의 보도 또는 공원 부지 내에 친환경적인 화단 시설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대폭적인 공기 단축과 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장기간에 걸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호 휀스를 시공하지 않아도 식재된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전,후방에는 노출면에 고정 막대를 삽입 할수 있는 관통공 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에 배치된 마감 블록 사이에는 "V"형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 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의 사이에는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프레임과;
상기 기초 프레임의 각 "V"형 거치홈 일측 상부에 마감 블록의 일측 경사면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소형 거치 블록과;
상기 기초 프레임의 각 "V"형 거치홈 타측 상부에 마감 블록의 타측 경사면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소형 거치 블록의 상단을 끼움할 수 있는 끼움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대형 거치 블록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구성 상태 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에는 노출면에 고정 막대(11)를 삽입 할 수 있는 관통공(12) 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에 배치된 마감 블록(13) 사이에는 "V"형 거치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15) 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15)의 사이에는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16)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프레임(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각 "V"형 거치홈(14) 일측 상부에는 전,후측면에 마감 블록(13)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11)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소형 거치 블록 (20a)이 마감 블록(13)의 일측 경사면(26a)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각 "V"형 거치홈(14) 타측 상부에는 전,후측면에 마감 블록(13)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11)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2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소형 거치 블록(20a)의 상단을 끼움할 수 있는 끼움턱(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대형 거치 블록(20b)이 마감 블록(13)의 타측 경사면(26b)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1)의 상부에는 선택에 따라 휀스(24)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고정구(25)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의 변형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설치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를 공터 및 보도 또는 잔디가 덮여 있는 공간에 추가로 화단을 형성할 경우에는 화단을 조성시키고자 하는 목적 지반 상에 위치한 보도 블록이나 잔디를 일정 면적만큼 정리한 후 이렇게 보도 블록이나 잔디가 정리된 목적 지반 상에 먼 저, 기초 프레임(10)을 안치한 후 이 기초 프레임(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V"형 거치홈(14) 상의 일측에 마감 블록(13)의 일측 경사면(26a) 기울기와 동일하게 소형 거치 블록(20a)을 거치하고, 상기 각 "V"형 거치홈(14) 상의 타측에 마감 블록(13)의 타측 경사면(26b) 기울기와 동일하게 대형 거치 블록(20b)을 거치하여 맞대 놓은 후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전,후방에 위치한 마감 블록(1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에 고정 막대(11)를 삽입하면 된다.
그러면 이 고정 막대(11)는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상기 소형,대형 거치 블록(20a),(20b)의 전,후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21a)에 삽입되어 상기 소형,대형 거치 블록(20a),(20b)과 기초 프레임(10)의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구조물의 상부에 식재를 이룰 수 있는 토양을 담으면 화단 조성에 필요한 모든 조성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은 화단을 조성시키고자 보도 블록 또는 잔디를 일정 면적만큼 정리 또는 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목적 지반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기초 프레임(10)을 안치하고, 이 기초 프레임(10) 상에 구획을 나누어 식재를 이룰 수 있도록 소형,대형 거치 블록(20a),(20b)을 맞대어 견고히 연결하여 주면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건축단지 내의 보도 또는 공원 부지에 친환경적인 화단 시설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조성되는 화단은 초기 설치 상태가 장기간에 걸쳐 견고히 유지되기 때문에 관리상의 편의성과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초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지반의 부등 침하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16)가 구비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식재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소형,대형 거치 블록(20a),(20b)이 상호간에 견고히 맞물려있고, 기초 프레임(10)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막대(11)를 통해 견고히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식재되는 나무 또는 꽃과 같은 식물이 보행자의 손길이 손쉽게 닿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1)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13)의 상부에는 선택에 따라 휀스(24)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고정구(25)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어 조경수 또는 조경 식물의 효과적인 보호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기존의 화단 조성 방법과는 전혀 다르게 기존 지반의 형질에는 아무런 영향을 안끼치며 화단 형성에 적절한 토양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화단이 조성되는 지반의 형질을 크게 연약화 시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부등침하 현상을 발생시키던 기존 화단과는 달리 초기 설치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재가 이루어지는 토양을 손쉽게 담을 수도 있고 파낼 수도 있어 토양 교환 작업시의 편의성을 대폭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재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하는 소형,대형 거치 블록(20a),(20b)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10) 내에 맞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선택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양의 채움을 이루어 식재를 이룰 수도 있기 때문에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조경 식재를 이룰 수도 있고, 외관미가 주위 단지 환경과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형태를 이루어 주위 도심 경관미를 대폭 향상 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단지 내의 보도 또는 공원 부지 내에 친환경적인 화단 시설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대폭적인 공기 단축과 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장기간에 걸쳐 초기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호 휀스를 시공하지 않아도 식재된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

Claims (2)

  1. 전,후방에는 노출면에 고정 막대(11)를 삽입 할수 있는 관통공(12) 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에 배치된 마감 블록(13) 사이에는 "V"형 거치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15) 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15)의 사이에는 침하 방지용 메쉬망체(16)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프레임(10)과;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각 "V"형 거치홈(14) 일측 상부에 마감 블록(13)의 일측 경사면(26a)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13)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11)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소형 거치 블록(20a)과;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각 "V"형 거치홈(14) 타측 상부에 마감 블록(13)의 타측 경사면(26b) 기울기와 동일한 형태로 거치되어 있되, 전,후측면에는 마감 블록(13) 전,후방 노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고정 막대(11)의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고정공(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통로(2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소형 거치 블록(20a)의 상단을 끼움할 수 있는 끼움턱(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대형 거치 블록(20b)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마감 블록(12)의 상부에는 선택에 따라 휀스(24)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고정구(25)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KR1020050073602A 2005-08-11 2005-08-11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KR10060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602A KR100609611B1 (ko) 2005-08-11 2005-08-11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602A KR100609611B1 (ko) 2005-08-11 2005-08-11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67A KR20050090067A (ko) 2005-09-12
KR100609611B1 true KR100609611B1 (ko) 2006-08-08

Family

ID=3727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602A KR100609611B1 (ko) 2005-08-11 2005-08-11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27B1 (ko)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51A (ja) * 1994-07-20 1996-01-30 Ee & Ii:Kk ガードフェンス
JP2000209945A (ja) 1999-01-21 2000-08-02 Koei Panel:Kk 組立花壇
KR20040099197A (ko) * 2004-10-14 2004-11-26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단지용 화단
KR20060017303A (ko) * 2004-08-20 2006-02-23 성 배 오 화단용 울타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51A (ja) * 1994-07-20 1996-01-30 Ee & Ii:Kk ガードフェンス
JP2000209945A (ja) 1999-01-21 2000-08-02 Koei Panel:Kk 組立花壇
KR20060017303A (ko) * 2004-08-20 2006-02-23 성 배 오 화단용 울타리 구조
KR20040099197A (ko) * 2004-10-14 2004-11-26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단지용 화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27B1 (ko)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67A (ko) 200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101035461B1 (ko)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KR101907876B1 (ko)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KR100609611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화단시설 설치구조
JP4461409B2 (ja) 自然環境復元壁体及びその施工法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0679089B1 (ko) 건축단지용 가변 조립식 화단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0664875B1 (ko) 소하천 조경용 식생구조물
JP4783132B2 (ja) 緑化ユニット
KR100386467B1 (ko) 점적식 조경용 꽃탑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Brázdová The Exterior Green Walls and Their Perspective in High Density Parts of Urban Area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JP2008237056A (ja) 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用パネルと、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方法
KR100937197B1 (ko) 공원녹지 가로수용 잔디보호 블록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Djavdatovna CITY IMPROVEMENT SYSTEM TERRITORIES
KR100345461B1 (ko) 조경용 식수 블럭
KR20100113771A (ko) 조립식 잔디
JP4215479B2 (ja) 緑化設備
KR101079854B1 (ko) 환경친화형 수목 보호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