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889B1 -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889B1
KR100605889B1 KR1019990034022A KR19990034022A KR100605889B1 KR 100605889 B1 KR100605889 B1 KR 100605889B1 KR 1019990034022 A KR1019990034022 A KR 1019990034022A KR 19990034022 A KR19990034022 A KR 19990034022A KR 100605889 B1 KR100605889 B1 KR 10060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call
player
key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187A (ko
Inventor
김학환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통화가 종료될 때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킨 위치부터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 MP3 휴대폰

Description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METHOD FOR FORMING TELEPHONE CONVERSATION MOBILE WIRELESSTERMINAL HAVING MP3 PLAYER WHILE PLAYBACK AUDIO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연주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가 있을 시 통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연주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메뉴 표시상태도
본 발명은 MP3를 이동무선 단말기의 통화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멀티미디어 통신망이 구축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이동무선 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원하는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나 혹은 MP3플레이어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MP3플레이어의 기능이 내장된 이동무선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MP3플레이어를 내장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는 MP3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이 있을 시 수동 또는 자동모드 설정에 따라 수동으로 정지하거나 자동으로 포즈를 시켜 놓은 후 통화가 종료될 경우 다시 재생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중에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통화가 종료될 때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킨 위치부터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MP3플레이어에 의해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착신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재생중인 MP3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상기 착신상태를 경보하는 과정과, 통화 형성키가 입력되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MP3오디오 데이터의 포즈를 해제하고 포즈시킨 위치부터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MP3플레이어에 의해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발신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재생중인 MP3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사용자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MP3오디오 데이터의 포즈를 해제하고 포즈시킨 위치부터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휴대폰 모듈(102)은 휴대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패드(104)로부터 다운로드 선택키를 입력하여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MP3)를 기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키패드(104)로부터 재생모드키가 선택되고 원하는 MP3파일을 선택할 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MP3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통화시도가 있을 시 재생중인 MP3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자동으로 포즈시키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 후 통화가 종료될 때 다시 포즈상태를 해제하여 MP3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해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키패드(104)는 통화를 위한 각종 기능키 및 숫자키를 구비하고, 녹음 키, 재생 및 정지키, 되감기(REW)키, 고속감기(FF)키를 구비한다. 표시부(14)는 표시부(106)는 휴대폰 모듈(102)에 의해 제어되며 키패드(104)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휴대폰 모듈(102)로부터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6)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CD)와, 야간에도 사용자에게 표시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RS232C 연결부(108)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RS232C 케이블을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와 오디오 데이터(MP3파일) 및 기타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어폰(110)은 휴대폰 모듈(102)에 연결되어 휴대폰 모듈(1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MP3디코더(114)는 예컨데 ST MICRO ELECTRONICS사의 ST013으로 MP3포맷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PCM형태의 데이터로 복원하는데, 입력된 8∼320Kbps의 엔코드된 오디오 스티림중 제어데이터(CONTROL DATA)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분리하고, 오디오데이터는 호프만방식 디코딩을 수행하여 런렝쓰코딩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원래의 길이의 신호로 복원하며, 서브밴드별로 각각 역양자화 및 리스케일링(RESCALING)을 제어데이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결과의 데이터는 인버스 디스크리트 코싸인 트랜스폼(IDCT:Inverse De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해 복원되고 서브밴드별 인버스 필터링(Inverse Filtering)을 수행하여 PCM데이터로 변환한다. D/A변환기(112)는 예컨데 크리스털(Crystal)사의 스테레오 오디오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기인 CS4331로 구성할 수 있으며, MP3디코더(114)에서 출력되는 PCM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D/A변환기(112)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델타시그마(Delta-Sigma) D/A변환 디지털 디엠퍼시스(Digital Deempasis) 및 필터링(Filtering)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CPU(116)는 예를들어 HITACHI사의 H8/2134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MP3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거나 기록된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18)는 CPU(116)의 제어에 의해 MP3포맷으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연주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가 있을 시 통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연주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메뉴 표시상태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MP3 연주기 전화받기기능은 MP3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전화를 걸을 경우에 통화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수동모드는 MP3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전화를 사용할 경우 재생동작을 정지시키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수동으로 재생키를 조작하여야만 다시 MP3의 오디오 데이터를 처음부터 재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그리고 자동모드는 MP3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전화를 사용할 경우 재생동작을 포즈시키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포즈를 해제하여 자동으로 재생중이던 MP3의 오디 오 데이터를 계속해서 재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MP3 연주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는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01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키입력부(12)로부터 메인메뉴 선택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메인메뉴 선택키가 입력되면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하기 표 1과 같이 메인메뉴를 표시부(106)에 표시한다.
0. MP3 연주기 1. 음성다이얼 2. 벨/진동크기 3. 시간관리 4. 예약/알람 5. 개인정보 6. 부가기능서비스
이때 사용자는 메인메뉴를 확인한 후 예를들어 MP3 연주기를 선택하기 위해 0번키를 누르게 되며, 203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MP3연주기 선택키인 0번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0번키가 입력되면 2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하기 표 2와 같은 MP3 연주메뉴를 표시부(16)에 표시한다.
MP3 연주 0. 재생모드 1. 내려받기 2. 파일목록 3. 파일지우기 4. 전화사용
그러면 사용자는 MP3 연주메뉴를 확인한 후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0번키를 누르고, 내려받기를 하기 위해서는 1번키를 누르며, 파일목록을 보기 위해서는 2번키를 누르고, 파일을 지우기 위해서는 3번키를 누르며,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 해서는 4번을 누르게 된다. 이때 205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키패드(104)로부터 전화사용 선택키(예를들어 1번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전화사용 선택키가 입력되면 2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표시부(106)에 전화사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 4a와 같이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지정키를 누르게되면 전화사용기능을 설정한다. 그런 후 207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연주기능 설정메뉴를 도 4b와 같이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연주기능 설정메뉴를 확인한 후 수동모드로 설정을 원하면 선택지정키를 누르게된다. 이때 208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키패드(104)로부터 수동모드 선택지정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수동모드 선택지정키가 입력되면 2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수동모드로 설정하고 212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동모드로 설정을 원하지 않으면 도 4a의 연주기능 설정메뉴에서 선택지정키를 누르지 않고 다음키를 누르게된다. 상기 다음키가 눌러지면 휴대폰 모듈(102)은 도 4c와 같이 자동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210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자동모드 선택지정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자동모드 선택지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07단계로 돌아가고, 자동모드 선택지정키가 입력되면 2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자동모드로 설정하고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키패드(104)로부터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종료키가 입력되면 전화사용기능 설정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전화사용 기능을 설정하여 놓은 후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통화를 수행한 후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 설정에 따라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301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MP3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인가 검사하여 MP3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이 아니면 3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2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휴대폰 동작을 수행하고 301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MP3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이면 303단계로 진행하여 안테나를 통해 착신상태가 검출되는지 검사하여 착신상태가 검출되지 않으면 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발신상태가 검출되는지 검사한다. 이때 발신상태의 검출은 예를들어 MP3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키패드(104)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연속해서 숫자키가 6개이상 입력되거나 통화키가 눌러진 후 숫자키가 눌러지면 사용자가 발신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발신상태가 검출되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전화사용을 위한 모드가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수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MP3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307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는 사용자가 키패드(104)로부터 입력시킨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3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8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상대방이 응답을 하여 통화가 형성되었는가 검사하여 통화가 형성되었으면 3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를 수행하고 310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상기 통화종료 검출은 사용자가 키패드(104)의 종료키(END)를 누르거나 플립을 닫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키가 수신됨에 따라 검출한다. 따라서 통화종료가 검출되면 휴대폰 모듈(102)은 대기상태로 들어가며, 이 대기상태에서 311단계로 진행하여 키패드(104)의 조작에 의해 MP3재생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하여 MP3재생모드가 선택되면 312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메모리(118)에 저장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처음부터 재생하도록 한다. 그런 후 313단계에서 재생이 종료되거나 키패드(104)로부터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재생이 종료되거나 종료키가 입력되면 재생동작을 끝낸다.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폰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MP3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포즈되도록 한다. 이때 CPU(116)은 재생동작을 포즈하기 위해 현재의 MP3 오디오 데이터 정지위치와 시간을 기억시켜 놓는다. 그리고 315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사용자가 키패드(104)로부터 입력시킨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3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8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상대방이 응답을 하여 통화가 형성되었는가 검사하여 통화가 형성되었으면 3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318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상기 통화종료 검출은 사용자가 키패드(104)의 종료키(END)를 누르거나 플립을 닫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검출한다. 따라서 통화종료가 검출되면 휴대폰 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포즈상태를 해제하고, 이전에 재생 중지된 시점부터 메모리(118)에 저장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그런 후 320계에서 재생이 종료되거나 키패드(104)로부터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재생이 종료되거나 종료키가 입력되면 재생동작을 끝낸다.
그러나 상기 303단계에서 착신상태가 검출되면 321단계로 진행하여 전화사용을 위한 모드가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수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3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휴대폰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MP3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323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착신상태를 경보한다. 상기 착신상태 경보는 착신벨을 울리도록 하거나 LED를 깜박거리거나 표시부(106)의 LCD에 착신상태를 표시하거나 진동으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착신상태를 인지하여 통화키를 누르거나 아니면 플립 또는 폴더를 열게되는데, 이러한 통화키나 플립 또는 폴더를 여는 동작을 통화형성키로 인식한다. 이때 324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형성키가 입력되었는가 검사하여 통화형성키가 입력되면 325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3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6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가 종료되었는가 검출한다. 상기 통화종료 검출은 사용자가 키패드(104)의 종료키(END)를 누르거나 플립을 닫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키가 수신됨에 따라 검출한다. 따라서 통화종료가 검출되면 휴대폰 모듈(102)은 대기상태로 들어가며, 이 대기상태에서 327단계로 진행하여 키패드(104)의 조작에 의해 MP3재생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하여 MP3재생모드가 선택되면 328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메모리(118)에 저장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처음부터 재생하도록 한다. 그런 후 329단계에서 재생이 종료되거나 키패드(104)로부터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재생이 종료되거나 종료키가 입력되면 재생동작을 끝낸다.
그러나 상기 321단계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370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폰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MP3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포즈되도록 한다. 이때 CPU(116)은 재생동작을 포즈하기 위해 현재의 MP3 오디오 데이터 정지위치와 시간을 기억시켜 놓는다. 그리고 331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착신상태를 경보한다. 상기 착신상태 경보는 착신벨을 울리도록 하거나 LED를 깜박거리거나 표시부(106)의 LCD에 착신상태를 표시하거나 진동으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착신상태를 인지하여 통화키를 누르거나 아니면 플립 또는 폴더를 열게되는데, 이러한 통화키나 플립 또는 폴더를 여는 동작을 통화형성키로 인식한다. 이때 332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형성키가 입력되었는가 검사하여 통화형성키가 입력되면 325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통화형성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휴대폰 모듈(102)은 착신상태가 검출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 검사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331단계로 돌아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3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4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335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상기 통화종료 검출은 사용자가 키패드(104)의 종료키(END)를 누르거나 플립을 닫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검출한다. 따라서 통화종료가 검출되면 336단계에서 휴대폰 모듈(102)은 CPU(116)를 제어하여 포즈상태를 해제하고, 이전에 재생 중지된 시점부터 메모리(118)에 저장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그런 후 337단계에서 재생이 종료되거나 키패드(104)로부터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재생이 종료되거나 종료키가 입력되면 재생동작을 끝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통화가 종료될 때 자동으로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통화종료 시 별도의 재생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재생중인 MP3 오디오 데이터를 처음부터 반복재생하지 않도록 하므로 반복재생으로 인한 불필요한 청취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삭제
  2.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MP3플레이어에 의해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착신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재생중인 MP3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상기 착신상태를 경보하는 과정과,
    통화 형성키가 입력되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MP3오디오 데이터의 포즈를 해제하고 포즈시킨 위치부터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MP3플레이어에 의해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발신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재생중인 MP3 오디오 데이터를 포즈시키고 사용자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MP3오디오 데이터의 포즈를 해제하고 포즈시킨 위치부터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상태 경보 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통화형성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KR1019990034022A 1999-08-12 1999-08-12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KR10060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22A KR100605889B1 (ko) 1999-08-12 1999-08-12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22A KR100605889B1 (ko) 1999-08-12 1999-08-12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87A KR20010018187A (ko) 2001-03-05
KR100605889B1 true KR100605889B1 (ko) 2006-08-01

Family

ID=1960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22A KR100605889B1 (ko) 1999-08-12 1999-08-12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8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ko)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오디오 겸용 휴대용 전화기 및 그 통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ko)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오디오 겸용 휴대용 전화기 및 그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87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20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무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767462B1 (ko) 멜로디를 이용한 착신음 발생방법 및 통신단말장치
KR100780164B1 (ko) 휴대 전화 및 음성 저장 겸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5800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704582B2 (en) Personalized incoming call signal for communication devices
EP1049312A2 (en)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0232751A (ja)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3293542B2 (ja) 記録媒体再生機能付無線装置
KR100312955B1 (ko) 휴대폰의 인터넷 데이터 다운링크 예약방법
US7302242B2 (en) Portable phone having recording function for recording call-audio with using the minimum capacity of memory
KR100605889B1 (ko)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KR100360899B1 (ko) 전화기의 음악재생방법
KR100605888B1 (ko) 휴대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상태 표시 방법
KR100387962B1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KR960032462A (ko) 전화기능을 갖는 비데오플레이어
KR100662261B1 (ko) 오디오 데이터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299830Y1 (ko)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KR100285304B1 (ko) 녹음 및 재생 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05617A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JPH08265893A (ja)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KR100689455B1 (ko)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모리 확장팩
JP2002218019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移動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4385317B2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0213403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