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116B1 -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116B1
KR100607116B1 KR1020000032459A KR20000032459A KR100607116B1 KR 100607116 B1 KR100607116 B1 KR 100607116B1 KR 1020000032459 A KR1020000032459 A KR 1020000032459A KR 20000032459 A KR20000032459 A KR 20000032459A KR 100607116 B1 KR100607116 B1 KR 10060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movement
cable
tension
tens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985A (ko
Inventor
파르지에시릴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1002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021/128Prestressing each strand of a cable one by one to the sam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인장 프로세스의 종료 시에 케이블 스트랜드 전체에 대하여 같은 인장치를 얻을 수 있도록,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인장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이 고정점(TA1)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의 2개의 정착체(A1), (A2)의 한 쪽(A2)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케이블에 따라서 기준 신장 부재(tref)를 설치한다. 각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인장하고 정착해 가면서, 스트랜드를 인장하여 단부를 정착하고, 그 때의 당해 스트랜드의 이동량(S1)과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이동량(a1)을 측정한다. 양쪽 이동량(S1)과 (a1)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S2)만큼 다음의 스트랜드(t2)를 인장하여 정착한다. 이 스트랜드의 인장 정착 시에 기준 신장 부재(tref)가 이동한 추가 이동량(a2)을 측정한다. 이 때의 스트랜드 이동량(S2)의 차이에 대응하여 또한 다음의 스트랜드를 인장, 정착시키는 공정을 반복한다.
인장 프로세스, 케이블, 스트랜드, 기준 신장 부재, 이동량, 추가 이동량.

Description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LARGE-DIAMETER STRAND CABLES}
도 1은 케이블 스트랜드의 일련의 인장 조작에 있어서, 케이블의 순서 k≤2의 임의의 스트랜드 인장 전의 초기 상태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일반 원리도.
도 2는 k번째의 스트랜드 인장 후의 최종 상태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일반적인 원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연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기능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인장 수단, 2…제1 이동 센서, 3…제2 이동 센서, 13…제1 기억 수단, 14…제어 수단 또는 콤퍼레이터(comparator), 15…계산 수단 또는 계산기, 16…제2 기억 수단 또는 메모리, 17…제어 수단 또는 레귤레이터(regulator), A1, A2…정착체, tk…스트랜드, tref…기준 신장 부재, TA1…고정점, t1…제1 스트랜드, tp…지지 부재.
본 발명은, 2개의 정착체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복수 스트랜드(strand)의 다발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인장 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유형의 케이블 인장 방법, 및, 그 인장 방법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는 특히, 사장교(斜張橋), 현수교 또는, 종합 스포츠 스타디움 등의 다른 대형 건조물의 영역에서 사용 가능하고,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에 의해 구성되는 현수교의 케이블 또는 행거는, 예를 들면 다리 상판, 포장재 또는 주탑 등, 건조물 구조체의 여러 부재를 지지 또는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각각에 순차이 인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은, 일반적으로는 잭(jack) 또는 유압 인장 윈치(winch)라는 인장 수단이 사용 가능한 경우,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의 스트랜드 전체를 동시에 인장하는 기술보다도 유리하다. 이러한 인장 수단은, 케이블 스트 랜드 전체를 동시에 인장하는데 필요한 장치보다도 소형이고 경량이며, 그 출력도 단연 작아서 좋다(프랑스 특허 제2652866호 참조).
반대로, 이것도 또한 잘 알려져 있는데,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을 이용하면, 케이블의 인장 프로세스가 끝난 시점에서 모든 스트랜드가 케이블의 인장 응력과 같은 비율이 되도록, 같은 인장을 각 스트랜드에 부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은 주로, 케이블 스트랜드를 인장할 때에, 먼저 인장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의 인장이 변화하는 것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인장이 변하는 것은, 그 자체,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제1 원인은, 스트랜드를 다리에 정착시키는 2개의 정착체가, 스트랜드를 인장함에 따라, 그리고/또는, 인장한 스트랜드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것에 의한 것이고, 정착체의 이러한 근접은, 그 자체가, 케이블 단부를 정착시키는 구조 부재(다리 상판, 주탑 등)의 유연성에 따른다. 인장이 변하는 제2 원인은, 케이블 스트랜드가, 인장될 때에, 먼저 인장한 스트랜드에 가하는 부하의 일부를 받아들이므로, 먼저 인장한 스트랜드의 부하가 약해지고, 그 인장이 약해지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이유, 또 다른 이유에 의해,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인장하는 경우,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에 주어야 하는 인장을 미리 결정하거나,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 프로세스의 종료 시에 케이블 스트랜드 전체에 대하여 같은 인장치를 얻을 수 있도록,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순차적으로 인장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인장 공법은,
a) 일단이 고정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의 2개의 정착체의 한 쪽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케이블에 따라서, 기준 신장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b) 제1 스트랜드의 단부에, 그 인장 또는 신장이 소정치에 이르기까지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상기 제1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c) 상기 인장된 제1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가 공정 b) 사이에 이동한 제1 양을 측정하는 공정과,
d) 기준 신장 부재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b) 사이에 이동한 제2 양을 측정하는 공정과,
e) 공정 c)와 d)에서 측정한 상기 제1 및 제2 양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만큼 제2 스트랜드의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상기 제2 스트랜드의 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2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상기 제2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f) 기준 신장 부재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e) 사이에 이동한 추가 이동량을 측정하는 공정과,
g) 공정 e) 사이에 상기 제2 스트랜드의 단부가 이동한 상기 소정의 이동량 과, 공정 e)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의 자유단이 이동한 상기 추가 이동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만큼 제3 스트랜드의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상기 제3 스트랜드의 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3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상기 제3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h) 기준 신장 부재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g) 사이에 이동한 추가량을 측정하는 공정과,
i) 최후의 스트랜드를 인장하여 정착시키기까지 다음과 같이 실시하고, 최후로부터 2번째의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인장된 이 스트랜드의 단부의 소정 이동량과, 최후로부터 2번째의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의 자유단이 이동한 추가 이동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만큼 인장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최후의 스트랜드에 인장력을 미치고, 상기 최후의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장 공법은 또한, 다음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 k(n이 케이블 스트랜드의 수일 때 2≤k≤n)번째 스트랜드를 인장하여 정착시키기 위해, 인장하는 k번째 스트랜드의 단부의 이동에 대하여 목표치(Skc)를 계산하고, 또한, 실제의 이동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단부를 인장하고, 그 이동 중에 측정한 실제의 이동치와 상기 목표치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한 실제의 값이 상기 목표치에 도달했을 때, k번째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것을 정지하고, 동시에 그 단부를 정착한다.
- 목표치(Skc)는, (S1)이 제1 스트랜드의 제1 이동량이고,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1
가, 첫 번째부터 (k-1)째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의 상기 자유단이 이동한 양의 합일 때,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2
- 변형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목표치(Skc)는, (e)가, 인장 단부의 정착 시에 k번째 스트랜드의 수축을 고려한 소정의 보정치일 때,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3
- 기준 신장 부재로서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신장 부재의 역할을 하는 상기 스트랜드를 최후에 인장하여 정착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정착체 사이에서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을 인장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이 인장 장치는,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장하기 위해 각 스트랜드에 순차적으로 합치 가능한 인장 수단을 포함하며,
a) 일단이 고정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의 2개의 정착체의 한 쪽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케이블에 따라서 인장 케이블에 결합되는 기준 신장 부재와,
b)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에 순차적으로 합치 가능하고, 합치되는 스트랜드의 단부가 상기 인장 수단에 의해 인장될 때, 상기 스트랜드 단부의 이동을 매회 측정 하기 위한 제1 이동 센서와,
c) 제1 이동 센서에 접속되고, 적어도 최초에 인장된 스트랜드의 단부의 이동치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수단과.
d) 기준 신장 부재에 결합되고, 그 자유단의 이동을, 케이블 스트랜드가 인장되어 정착될 때에 측정하기 위한 제2 이동 센서와,
e) 제2 이동 센서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동치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수단과,
f) 상기 제1 이동 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 기억 수단에 접속되고, 제1 이동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동치가, k(2≤k≤n)번째 스트랜드에 대하여, (k-1)번째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k-1)번째 스트랜드의 단부가 이동하는 소정의 이동치와, 상기 (k-1)번째 스트랜드가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이동치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동치에 달할 때, 케이블의 상기 k번째 소정의 스트랜드에 미치게 되는 인장의 정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계산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장 장치는 또한, 다음의 특징으로 가질 수 있다.
- 상기 계산 수단 및 제어 수단은,
a) k번째의 상기 스트랜드를 인장하기 전에, 인장해야하는 k번째의 상기 스트랜드의 단부의 이동 목표치(Skc)를 계산하고, (S1)이, 최초에 인장된 첫 번째 스트랜드의 인장 종료 시에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이동치이며,
가, 첫 번째부터 (k-1)번째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이동치의 합일 때, 상기 목표치를 다음 식으로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5
b) 계산 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제1 입력과, 상기 제1 이동 센서에 접속된 제2 입력을 가지고, 인장 중에 k번째 스트랜드의 단부가 이동하는 순간적인 실제의 이동치와 상기 목표치(Skc)를 비교하여, 순간적인 실제의 이동치와 상기 목표치가 같은 경우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콤퍼레이터(comparator)와,
c) 콤퍼레이터의 출력에 접속되어, 콤퍼레이터의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인장 수단의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 인장 단부의 정착 시에 스트랜드의 수축에 대응하는 보정치(e)를 상기 계산 수단에 삽입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계산 수단이, 다음의 식으로 상기 목표치(Skc)를 계산한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6
기준 신장 부재는, 인장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한 가닥으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예시하는 다음 설명을 읽으면, 한층 이해 될 것이다.
먼저 도 1, 2를 참조하면, 동일한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에 속하는 두 가닥의 스트랜드(tk)와 (tk-1)가 나타나 있고, 스트랜드는 2개의 정착체(A1)와 (A2) 사이에서 인장되어야 한다. 정착체(A1)는, 예를 들면 사장교 주탑의 헤드 부분에 배치되는 높은 정착체이고, 정착체(A2)는, 사장교 다리 상판에 배치되는 낮은 정착체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이미 스트랜드(tk-1)가 인장되고, 양단에서 정착체의 두부(頭部) 또는 앵커 헤드(TA1), (TA2)에 각각 인장하여 정착되어 있다. 한 편, 스트랜드(tk)는, 일단이 앵커 헤드(TA1)에 정착되고, 인장 잭 또는 유압 윈치(1)가 스트랜드(tk)의 타단에 설치되며, 이 스트랜드를 인장하기 위해 앵커 헤드(TA2)로 지지되어 있다. 이동 센서(2) 또는 같은 다른 측정 장치가 인장 잭(1)에 결합되어 작동 시에 그 스트로크(stroke)를 측정하고, 혹은, 결국은 같게 되지만, 인장 잭(1)에 의해 인장되는 스트랜드(tk)의 단부의 이동치를 측정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또한, 기준 신장 부재(tref)를 나타냈다. 기준 신장 부재는, 케이블에 따르도록 케이블에 결합되고, 일단이 고정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블의 긴 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준 신장 부재(tref)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기준 스트랜드(tref)의 일단은, 예를 들면 앵커 헤드(TA1)에 정착 가능하고, 타단은, 다른 쪽의 앵커 헤드(TA2)의 하나의 구멍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 센서(3) 또는 같은 다른 측정 장치는,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이 단부의 이동을 측정하고, 즉, 케이블 스트랜드가 인장 잭(1)에 의해 인장될 때에, 이 단부가 앵커 헤드(TA2)로부터 「나오는」양을 측정한다.
도 1, 도 2에서는 또한, 적어도 케이블 스트랜드의 일련의 인장 조작의 개시로,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인장 조작이 계속되는 사이 계속, 케이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 부재(tp)를 나타냈다. 지지 부재(tp)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스트랜드(tp)는, 먼저 정착체(A1), (A2) 사이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2개의 앵커 헤드(TA1), (TA2)에 정착된다.
도 1, 도 2에서는, 각 스트랜드의 단부가, 케이블의 다른 스트랜드와는 다른 앵커 헤드(TA1), (TA2)에 정착되어 나타내어져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도면의 편의상, 그렇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앵커 헤드(TA1)는, 실제로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수에 적어도 같은 구멍 수를 포함하는 단일의 앵커 헤드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1, 도 2에 나타낸 각 앵커 헤드(TA2)는, 실제로는, 케이블 스트랜드 수에 적어도 같은 구멍 수를 포함하는 단일의 앵커 헤드로 구성된다.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과 같이, 스트랜드(tk-1)를 인장한 후에, 그 신장 ΔL 및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이 앵커 헤드(TA2)로부터 나오는 양(dk-1)(도 1)을 알 수 있다(이 양은 이동 센서(3)에 의해 얻어진다).
스트랜드(tk)의 인장 종료 시(도 2)에,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은 양(dk)만큼 앵커 헤드(TA2)로부터 나온다. 후술할 것과 같이, 스트랜드(tk-1)의 신장은 이미 [ΔL-(dk-dk-1)]와 같다. 스트랜드(tk)와 (tk-1)에서 같은 신장을 얻기 위해서는, 후술할 것과 같이, 인장 잭(1)에 의해 인장되는 스트랜드(tk)의 단부가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양(Sk)만큼 이동하기까지 스트랜드(tk)를 인장한다. 이 양은, ΔL1이, 최초로 케이블을 인장하고, 이 최초의 인장 후에 측정한 케이블의 신장으로서, d1이, 최초의 스트랜드의 인장 후에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이 앵커 헤드(TA2)로부터 나오는 양일 때, ΔL1-(dk-1-d1)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측정한,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의 곡선 길이가, 케이블 스트랜드 전체에 대하여 같게 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것은, 케이블 스트랜드 전체를 공통의 외피(外皮) 내,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스트랜드를 서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중 관로 가이드가 내부에 있는 외피 내에 배치될 때에 얻어진다. 이러한 외피는 예를 들면, 같은 출원인 명의로 1999년 5월 5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99. 02799호에 기재되어 있다. 외피는, 도 1에 일점 쇄선(4)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또한, 각 스트랜드의 온도가 케이블 내에서 같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상기 외피를 사용하면 만족할 만한 근사치로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 스트랜드의 인장 프로세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t1, t2, t3 … tk-1, tk, … tn-1, tn은, n이, 케이블 스트랜드의 총 수, k가 2≤k≤n의 수일 때, 케이블 스트랜드가 인장되는 순서로 나타낸다.
- L0은, 스트랜드(t1)를 인장하기 전에 기준 스트랜드(tref)와 제1 스트랜드(t1)의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측정된) 곡선 길이를 나타낸다.
- N01은, 케이블 스트랜드의 인장 프로세스의 개시로 먼저 스트랜드(t1)에 주어지는 최초의 인장을 나타낸다.
- L1, L2, L3, …는, 각각 스트랜드(t1), (t2), (t3)…를 인장 후에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측정된) 스트랜드 곡선 길이를 나타내고, 이 시점에서 외피(4)에 이미 설치된 모든 스트랜드는 같은 곡선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 L01, L02, L03는, 상기 스트랜드의 인장 후, 앵커 헤드(TA1), (TA2)에 정착된 2개의 구간에서 구획되는 것으로 간주된, 스트랜드(t1), (t2), (t3)의 무부하(無負荷) 길이(인장이 0임)를 나타낸다.
- ΔLi, j는, 스트랜드(tj)의 인장 후 스트랜드(ti)의 신장을 나타낸다.
- S1, S2, S3 … Sk-1, Sk, … Sn은, 소정의 순간에 인장 잭(1)에 의해 인장된 스트랜드(t1), (t2), (t3), … (tk-1), (tk), … (tn-1), (tn)의 단부의 기준점의 이동 치(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를 나타낸다.
- a1, a2, a3, …ak-1, ak, … an은, 각각 스트랜드(t1), (t2), (t3) … (tk-1), (tk), …(tn-1), (tn)의 인장 후에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의 기준점의 이동치(이동 센서(3)에 의해 측정된)를 나타낸다. (도 1, 도 2에서는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7
)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n가닥의 스트랜드(t1), … (tn)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인장하기 위해, 최초로,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 케이블의 외피(4)를 설치한다. 이 때문에, 지지 스트랜드(tp)와 같은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지지 스트랜드(tp)를 외피(4)에 통과하고, 이어서 앵커 헤드(TA2)의 구멍의 하나에 이 지지 스트랜드의 일단을 통과하여, 이것을, 예를 들면 원추 키를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이 구멍에 정착시킨다. 다음으로, 지지 스트랜드(tp)의 타단을 앵커 헤드(TA1)가 대응하는 구멍에 통과하여 이 구멍에 정착한다.
이어서, 기준 부재로서 케이블의 다른 스트랜드(tref)를 사용하는 경우, 앵커 헤드(TA2)의 구멍의 한 개를 통하여, 앵커 헤드의 일단이, 앵커 헤드(TA1)가 대응하는 구멍에 도달하기까지 이 스트랜드를 외피(4)에 통과하고, 한 쪽에서, 기준 스트랜드(tref)의 후단은, 앵커 헤드(TA2)가 대응하는 구멍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 경우, 기준 스트랜드(tref)의 후단에 이동 센서(3)를 설치하고, 앵커 헤드(TA2)에 대한 그 이동을 측정한다.
그 후, 앵커 헤드(TA2)의 구멍의 한 개, 외피(4), 및 앵커 헤드(TA1)가 대응하는 구멍에 스트랜드(t1)를 통과하고 나서, 앵커 헤드(TA1)에 헤드 단부를 정착한다. 이어서, 이동 센서(2)를 구비한 인장 잭(1)을 스트랜드(t1)의 후단에 설치한다. 이 때, 2개의 스트랜드(tref)와 (t1)는, 같은 곡선 길이 L0(도 3)를 가지고, 2개의 이동 센서(2), (3)는 리세트된다.
다음으로, 인장 잭(1)을 이용하여, 인장이 소정치(N01)에 달하기까지 스트랜드(t1)를 인장한다. 이 값은, 케이블의 인장 프로세스의 종료에, 케이블 즉 케이블의 모든 스트랜드(t1)∼(tn)에 있어서 원하는 인장을 얻도록 스트랜드(t1)에 가하는 인장이다. 스트랜드(t1)의 인장의, 이러한 소정의 초기치(N01)는, 당업자가 주지한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스트랜드(t1)에 원하는 초기 인장을 주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으로 계산되는 소정의 신장에 달하기까지 스트랜드를 인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트랜드(t1)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에, 앵커 헤드(TA1), (TA2) 사이에서 얻어야 하는 스트랜드 길이를 나타냄으로써 인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길이는, 예를 들면 사전에 스트랜드(1)에 붙여진 적절한 마크로 나타낼 수 있다.
스트랜드(t1)는, 원하는 초기 인장(N01)만큼 인장한 후에, 앵커 헤드(TA2)의 점 5(도 4)에 정착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트랜드(t1)를 인장하는 사이,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6)은 양(a1)만큼 이동하고, 한 쪽에서 스트랜드(t1)의 단(7)은 양(S1)만큼 이동했다. 양(S1)과 (a1)는, 이동 센서(2), (3)에 의해 각각 측정된다. 인장(N01)을 미치게 한 스트랜드(t1)의 신장(ΔL1, 1)은, 다음 식으로 얻을 수 있다.
ΔL1, 1=S1-a1 (1)
이 결과는 직감적이지만,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기준 스트랜드(tref)가 결코 인장되지 않고, 그 전체 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0=L1+a1 (2)
한 편, 스트랜드(t1)를 고려하면, 2개의 앵커 헤드(TA1), (TA2) 사이의 곡선 길이(L1)는, 다음 식(3)으로 주어진다.
L1=L01+L1, 1 (3)
여기에서, (L01)은, 2개의 정착 헤드(TA1), (TA2) 사이의 스트랜드(t1)의 무부하 길이이고, (ΔL1)은, 인장(N01)을 미치게 한 신장이다. 두 개의 식 (2), (3)을 조합함으로써,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L0=L01+ΔL1, 1+a1 (4)
스트랜드(t1)의 무부하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0=S1+L01 (5)
식(4)와 (5)를 조합함으로써, 다음 식(6)을 얻을 수 있다.
S1=ΔL1, 1+a1 (6)
이 식(6)은 또한, 상기 식(1)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양(S1)과 (a1)은 각각 이동 센서(2), (3)에 의해 측정 가능하므로, 초기 인장(N01)을 미치게 하는 스트랜드(t1)의 신장 (ΔL1, 1)을 거기에서 용이하게 도출해낼 수 있다.
이어서, 스트랜드(t2)를 앵커 헤드(TA2)의 구멍과 외피(4)에 통과시키고, 그 헤드 단부를 공지된 방법으로 앵커 헤드(TA1)에 정착시킨다. 인장 잭(1)과, 적절하게 리세트한 측정 센서(2)를 케이블 스트랜드(t1)에서 빼내고,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트랜드(t2) 후단(8)에 설치한다. 이 때, 모든 스트랜드(tref), (t1), (t2)의 곡선 길이는 같은 L1이다.
그 후에, 인장 잭(1)에 의해 스트랜드(t2)의 후단(8)을 잡아 당겨서 인장시키고, 이 스트랜드를 앵커 헤드(TA2)에 정착시킨다(도 6). 스트랜드(t2)를 인장 및 정착시킨 후에, 스트랜드는 곡선 길이(L2)가 되고, 스트랜드(t2)의 단(8)은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양(S2)만큼 이동하고,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에 있어서의 2점(6), (9)은, 쌍방 모두, 앵커 헤드(TA2)에 대하여 양(a2)만큼 이동한다(a2는, 이동 센서(3)에 의해 측정된다).
스트랜드(t2)를 인장할 때, 스트랜드(t1)의 신장은, (ΔL1, 1)에서 (ΔL 1, 2)가 되고, 이것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ΔL1, 2=ΔL1, 1-a2 (7)
실제로, 기준 스트랜드(tref)가 인장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면, 그 전체 길이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두 개의 상태에 있어서 같아진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1=L2+a2 (8)
한 편, 스트랜드(t1)를 고려하면, 그 길이(L1)(도 4, 도 5)는, 상기 식(3)으로 얻을 수 있고, 스트랜드(t2)를 인장한 후의 길이(L2)(도 6)는, 다음 식으로 얻을 수 있다.
L2=L02+ΔL1, 2 (9)
식(3), (8), (9)을 조합시키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L02+ΔL1, 2+a2=L01+ΔL1, 1 (10)
그런데, 스트랜드(t1)의 양단은, 각각 앵커 헤드(TA1), (TA2)에 정착되어 있으므로, 2개의 앵커 헤드 사이의 스트랜드(t1)의 무부하 길이는, 도 5의 상태로부터 도 6의 상태로 옮겨 가도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L02)은 (L01)과 같아지고, 식(10)은 다음과 같이 된다.
ΔL1, 2+a2=ΔL1, 1 (11)
또는, 상기 식(7)과 같이 된다. 따라서, 스트랜드(t2)를 인장시킨 후, 스트랜드(t1)의 새로운 신장(ΔL1, 2)은, (ΔL1, 1)과 (a2)의 차이와 같다. 스트랜드(t2)를 인장시킨 후에 스트랜드(t1), (t2)의 신장을 같게 하고 싶은 경우는, 이 스트랜드(t2)를 (ΔL1, 2)과 같은 양(ΔL2, 2)만큼 신장해야만 한다. 그런데, 스트랜드(t1)와 식(1)에 관하여 이미 행한 증명에 따라서, 스트랜드(t2)를 인장할 때의 신장(ΔL2, 2)은, 식(1)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즉
ΔL2, 2=S2-a2 (12)
식(7)과 (12)를 조합하고, 식(1)을 고려하여, 원하는 조건(ΔL2, 2=ΔL1, 2)을 설정하면, 다음의 식을 얻을 수 있다.
S2=ΔL1, 1=S1-a1 (13)
결론으로서, 스트랜드(t2)를 (ΔL2, 21, 2)만큼 신장하기 때문에, 즉 스트랜 드 (t1)와 같은 신장을 주기 때문에, 잭의 스트로크(S2)를 차이(S1-a1)와 같게 해야만 한다. 양(S1, a1)은 각각, 스트랜드(t1)의 인장 프로세스 중에 이동 센서(2), (3)에 의해 이미 측정이 완료되므로, 양(S2)은 용이하게 계산 가능하고, 후술할 것과 같은 잭(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스트랜드(t2)를 인장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정착시킨 후에, 스트랜드(t3)를 앵커 헤드(TA2)와 외피(4)에 통과하고, 그 헤드 단부를 종래의 방법으로 앵커 헤드(TA1)가 대응하는 구멍에 정착시킨다. 이어서 인장 잭(1)과, 적절하게 리세트한 이동 센서(2)를 케이블 스트랜드(t2)에서 제거하고,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앵커 헤드(TA2)에서 스트랜드(t3)의 후단(11)에 설치한다. 이 때 모든 스트랜드(tref), (t1), (t2), (t3)의 곡선 길이(L2)는 같다.
이어서, 인장 잭(11)에 의해 스트랜드(t3)의 단(11)을 인장함으로써 인장하고, 앵커 헤드(TA2)가 대응하는 구멍에 이것을 정착한다. 스트랜드(t3)를 인장하여 앵커 헤드(TA2)에 정착시키는 조건의 종료 시에, 그 후단(11)을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양(S3)만큼 이동하고,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단에 있어서 점(12)이 앵커 헤드(TA2)에 대하여 (이동 센서(3)에 의해 측정된) 양(a3)만큼 이동하고, 모든 스트랜드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같은 곡선 길이(L3)를 가진다.
스트랜드(t2)의 인장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원리와 같은 원리에 따라서, 스트랜드(t3)의 인장 후, 스트랜드(t1), (t2)에 의해 얻어진 신장과 같은 신장을 스트랜드(t3)에 주는 데는, 스트랜드(t3)를 양(ΔL3, 3)만큼 신장해야만 한다. 이 양은, 상기의 식(7)과 같은 다음의 식으로 주어진다. 즉,
ΔL3, 3=ΔL1, 3=ΔL1, 2-a3 (14)
식(7)과 (14)를 조합함으로써, 다음이 얻어진다.
ΔL3, 3=ΔL1, 3=ΔL1, 1-a2-a3 (15)
그런데, 스트랜드(t1), (t2)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스트랜드(t3)의 신장도 또한 식(1)과 (12)와 같은 식으로 주어진다. 즉
ΔL3, 3=S3-a3 (16)
식(15)과 (16)을 조합하고, 식(1)과 (13)을 고려함으로써, 다음을 얻을 수 있다.
S3=ΔL1, 1-a2=S1-a1-a2=S2-a 2 (17)
이 식(17)은 또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8
(18)
결론으로서, 스트랜드(t3)에 스트랜드(t1), (t2)와 같은 신장을 주는 데는, 잭의 스트로크(S3)를 차이(S2-a2)와 같게 하거나, 혹은 스트랜드(t1), (t2)의 인장 중에 기준 스트랜드(tref)의 자유로운 후단이 이동하는 이동의 합(ai)을 (S1)에서 뺀 것과 같게 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임의의 스트랜드(tk)를 인장하는 데는, 스트랜드(t2)와 (t3)에 관한 상기의 인장과 같이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랜드(tk)의 인장 시에, 스트랜드(tk)의 인장 후에, 먼저 인장한 스트랜드(t1)∼(tk-1)의 신장과 같은 신장을 주는 데는, 이 스트랜드(tk)에 신장(ΔLk, k)을 주어야만 한다. 이 신장은, 식(7) 및 (14)와 같은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즉
ΔLk, k=ΔL1, k=ΔL1, k-1-ak (19)
그런데,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양(ΔL1, k-1)은,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09
(20)
따라서, 식(19)과 (20)을 조합함으로써, 다음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0
(21)
또한, 스트랜드(tk)의 신장(ΔLk, k)자체가 식(1), (12)과 같은 식으로 구해진다. 즉
ΔLk, k=Sk-ak (22)
식(21)과 (22)을 비교하고, 식(1)을 고려함으로써, 먼저 인장한 케이블의 다 른 스트랜드(t1)∼(tk-1)와 같은 신장을 스트랜드(tk)에 주는 데는, 잭의 스트로크(Sk)를 다음 식으로 주어지는 것으로 해야 한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1
(23)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Sk=Sk-1-ak-1 (24)
양(S1)과 (a1) 또는 양(Sk-1)과 (ak-1)은 나누어져 있으므로(이동 센서(2), (3)를 이용하여 계산 및 또는 측정 완료한), 먼저 인장한 스트랜드(t1)∼(tk-1)와 같은 신장을 스트랜드(tk)에 주기 위한 잭(1)의 스트로크(Sk)는 용이하게 계산하여 알 수 있고, 복수의 스트랜드의 인장이나 스트랜드(tk)의 인장을 측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스트랜드(tk)를 인장하기 위한 잭(1)의 동작은, 뒤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과 같이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케이블의 인장은, 케이블의 후속 스트랜드 각각에 대하여, 스트랜드(t2)∼(tk)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스트랜드(tn)까지 속행된다. 케이블 스트랜드 중 2가닥을 지지 스트랜드(tp) 및 기준 스트랜드(tref)로서 각각 사용한 경우, 지지 스트랜드(tp)를 최후로부터 두 번째로 인장하고(스트랜드(tn-1)), 기준 스트랜드(tref)를 최후에 인장한다(스트랜드(tn)). 이 경우, 근사법 에 의한 계산이 올바른 것이라면, 기준 스트랜드 즉 최후 스트랜드(tn)를, 인장한 선행 스트랜드(tn-1)에 준 신장과 같은 신장(ΔLn-1)만큼 신장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최후에 인장한 기준 스트랜드의 인장에 의해 초래되는 복수의 선행 스트랜드의 신장의 손실을 측정 내지는 계산하고, 거기에서 유도된 상기 신장(ΔLn-1)만큼 신장된다. 인장한 모든 스트랜드는 정착체 사이에서 길이가 같고, 그 신장이 같게 된 것에 유의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트랜드의 축방향의 응력은, 탄성율이 같을 때 같아진다.
이 사실은, 각 스트랜드의 단면과는 관계 없으므로, 케이블 스트랜드의 단면을 불균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이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 스트랜드(t1)를 인장하는 순간과 최후 스트랜드(tn)를 인장하는 순간의 사이에 몇 시간이나 경과하는 것이 있다. 이 쌍방의 순간 사이에 스트랜드의 온도가 대폭으로 변화하고, 그 때문에 케이블 인장 프로세스의 최초에 스트랜드에 주어진 인장과 신장이, 상기 프로세스의 종료에 같은 값으로는 되지 않는 것이 있다(실제로는, 이 문제가 일어나는 것은, 인장되는 순간에 스트랜드의 온도가 분산하는 경우 뿐이다). 이 경우에는, 기준 스트랜드의 역할을 하는 최종 스트랜드(tn)를 인장하기 전에, 신장, 및, 스트랜드의 인장을 재조정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기준 스트랜드(tref) 또는 최종 스트랜 드(tn)를 인장 전에, 인장 사이클을 재개하여 스트랜드(t1)∼(tn)를 순차적으로 재인장하고, 스트랜드의 신장, 및, 최종 인장을 균등하게 한다. 이 제2 인장 사이클은, 비교적 빠르게 실시 가능하다. 왜냐하면 스트랜드는, 케이블 외피에 통과될 필요가 없고, 스트랜드를 재인장하기 위해 실시해야하는 이동량(Si)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제2 인장 사이클 후에, 기준 스트랜드로서 사용된 최종 스트랜드(tn)를 인장하고, 상기와 같이 정착한다.
마찬가지로 유의해야만 하는 것은, 케이블 스트랜드를 인장 후에 앵커 헤드( TA2)에 정착할 때에, 관여하는 스트랜드를 앵커 헤드(TA2)가 대응하는 구멍에 정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추 키가, 이 스트랜드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스트랜드는 완전히 블록되기 전에, 약간 수축하므로, 신장, 및, 인장이 손실된다. 이러한 스트랜드의 수축 또는 신장의 손실은, 앵커 헤드(TA2)가 대응하는 원추공에 원추 키를 넣는 것에 대응한다. 원추 키를 앵커 헤드의 구멍에 넣는 삽입치를 무시할 수 없는, 즉 스트랜드의 인장 정밀도에 주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 신장 손실, 따라서 정착 시에 스트랜드에 초래되는 인장 손실을 보정해야만 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인장 잭이 계산된 스트로크치(Sk)에 소정의 보정치(e)를 더하고, 먼저 인장한 복수 스트랜드와 같은 신장을 스트랜드(tk)에 줌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스트로크(Sk)는, 다음의 2개의 식의 어느 하나로 계산 가능하다.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2
(25)
Sk=Sk-1-ak-1+e (26)
소정의 보정치(e)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이미 정착 기재에 관하여 시험 중에 행해진 계산 및 또는 측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정치(e)는, 대략 수 밀리미터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서는, 정착 헤드(TA2)를 통과하는 케이블 스트랜드(tk)에 결합된 인장 잭(1) 및 측정 센서(2)를 다시 나타내고 있다. 또, 기준 스트랜드(tref)에 결합된 이동 센서(3)를 역시 나타내고 있다.
이동 센서(2)의 출력은, 제1 메모리(13)와, 콤퍼레이터(14)의 마이너스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식(23) 또는 (25)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 메모리(13)는, 값(S1)을 보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식(24) 또는 (26)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 메모리(13)는,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Sk)의 모든 연속치(k=1부터 k=n-1까지)를 보존하도록 구성된다. 전자의 경우, 메모리(13)는 값(S1)을 보존할 만큼 충분하지만, 그러나, 이 최초의 경우에서도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Sk) 의 모든 값을 보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 은, 후일의 제어 또는 통계를 위해 유효하다. 메모리(13)는 계산기(15)에 접속되어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식(23) 또는 (25)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값(S1)을, 식(24) 또는 (26)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값(Sk-1)을 계산기로 보낸다.
이동 센서(3)는, 제2 메모리(16)에 접속되고, 케이블 인장 프로세스가 전개됨에 따라서, 이동 센서(3)에 의해 측정된 모든 값(ai)(i=1∼i=n-1)을 보존한다. 메모리(16)는, 계산기(15)에 접속되어 있고, 스트랜드(tk)를 인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식(23) 또는 (25)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는 모든 값(ai)(i=1∼i=k-1)을, 식(24) 또는 (26)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값(ak-1)을 계산기로 보낸다.
케이블 스트랜드의 정착 시에 앵커 헤드가 대응하는 원추공에 원추 키를 삽입함으로써 인장 손실을 보정해야만 하는 경우, 소정의 보정치(2)도 또한 계산기(15)로 보낸다. 이 보정치(e)는, 예를 들면 키보드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되고, 계산기(15)의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계산기(15)는, 공급된 값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선택된 식(23), (24), (25) 또는 (26)을 사용함으로써, 목표치(Skc)를 계산한다. 이동 센서(3)가, 값(ai)의 누적 합, 즉 (ai)의 합(i=1∼i=k-1)을 각 순간에 직접 공급하는 유형의 센서인 경우, 메모리(16)는, (ai)의 합(i=1∼i=k-1)을 직접 계산기(15)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계산기(15)로 실시하는 계산은 간략화된다.
계산기(15)에 의해 계산되는 목표치(Skc)는, 콤퍼레이터(14)의 플러스 입력으로 보내지고, 콤퍼레이터는, 이동 센서(2)에 의해 같은 순간에 측정된 실제의 값(Skr)과 목표치를 비교한다. 콤퍼레이터(14)의 출력은, 레귤레이터(17)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고, 레귤레이터의 출력은, 인장 잭(1)에 유압 접속된 자동 펌프군(18)을 제어하여, 가압한 유압 유체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레귤레이터(17)는, 인장 잭(1)의 제어에 있어서 모든 진동 또는 다른 불안정성을 회피하기 위해 PID형 레귤레이터(미적분 비례 레귤레이터)이다. 이렇게 해서, 계산기(15)가 계산한 목표치(Skc)에 잭(1)의 스트로크(실제치(Skr))가 도달한 것을 콤퍼레이터(14)가 검출하면, 레귤레이터(17) 및 자동 펌프군(18)을 통하여 인장 잭(1)이 정지된다.
2개의 메모리(13), (16) 및 계산기(15)는, 프로그래머블 오토매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일부로서도 좋다. 2개의 메모리(13), (16)는, 그 경우, 프로그래머블 오토매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RAM의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구성 가능하고, 계산기(15)는, 프로그래머블 오토매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구성 가능하다. 콤퍼레이터(14)의 기능 또한, 프로그래머블 오토매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두 일례로서 든 것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 실시예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기준 부재로서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을 이용하는 대신, 보조 케이블 또는 보조사(補助絲)를, 케이블 외피(4) 또는, 케이블에 따라서 연재(延在)하도록 케이블 외피(4)에 연결되는 고유의 외피에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스트랜드를 인장하기 전에 정착체(A1), (A2) 사이에 케이블 외피(42)를 설치하고, 케이블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조작 중에 상기 외장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 스트랜드로서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대로 필요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실제, 케이블 외장(4)은, 다른 공지 기술에 의해 설치 및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는, 케이블의 선행 스트랜드(tk-1)를 인장 정착한 후에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tk)를 외피(4)에 통과시키고 있는데, 케이블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인장하기 전에 모든 스트랜드를 외피(4)에 통과시키는 것도 검토할 수 있고, 혹은, 케이블 스트랜드를 그룹마다 통과시키고, 각 그룹의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순차적으로 인장시킬 수도 있다.

Claims (9)

  1.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복수 스트랜드 다발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tk)를, 인장 수단(1)을 이용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인장하는 방법으로서,
    a) 일단이 고정점(TA1)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의 2개의 정착체(A1), (A2)의 한 쪽(A2)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케이블에 따라서, 기준 신장 부재(tref)를 설치하는 공정과.
    b) 제1 스트랜드(t1)의 단부에, 그 인장 또는 신장이 소정치에 달하기까지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상기 제1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c) 상기 인장된 제1 스트랜드(t1)의 상기 단부가 공정 b) 사이에 이동한 제1 양(S1)을 측정하는 공정과,
    d)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b) 사이에 이동한 제2 양(a1)을 측정하는 공정과.
    e) 공정 c)과 d)에서 측정한 상기 제1 및 제2 양(S1)과 (a1)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S2)만큼 제2 스트랜드(t2)의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상기 제2 스트랜드의 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2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상기 제2 스트랜드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f)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e) 사이에 이동한 추가 이동량(a2)을 측정하는 공정과,
    g) 공정 e) 사이에 상기 제2 스트랜드(t2)의 단부가 이동한 상기 소정의 이동량(S2)과, 공정 e)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자유단이 이동한 상기 추가 이동량(a2)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만큼 제3 스트랜드(t3)의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상기 제3 스트랜드의 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3 스트랜드(t3)를 인장하고, 상기 제3 스트랜드(t3)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과,
    h)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상기 자유단이 공정 g) 사이에 이동한 추가량(a3)을 측정하는 공정과,
    i) 최후의 스트랜드(tn)를 인장하여 정착시키기까지 다음과 같이 실시하고, 최후로부터 두 번째의 스트랜드(tn-1)를 인장하는 사이에 인장된 이 스트랜드의 단부의 소정의 이동량과, 최후로부터 두 번째의 스트랜드(tn-1)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자유단이 이동한 추가 이동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량만큼 인장 단부가 이동하기까지 최후의 스트랜드(tn)에 인장력을 가하고, 상기 최후의 스트랜드(tn)의 상기 단부를 정착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경(大 徑)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k번째(n이 케이블 스트랜드의 수일 때 2≤k≤n) 스트랜드(tk)의 인장 정착을 위해, 인장하는 k번째 스트랜드의 단부의 이동에 대하여 목표치(Skc)를 계산하고, 또한, 실제의 이동(Skr)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단부를 인장하고, 그 이동 중에 측정한 실제의 이동치(Skr)와 상기 목표치(Skc)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한 실제의 값이 상기 목표치에 도달했을 때, k번째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것을 정지하고, 동시에 그 단부를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목표치(Skc)는, (S1)이 제1 스트랜드의 제1 이동량이고,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3
    이, 첫 번째로부터 (k-1) 번째의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상기 자유단이 이동한 양의 합일 때, 다음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공법.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치(Skc)는, (e)가, 인장 단부의 정착 시에 k 번째의 스트랜드의 수축을 고려한 소정의 보정치일 때, 다음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공법.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신장 부재(tref)로서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의 한 가닥을 이용하고, 기준 신장 부재의 역할을 하는 상기 스트랜드(tref)를 최후에 인장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공법.
  6. 2개의 정착체(A1), (A2) 사이에서 다중 스트랜드 케이블을 인장하는 장치로서,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tk)를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장시키기 위해 각 스트랜드에 순차적으로 합치 가능한 인장 수단(1)을 포함하고,
    a) 일단이 고정점(TA1)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의 2개의 정착체(A1), (A2)의 한 쪽(A2)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케이블에 따라서 인장 케이블에 결합되는 기준 신장 부재(tref)와,
    b)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에 순차적으로 합치 가능하고, 합치되는 스트랜드(tk)의 단부가 상기 인장 수단(1)에 의해 인장될 때, 상기 스트랜드 단부의 이동을 매회 측정하기 위한 제1 이동 센서(2)와,
    c) 제1 이동 센서(2)에 접속되고, 적어도 최초에 인장된 스트랜드(t1)의 단부의 이동치(S1)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수단(13)과,
    d) 기준 신장 부재(tref)에 결합되고, 그 자유단의 이동을, 케이블 스트랜드( tk)가 인장되고 정착될 때에 측정하기 위한 제2 이동 센서(3)와,
    e) 제2 이동 센서(3)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센서(3)에 의해 측정된 이동치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수단(16)과,
    f) 상기 제1 이동 센서(2)와 상기 제1 및 제2 기억 수단(13), (16)에 접속되고, 제1 이동 센서(2)에 의해 측정된 이동치(Skr)가, k(2≤k≤n)번째의 스트랜드(tk)에 대하여, (k-1)번째의 스트랜드(tk-1)를 인장하는 사이에 (k-1)번째의 스트랜드(tk-1)의 단부가 이동하는 소정의 이동치와, 상기 (k-1)번째의 스트랜드가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이동치의 차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동치(Skc)에 도달할 때, 케이블의 상기 k번째의 소정의 스트랜드에 미치는 인장의 중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계산 수단(15) 및 제어 수단(14), (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수단(15) 및 제어 수단(14), (17)은,
    a) k번째의 상기 스트랜드(tk)를 인장하기 전에, 인장해야할 k번째의 상기 스트랜드(tk)의 단부의 이동을 위한 목표치(Skc)를 계산하고, (S1)이, 최초로 인장된 첫 번째의 스트랜드(t1)의 인장 종료 시에 제1 기억 수단(13)에 기억된 이동치이고,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6
    이, 첫 번째로부터 (k-1)번째의 스트랜드를 인장하는 사이에 기준 신장 부재(tref)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이동치의 합일 때, 상기 목표치를 다음 식으로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7
    b) 계산 수단(15)의 출력에 접속된 제1 입력(+)과, 상기 제1 이동 센서(2)에 접속된 제2 입력(-)을 가지고, 인장 중에 k번째의 스트랜드(tk)의 단부가 이동하는 순간적인 실제의 이동치(Skr)와 상기 목표치(Skc)를 비교하고, 순간적인 실제의 이동치와 상기 목표치가 같은 경우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콤퍼레이터(14)와,
    c) 컴퍼레이터(14)의 출력에 접속되어서, 콤퍼레이터의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인장 수단(1)의 중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인장 단부의 정착 시에 스트랜드(tk)의 수축에 대응하는 보정치(e)를 상기 계산 수단(15)에 삽입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계산 수단(15)이, 다음 식으로 상기 목표치(Skc)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장치.
    Figure 112000012011470-pat00018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신장 부재(tref)는, 인장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한 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장치.
KR1020000032459A 1999-06-14 2000-06-13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KR100607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7477 1999-06-14
FR9907477A FR2794783B1 (fr) 1999-06-14 1999-06-14 Procede et dispositif pour tendre un cable multi-torons entre deux ancr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85A KR20010020985A (ko) 2001-03-15
KR100607116B1 true KR100607116B1 (ko) 2006-08-01

Family

ID=954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459A KR100607116B1 (ko) 1999-06-14 2000-06-13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61204B1 (ko)
JP (1) JP4427168B2 (ko)
KR (1) KR100607116B1 (ko)
AT (1) ATE299216T1 (ko)
DE (1) DE60021147D1 (ko)
ES (1) ES2245296T3 (ko)
FR (1) FR2794783B1 (ko)
PT (1) PT1061204E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702B1 (ko) 2015-06-05 2017-07-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교량의 ms 케이블 균등긴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106960A (ko) * 2019-04-10 2021-08-31 마크스 유한책임회사 케이블 자동 인장 시스템 및 자동 인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3907B1 (fr) * 2000-09-08 2004-02-13 Michel Marchetti Procede de mise en tension de haubans a torons multiples
FR2883376B1 (fr) * 2005-03-17 2007-06-15 Fressinet Internat Stup Procede de detection de rupture au sein d'une structure et system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20070271762A1 (en) * 2006-05-25 2007-11-29 Actua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ressing mono-strand tendons
DE102008032881B3 (de) * 2008-07-14 2009-11-12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pannpresse beim Spannen eines Spannglieds
JP5365834B2 (ja) * 2008-09-18 2013-12-11 清水建設株式会社 ケーブルへの張力導入方法
ITPC20090001A1 (it) * 2009-01-08 2010-07-09 Stefano Zambelli Dispositivo modulare per la programmazione, controllo e registrazione dei valori di tesatura di trecce e trefoli pretesi e postesi negli stabilimenti e cantieri fissi e mobili di prefabbricazione di manufatti in calcestruzzo
KR101299963B1 (ko) * 2011-11-11 2013-08-26 대림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가설방법
DE102017206257A1 (de) * 2017-04-11 2018-10-11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Enteisungs- und Vereisungsvorbeugungsvorrichtung für das Mantelrohr eines Spannglieds, Spannglied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Bauwerk mit wenigstens einem derartigen Spannglie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03079A (fr) * 1929-10-23 1931-04-23 Felten & Guilleaume Carlswerk Câble métallique avec dispositif pour en mesurer l'allongement
JPH02240374A (ja) * 1989-03-10 1990-09-25 Joban Kosan Kk Pc綱線の同時緊張管理装置
FR2652866B1 (fr) 1989-10-05 1994-01-07 Freyssinet International Perfectionnements aux procedes et dispositifs pour mettre sous tension des cables a brins multiples.
DE19536701C2 (de) * 1995-09-30 1999-07-15 Dyckerhoff & Widmann Ag Verfahren zum Spannen eines Zugglieds aus einer Mehrzahl von Einzelelement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702B1 (ko) 2015-06-05 2017-07-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교량의 ms 케이블 균등긴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106960A (ko) * 2019-04-10 2021-08-31 마크스 유한책임회사 케이블 자동 인장 시스템 및 자동 인장 방법
KR102402979B1 (ko) * 2019-04-10 2022-05-26 마크스 유한책임회사 케이블 자동 인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1147D1 (de) 2005-08-11
ATE299216T1 (de) 2005-07-15
JP2001032213A (ja) 2001-02-06
KR20010020985A (ko) 2001-03-15
FR2794783B1 (fr) 2001-08-03
FR2794783A1 (fr) 2000-12-15
PT1061204E (pt) 2005-11-30
ES2245296T3 (es) 2006-01-01
JP4427168B2 (ja) 2010-03-03
EP1061204B1 (fr) 2005-07-06
EP1061204A1 (fr) 200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116B1 (ko) 대경 스트랜드 케이블의 인장 공법 및 인장 장치
US5809710A (en) Method of tensioning a tension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KR100307270B1 (ko) 재료시험기
BG66412B1 (bg) Фермова конструкция с регулиране на предварителното напрягане
NO904313D0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spenning av flerfibrede kabler.
CN109972493A (zh) 一种先缆后梁的自锚式悬索桥设计与施工方法
US6944550B2 (en) Method for tensioning multiple-strand cables
CN112014310A (zh) 一种预应力管道摩阻损失试验及计算方法
CN110593489A (zh) 一种低回缩预应力筋锚具系统及使用方法
CN110387820B (zh) 一种基于智能张拉系统的吊杆测控一体化施工方法
CN103696371B (zh) 一种用于自锚式悬索桥吊索的张拉装置及方法
CN101236116A (zh) 一种确定钢绞线斜拉索单根钢绞线初始张拉力的方法
CN109750599A (zh) 缓粘结低回缩预应力短索体系及计算、张拉方法
CN109778701B (zh) 一种扣锚索索力传感与温度线形控制补偿装置及施工方法
CN100519944C (zh) 桥面结构顶推施工中立柱的受力自平衡装置和纠偏方法
KR101589977B1 (ko) 철도교량에 작용하는 열차의 시제동 하중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CN115125857A (zh) 一种斜拉索安装施工技术
JPH05149852A (ja) 材料試験装置
GB22682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wires of equal length
CA1043989A (en) Method of eliminating an uneven stress distribution in an elongated reinforcing member
CN110886184B (zh) 一种减小斜拉桥宽幅钢箱梁精确匹配附加应力装置及方法
CN213957012U (zh) 一种桥梁预应力不均匀系数测试装置
NL1006273C2 (nl) Werkwijze voor het testen van de belastbaarheid van een in de grond verankerd en daarboven uitstekend schroefinjectieanker.
JP5365834B2 (ja) ケーブルへの張力導入方法
CN110411728A (zh) 一种梁端反摩阻效应测试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