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537B1 - 침대 겸용 책상 - Google Patents

침대 겸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537B1
KR100608537B1 KR1020050037127A KR20050037127A KR100608537B1 KR 100608537 B1 KR100608537 B1 KR 100608537B1 KR 1020050037127 A KR1020050037127 A KR 1020050037127A KR 20050037127 A KR20050037127 A KR 20050037127A KR 100608537 B1 KR100608537 B1 KR 10060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ttress
plate
desk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102005003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침대의 기능 또는 책상의 기능을 갖는 침대 겸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을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측판에 고정된 고정 상판과, 상기 고정 상판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고정 상판의 전방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상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부;와, 상기 측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측판의 사이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매트리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책상, 침대, 겸용, 상판, 측판

Description

침대 겸용 책상{Table combined bed}
도1은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일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상판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테이블부를 이루는 주요 골격을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6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2 : 회동 상판
14 : 고정 상판 16 : 경첩
18 : 가스리프터 20 : 측판
32, 34, 36 : 지지판 33 : 홈
38 : 보강부재 38a : 웨브
38b, 38c : 플랜지 40 : 매트리스
51A, 51B : 롤러 50, 52, 54, 56 : 프레임
52A : 회동 프레임 52B : 고정 프레임
60 : 다리 62 : 바퀴
70 : 서랍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제한된 실내 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책상과 침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일례로서, 특허공개번호 제2004-48890호에 침대와 책상이 결합된 가구의 개량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특허공개번호 제2004-0061727에 침대 겸용 책상에 대한 기술이 제기되어 있는바, 이 기술들은 링크기구(Link mechanism)을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책상 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매트리스를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로 위치시키고 침대로 사용할 때에는 매트리스를 수평한 상태로 위치시킨다.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41384호에 책상과 옷장을 일체로 겸비한 침대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 기술은 상부에 침대용 매트리스가 위치되고 하부에 책상이 위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전자에 제시된 기술들은 전체적인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매트리스에 얹혀지는 침구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야 하는 등 그 침구류의 처리가 곤 란한 문제점을 가지며, 후자에 제시된 기술은 매트리스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침구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필요는 없지만 책상의 상부에 침대를 위치시키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상하의 높이가 비교적 크게 형성됨으로써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 그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리스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하여 침구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매트리스의 상부에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갖는 침대 겸용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과 침대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의 활용도가 높도록 구성된 침대 겸용 책상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침대의 기능 또는 책상의 기능을 갖는 침대 겸용 책상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을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측판에 고정된 고정 상판과, 상기 고정 상판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고정 상판의 전방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상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부;와, 상기 측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측판의 사이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는 침대 겸용 책상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활동하는 영역을 "전방"이라 칭하고, 그 반대쪽 영역을 "후방"이라 칭하며, 사용자의 좌, 우쪽 영역을 각각 "좌측" 및 "우측"이라 칭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 들의 재질에 대하여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책상 등의 가구에 사용되는 목재나, 목분과 기타 재질을 혼합하여 압축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책상으로 이용되는 테이블부와, 침대로 이용되는 매트리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부는 통상적인 책상의 골격, 즉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0)은 컴퓨터, 책꽃이 등을 올려 놓고, 또한 사용자가 독서 등을 할 수 있도록 적정한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상판(10)은 전방에 위치된 회동 상판(12)과 후방에 위치된 고정 상판(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은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의 경계부에서 여러 개의 경첩(16)에 의해 연결되며, 이 구조에 의하면, 회동 상판(12)이 경첩(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상판(12)의 회전 각도는 별도로 설치되는 스토퍼(미도시됨),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을 연결하는 경첩(16)의 자체 구조, 가스리프터(18)의 적용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회동 상판(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측판(20) 또는 기타 다른 부위에 연결된 가스리프터(18)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가스리프터(18)를 적용하면 회동 상판(12)이 도5의 (a)에 도시된 수평한 상태에서 수직한 쪽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면 수직한 상태로 쉽게 회전되며 반대로 회동 상판(12)이 도5의 (b)에 도시된 수직한 상태에서 수평한 쪽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면 수평한 상태로 쉽게 회전되게 한다.
상기 측판(20)은 상판(1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판(10)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높이에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20)은 대략의 사각 판재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어 소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측판(20)은 상판(10)의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이 그 측판(20)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는 폭을 갖는다. 이때, 회동 상판(12)은 측판(20)의 상부에 단순히 얹혀지며 고정 상판(14)은 철 또는 나무 등으로 형성된 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측판(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동 상판(12)을 하부 쪽으로 회전시킬 때, 측판(20)이 회동 상판(12)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담당하며, 이렇게 회동 상판(12)이 측판(20) 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일 때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의 상부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는 측판(20)의 사이에서 양쪽 측판(20)을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가지며, 이 지지수단은 수평 지지판(32)과 수직 지지판(34)을 포함한다. 이를 도2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 지지판(32)은 양측 단부가 측판(20)의 대략의 중앙 부위에 고정되고 폭 방향이 전, 후방으로 형성되며 그 폭이 측판(20)의 폭과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 수평 지지판(32)은 그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 부위가 위치되므로 사용자의 활동에 지장이 엎도록 적정한 높이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판(34)은 수평 지지판(32)의 중앙 하부를 받치는 형태로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측판(20)에 고정되며 폭 방향이 상하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 지지판(32)과 수직 지지판(34)은 서로 다른, 그러나 서로 보완하는 기능을 갖는바, 수평 지지판(32)은 측판(20)이 수직한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직 지지판(34)은 측판(20)이 수평한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는 상판(10)의 후방 부위, 즉 고정 상판(14)이 설치된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도2,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 상판(14)의 하부에는 그 고정 상판(14)에 컴퓨터, 책장 등이 놓여졌을 때 고정 상판(14)이 굽혀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구비된 다.
상기 보강수단은 양측 단부가 측판(20)의 후방에 고정되고 폭 방향이 상하로 형성된 후방 지지판(36)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 지지판(36)은 그 상단이 고정 상판(14)의 하부를 받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그 상단이 고정 상판(14)의 하부와 소정 거리 떨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의 구조는 후방 지지판(36)이 직접 고정 상판(14)을 지지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이 추가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후자의 구조를 가지면서, 후술하는 여러 개의 보강부재(38)와 함께 고정 상판(14)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 상판(14)과 후방 지지판(36)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여러 개의 보강부재(38)가 설치되며, 이 보강부재(38)는 다른 구성요소 들에 비하여 강성이 큰 스틸이나 기타 고강도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보강부재(38)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웨브(38a)와 이 웨브(38a)의 상단과 하단에서 한쪽으로만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38b)(38c)로 이루어진 ㄷ형강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8)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38b)(38c)는 전방 쪽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부 플랜지(38b)의 상부에는 고정 상판(14)이 얹혀지며, 하부 플랜지(38c)는 후방 지지판(36)의 상부에 얹혀지며, 하부 플랜지(38c)의 상부에는 수평 지지판(32)이 얹혀진 형태를 취한다. 물론, 상기 상부 플랜지(38b)와 고정 상판(14), 하부 플랜지(38c)와 후방 지지판(36) 및 하부 플랜지(38c)와 수평 지지판(32)은 볼트,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38b)는 그 두께가 전방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하부 플랜지(38c)의 전방쪽 끝단은 수직 지지판(34)까지 연장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8)를 채택한 구조인 경우, 수평 지지판(32)의 후방쪽 단부에 보강부재(38)를 수용하기 위한 여러 개의 홈(3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테이블부는 통상의 책상이 갖는 것처럼 여러 개의 서랍(70)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서랍(70)은 상기 수평 지지판(3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매트리스부는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해 사용되는 매트리스(40)와 그 매트리스(4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리스(40)는 테이블부를 이루는 상판(10), 한 쌍의 측판(20) 및 수평 지지판(32)에 의해 에워싸여진 침대공간(S)에 입출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은 수평지지판(32)의 상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40)가 얹혀지는 바닥 프레임(50)을 갖는다.
상기 바닥 프레임(50)은 좌우 방향의 길이가 측판(20)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50)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그 바닥 프레임(50)이 침대공간(S)에 넣어졌을 때 전방쪽 단부가 상판(10)의 전방쪽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기 바닥 프레임(50)은 여러 개의 공회전 롤러에 의해 그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회전 롤러는 상기 바닥 프레임(50)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공회전하면서 수평 지지판(3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51A)와, 상기 수평 지지판(32)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50)을 지지하는 고정롤러(5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롤러(51A)와 고정롤러(51B)는 바닥 프레임(50)의 하부 표면이 수평 지지판(32)의 상부 표면과 약간의 간격을 갖도록 하여 접촉에 의한 마찰 및 그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이동롤러(51A)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이동롤러(51A)는 바닥 프레임(50)의 후방 부위에 설치되어 그 하단이 바닥 프레임(50)의 하단보다 약간 하부로 더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51B)의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고정롤러(51B)는 수평 지지판(32)의 전방 부위에 설치되어 그 상단이 수평 지지판(32)의 상단보다 약간 상부로 더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지지판(32)의 상부 표면과 상기 바닥 프레임(50)의 하부 표면에는 각각 고정롤러(51B)의 상단 부위와 이동롤러(51A)의 하단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롤러수용홈(32a)(50a)이 형성되며, 이 롤러수용홈(32a)(50a)은 매트리스부가 테이블부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일 때 및 매트리스부가 테이블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일 때, 각각 고정롤러(51B)의 상단 부위 및 이동롤러(51A)의 하단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설정된다.
즉, 이동롤러(51A)가 바닥 프레임(50)의 후방 부위에 설치되고 고정롤러(51B)가 수평 지지판(32)의 전방 부위에 설치된 경우, 수평 지지판(32)의 롤러수용홈(32a)은 후방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되고 바닥 프레임(50)의 롤러수용홈(50a)은 중앙 및 전방 부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수용홈(32a)(50a)은 매트리스부가 테이블부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일 때 및 매트리스부가 테이블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일 때에 매트리스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바닥이 약간 기울어진 경우, 수평 지지판(32)의 고정롤러(51B)가 바닥 프레임(50)의 롤러수용홈(50a)에 수용되고 바닥 프레임(50)의 이동롤러(51A)가 수평 지지판(32)의 롤러수용홈(32a)에 수용되어 매트리스부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50)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부쪽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전방 프레임(52)과 후방 프레임(54)이 구비되며, 이 전방 프레임(52)과 후방 프레임(54)의 높이는 매트리스(40)의 상단보다 약간 더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프레임(52)은 회동 프레임(52A)과 고정 프레임(52B)으로 나뉘며, 상기 회동 프레임(52A)의 하단은 고정 프레임(52B)의 상단에 미도시된 경첩 등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52B)은 그 하단이 바닥 프레임(50)의 전방 끝단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52B)은 상단의 높이가 매트리스(40)의 상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되게 설정함으로써 회동 프레임(52A)이 하부 쪽으로 회전되었을 때 사람이 매트리스(40)에 걸터앉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특 히, 상기 회동 프레임(52A)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일 때 그 회동 프레임(52A)의 하단이 상판(10), 즉 회동 상판(12)의 하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회동 프레임(52A)의 크기가 설정되면 좋다.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54)은 그 하단이 바닥 프레임(50)의 후방 끝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부는 바닥 프레임(50)이 테이블부의 전방 쪽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그 바닥 프레임(50)의 전방 부위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상기 바닥 프레임(50)의 전방쪽 좌우에 다리(60)가 설치되고, 이 다리(60)의 하단에는 바퀴(62)가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테이블부와 매트리스부의 어느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미도시됨)이 형성되고 타측에 그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돌기(미도시됨)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돌기와 가이드홈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지지판(32)과 바닥 프레임(50)에 채택되어 사용된 것처럼 공회전롤러에 의한 지지구조가 갖춰지는 것이 좋다.
도3은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일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매트리스부를 이루는 바닥 프레임(50)의 좌, 우 양측에 상부쪽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측방 프레임(56)이 구비되며, 이 측방 프레임(56)의 높이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프레임(52)(54)과 동일한 것이 좋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을 책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처럼, 매트리스부는 테이블부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이며, 테이블부를 구성하는 회동 상판(12)이 측판(20)의 상단에 얹히도록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판(10)의 회동 상판(12)과 고정 상판(14)의 상부가 동일한 평면을 이룸으로써 책상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트리스부의 전방 프레임(52)을 구성하는 회동 프레임(52A)이 수직하게 세워지며, 이는 전방 쪽에서 매트리스(40) 등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회동 프레임(52A)의 상단이 회동 상판(12)의 하부를 받쳐 지지한다.
또한, 바닥프레임(50)의 이동롤러(51A)가 수평 지지판(32)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수용홈(32a)에 수용되고 수평 지지판(32)의 고정롤러(51B)가 바닥프레임(50)의 전방에 형성된 롤러수용홈(50a)에 수용됨으로써 매트리스부가 전방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을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매트리스부는 테이블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며, 테이블부를 구성하는 회동 상판(12)이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책상을 침대로 사용하려면, 측판(20)의 상단에 얹혀져 있던 회동 상판(12)을 상부로 회동시키고 매트리스부의 전방 프레임(52)을 구성하는 회동 프레임(52A)을 고정 프레임(52B) 쪽으로 회전시킨 후, 매트리스부를 전방 쪽으로 당겨 테이블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매트리스부의 매트리스(40)가 외부로 돌출되어 침대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트리스부의 전방 프레임(52)을 구성하는 회동 프레임(52A)이 접혀진 상태이며, 이는 매트리스(40)의 전방 쪽에 사용자가 걸터 앉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바닥프레임(50)의 이동롤러(51A)가 수평 지지판(32)의 중앙에 형성된 롤러수용홈(32a)에 수용되고 수평 지지판(32)의 고정롤러(51B)가 바닥프레임(50)의 중앙에 형성된 롤러수용홈(50a)에 수용됨으로써 매트리스부가 전방 및 후방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책상에 의하면, 테이블부의 회동 상판을 회동시키고 매트리스부의 매트리스를 테이블부의 내부로 밀거나 테이블부의 외부로 당겨 돌출되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책상 또는 침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매트리스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침구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매트리스의 상부에 놓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갖는다.
게다가, 침대로 사용할 때, 테이블부의 전방쪽 대략의 반 정도와 매트리스부의 후방쪽 대략의 반 정도가 함께 공유되는 형태이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9)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침대의 기능 또는 책상의 기능을 갖는 침대 겸용 책상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을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측판에 고정된 고정 상판과, 상기 고정 상판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고정 상판의 전방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상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부;와,
    상기 측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측판의 사이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는 침대 겸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상판은 후단이 상기 고정 상판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상판은 가스리프터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양측 단부가 상기 측판의 중앙 부위에 고정되고 폭 방향이 전, 후방으로 형성된 수평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중앙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측판에 고정된 수직 지지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웨브와 이 웨브의 상단과 하단에서 전방쪽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측판의 후방에 고정된 후방 지지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매트리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과, 이 바닥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전방, 후방 및 측방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바닥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과, 이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공회전하면서 상기 매트리스부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장착된 여러 개의 고정롤러를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부는 테이블부를 따라 공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장착된 여러 개의 이동롤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는 상기 테이블부의 전방 쪽에 배치되어 상단 부위가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매트리스부의 후방 쪽에 배치되어 하단 부위가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부에는 상기 이동롤러의 상단 부위가 수용되는 롤러수용홈이 후방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부에는 상기 고정롤러의 하단 부위가 수용되는 롤러수용홈이 전방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책상.
KR1020050037127A 2005-05-03 2005-05-03 침대 겸용 책상 KR10060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27A KR100608537B1 (ko) 2005-05-03 2005-05-03 침대 겸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27A KR100608537B1 (ko) 2005-05-03 2005-05-03 침대 겸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537B1 true KR100608537B1 (ko) 2006-08-03

Family

ID=3718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127A KR100608537B1 (ko) 2005-05-03 2005-05-03 침대 겸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45B1 (ko) * 2012-05-17 2014-07-04 오태균 탁자 및 상기 탁자를 포함하는 탁자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103Y1 (ko) * 1982-10-15 1984-10-13 김동윤 책상을 겸한 침대
JPH05344921A (ja) * 1992-06-16 1993-12-27 Hideyuki Yamada ベッド付家具
KR200182260Y1 (ko) * 1999-12-02 2000-05-15 주식회사환.디엔에프 세트장 옷걸이
KR200296947Y1 (ko) * 2002-08-21 2002-12-05 장용건 침대 겸용 책상
KR20040061727A (ko) * 2002-12-31 2004-07-07 장용건 침대 겸용 책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103Y1 (ko) * 1982-10-15 1984-10-13 김동윤 책상을 겸한 침대
JPH05344921A (ja) * 1992-06-16 1993-12-27 Hideyuki Yamada ベッド付家具
KR200182260Y1 (ko) * 1999-12-02 2000-05-15 주식회사환.디엔에프 세트장 옷걸이
KR200296947Y1 (ko) * 2002-08-21 2002-12-05 장용건 침대 겸용 책상
KR20040061727A (ko) * 2002-12-31 2004-07-07 장용건 침대 겸용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45B1 (ko) * 2012-05-17 2014-07-04 오태균 탁자 및 상기 탁자를 포함하는 탁자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32B2 (en) Adjustable bed
KR100669365B1 (ko) 침대 겸용 책상
JP4750468B2 (ja) 準個室化設備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介護施設
KR200440196Y1 (ko) 조합형 침대
KR100608537B1 (ko) 침대 겸용 책상
JP4416757B2 (ja) 移動ボディーが備えられたキャスター装置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20130040487A (ko) 2인용 일체형 책걸상
KR20180092374A (ko) 트랜스포머 침대
CA3109933A1 (en) Murphy bed chest
US10470560B2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US3805307A (en) Folding bed
RU2138976C1 (ru)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JP3126488U (ja) 机と椅子の相互変換構造
JP2017217332A (ja) ベンチ兼用介護ベッド
US3755831A (en) Folding bed unit
JP3014430U (ja) 鏡装置付き家具
US3550168A (en) Folding bed
JP6809716B2 (ja) 多機能家具
JP3726031B2 (ja) 可動式収納装置
JP6854956B1 (ja) 台構造
RU2773085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трансформации мягкой мебели
KR200468733Y1 (ko) 독서용 책장
KR101135439B1 (ko) 캠핑카용 변형가구
KR200350057Y1 (ko) 지하철 승강대용 접철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