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646B1 -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646B1
KR100608646B1 KR1020040085924A KR20040085924A KR100608646B1 KR 100608646 B1 KR100608646 B1 KR 100608646B1 KR 1020040085924 A KR1020040085924 A KR 1020040085924A KR 20040085924 A KR20040085924 A KR 20040085924A KR 100608646 B1 KR100608646 B1 KR 10060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tandby
mode
power suppl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811A (ko
Inventor
전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6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제품에 이용되고 있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동작모드와 대기모드시, 입력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얻은 직류 전압을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까지 변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와;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대기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는 전압강하부와;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동작제어신호와 상기 대기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동작모드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부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ELECTRIC POWER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도 1은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동작모드시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출력전압과 손실을 보인 파형도.
도 3은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모드시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출력전압과 손실을 보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있어, 충방전부의 출력전압 파형과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스위칭구간을 보인 파형도.
도 6은 도 4에 있어, 전압강하부와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스위칭모드 전원장치 21: 충방전부
30: 전압강하부 31: 제1 직류/직류 컨버터
33: 제2 직류/직류 컨버터 40: 시스템
41: 메인 시스템 43: 대기 시스템
50: 스위치부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제품에 이용되고 있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상용교류전원(AC)을 스위칭 단속하여 적정 레벨의 직류전원(DC)을 시스템 즉, 제어부를 비롯하여 각 부하에 공급한다.
이러한 가전제품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모드와, 그 동작모드 종료 후 그 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키입력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수신대기하는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모드와 대기모드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동작에 따른 직류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용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레벨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11)와; 상기 정류부(11)의 직류레벨의 전원에서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평활하는 평활부(13)와; 상기 평활부(13)의 평활된 직류전압을 변압하는 변압부(15) 와; 상기 변압부(15)의 평활된 직류전압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부(17)와; 상기 충방전부(17)로부터 피드백된 직류전압에 따라 상기 변압부(15)를 스위칭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변압부(15)에 상기 평활된 직류전원이 단속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스위칭모드 제어부(1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방전부(17)는 커패시터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동작모드시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출력전압과 손실을 보인 파형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모드 전원장치는 일예로 5V를 동작전압으로 하는 시스템에 참조부호 ⓐ와 같은 5V에 근사한 리플(Ripple)이 작은 동작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10)는 일정주기동안 온/오프를 반복하며, 참조부호 ⓑ와 같은 손실을 갖게된다.
한편, 가전제품의 대기전력에 대한 규격이 1와트(Watt)이하로 낮아지면서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10)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버스트 모드(Burst Mode) 또는 펄스 스킵핑 모드(Pulse Skipping Mode)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트 모드 또는 펄스 스킵핑 모드는 출력전압의 리플(Ripple) 변동폭을 크게 하는 대신 스위칭모드 전원장치(10)의 가동시간을 줄여 효율면에서 이익을 볼 수 있는 방식이다.
도 3은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모드시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출력전압과 손실을 보인 파형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스위칭모드 전원장치(10)는 대기모드시, 동작전압을 셧다운(Shut-Down)하는 휴지기 구간(B)을 가지며, 그 휴지기 구간(B) 이후 리플 변동폭을 크게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구간(A)을 갖는다.
즉, 4.5~5.5V사이의 변동폭을 갖는 리플 전압이 인가되는 A구간동안 충방전부(17)는 상기 4.5~5.5V사이의 리플 전압을 충전한다. 이후, B구간동안에 상기 충방전부(17)는 충전된 전압을 방전한다. 이때, 상기 A구간동안 시스템에 인가되는 리플 전압은 4.5~5.5V사이의 전압이므로, 상기 휴지기 구간의 B구간 이후, 재차 A구간을 반복하는 시점은 상기 충방전부(17)에 의해 방전되는 전압이 4.5V에 도달하는 시점이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시와는 상이하게 대기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낮추면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는 대기모드시, 버스트 모드 또는 펄스 스킵핑모드를 통해 동작모드에 비해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시스템의 대기모드 전력을 감안할 경우, 0.5와트에 달하는 종래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 방식을 개선하지 않고는 대기전력에 대한 규격을 만족시키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대기모드시에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출력단의 커패시터 내압을 높여 그 커패시터의 출력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대기모드시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을 제공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커패시터 내압을 높임으로써, 시스템의 전력소비량에 관계없이 규격화된 대기전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작모드와 대기모드시, 입력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얻은 직류 전압을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까지 변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와;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대기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는 전압강하부와;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동작제어신호와 상기 대기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동작모드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부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키고, 단속적으로 스위칭제어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메인 또는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활된 직류 전압을 메인 시스템 또는 대기 시스템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방전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동작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작 모드이면, 상기 대전압의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동작 모드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대기 모드이면, 상기 대전압의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상기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대기 모드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에 관한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종래와 동일한 내부구성 즉, 도 1의 정류부(11), 평활부(13), 변압부(15)와 충방전부(17) 및 스위칭모드 제어부(19)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AC)을 정류와 평활시킨 후, 그 평활된 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며 일정 전압레벨로 변환된 전압을 충방전부(2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충방전부(21)로 입력되는 전압은 충방전부(21)의 내압을 고려한 전압이다. 그러면, 상기 충방전부(21)는 입력 전압을 충전 및 방전한다. 여기서, 상기 충방전부(21)의 출력전압 및 스위칭동작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후, 상기 충방전부(21)의 출력전압은 다음 단의 전압강하부(30)로 입력되어 동작모드와 대기모드에 따른 시스템(40)의 제어하에 그 시스템이 요구하는 전압으로 컨버팅되어 시스템(40)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강하부(3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충방전부(21)는 동작모드와 대기모드에 관계없이 출력하는 변압부(미도시)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그 충방전부(21)의 저장 에너지 특성상에 따른 부하 요구 최소전압부터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피크치 전압까지 충방전한다. 여기서, 상기 충방전부(31)를 구성하고 있는 소자는 커패시터(C)이며, 이러한 커패시터(C)의 저장에너지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Figure 112006036144671-pat00001
여기서, 상기 E는 커패시터 저장에너지를 나타내고, C는 커패시터의 용량을 나타내며, V는 커패시터의 출력전압을 나타낸다. 즉,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커패시터(C)는 출력전압이 높아질수록 저장되는 에너지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패시터(C)에 인가되는 전압이 4V라고 하면, 그 커패시터(C)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16V가 되어, 상기 커패시터(C)는 16V를 출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충방전부(21)에 내압이 큰 커패시터(C)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미도시)는 상기 커패시터(C)의 내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대기모드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가 스위칭동작을 하지 않는 휴지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있어, 충방전부(21)의 출력전압 파형과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의 스위칭구간을 보인 파형도로서, ⓔ와 같이 시간에 따른 출력전압을 갖는다. 이때,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상기 ⓔ파형의 출력전압중 피크치 전압까지 ⓕ파형과 같이 단속적으로 스위칭한다. 이때, 상기 충방전부(21)는 상기 피크치 전압까지 충전한다.
이후,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파형의 피크치 전압 이후부터 시스템 요구 최소전압까지 셧다운되는 휴지기를 가지며, 상기 충방전부(21)측으로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충방전부(21)의 커패시터(C)는 충전된 상기 피크치 전압부터 상기 시스템 요구 최소전압까지 방전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다시 상기 피크치 전압까지 단속적으로 스위칭하며, 상술한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의 동작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로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의 단속적인 스위칭 동작을 보인 ⓕ파형이 기존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단속적인 스위칭 동작을 보인 ⓓ파형에 비해 휴지기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의 손실도 기존에 비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있어, 전압강하부와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전압강하부(30)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는 동작모드시에 시스템(40)으로부터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의 출력전압을 상기 시스템(40)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제어신호와 제1 직류 변환제어신호는 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고 있는 대기 시스템(43)내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는 대전류에서 효율이 좋은 컨버터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시스템(40)의 요구전압보다 높은 전압이므로 상기 시스템(40)이 요구하는 전압으로 전압을 다운시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는 대기모드시에 대기 시스템(43)으로부터 상기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대기시스템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는 저전류에서 효율이 좋은 컨버터이다.
결국,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는 동작모드시에 온(ON)되고,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는 대기모드시에 온(ON)되어 앞서 기술한 커패시터(C)의 출력전압을 컨버팅하여 시스템(40)의 동작전압을 메인 시스템(41) 또는 대기 시스템 (43)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50)는 동작모드에 따른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ON)되어,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의 출력전압을 메인 시스템(41)과 대기 시스템(43)에 공급한다.
그러나, 대기모드시, 상기 스위치부(50)는 대기모드에 따른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오프(OFF)되어,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의 출력전압을 대기 시스템(43)에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가전제품의 특정동작을 동작시키기 위해 리모콘을 조작하거나 상기 가전제품의 기능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711단계에서 상기 가전제품은 해당 기능키에 따른 특정 동작을 실행하며 713단계로 진행하여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715단계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된 상기 가전제품의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로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한다.
이후, 717~721단계에서 평활된 직류전압을 단속적으로 스위칭제어하여 커패시터(C)를 통해 시스템(40)이 요구하는 전압이상의 대전압을 충방전하고, 그 충방전된 대전압을 일정레벨로 다운컨버팅한다. 즉, 앞서 기술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압의 시스템 요구전압보다 높은 피크치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스위칭 동작하고, 피크치 전압 이후부터 시스템 요구 최소전압까지 셧다운된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은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31)로 입력되어 시스템(40)의 요구전압으로 다운 컨버팅되어 메인 시스템(41)과 대기 시스템(43)측으로 출력된다. 상기 대기 시스템(43)에 공급되는 전압은 스위치부(50)를 통해 공급된다.
이후, 723단계에서 상기 스위칭모드 제어부는 동작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동작모드가 종료되면, 725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상기 715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동작모드가 종료될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725단계에서 대기모드 전환이후, 727~731단계에서 상기 커패시터(C) 방전전압에 의해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로 입력되는 전압은 대기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로 입력되어 대기 시스템 요구전압으로 다운 컨버팅된 후 메인 시스템(41)과 대기 시스템(43)측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50)는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33)의 출력전압이 메인 시스템(41)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스위칭 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20)는 기존에 비해 대기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전제품 등의 대기모드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에 출력 직류 전압을 부하가 요구하는 전압이상의 대전압을 출력하도록 하고, 그 출력된 대전압을 부하가 요구하는 전압으로 다운시켜 부하에 공급 함으로써, 대기모드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스위칭동작을 최소화하여 휴지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과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의 대기전력에 대응하여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최소화하여 대기전력의 규제에 따른 대기전력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동작모드와 대기모드시, 입력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얻은 직류 전압을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까지 변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와;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대기모드에 상응하는 부하 요구전압에 따른 일정레벨로 전압강하하는 전압강하부와;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동작제어신호와 상기 대기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압강하부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동작모드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부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장치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까지 단속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크치전압 이후부터 상기 부하 요구전압의 최소전압까지 셧다운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모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부는,
    동작모드시,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컨버팅하여 동작모드에 따른 시스템 전압으로 전압강하하여 출력하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와;
    대기모드시, 부하 요구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컨버팅하여 대기모드에 따른 시스템 전압으로 전압강하하여 출력하는 제2 직류/직류 컨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부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직류/직류 컨버터의 동작모드시의 출력전압이 시스템의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으로 인가되게 스위칭하고,
    상기 대기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직류/직류 컨버터의 대기모드시의 출력전압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인가되지 않게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장치는,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을 충방전 및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충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6. 삭제
  7. 상용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키고, 단속적으로 스위칭제어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메인 또는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활된 직류 전압을 메인 시스템 또는 대기 시스템의 요구전압보다 높은 대전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방전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동작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작 모드이면, 상기 대전압의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동작 모드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대기 모드이면, 상기 대전압의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로 다운 컨버팅하여 상기 대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대기 모드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을 충방전하여 출력하는 과정은,
    높은 대전압의 피크치 전압까지 스위칭모드 전원장치가 스위칭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과정은,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의 요구전압으로 컨버팅하고 스위칭하여 시스템의 요구전압을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 과정은,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대기 시스템의 요구전압으로 컨버팅하여 컨버팅된 전압을 상기 대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된 전압을 상기 대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인 시스템으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방법.
KR1020040085924A 2004-10-26 2004-10-26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10060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924A KR100608646B1 (ko) 2004-10-26 2004-10-26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924A KR100608646B1 (ko) 2004-10-26 2004-10-26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811A KR20060036811A (ko) 2006-05-02
KR100608646B1 true KR100608646B1 (ko) 2006-08-09

Family

ID=3714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924A KR100608646B1 (ko) 2004-10-26 2004-10-26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386A (ko) 2014-07-09 2016-01-19 한국전기연구원 전압강하 전처리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386A (ko) 2014-07-09 2016-01-19 한국전기연구원 전압강하 전처리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811A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2631B (zh) 具可调控降频曲线的返驰式转换器
KR100593410B1 (ko) 스위칭 전원장치
US11482944B2 (en) AC to DC converter with parallel converter
EP18356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DC power source
US7330366B2 (en) DC-AC converter
US7285991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and switching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US6020719A (en) Secondary battery unit using electric double layer condenser
US200702172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dc power source
US20080049452A1 (en) Ultralow Power stan-By Supply
WO2007072075A2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ontrollers
KR100806774B1 (ko)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CN107710579B (zh) 放电装置、电源装置以及放电方法
US8760141B2 (en) Frequency-hopping pulse-width modulator for switching regulators
EP2608381B1 (en) AC-DC converter
US7098558B2 (en) Starting circuit for power-converting apparatus
US6044002A (en) Flyback converter with limited output power
EP2463993A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US10938315B2 (en) Control circuit for AC/DC converter
KR100608647B1 (ko)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JP417311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JP2001157450A (ja) 直流電源装置
KR100608646B1 (ko)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JP2004274897A (ja) 省待機電力電源装置
KR20010011895A (ko) 가정용 전자제품의 초절전 대기전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장치
JP2003061353A (ja) 電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