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381B1 -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381B1
KR100608381B1 KR1020050049772A KR20050049772A KR100608381B1 KR 100608381 B1 KR100608381 B1 KR 100608381B1 KR 1020050049772 A KR1020050049772 A KR 1020050049772A KR 20050049772 A KR20050049772 A KR 20050049772A KR 100608381 B1 KR100608381 B1 KR 10060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buffer
sig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4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381B1/en
Priority to US11/451,109 priority patent/US7385860B2/en
Priority to TW095120905A priority patent/TWI300230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381B1/en
Priority to US12/112,149 priority patent/US758679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39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pipelining techniques, i.e. using latches between functional memory parts, e.g. row/column decoders, I/O buffers, sense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Abstract

4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파이프 래치를 갖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A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pe latches having a 4-bit prefetch function is provided.

제안된 파이프 래치는 4비트의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스위칭부(411, 421)와, 데이타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는 데이타 선택부(412, 422)와, 제어 신호(pout)를 지연시기는 쉬프터(431)와 데이타 선택부(422)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지연시키는 쉬프터(432)를 구비한다. The proposed pipe latch includes data switching units 411 and 421 for receiving 4-bit data, data selecting units 412 and 422 for selecting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and delay time of the control signal pout. The shifter 431 includes a shifter 432 for delaying data output from the data selector 422.

Description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의 일예이다.1 is an example of a data output circuit of a general memory device.

도 2는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하위 2 비트(스타팅 컬럼 어드레스)와 데이타 출력 모드(인터리브 또는 순차 모드)에 따른 데이타의 출력순서를 설명하는 표이다. Fig. 2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utput order of data according to the lower two bits (starting column address) of the column address applied at the read command and the data output mode (interleaved or sequential mod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래치의 구체적인 일예이다.3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pipe latch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출력 회로의 일예이다. 4A and 4B are examples of the data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와 버스트 타입에 따라서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 데이타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output circuit that determines the output order of data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column address and burst type applied during a read command.

일반적으로, 동기식 메모리 장치(이하, 메모리 장치라 한다)에서,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는 감지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후, 글로벌 버스 라인으로 전달된 다음, 파이프 래치 및 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외부 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은 이 과정중에서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파이프 래치로 인가되는 데이타의 처리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general, in a synchronous memor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mory device), data read from a memory cell in response to a read command is amplified by a sense amplifier, then transferred to a global bus line, and then the pipe latch and output driver It passes through the process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a method of processing data applied to a pipe latch through a global bus line in this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일반적인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의 일예로서, 특히 4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데이타 출력 회로의 일예이다. 도 2는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하위 2 비트(스타팅 컬럼 어드레스)와 데이타 출력 모드(인터리브 또는 순차 모드)에 따른 데이타의 출력순서를 설명하는 표이다. 1 is an example of a data output circuit of a general memory device, in particular an example of a data output circuit having a 4-bit prefetch function. Fig. 2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utput order of data according to the lower two bits (starting column address) of the column address applied at the read command and the data output mode (interleaved or sequential mode).

도 1에서, "gio1<0:3>, gio2<0:3>, gio3<0:3>, gio4<0:3>"는 서로 다른 글로벌 버스 라인을 나타내며, 각 글로벌 버스 라인은 4비트의 데이타(q<0:3>)를 그에 대응하는 각 파이프 래치(101, 102, 103, 104)로 전달한다. In Fig. 1, "gio1 <0: 3>, gio2 <0: 3>, gio3 <0: 3>, gio4 <0: 3>" represent different global bus lines, each of which has four bits of Data q <0: 3> is passed to the corresponding pipe latches 101, 102, 103, 104.

각 파이프 래치(101~104)는 그에 대응하는 인에이블 신호(P1N1, P1N2, P1N3, P1N4)와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즉, 파이프 래치(101)는 신호(soseb0<0>, soseb1r<0>, soseb1f<0>, rpout<0>, fpout<0>)을 수신하며, 파이프 래치(102)는 신호(soseb0<1>, soseb1r<1>, soseb1f<1>, rpout<1>, fpout<1>)을 수신하며, 파이프 래치(103)는 신호(soseb0<2>, soseb1r<2>, soseb1f<2>, rpout<2>, fpout<2>)을 수신하며,파이프 래치(104)는 신호(soseb0<3>, soseb1r<3>, soseb1f<3>, rpout<3>, fpout<3>)을 수신한다. Each pipe latch 101 to 104 receives the enable signals P1N1, P1N2, P1N3, and P1N4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respectively. That is, the pipe latch 101 receives signals (soseb0 <0>, soseb1r <0>, soseb1f <0>, rpout <0>, fpout <0>, and the pipe latch 102 receives the signal (soseb0 <1). >, soseb1r <1>, soseb1f <1>, rpout <1>, fpout <1>, and pipe latch 103 receives signals (soseb0 <2>, soseb1r <2>, soseb1f <2>, rpout <2>, fpout <2>, and the pipe latch 104 receives signals (soseb0 <3>, soseb1r <3>, soseb1f <3>, rpout <3>, fpout <3>).

각 파이프 래치의 출력신호는 프리 드라이버(105)로 입력되며, 프리 드라이버(105)에 인가된 데이타는 동기신호(rclk_do, fclk_do)에 동기되어 출력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여기서, 동기신호(rclk_do, fclk_do)는 동 기식 메모리 장치내의 DLL 회로로부터 출력된 내부클락신호이다. The output signal of each pipe latch is input to the pre-driver 105, and the data applied to the pre-driver 105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driver (not show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s rclk_do and fclk_do.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s rclk_do and fclk_do are internal clock signals output from the DLL circuit in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래치(101)의 구체적인 일예이다. 참고로, 파이프 래치(102, 103, 104)의 구성은 파이프 래치(101)의 구성과 동일하다. 3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pipe latch 101 shown in FIG. 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latches 102, 103, 104 is the same as that of the pipe latch 101.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단자(in1)는 데이타(q0)를 수신하며, 입력단자(in2)는 데이타(q1)를 수신하며, 입력단자(in3)는 데이타(q2)를 수신하며, 입력단자(in4)는 데이타(q3)를 수신한다. 데이타(q0~q3)는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파이프 래치에 인가된 데이타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3, the input terminal in1 receives the data q0, the input terminal in2 receives the data q1, the input terminal in3 receives the data q2, The input terminal in4 receives the data q3. Data q0 to q3 represent data applied to the pipe latch via the global bus line.

신호(soseb0)는 "start odd start even bar"의 약어로서, 신호(soseb0)의 논리값은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최하위 2비트의 값(이하,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라 부른다)과 데이타 출력 순서 모드에 의하여 결정된다(도 2 참조). 참고로, 데이타 출력 순서 모드란 데이타의 출력순서를 결정하는 모드로서, 이에는 순차 모드와 인터리브 모드가 있다. Signal (soseb0) is an abbreviation of "start odd start even bar", the logical value of the signal (soseb0) is the least significant two-bit value of the column add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rting column address") and data applied to the read command Determined by the output order mode (see FIG. 2). For reference, the data output order mode is a mode for determining the output order of data, which includes a sequential mode and an interleaved mode.

인에이블신호(PIN1)는 데이타(q0~q3)를 수신하는 버퍼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이다. The enable signal PIN1 is a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able the buffer for receiving the data q0 to q3.

신호(soseb1_r)과 신호(soseb1_f)는 스위칭 신호로서, 신호(soseb1_r)는 노드(pre_rdo<0>)를 통과한 데이타와 노드(pre_rdo<1>)를 통과한 데이타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며, 신호(soseb1_f)는 노드(pre_fdo<0>)를 통과한 데이타와 노드(pre_fdo<1>)를 통과한 데이타의 출력 순서를 결정한다. Signal (soseb1_r) and signal (soseb1_f) is a switching signal, the signal (soseb1_r) determines the output order of the data passing through the node (pre_rdo <0>) and the data passing through the node (pre_rdo <1>), the signal (soseb1_f) determines the output order of data passing through the node (pre_fdo <0>) and data passing through the node (pre_fdo <1>).

신호(rpout)와 신호(fpout)는 파이프 래치의 출력 버퍼를 인에이블시키는 신호이며, 파이프 래치의 출력 버퍼의 출력 노드(rdo, fdo)를 통하여 노드(pre_rdo<0>, (pre_rdo<1>), pre_fdo<0>, (pre_fdo<1>)상의 데이타가 출력된다. The signals rpout and fpout are signals for enabling the output buffer of the pipe latch, and the nodes pre_rdo <0> and (pre_rdo <1>) through the output nodes rdo and fdo of the output buffer of the pipe latch. The data on, pre_fdo <0>, (pre_fdo <1>) is output.

동작에 있어서, 예컨대, 도 2도 2시된 바와같이, 시작 어드레스가 "00"이고 순차 모드인 경우, 신호(soseb0)는 로우 레벨이다. 이 경우, 도 2과 도 3로부터 알 수 있듯이, 노드(pre_rdo<0>)를 통하여 데이타(q0)가 출력되고, 노드(pre_rdo<1>)를 통하여 데이타(q2)가 출력되고, 노드(pre_fdo<0>)를 통하여 데이타(q1)가 출력되고, 노드(pre_fdo<1>)를 통하여 데이타(q3)가 출력 출력된다. In oper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start address is " 00 " and in sequential mode, the signal sosb0 is low level. In this case, as can be seen from FIGS. 2 and 3, the data q0 is output through the node pre_rdo <0>, the data q2 is output through the node pre_rdo <1>, and the node pre_fdo Data q1 is output through <0>, and data q3 is output through node pre_fdo <1>.

다음, 신호(soseb1_r)가 로우 레벨일 때 노드(pre_rdo<0>)상의 데이타(q0)는 출력 버퍼를 지나 노드(rdo)로 전달되고, 1tCK 후 신호(soseb1_r)가 하이 레벨일 때 노드(pre_rdo<1>)상의 데이타(q2)는 출력 버퍼를 지나 노드(rdo)로 전달된다. 여기서, 1tCK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클락신호의 주기를 의미한다. Next, when the signal (soseb1_r) is at the low level, the data q0 on the node (pre_rdo <0>) is passed through the output buffer to the node (rdo), and after 1tCK, when the signal (soseb1_r) is at the high level, the node (pre_rdo) Data q2 on < 1 > is passed through the output buffer to node rdo. Here, 1tCK means the period of the clock signal used in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마찬가지로, 신호(soseb1_f)가 로우 레벨일 때 노드(pre_fdo<0>)상의 데이타(q1)는 출력 버퍼를 지나 노드(fdo)로 전달되고, 1tCK 후 신호(soseb1_f)가 하이 레벨일 때 노드(pre_fdo<1>)상의 데이타(q3)는 출력 버퍼를 지나 노드(fdo)로 전달된다. 이때, 신호(soseb1_f)는 신호(soseb1_r)보다 1/2tCK 지연되어 동작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 1의 프리 드라이버(105)로 인가되는 데이타는 q0, q1, q2, 및 q3의 순서로 인가된다. 즉,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가 0이고, 순차 모드인 경우, 프리 드라이버로 인가되는 데이타는 q0, q1, q2, 및 q3의 순서로 인가된다.Similarly, data q1 on node pre_fdo <0> is passed through the output buffer to node fdo when the signal sob1_f is at low level, and node pre_fdo when signal 1bCK is at high level after 1tCK. Data q3 on < 1 > is passed through the output buffer to node fdo. At this time, since the signal seb1_f is operated by a delay of 1 / 2tCK than the signal seb1_r, the data applied to the pre-driver 105 of FIG. 1 is applied in the order of q0, q1, q2, and q3. That is, when the starting column address is 0 and in the sequential mode, the data applied to the predriver is applied in the order of q0, q1, q2, and q3.

다른 예로서,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가 3이고 인터리브 모드인 경우, 노드(pre_rdo<0>)에는 데이타(q1)가 전달되고, 노드(pre_rdo<1>)에는 데이타(q3)가 전달되고, 노드(pre_fdo<0>)에는 데이타(q0)가 전달되고, 노드(pre_fdo<1>)에는 데이타(q2)가 전달된다. 이 경우, 신호(soseb1_r)는 처음에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고 1tCK후에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신호(soseb1_r)보다 1/2tCK 지연되어 출력되는 신호(soseb1_f)도 처음에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고 1tCK후에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노드(rdo)를 통하여 q3, q1 이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노드(fdo)를 통하여 q2, q0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그 결과, 프리 드라이버로 인가되는 데이타는 q3, q2, q1 및 q0의 순서로 인가된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tarting column address is 3 and in the interleaved mode, data q1 is delivered to node pre_rdo <0>, data q3 is delivered to node pre_rdo <1>, and node pre_fdo. Data q0 is delivered to <0>, and data q2 is delivered to node pre_fdo <1>. In this case, the signal "soseb1_r" maintains a high level at first and a low level after 1 tCK. In addition, the signal (soseb1_f) which is output by being delayed 1 / 2tCK than the signal (soseb1_r) also maintains a high level at first and a low level after 1tCK. Therefore, q3 and q1 ar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node rdo, and q2 and q0 ar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node fdo. As a result, the data applied to the predriver is applied in the order of q3, q2, q1 and q0.

도 1에 도시된 나머지 파이프 래치(102~104)의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각 파이프 래치(102~104)에 인가되는 인에이블신호(PIN2, PIN3, PIN4)의 인에이블 타이밍에 따라서 파이프 래치의 동작 시점에 차이가 있다. 통상,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래치의 출력노드(rdo, fdo)는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인에이블 신호(PIN1~PIN4)는 상호 중첩되지 않은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어 각 파이프 래치를 동작시킨다. 참고로, 도 1의 회로로부터 출력되어 데이타 출력 버퍼(도시되지 않음)로 인가된 데이타는 1개의 데이타 핀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타 핀의 수가 N개인 경우, 도 1의 회로가 N개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pipe latches 102 to 104 shown in FIG. 1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owever, depending on the enable timing of the enable signals PIN2, PIN3, and PIN4 applied to the pipe latches 102 to 104, the operation timing of the pipe latches is different. In general, since the output nodes rdo and fdo of the pipe latch shown in FIG. 1 are commonly used, the enable signals PIN1 to PIN4 are sequentially enabled in a non-overlapping range to operate each pipe latch. For reference, data output from the circuit of FIG. 1 and applied to a data output buffer (not shown)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one data pin.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data pins is N, it means that there are N circuits in FIG.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신호(soseb1_r, soseb1_f, rpout, fpout)는 각 파이프 래치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독립된 신호이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신호(soseb1_r, soseb1_f, rpout, fpout)를 생성하는 회로는 16개의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파이프 래치로 상기 신호들을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signals illustrated in FIG. 3 (soseb1_r, soseb1_f, rpout, and fpout) are independent signals applied to each pipe latch individually. Thus, although not shown, the circuit for generating the signals (soseb1_r, soseb1_f, rpout, fpout) transfers the signals to the pipe latch using 16 signal lines.

그런데, 전술한 바와같이, 도 1및 도 3에서 설명한 종래의 데이타 출력 회로를 구성하는 각 파이프 래치는 그에 대응하는 독립적인 신호(soseb1_r, soseb1_f, rpout, fpout)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라인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예컨대, 데이타 핀의 수가 N개인 경우, 16XN개의 신호 라인이 배치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고집적 메모리 장치의 레이아웃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each pipe latch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data output circu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uses independent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soseb1_r, soseb1_f, rpout, and fpout), these pipe latches transmit these signals. The arrangement of signal lines is essential.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data pins is N, 16 × N signal lines are arranged. This results in a problem of lowering the layout efficiency of the highly integrated memory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데이타 출력 회로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들 줄여 레이아웃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poses a method of efficiently using a layout area by reducing signals used for controlling a data output circuit.

본 발명의 실시예인 N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파이프 래치를 복수개 구비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래치 각각은, N 비트 데이타를 수신하며,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와 데이타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의 출력 경로를 전환시키는 데이타 스위칭부와;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중 절반의 데이타를 수신하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절반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1 데이타 선택부와;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중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로 인가되는 상기 절반의 데이타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의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나머지 절반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데이타 선택부와;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제 1 시간만큼 지연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터와;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며,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에서 수신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인가되는 클락신호 주기(tCK)의 절반(1/2tCK)에 해당하는 시간이며,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에서 데이타가 최초로 출력되는 시점은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에서 데이타가 최초로 출력되는 시점보다 1/2tCK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In the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pe latches having an N-bit prefetch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ipe latches receives N-bit data and is supplied with a starting column address and data applied during a read command. A dat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output path of the N-bit data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mode; A first data selector which receives half of data of the N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and sequentially outputs the half data in response to a first control signal; Receives half of the data except for the half of the data applied to the first data selector among the N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and sequentially processes the remaining half of the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data selection unit outputting the data; A first shifter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delayed by a first time after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shifter for outpu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after receiving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delaying the first time, and outpu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 The first time corresponds to half (1/2 tCK) of the clock signal period tCK applied to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and the time point at which data is first output from the second data selector is the first data selection. A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1 / 2tCK is earlier than the time at which data is first output from the negative 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는 제 3 제어 신호에 의하여 턴온/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 1 버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는 제 4 제어 신호에 의하여 턴온/오프되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 2 버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데이타는 상기 제 1 버퍼로 인가되며,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데이타는 상기 제 2 버퍼에 인가되며,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은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의 출력이며,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은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의 출력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ata selector includes a first switch turned on / off by a third control signal and a first buffer configured to enable or disable the second data by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selector includes a second switching unit turned on / off by a fourth control signal and a second buffer configured to be enabled or disabl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are configured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Receives data output, data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is applied to the first buffer, data passing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applied to the second buffer, and the output of the first buffer is the first buffer. An output of one data selector is provided, and an output of the second buffer is an output of the second data select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 2 쉬프터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프리 드라이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 2 쉬프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교대로 상기 프리 드라이버에 인가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driv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first data selector and data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second shifter, and to output data from the first data selector. Data output from the second shifter is alternately applied to the predri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래치 각각은 상기 프리 드라이버를 공유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 latches share the predriver.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기본적인 회로 블록중에서 파이프 래치의 구성과 파이프 래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별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도 3과 도4a~4c에서 동일 부호로 사용된 신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신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파이프 래치는 도 1의 회로 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파이프 래치의 구조와 동작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latch and the signal applied to the pipe latch among the basic circuit blocks shown in FIG.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signals us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FIGS. 3 and 4A to 4C are signals having the same function. For reference, since the pip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ed to the circuit block of FIG. 1,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ipe latch,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출력회로의 일예이다. 4A is an example of a data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서, "gio1<0:3>, gio2<0:3>, gio3<0:3>, gio4<0:3>"는 서로 다른 글로벌 버스 라인을 나타내며, 각 글로벌 버스 라인은 4비트의 데이타(q<0:3>)를 그에 대응하는 각 파이프 래치(401, 402, 403, 404)로 전달한다. In Fig. 4A, "gio1 <0: 3>, gio2 <0: 3>, gio3 <0: 3>, gio4 <0: 3>" represent different global bus lines, each of which is a 4-bit Data q <0: 3> is passed to the corresponding pipe latches 401, 402, 403, 404.

각 파이프 래치(401~404)는 그에 대응하는 인에이블 신호(P1N1, P1N2, P1N3, P1N4)와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즉, 파이프 래치(401)는 신호(soseb0<0>, soseb1r<0>, soseb1f<0>, pout<0>)을 수신하며, 파이프 래치(402)는 신호(soseb0<1>, soseb1r<1>, soseb1f<1>, pout<1>)을 수신하며, 파이프 래치(403)는 신호(soseb0<2>, soseb1r<2>, soseb1f<2>, pout<2>)을 수신하며, 파이프 래치(404)는 신호(soseb0<3>, soseb1r<3>, soseb1f<3>, pout<3>)을 수신한다. 각 파이프 래치의 출력신호는 프리 드라이버(105: 도 1과 동일한 회로임)로 입력되며, 프리 드라이버(105)에 인가된 데이타는 동기신호(rclk_do, fclk_do)에 동기되어 출력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여기서, 동기신호(rclk_do, fclk_do)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내의 DLL 회로로부터 출력된 내부클락신호이다. Each pipe latch 401 to 404 receives the enable signals P1N1, P1N2, P1N3, and P1N4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respectively. That is, the pipe latch 401 receives signals (soseb0 <0>, soseb1r <0>, soseb1f <0>, pout <0>), and the pipe latch 402 receives signals (soseb0 <1>, soseb1r <1). >, soseb1f <1>, pout <1>), pipe latch 403 receives signals (soseb0 <2>, soseb1r <2>, soseb1f <2>, pout <2>), and pipe latch 404 receives signals (soseb0 <3>, soseb1r <3>, soseb1f <3>, pout <3>). The output signal of each pipe latch is input to the pre-driver 105 (the same circuit as that of FIG. 1), and the data applied to the pre-driver 105 is synchronized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s rclk_do and fclk_do to output the driver (not shown). Is delivered to.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s rclk_do and fclk_do are internal clock signals output from the DLL circuit in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도 4b 및 4c는 도 4a에 도시된 파이프 래치(401)의 구체적인 일예이다. 참고로, 파이프 래치(402, 403, 404)의 구성은 파이프 래치(401)의 구성과 동일하다. 4B and 4C are specific examples of the pipe latch 401 shown in FIG. 4A. 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latches 402, 403, 404 is the same as that of the pipe latch 401.

도 4b 및 4c는 본 발명에 따른 4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파이프 래치의 일예이다.4B and 4C are examples of pipe latches having a 4-bit prefetch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및 4c의 파이프 래치는 데이타 스위칭부(411, 421)와 데이타 선택부(412, 422)와 쉬프터(431, 432)를 구비한다. The pipe latches of FIGS. 4B and 4C include data switching units 411 and 421, data selection units 412 and 422, and shifters 431 and 432.

데이타 스위칭부(411)는 버퍼(41, 42)와 래치(43,44)와 스위치(T1~T4)를 구비한다. The data switching unit 411 includes buffers 41 and 42, latches 43 and 44, and switches T1 to T4.

버퍼(41)는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타(q0)를 수신하고, 버퍼(42)는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타(q1)를 수신한다. 버퍼(41, 42)는 입력 데이타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의 기능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41, 42)는 인에이블 신호(PIN)에 의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인에이블 신호(PIN)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41, 42)는 인에이블되며,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41, 42)는 디스에이블된다. Buffer 41 receives data q0 delivered over the global bus line, and buffer 42 receives data q1 delivered over the global bus line. The buffers 41 and 42 have the function of an inverter for inverting the logic level of the input data. As illustrated, whether the buffers 41 and 42 are operated by the enable signal PIN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enable signal PIN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s 41 and 42 are enabled. When the enable signal PIN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s 41 and 42 are disabled.

래치(43)는 버퍼(41)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홀딩하는 회로이다. 래치(44)는 버퍼(4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홀딩하는 회로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43, 44)는 수신된 데이타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켜 홀딩한다.The latch 43 is a circuit that receives and holds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41. The latch 44 is a circuit that receives and holds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42. As shown, latches 43 and 44 invert and hold the logic level of the received data.

스위치(T1~T4)는 턴온/오프는 신호(soseb0)에 의하여 제어된다. 여기서, 신호(soseb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신호와 동일하다. 즉, 신호(soseb0)는 "start odd start even bar"의 약어로서, 신호(soseb0)의 논리값은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최하위 2비트의 값(이하,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라 부른다)과 데이타 출력 순서 모드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 switches T1 to T4 are turned on / off by a signal sosb0. Here, the signal (soseb0) is the same as the signal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signal "soseb0" is an abbreviation of "start odd start even bar", and the logic value of the signal "soseb0" is the value of the least significant two bits of the column address applied at the read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rting column address"). And the data output order mode.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T1, T4)는 신호(soseb0)가 로우 레벨일때 턴온되고, 하이 레벨일때 턴오프된다. 스위치(T2, T3)는 신호(soseb0)가 하이 레벨일때 턴온되고, 로우 레벨일때 턴오프된다. 래치(43)의 출력 노드는 스위치(T1, T3)의 입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고, 래치(44)의 출력 노드는 스위치(T2, T4)의 입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T1, T2)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T3, T4)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신호(soseb0)가 로우 레벨인 경우, 스위치(T1, T4)는 턴온되고, 스위치(T2, T3)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스위치(T1)의 출력 노드로 래치(43)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되고, 스위치(T2)의 출력 노드로 래치(44)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된다. 반면에, 신호(soseb0)가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치(T1, T4)는 턴오프되고, 스위치(T2, T3)는 턴온된다. 따라서, 스위치(T2)의 출력 노드로 래치(44)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되고, 스위치(T3)의 출력 노드로 래치(43)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된다. As shown, the switches T1 and T4 are turned on when the signal (soseb0) is at a low level and turned off when at a high level. The switches T2 and T3 are turned on when the signal (soseb0) is at a high level and turned off when at a low level. The output node of latch 43 is connected to the input nodes of switches T1 and T3, and the output node of latch 44 is connected to the input nodes of switches T2 and T4.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1 and T2 are commonly connected, and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3 and T4 are commonly connected. Thus,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ob0 is low level, the switches T1 and T4 are turned on and the switches T2 and T3 are turned off. Therefore, data stored in the latch 43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1, and data stored in the latch 44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sob0 is at a high level, the switches T1 and T4 are turned off and the switches T2 and T3 are turned on. Therefore, data stored in the latch 44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2, and data stored in the latch 43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3.

데이타 스위칭부(421)는 버퍼(51, 52)와 래치(53,54)와 스위치(T5~T8)를 구비한다. The data switching unit 421 includes buffers 51 and 52, latches 53 and 54, and switches T5 to T8.

버퍼(51)는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타(q2)를 수신하고, 버퍼(52)는 글로벌 버스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타(q3)를 수신한다. 버퍼(51, 52)는 입력 데이타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의 기능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51, 52)는 인에이블 신호(PIN)에 의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인에이블 신호(PIN)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51, 52)는 인에이블되며,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51, 52)는 디스에이블된다. The buffer 51 receives data q2 delivered over the global bus line, and the buffer 52 receives data q3 delivered over the global bus line. The buffers 51 and 52 have the function of an inverter for inverting the logic level of the input data. As illustrated, whether the buffers 51 and 52 are operated by the enable signal PIN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enable signal PIN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s 51 and 52 are enabled. When the enable signal PIN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s 51 and 52 are disabled.

래치(53)는 버퍼(51)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홀딩하는 회로이다. 래치(54)는 버퍼(5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홀딩하는 회로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53, 54)는 수신된 데이타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켜 홀딩한다.The latch 53 is a circuit that receives and holds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51. The latch 54 is a circuit that receives and holds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52. As shown, latches 53 and 54 invert and hold the logic level of the received data.

스위치(T5~T8)는 턴온/오프는 신호(soseb0)에 의하여 제어된다. 여기서, 신호(soseb0)는 종래 기술에서 서명한 신호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T5, T8)는 신호(soseb0)가 로우 레벨일때 턴온되고, 하이 레벨일때 턴오프된다. 스위치(T6, T7)는 신호(soseb0)가 하이 레벨일때 턴온되고, 로우 레벨일때 턴오프된다. 래치(53)의 출력 노드는 스위치(T5, T7)의 입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고, 래치(54)의 출력 노드는 스위치(T6, T8)의 입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T5, T6)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T7, T8)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신호(soseb0)가 로우 레벨인 경우, 스위치(T5, T8)는 턴온되고, 스위치(T6, T7)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스위치(T5)의 출력 노드로 래치(53)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되고, 스위치(T6)의 출력 노드로 래치(54)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된다. 반면에, 신호(soseb0)가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치(T5, T8)는 턴오프되고, 스위치(T6, T7)는 턴온된다. 따라서, 스위치(T6)의 출력 노드로 래치(54)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되고, 스위치(T7)의 출력 노드로 래치(53)에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된다.The switches T5 to T8 are turned on / off by a signal sosb0. Here, signal (soseb0) is the same as the signal signed in the prior art. As shown, the switches T5 and T8 are turned on when the signal sub0 is low and turned off when the high level. The switches T6 and T7 are turned on when the signal (soseb0) is at a high level and turned off when at a low level. The output node of the latch 53 is connected to the input node of the switches T5 and T7, and the output node of the latch 54 is connected to the input node of the switches T6 and T8.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5 and T6 are commonly connected, and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7 and T8 are commonly connected. Thus,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osb0 is at the low level, the switches T5 and T8 are turned on and the switches T6 and T7 are turned off. Therefore, data stored in the latch 53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5, and data stored in the latch 54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6.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sob0 is at a high level, the switches T5 and T8 are turned off and the switches T6 and T7 are turned on. Therefore, data stored in the latch 54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6, and data stored in the latch 53 is output to the output node of the switch T7.

데이타 선택부(412)는 스위치(T9, T10)와 버퍼(45)를 구비한다.The data selector 412 includes switches T9 and T10 and a buffer 45.

스위치(T9)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1, T2)의 공통 출력 노드(pre_rdo<0>)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T10)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5, T6)의 공통 출력 노드(pre_rdo<1>)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T9, T10)는 제어 신호(soseb1_r)에 의하여 턴온/오프된다. 즉, 제어 신호(soseb1_r)가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치(T10)가 턴온되고 스위치(T9)는 턴오프되며, 제어 신호(soseb1_r)가 로우 레벨인 경우, 스위치(T9)가 턴온되고, 스위치(T10)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스위치(T9, T10)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제어 신호(soseb1_r, soseb1_f)의 논리 레벨은 도 2와 같이 변한다. The input node of the switch T9 is connected to the common output node pre_rdo <0> of the switches T1 and T2, and the input node of the switch T10 is the common output node pre_rdo <of the switches T5 and T6. 1>). The switches T9 and T10 are turned on / off by the control signal sosb1_r. 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soseb1_r) is at a high level, the switch T10 is turned on and the switch T9 is turned off. When the control signal (soseb1_r) is at a low level, the switch T9 is turned on, and the switch ( T10) is turned off. The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9 and T10 are connected in common. For reference, the logic levels of the control signals sobeb_r and soseb1_f change as shown in FIG. 2.

버퍼(45)는 인가되는 신호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의 기능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45)는 인에이블 신호(pout)에 의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인에이블 신호(pout)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45)는 인에이블되며,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45)는 디스에이블된다. 버퍼(45)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9, T10)의 공통 출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The buffer 45 has the function of an inverter that inverts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being applied. As shown in the drawing, whether the buffer 45 is operated by the enable signal pout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enable signal pout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 45 is enabled, and when the enable signal pout is at the high level, the buffer 45 is disabled. The input node of the buffer 45 is connected to the common output node of the switches T9 and T10.

데이타 선택부(422)는 스위치(T11, T12)와 버퍼(55)를 구비한다.The data selector 422 includes switches T11 and T12 and a buffer 55.

스위치(T11)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3, T4)의 공통 출력 노드(pre_fdo<0>)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T12)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7, T8)의 공통 출력 노드(pre_fdo<1>)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T11, T12)는 제어 신호(soseb1_f)에 의하여 턴온/오프된다. 즉, 제어 신호(soseb1_f)가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치(T12)가 턴온되고 스위치(T11)는 턴오프되며, 제어 신호(soseb1_f)가 로우 레벨인 경우, 스위치(T11)가 턴온되고, 스위치(T12)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스위치(T11, T12)의 출력 노드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input node of the switch T11 is connected to the common output node pre_fdo <0> of the switches T3 and T4, and the input node of the switch T12 is the common output node pre_fdo <of the switches T7 and T8. 1>). The switches T11 and T12 are turned on / off by the control signal sosb1_f. 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soseb1_f) is at the high level, the switch T12 is turned on and the switch T11 is turned off. When the control signal (soseb1_f) is at the low level, the switch T11 is turned on, and the switch ( T12) is turned off. The output nodes of the switches T11 and T12 are connected in common.

버퍼(55)는 인가되는 신호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의 기능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55)는 인에이블 신호(pout)에 의하여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인에이블 신호(pout)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55)는 인에이블되며,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55)는 디스에이블된다. 버퍼(55)의 입력 노드는 스위치(T11, T12)의 공통 출력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The buffer 55 has the function of an inverter that inverts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being applied. As shown, whether the buffer 55 is operated by the enable signal pout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enable signal pout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 55 is enabled. When the enable signal pout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 55 is disabled. The input node of the buffer 55 is connected to the common output node of the switches T11 and T12.

쉬프터(431)는 버퍼(61)와 래치(62)로 구성된다. The shifter 431 is composed of a buffer 61 and a latch 62.

버퍼(61)의 동작은 내부클락신호(clk)에 의하여 제어된다. 여기서, 내부클락신호(clk)는 메모리 장치에 인가되는 외부클락신호에 동기된 신호이다. 내부클락신호(clk)가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61)는 디스에이블되고, 내부클락신호(clk)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61)는 인에이블된다. The operation of the buffer 61 is controlled by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Here,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is a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applied to the memory device. When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is at a high level, the buffer 61 is disabled. When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is at a low level, the buffer 61 is enabled.

버퍼(45, 55)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pout)가 버퍼(61)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버퍼(61)의 출력신호는 래치(62)에 저장된다. 래치(62)는 버퍼(61)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반전시켜 홀딩한다.A signal pou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uffers 45 and 55 are enabled is used as an input signal of the buffer 61.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61 is stored in the latch 62. The latch 62 inverts and holds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61.

쉬프터(431)는 신호(pout)을 반클락 지연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래치(62)의 출력신호(control)은 신호(pout)를 반클락 지연시킨 신호이다. 여기서, 반클락이란 1/2tCK를 의미하며, tCK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클락신호의 주기를 의미한다. The shifter 431 outputs the signal pout by a half clock delay. Accordingly, the output signal control of the latch 62 is a signal obtained by half-clock delaying the signal pout. Here, half clock means 1 / 2tCK, and tCK means a cycle of a clock signal used in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쉬프터(432)는 래치(63)와 버퍼(64)로 구성된다.The shifter 432 is composed of a latch 63 and a buffer 64.

래치(63)의 입력 노드는 버퍼(55)의 출력 노드(prefdo)와 연결되어 있다. 래치(63)는 출력 노드(prefdo)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켜 홀딩한다. The input node of the latch 63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prefdo of the buffer 55. The latch 63 inverts and holds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applied through the output node prefdo.

버퍼는 인버터의 기능을 갖는 회로이다. 버퍼(64)의 동작은 래치(62)의 출력신호(control)에 의하여 제어된다. 신호(control)가 하이 레벨인 경우, 버퍼(64)는 디스에이블되고, 신호(control)가 로우 레벨인 경우, 버퍼(64)는 인에이블된다. 버퍼(64)의 입력 노드는 래치(63)의 출력 노드와 연결된다. The buffer is a circuit having the function of an inverter. The operation of the buffer 64 is controlled by the output signal control of the latch 62. When the signal is at high level, the buffer 64 is disabled. When the signal is at the low level, the buffer 64 is enabled. The input node of the buffer 64 is connected with the output node of the latch 63.

쉬프터(431)와 마찬가지로, 쉬프터(432) 또한 노드(prefdo)를 통하여 인가되는 데이타를 반클락 지연시켜 노드(fdo)로 출력한다. Similar to the shifter 431, the shifter 432 also outputs the data applied through the node prefdo to the node fdo by a half clock delay.

도 4b 및 4c에 도시된 파이프 래치의 동작은 도 3과 동일하다. The operation of the pipe latch shown in FIGS. 4b and 4c is the same as in FIG. 3.

예컨대,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가 "0"이고 순차 모드인 경우, 파이프 래치에 인가된 데이타는 q0, q1, q2, 3 순서로 출력된다. 출력되는 데이타 상호간의 시간차는 반클락이다. 즉, 노드(rdo)를 통하여 q0가 출력되고, 노드(fdo)를 통하여 q1가 출력되고, 노드(rdo)를 통하여 q2가 출력되고, 노드(fdo)를 통하여 q3가 출력된다. 또한,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가 "3"이고 인터리브 모드인 경우, 파이프 래치 에 인가된 데이타는 q3, q2, q1, q0 순서로 출력된다. 출력되는 데이타 상호간의 시간차는 반클락이다. 즉, 노드(rdo)를 통하여 q3가 출력되고, 노드(fdo)를 통하여 q2가 출력되고, 노드(rdo)를 통하여 q1가 출력되고, 노드(fdo)를 통하여 q0가 출력된다. 즉, 도 4b 및 4c의 회로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동작 자체는 종래 회로인 도 1 및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다. For example, when the starting column address is "0" and the sequential mode, the data applied to the pipe latch is output in the order of q0, q1, q2, and 3.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data is half clock. That is, q0 is output through the node rdo, q1 is output through the node fdo, q2 is output through the node rdo, and q3 is output through the node fdo. In addition, when the starting column address is "3" and is in the interleaved mode, the data applied to the pipe latch is output in the order of q3, q2, q1, q0.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data is half clock. That is, q3 is output through the node rdo, q2 is output through the node fdo, q1 is output through the node rdo, and q0 is output through the node fdo.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circuits of FIGS. 4B and 4C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operation itself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s.

이하, 본 발명의 파이프 래치가 도 3에서 설명한 파이프 래치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how the pip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pipe latch described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마지막 출력 버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파이프 래치마다 2 개의 신호(rpout, fpout)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도 4b 및 4c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신호(pout)을 사용하여 버퍼(45, 55)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파이프 래치가 4개 인 경우, 본 발명은 버퍼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4개의 신호 라인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회로는 하나의 데이타 핀과 연결되어 있는 회로이므로, 데이타 핀의 갯수가 N인 경우, 4XN개의 신호 라인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 3, two signals (rpout, fpout) are used for each pipe latch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st output buff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b and 4c, the operation of the buffers 45 and 55 is controlled using one signal pout. Thus, in the case of four pipe latche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four signal lines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ffer. For reference, since the circuit of FIG. 1 is connected to one data pin, when the number of data pins is N, it can be seen that 4 × N signal lines can be reduced.

다음, 종래 기술의 경우, 데이타 출력 순서를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rpout)와 신호(fpout)가 1/2tCK 간격으로 인에이블되었다. 즉, rpout->fpout->rpout->fpout 순서로 인에이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신호(pout)에 의하여 노드(rdo)로 데이타가 출력된 다음, 1/2tCK 지난 후 노드(fdo)를 통하여 데이타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클락 쉬프터(431)를 이용하여 신호(pout)를 반클락 지연시키고 있다. 신호(pout)를 반클락 지연시켜 신호(control)을 발생한 다음 이 신호 (control)를 또 다른 반클락 쉬프터(432)의 인에이블 신호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신호(soseb1_f)는 신호(soseb1_r)보다 반클락 앞서 발생한다. 그 결과, 노드(fdo)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타는 노드(rdo)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타보다 반클락 지연되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rdo, fdo)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타의 순서는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다. Next, in the prior art, the signal rpout and the signal fpout are enabled at 1 / 2tCK intervals to control the data output order. That is, it is enabled in the order of rpout-> fpout-> rpout-> fpou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s output to the node rdo by the signal pout, and then the half-clock shifter 431 is used to output the data through the node fdo after 1 / 2tCK. The signal pout is delayed half a clock. The signal pout is delayed by half a clock to generate a control, and then the control is used as an enable signal of another half clock shifter 432.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oseb1_f) occurs half a clock ahead of the signal (soseb1_r). As a result, the data output through the node fdo is output by a half clock delay than the data output through the node rdo. Therefore, the order of the data output through the nodes rdo and fdo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참고로, 본 발명의 경우, 각 파이프 래치마다 반클락 쉬프터(431, 432)가 추가로 배치되지만, 이들 쉬프터가 차지하는 면적의 증가는 제어 신호 라인 감소로 인한 면적의 감소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것이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clock shifters 431 and 432 are additionally arranged for each pipe latch, but the increase in the area occupied by these shifters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decrease in area due to the reduction of the control signal lin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파이프 래치는 도 1의 회로에 적용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도 1의 회로는 하나의 데이타 핀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로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타는 데이타 출력 버퍼(도시되지 않음)에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데이타 핀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참고로, 데이타 출력 버퍼는 도 1에서 설명한 프리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이다.The pip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applicable to the circuit of FIG.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circuit of Figure 1 corresponds to one data pin. Therefore, the data sequentially output in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input to a data output buffer (not shown)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ata pin. For reference, the data output buffer is a circuit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pre-driver described in FIG.

본 발명의 파이프 래치를 사용하는 하는 경우, 파이프 래치에 인가되는 신호 라인을 줄여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pip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out area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ignal line applied to the pipe latch.

Claims (4)

N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파이프 래치를 복수개 구비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에 있어서,A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pe latches having an N bit prefetch function, 상기 파이프 래치 각각은 Each of the pipe latches N 비트 데이타를 수신하며, 리드 커맨드시 인가되는 스타팅 컬럼 어드레스와 데이타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의 출력 경로를 전환시키는 데이타 스위칭부와, A data switching unit which receives N bit data and switches an output path of the N bit data according to a starting column address and a data output mode applied during a read command;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중 절반의 데이타를 수신하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절반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1 데이타 선택부와,A first data selection unit which receives half of data of the N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and sequentially outputs the half data in response to a first control signal;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N 비트의 데이타중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로 인가되는 상기 절반의 데이타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의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나머지 절반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데이타 선택부와,Receives half of the data except for the half of the data applied to the first data selector among the N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and sequentially processes the remaining half of the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data selection unit for outputting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제 1 시간만큼 지연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터와,A first shifter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delayed by a first time after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며,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에서 수신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터를 구비하며,A second shifter for outpu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after receiving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delaying the first time, and outpu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ata sele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인가되는 클락신호 주기(tCK)의 절반(1/2tCK)에 해당하는 시간이며, The first time corresponds to half (1/2 tCK) of the clock signal period tCK applied to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에서 데이타가 최초로 출력되는 시점은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에서 데이타가 최초로 출력되는 시점보다 1/2tCK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And a time point at which data is first output from the second data selector is 1 / 2tCK faster than a time point at which data is first output from the first data se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는 제 3 제어 신호에 의하여 턴온/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 1 버퍼로 구성되며,The first data selector includes a first switch turned on / off by a third control signal and a first buffer configured to be enabled or disabl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는 제 4 제어 신호에 의하여 턴온/오프되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 2 버퍼로 구성되며,The second data selector includes a second switch turned on / off by a fourth control signal and a second buffer configured to be enabled or disabl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타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switching unit,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데이타는 상기 제 1 버퍼로 인가되며, Data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is applied to the first buffer,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데이타는 상기 제 2 버퍼에 인가되며,Data passing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applied to the second buffer,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은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의 출력이며, The output of the first buffer is an output of the first data selector,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은 상기 제 2 데이타 선택부의 출력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And the output of the second buffer is an output of the second data selecto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 2 쉬프터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프리 드라이버를 더 구비하며, And a pre-driv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first data selector and data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second shifter. 상기 제 1 데이타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와 상기 제 2 쉬프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교대로 상기 프리 드라이버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first data selector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shifter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pre-driv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래치 각각은 상기 프리 드라이버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회로.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 latches share the pre-driver.
KR1020050049772A 2005-06-10 2005-06-10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608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772A KR100608381B1 (en) 2005-06-10 2005-06-10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US11/451,109 US7385860B2 (en) 2005-06-10 2006-06-12 Data output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TW095120905A TWI300230B (en) 2005-06-10 2006-06-12 Data output circuti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US12/112,149 US7586797B2 (en) 2005-06-10 2008-04-30 Data output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772A KR100608381B1 (en) 2005-06-10 2005-06-10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381B1 true KR100608381B1 (en) 2006-08-08

Family

ID=3718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772A KR100608381B1 (en) 2005-06-10 2005-06-10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38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US7239576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40196732A1 (en) Multi-stage output multiplexing circuits and methods for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memory devices
US20080144397A1 (en) Pipe latch circult of multi-bit prefetch-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KR100753412B1 (en) Command decode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30090307A1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control signal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0402202B2 (en) Pipe latch circuit which controls output of data in a read operation and data output circuit including the same
JP2007052910A (en) Wave pipelined output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US20110292746A1 (en) Data transfer circuit, method thereof, and memory device including data transfer circuit
KR100510516B1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in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KR10187277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12542188A (en)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43843A (en) Pipe latch circuit for output data with high speed
KR20010004678A (en) Input buffer
US7304909B2 (en) Control unit for deactivating and activating the control signals
JP400862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86797B2 (en) Data output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608381B1 (en)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US7447108B2 (en) Output controller for controlling data output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00141323A1 (en) Delay line
KR100818081B1 (en) Data output circuit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673678B1 (en) Dat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guaranteeing input domain crossing margin of data and data input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0486199B1 (en) Circuit for generating high impedance control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89356B1 (en) Data Path Circuit in Memory Device
US7411842B2 (en) Data arrangement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