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442B1 - 표시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442B1
KR100605442B1 KR1020040021293A KR20040021293A KR100605442B1 KR 100605442 B1 KR100605442 B1 KR 100605442B1 KR 1020040021293 A KR1020040021293 A KR 1020040021293A KR 20040021293 A KR20040021293 A KR 20040021293A KR 100605442 B1 KR100605442 B1 KR 10060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value
unit
target pixel
vari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5059A (ko
Inventor
아마노류헤이
무라따하루히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Abstract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표시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처리 장치는, 라인 상의 소정 영역의 화소값들의 평균값을 취득하는 평균값 취득부;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사이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하는 차분값 연산부; 및 화소 차분값에 대응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에 의해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또한 고가의 구조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제어가 용이한 표시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보정 대상 화소 근방에서의 화소값의 변동량을 취득하여, 이 변동량에 대응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해도 된다.
크로스토크, 표시 처리 장치, 화소 차분값, 화소값, 평균값

Description

표시 처리 장치{DISPLAY PROCESSOR}
도 1은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한 표시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매트릭스 구동 타입의 표시부의 모듈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표시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보정 레벨 제어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챠트.
도 6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과, 수평 라인의 화소값 즉 신호 레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보정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챠트.
도 8은 변동량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챠트.
도 9는 (a)는, 크로스토크의 발생량이 서로 다른 경우의 표시부에서의 표시예 및 입력 신호 레벨들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보정 대상 화소의 표시부에서의 위치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a)는, 크로스토크 발생 영역과 미발생 영역과의 경계부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경우의 표시부에서의 표시예 및 입력 신호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경계부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보정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a)는, 표시부의 대칭 영역들 사이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대칭 영역들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 처리 장치
2 : 입력부
3 : 적산부
4 : 평균값 취득부
5 : 라인 메모리
6 : 차분값 연산부
7 : 처리부
10 : 표시부
12 : 기판
14 : 절연층
16 : 발광층
18 : 절연층
20 : 데이터 전극
22 : 주사 전극
31 : 차분값 취득부
32 : 보정 레벨 결정부
33 : 변동량 취득부
34 : 이득 결정부
35 : 보정부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표시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형 통신 단말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는 주로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을 대체할 다음 세대의 표시 장치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로 구성되고, 주로 2 종류의 구동 시스템, 즉 액티브 매트릭스 구성 시스템 및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시스템에 의해 구동된다.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중요 과제의 하나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들 수 있다. 크로스토크 현상은, 윈도우 등의 고정 패턴을 표시했을 때에, 그 패턴에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의 휘도가 변화하는 현상이다. 전극 라인에 대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라인 상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이 전압 강하에 의해 휘도 변화가 발생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도 1은,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한 표시 화상의 예를 도시한다. 균일한 중간조의 배경 중에, 백색의 윈도우를 표시시키는 경우를 상정한다. 윈도우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라인 A-A'에서는, 입력 신호 레벨이 수평 방향으로, 화소 1부터 화소 (p-1)까지의 범위에서 0.3, 화소 p부터 화소 (q-1)까지의 범위에서 1.0, 화소 q부터 화소 r까지의 범위에서 0.3으로 변화한다. 윈도우의 화소를 포함하지 않는 라인 B-B'에서는, 입력 신호 레벨이 모든 화소에서 0.3으로 유지된다. 이 때,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라인 상의 윈도우 좌우의 영역에서는, 윈도우가 없는 라인에 비하여, 휘도의 변동이 관찰된다. 이 휘도 변동은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신호 배선의 구동 전압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통 전극의 전위 변동을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크로스토크 억제 정보 검출 수단과, 검출한 전위 변동을 보정하는 필터 회로를 구비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123227호 공보 참조.).
삭제
삭제
그러나, 크로스토크의 억제는, 될 수 있는 한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간이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표시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형태는 표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처리 장치는, 적어도 1방향의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 중 소정 영역의 화소값들의 평균값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 상기 제1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사이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로부터 상기 대상 화소 근방에서 화소값의 변동량을 취득하는 제2 취득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화소 차분값과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변동량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처리부; 및 보정한 화소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 형태의 표시 처리 장치는, 화소 평균값을 이용하여 화소값들을 보정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로 크로스토크에 의한 휘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처리부는, 변동량이 클수록 대상 화소값의 보정량을 작게 하고, 변동량이 작을수록 대상 화소값의 보정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취득부는,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의 화소값들 사이의 차분 절대값들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기초로, 변동량을 취득해도 된다. 제2 취득부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의 적산치를 기초로, 변동량을 취득해도 된다. 제2 취득부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 대신에 임계값을 적산하여 적산치를 구하여도 된다. 제2 취득부는,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 사이의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각각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상회하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을 카운트한 수를 기초로, 변동량을 취득해도 된다.
처리부는, 대상 화소의 표시부에서의 위치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해도 된다. 제1 취득부는, 소정 영역의 화소값의 평균값 또는 적산치를 라인 상의 상기 소정 영역을 포함한 복수개의 라인에 대하여 취득하고, 연산부는, 라인들 사이의 화소 평균값 또는 적산치 사이의 차인 라인 차분값을 산출하고, 처리부는, 라인 차분값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한다. 표시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경우에, 처리부는, 대상 화소에 대하여, 분할한 영역의 대칭 위치에 있는 화소의 화소값을 보정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과,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유효하다.
이 본 발명의 요약은, 모든 필요한 특징들을 기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발명이 이들 상술한 특징들의 하위 조합일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예>
도 2는, 매트릭스 구동 타입의 표시부(10)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부(10)는, 유리나 세라믹 등의 기판(12) 상에 발광층(16)이 2매의 절연층(14) 및 절연층(18)에 협지된 구조를 갖고 있다. 기판(12)에는 복수개의 데이터 전극(20)이 병렬로 배치된다. 절연층(18)에는, 복수개의 주사 전극(22)이, 데이터 전극(20)에 직교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 표시부(10)가 화이트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 윈도우를 표시하는 영역의 주사 전극(22)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값들로서 설정된 신호 레벨들을 그대로 인가하면, 주사 전극(22)에 있어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값 즉 신호 레벨을 신호 처리에 의해 보정하여,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는, 발광층(16)을 구비한 유기 EL 패널이나 무기 EL 패널 등의 표시부(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부(10)는, 매트릭스 구동 타입의 액정 패널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처리 장치(1)는, 입력부(2), 적산부(3), 평균값 취득부(4), 라인 메모리(5), 차분값 연산부(6), 처리부(7) 및 표시부(10)를 구비한다. 표시부(10)는, 표시용 패널 및 매트릭스 구동을 행하는 구동 회로를 갖고 구성된다.
우선 입력부(2)가, 화상 신호를 접수하여, 라인 메모리(5)에 공급한다. 라인 메모리(5)는, 표시부(10)의 1 라인 분의 화상 신호, 즉 1 라인 분의 화소의 화소값을 기록한다. 적산부(3)는, 라인 메모리(5)에 기록되는 1 라인 분의 화소값을 적산한다. 이 예에서 적산부(3)는, 화상 신호가 라인 메모리(5)에 입력될 때에 화소값을 동시에 적산하는 것으로 하지만, 그 타이밍은 임의이고, 라인 메모리(5)로부터 출력될 때에 화소값을 적산해도 된다. 1 라인 분의 화상 신호가 라인 메모리(5)에 입력되면, 적산부(3)는, 1 라인 분의 화소값의 적산치를 평균값 취득부(4)에 전달한다. 평균값 취득부(4)는, 화소값의 적산치를 화소수로 제산함으로써, 그 라인에서의 화소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 신호가 소스로부터 판독될 때에, 평균값이 이미 산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균값 취득부(4)는, 그 평균값을 수취하여도 된다. 도 1의 경우를 예로 들면, 라인 A-A'의 화소 평균값은, (0.3×r+0.7×(q-p))/r이고, 라인 B-B'의 화소 평균값은, 0.3이다.
차분값 연산부(6)는, 평균값 취득부(4)로부터 1 라인 분의 화소 평균값을 수취한다. 차분값 연산부(6)는, 이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즉 라인 메모리(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레벨과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한다.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는, 1 라인 분의 모든 화소이어도 된다. 산출된 화소 차분값은, 처리부(7)에 보내어진다.
도 4는, 처리부(7)의 구성을 도시한다. 처리부(7)는, 차분값 취득부(31), 보정 레벨 결정부(32), 변동량 취득부(33), 이득 결정부(34) 및 보정부(35)를 갖는다. 차분값 취득부(31)가, 차분값 연산부(6)로부터 화소 차분값을 취득하여, 보정 레벨 결정부(32)에 전한다. 보정 레벨 결정부(32)는, 화소 차분값에 기초하여, 보정 대상이 되는 화소값의 보정 레벨을 결정한다. 보정 레벨은, 보정부(35)에 있어서 원래의 화소값에 대하여 가감되는 요소이다.
도 5는, 보정 레벨 제어 특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횡축은 화소 차분값을 나타내고, 종축은 보정 레벨을 나타낸다. 이 보정 레벨 제어 특성에 따르면, 각 화소 차분값에 대하여 보정 레벨을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화소 차분값, 즉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 화소값과의 차가 크면, 크로스토크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휘도 변화가 커지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지견을 기초로, 본 발명자는 화소 차분값의 절대값이 커질수록, 보정 레벨을 크게 하는 보정 레벨 제어 특성을 도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도 5에는, 원점에 대하여 비대칭인 보정 레벨 제어 특성을 도시하지만, 이것은 대칭이어도 되고, 표시부(10)의 구조와 같은 요소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로 되돌아가, 보정 레벨 결정부(32)는, 이 보정 레벨 제어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 화소값의 보정 레벨을 결정한다. 보정부(35)는, 결정된 보정 레벨을 대상 화소값에 대하여 가감함으로써, 대상 화소값을 보정한다. 보정된 화소값은 표시부(10)의 구동 회로로 보내지고, 대응하는 화소의 신호로서 처리된다.
도 6은,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화상과, 보정한 수평 라인의 화소값 즉 신호 레벨의 예를 도시한다. 라인 A-A'에 있어서, 화소 차분값에 기초하여 보정 레벨을 α로 결정한다. 화소 1부터 화소 (p-1)의 범위와, 화소 q부터 화소 r의 범위에서 신호 레벨을 (0.3+α)로 설정하여,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화소 p로부터 화소 (q-1)의 범위에서 신호 레벨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지만, 이와 같이 전압 강하에 의해 영향이 많은 영역에만 보정 처리를 실시하여도 되고, 또한 다른 예에서는, 화소 p부터 화소 (q-1)의 범위에서도 보정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라인 B-B'에 대해서는, 모든 화소값이 평균값인 0.3을 나타내어, 화소 차분값이 0이 되기 때문에, 원래의 화소값의 보정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도 7은, 보정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횡축은 보정 대상 화소 근방에서의 화소값의 변동량을 나타내고, 종축은 보정 이득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정 이득은, 결정된 보정 레벨에 승산되어, 대상 화소의 보정량을 조정하는 요소로서 이용된다. 이 보정 이득 제어 특성 에 의하면, 보정 대상 화소 근방에서의 화소값의 각 변동량에 대하여, 보정 이득을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은, 표시부(10)의 구성 등의 요인들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토크는, 표시부(10)에 표시된 화상이 전체로서 똑같은 경우에 발생하기 쉽고, 정밀한 패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발생하기 어렵다. 그래서, 보정 대상 화소와 동일 라인 상에 있는 근방의 화소의 화소값의 변동량을 구하여, 크로스토크에 의한 휘도 변화량을 평가하고, 보정 레벨 결정부(32)에 의해 결정한 보정 레벨을 조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변동량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변동량 취득부(33)가, 라인 메모리(5)로부터 1 라인 분의 화소값을 수취하여, 변동량을 설정한다. 우선, 보정 대상 화소와 동일한 수평 라인 상에 있는 근방의 화소를, 각각 좌우로 3개씩 설정한다. 또 화소들의 개수는 3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가능한 한 좌우 대칭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화소의 화소값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3), (P-2), (P-1), P0, P1, P2, P3로 한다.
변동량 취득부(33)는, 설정한 화소 중,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화소값의 차분을 취하고, 그 절대값을 구한다. 이 경우, 변동량 취득부(33)는, 인접한 화소 사이의 화소 차분 절대값으로서, |(P-3)-(P-2)|, |(P-2)-(P-1)|, |(P-1)-P0|, |P1-P0|, |P2-P1|, |P3-P2|을 산출한다, 그리고, 변동량 취득부(33)는, 이들을 적산한 적산치를 변동량으로서 취득한다. 전체로서 휘도 변화가 적은 똑같은 표시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화소 사이의 화소 차분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그 절대값을 적산한 변동량도 작아진다. 따라서, 변동량이 작으면, 똑같은 표시인 것을 평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쉬운 표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화소 차분 절대값의 적산치가 크면, 정밀한 패턴 등의 표시인 것을 평가할 수가 있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운 표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변동량 취득부(33)가, 보정 대상 화소 근방에서 인접하는 화소 사이의 화소 차분 절대값의 적산치를 변동량으로서 취득하는 것에 의해, 이득 결정부(34)가, 도 7에 도시하는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을 기초로, 보정 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은, 변동량이 크면 보정 이득이 작아지고, 한편 변동량이 작으면 보정 이득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이미 상술과 같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우면 큰 변동량이 발생하여, 화소값의 보정량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한편, 변동량이 작은 경우에는,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쉬운 표시이기 때문에, 화소값의 보정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득 결정부(34)는, 변동량이 클수록 대상 화소값의 보정량을 작게 하는 보정 이득을 결정하고, 변동량이 작을수록 보정량을 크게 하는 보정 이득을 결정하게 된다. 보정부(35)는, 보정 이득과 보정 레벨을 승산하고, 대상 화소값에 대하여 승산치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 대상 화소값을 보정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변동량을 취득할 때에, 화소 사이의 화소 차분 절대값을 적산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급격하게 화소값이 변동하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서, 임계값을 이용하여 변동량을 취득하는 것도 유효하다. 도 1의 표시예를 참조하면, 라인 A-A'에 있어서의 엣지 부분, 예를 들면 화소 p, q에서는, 인접하는 화소와의 사이에서 화소값이 급격히 변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화소 p, q 자신, 또는 그 근방의 화소를 보정 대상 화소로 한 경우, 인접 화소 사이의 화소 차분 절대값은, 엣지 부분에서, 매우 큰 값이 된다. 따라서, 그 적산치를 변동량으로서 파악하면, 엣지 부분에서의 화소값의 차분에 크게 되어, 엣지 부분 이외는 똑같은 표시임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화소값 변동이 큰 표시라고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변동량 취득부(33)는, 화소 차분 절대값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그 화소 차분 절대값 대신에 임계값을 적산하여, 화소 차분 절대값의 적산치를 구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임의의 개소에서 엣지가 발생하는 경우, 즉 화소값이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 매우 큰 화소 차분 절대값을 소정의 값으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표시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 취득한 변동량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산출한 화소 차분 절대값을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만을 이용하여, 변동량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화소 차분 절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을 상회하는 화소 차분 절대값의 수를 카운트한다. 화소값의 급격한 변화가 변동량의 산출에 주는 영향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변동량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의 (a)는, 크로스토크의 발생량이 서로 다른 경우의 표시부(10)에 있어서의 표시예 및 입력 신호 레벨을 도시한다. 이 현상은, 표시부(10)의 화소 위치에 따라 저항이 서로 다른 것에 의해, 화소마다의 전압 강하량이 다른 것에 기인하 여 발생한다. 이 도 9의 (a)에서는, 라인 A-A'에 있어서, 표시부(10)의 화소 위치에 따라 휘도 변동의 레벨이 변화하는 양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이득 결정부(34)가, 표시부(10)에 있어서의 화소 위치에 따라 보정 이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득 결정부(34)는, 라인의 단부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보정 이득을 결정해도 된다. 라인 단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내측으로 갈수록 전압 강하량은 커지게 되기 때문에, 그 전압 강하의 변동분을 고려하여, 이득 결정부(34)가 보정 이득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b)는, 보정 대상 화소의 표시부(10)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을 도시한다. 라인 A-A'에 있어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는, 위치에 따른 보정량이 공급된다. 즉, 화소 1부터 화소 (p-1)까지의 범위와, 화소 q부터 화소 r까지의 범위에서의 보정량에 경사가 생긴다. 이에 의해, 크로스토크의 발생에 의한 화소 위치에 따른 휘도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적합한 화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크로스토크 발생 영역과 미발생 영역과의 경계부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경우의 표시부(10)에 있어서의 표시예 및 입력 신호 레벨을 도시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블랙 윈도우를 표시하고 있다. 수평 라인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한 것에 기인하여, 수직 방향에서도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특히, 이 현상에서는, 라인 A-A'에 있어서, 수평 라인 상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또한 라인 C-C'으로 도시하는 2개의 경계부에서도, 수직 방향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도 10의 (b)는, 경계부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을 도시한다. 우선, 경계부의 검출 방법인데, 수평 라인의 화소 평균값을 이용한다. 라인 A-A'의 화소 평균값은, 0.7×(p+r-q)/r로 나타나고, 라인 B-B'의 화소 평균값은, 0.7로 나타난다. 또한, 경계부의 라인 C-C'의 화소 평균값도, 라인 A-A'와 같이, 0.7×(p+r-q)/r 로 나타난다. 또한, 화소 평균값 대신, 수평 라인의 화소값의 적산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로 되돌아가, 평균값 취득부(4)는, 복수개의 수평 라인에 대하여 화소 평균값을 취득하여, 차분값 연산부(6)에 공급한다. 차분값 연산부(6)는, 상하에서 인접하는 라인끼리의 화소 평균값의 차분을 취하여, 라인 차분값을 산출한다. 처리부(7)에 있어서의 차분값 취득부(31)는, 산출된 라인 차분값을 수취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표시예에 있어서, 크로스토크의 발생 영역 내 및 미발생 영역 내에서는, 수평 라인의 화소 평균값은 라인마다 같게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이들의 영역에서 산출되는 라인 차분값은 0이 된다. 한편, 이 발생 영역과 미발생 영역과의 경계, 즉 수평 라인 C-C'에서는, 라인 차분값이, 0.7-(0.7×(p+r-q)/r)=0.7×(q-p)/r로 산출된다. 차분값 취득부(31)는, 라인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 그 라인이 경계부라고 판단한다.
도 11은, 보정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횡축은 라인 차분값을 나타내고, 종축은 보정 이득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정 이득 및 결정된 보정 레벨은 승산되어, 대상 화소의 보정량을 조 정하는 요소로서 이용된다. 이 보정 이득 제어 특성에 따르면, 라인 차분값에 대하여, 보정 이득을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인 A-A'에 있어서의 보정 레벨이 α로 설정된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보정 이득 제어 특성을 이용하여 라인 C-C'에 있어서의 보정 이득이 G로 설정되었다고 하면, 라인 C-C'의 화소값은, (0.7-α×G)으로 되도록 보정된다. 라인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는, 라인 차분값의 크기에 대응하여 휘도 변동량을 크게 하기 때문에, 이 보정 이득 제어 특성에서는, 라인 차분값이 클수록 보정 이득을 크게 하고, 또한, 라인 차분값이 작을수록 보정 이득을 작게 하도록 설정된다.
이상에 의해, 도 10의 (b)의 라인 C-C'에 있어서, 신호 레벨이 (0.7-α×G)로 설정된다. 수평 라인끼리의 라인 차분값에 대응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것에 의해, 수직 방향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의 (a)는, 표시부(10)의 대칭 영역들 사이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표시부(10)는, 상하 분할 구동 등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즉 표시부(10)를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대칭 구동 때문에, 한 쪽의 영역에서의 전력 공급의 영향이, 다른 쪽의 영역에서 대칭의 위치에 있는 화소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 A-A'의 대칭 위치에 있는 라인 C-C'에 있어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도 12의 (b)는, 대칭 위치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신호 레벨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라인 A-A'과 라인 C-C'를 하나의 수평 라인으로 파악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보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라인 A-A'에 있어서 윈도우의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화소값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라인 A-A'의 대칭 위치의 라인 C-C'에 발생하고 있었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가 있어, 양호한 화질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고, 이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공정의 조합에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주로, 화이트 윈도우를 표시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블랙 윈도우를 표시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화소값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1 라인 상의 화소값의 평균값을 취하는 것으로 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라인 상의 소정 영역의 화소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대상 화소값을 보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표시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데이터 전극과 주사 전극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방향의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 중 소정 영역의 화소값들의 평균값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
    상기 제1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사이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로부터 상기 대상 화소 근방에서 화소값의 변동량을 취득하는 제2 취득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화소 차분값과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변동량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처리부; 및
    보정한 화소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표시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변동량이 클수록 상기 대상 화소값의 보정량을 감소시키고, 변동량이 작을수록 상기 대상 화소값의 보정량을 증가시키는 표시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의 상기 화소값들 사이의 차이들에 대한 절대값들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의 상기 화소값들 사이의 차이들에 대한 절대값들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적산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적산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 대신에 상기 임계값을 적산하여 적산치를 결정하는 표시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그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 대신에 상기 임계값을 적산하여 적산치를 결정하는 표시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의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각각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하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카운트한 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의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각각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하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카운트한 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의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각각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하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카운트한 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부는, 상기 대상 화소 근방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의 상기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의 각각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임계값을 상회하는 인접 화소 차분 절대값들을 카운트한 수를 기초로, 상기 변동량을 취득하는 표시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상 화소의 상기 표시부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표시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부는, 소정 영역들의 상기 화소값들의 상기 평균값들 또는 적산치들을 라인 상의 상기 소정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라인들에 대하여 취득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라인들의 상기 화소 평균값들 또는 적산치들 사이의 차이인 라인 차분값을 산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라인 차분값에 따라, 상기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표시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하여, 상기 분할한 영역의 대칭 위치에 있는 화소의 상기 화소값을 보정하는 표시 처리 장치.
  17. 무기(inorganic) EL 표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방향의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 중 소정 영역의 화소값들의 평균값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
    상기 제1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사이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로부터 상기 대상 화소 근방에서 화소값의 변동량을 취득하는 제2 취득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화소 차분값과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변동량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처리부; 및
    보정한 화소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무기 EL 표시 처리 장치.
  18. 삭제
  19. 유기(organic) EL 표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방향의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 중 소정 영역의 화소값들의 평균값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
    상기 제1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소 평균값과, 보정 대상이 되는 대상 화소의 화소값 사이의 화소 차분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라인 상에 병렬로 배치된 화소들로부터 상기 대상 화소 근방에서 화소값의 변동량을 취득하는 제2 취득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화소 차분값과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변동량에 따라 대상 화소값을 보정하는 처리부; 및
    보정한 화소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처리 장치.
  20. 삭제
KR1020040021293A 2003-03-28 2004-03-29 표시 처리 장치 KR100605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2942 2003-03-28
JP2003092942A JP3877694B2 (ja) 2003-03-28 2003-03-28 表示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059A KR20040085059A (ko) 2004-10-07
KR100605442B1 true KR100605442B1 (ko) 2006-07-31

Family

ID=3340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293A KR100605442B1 (ko) 2003-03-28 2004-03-29 표시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39587A1 (ko)
JP (1) JP3877694B2 (ko)
KR (1) KR100605442B1 (ko)
CN (1) CN15345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4740B2 (en) 2001-11-09 2006-06-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Backlit display with improved dynamic range
US20080024482A1 (en) 2002-06-13 2008-01-31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8174490B2 (en) 2003-06-30 2012-05-08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s
JP4033149B2 (ja) * 2004-03-04 2008-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7872631B2 (en) 2004-05-04 2011-01-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emporal black point
US8395577B2 (en) 2004-05-04 2013-03-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llumination control
US7602369B2 (en) 2004-05-04 2009-10-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lored backlight
US7777714B2 (en) 2004-05-04 2010-08-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daptive width
US7023451B2 (en) * 2004-06-14 2006-04-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for reducing crosstalk
US7898519B2 (en) 2005-02-17 2011-03-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overdriving a backlit display
US8050512B2 (en) 2004-11-16 2011-11-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High dynamic range images from low dynamic range images
US8050511B2 (en) 2004-11-16 2011-11-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High dynamic range images from low dynamic range images
JP4513537B2 (ja) * 2004-12-08 2010-07-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信号供給方法、画像信号供給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121401B2 (en) 2006-01-24 2012-02-21 Sharp Labor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reducing enhancement of artifacts and noise in image color enhancement
US9143657B2 (en) 2006-01-24 2015-09-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lor enhancement technique using skin color detection
KR100805105B1 (ko) 2006-02-28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2024955A4 (en) * 2006-05-26 2010-09-15 E Ink Corp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OPTICAL INDICATIONS
US7777708B2 (en) * 2006-09-21 2010-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ross-talk correction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8941580B2 (en) 2006-11-30 2015-01-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rea adaptive backlight
KR100881227B1 (ko) * 2007-01-12 2009-02-10 주식회사 인테그마 패시브 매트릭스 oled의 크로스토크 보상장치
JP4626636B2 (ja) * 2007-09-18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液晶表示装置、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377553B (en) * 2008-03-18 2012-11-2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2247597A (ja) * 2011-05-27 2012-12-13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3095460A1 (en) * 2011-12-21 2013-06-27 Intel Corporation Perceptual lossless compression of image data to reduce memory bandwidth and storage
JP7106265B2 (ja) * 2017-11-20 2022-07-26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画像補正方法
CN110223642B (zh) * 2019-05-31 2020-07-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画面补偿方法和显示装置
JP7344068B2 (ja) * 2019-09-27 2023-09-13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装置
US11942014B2 (en) 2019-10-10 2024-03-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20210110432A (ko) 2020-02-28 2021-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650708B1 (ko) * 2020-03-20 2024-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27A (ko) * 1995-02-28 1996-09-17 배순훈 디지탈 영상 복호화장치
KR20000050769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저가형 카메라 시스템에서 헌팅 현상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10036061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강유전성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의 평균밝기 유지장치
KR20020076304A (ko) * 2000-12-14 2002-10-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사선 보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633B2 (ja) * 1997-12-10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疑似輪郭ノイズ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0312302A (ja) * 1999-02-24 2000-11-07 Canon Inc 輪郭強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3745655B2 (ja) * 2001-07-27 2006-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色信号補正回路、色信号補正装置、色信号補正方法、色信号補正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US6647152B2 (en) * 2002-01-25 2003-11-1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contouring redu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27A (ko) * 1995-02-28 1996-09-17 배순훈 디지탈 영상 복호화장치
KR0174452B1 (ko) * 1995-02-28 1999-03-20 배순훈 디지털 영상 복호화장치
KR20000050769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저가형 카메라 시스템에서 헌팅 현상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10036061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강유전성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의 평균밝기 유지장치
KR20020076304A (ko) * 2000-12-14 2002-10-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사선 보간 장치
KR100495549B1 (ko) 2000-12-14 2005-06-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사선 보간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744520000
1019960033127
10200200763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01964A (ja) 2004-10-28
US20040239587A1 (en) 2004-12-02
KR20040085059A (ko) 2004-10-07
JP3877694B2 (ja) 2007-02-07
CN1534571A (zh)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442B1 (ko) 표시 처리 장치
US9165495B2 (en) Crosstalk compensa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2779147B1 (en) Re-interpolation with edge detection for extracting an aging pattern for AMOLED displays
KR10146749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7209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isual effects upon panels having fixed pattern noise with reduced quantization error
KR100936862B1 (ko) 디스플레이 계조 표현 장치 및 계조 표현 방법
CN110992894B (zh) 显示补偿电路、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14063175A (ja) 電力線電圧降下に応答するデータ調整による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電子発光ディスプレイ
US10714019B2 (en) Brightness compensation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5471165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40129727A (ko) 휘도 보정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868237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400181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이미지 제어 방법
US20150294642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680814B2 (ja) 画像表示装置
KR2021010547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0085807A (ja) 表示装置
US10896638B2 (en) Luminance controlling unit, light-emitting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luminance
KR20180113909A (ko) 보정기능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ic 장치
JP2005301234A (ja) 表示装置
CN111554226A (zh) 亮度补偿方法及其装置及亮度补偿系统
US20210333972A1 (en) Voltage driving method and device for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KR20150027951A (ko) 광원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230043752A (ko)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번인의 가변 영역 기반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77715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ty of each subpixels of display panel by using pattern detection m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