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063B1 -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063B1
KR100605063B1 KR1020050029648A KR20050029648A KR100605063B1 KR 100605063 B1 KR100605063 B1 KR 100605063B1 KR 1020050029648 A KR1020050029648 A KR 1020050029648A KR 20050029648 A KR20050029648 A KR 20050029648A KR 100605063 B1 KR100605063 B1 KR 10060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t
plate
frame
heigh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손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호 filed Critical 손영호
Priority to KR102005002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65H2301/51541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with means mounted on rol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구조물의 트러스트가 정해진 규격으로 제공됨으로서 평탄이 고르지 않은 지역에서는 높낮이가 맞지 않아 다시 분해해서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1·2하부트러스트와 제3·4상부트러스트에 연결되는 부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2베이스판, 원통형 프레임, 제1·2각형프레임, 제1·2하부트러스트, 제3·4상부트러스트, 연결보조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조립후에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실내공간의 중간기둥을 세우지 아니하고도 대형의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강한 바람 또는 적설등 외력에 고강도로 유지할 수 있는 대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립식 구조물, 제1·2하부트러스트, 제3·4상부트러스트

Description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THE FABRICATED STRUCTURE TO CONTROL IT'S H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2각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1하부트러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3상부트러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연결보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1베이스판과 원통형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2베이스판과 제1·2각형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2각형프레임과 판형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1·2하부트러스트, 제3·4상부트러스트와 제2각형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1하부트러스트와 제3상부트러스트 그리고 연결보조부재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제3상부트러스트와 제4상부트러스트 그리고 연결보조부재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 사용되는 송풍기 및 환풍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베이스판 20 : 제2베이스판
30 : 원통형 프레임 40 : 제1각형프레임
50 : 제2각형프레임 60 : 판형프레임
70 : 제1하부트러스트 80 : 제2하부트러스트
90 : 제3상부트러스트 100 : 제4상부트러스트
110 : 연결보조부재 200 : 와이어연결체
400 : 제1연결보조판 500 : 제2연결보조판
600 : 보강판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조작이 편리하여 조립후에도 상하부트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대규모 전시장, 공연장, 스포츠센타, 비행기 격납고, 각종창고, 임시/영구구조물등 대규모의 실내공간이 필요한 곳은 어느 장소든 간단히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T.F.S : Tensioned Fabric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는 빠른 시공과,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건축문화로 건축분야의 새로운 장을 열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T.F.S : Tensioned Fabric Structure)는 특수하게 제작된 페브릭(Fabric)에 텐션(Tension)을 주어 곡선을 아름답게 만들고 금속재를 구조물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기하학적 모양의 경량구조물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정형화된 건축디지인에서 탈피하여 다채롭고 새로운 실적 디자인 창출과 그 적용을 가능하게 해주므로 시각적으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으로 비용이 저렴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텐션드 페브릭 스트락쳐(T.F.S : Tensioned Fabric Structure)는 일정하게 정해진 규격으로 제공됨으로서 각각의 상하부트러스트를 조립한 후, 복수의 상하부트러스트를 연결해서 설치할 경우 바닥의 일부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는 높낮이가 맞지 않아 다시 분해해서 재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강한 바람 또는 적설등 외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트러스트의 연결부위가 뒤틀어져 쉽게 구부러지고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경량이면서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조립후에도 상하부트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강한 바람 또는 적설등 외력에 강한 고강도의 대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은,
장방형의 콘크리트 바닥 측면을 따라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2베이스판과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베이스판에 결합되어 하부트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원통형 프레임과,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상부트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2각형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1·2베이스판, 원통형 프레임, 제1·2각형 프레임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연결되어 탄력성있게 유지하는 판형 프레임과,
호형구조로 이루어져, 하단부는 원통형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상부트러스트와 연결되는 제1·2하부트러스트와,
일자구조로 이루어져, 하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제1·2하부트러스트와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두개의 상부트러스트가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3·4상부트러스트와,
상기 복수의 제1·2하부트러스트 및 제3·4상부트러스트를 상호 연결하여 탄력성 있게 지지하는 연결보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조립식구조물을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조립식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2베이스판(10,20), 원통형 프레임(30), 제1·2각형 프레임(40,50), 판형 프레임(60), 제1·2하부트러스트(70,80), 제3·4상부트러스트(90,100), 연결보조부재(110)로 구성된다.
제1베이스판(10)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관통홈(11)이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판형 프레임(60)이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12)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전단 일측에 원통형 프레임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두개의 안내판(1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전단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안내판과 대응되어 후단 일측에 두개의 안내판(1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13)은 상단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나사홈(13b)이 형성되고, 일측에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13a,1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된다.
제2베이스판(20)은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판형 프레임(60)이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22)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중앙에 제1각형 프레임(40)이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체결되도록 삽입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삽입부의 상단부에는 제1각형 프레임(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구(40a)가 연결된 후 안전하게 체 결되도록 관통홈(23a)이 측면 일측으로 형성되어 이음볼트(24)와 너트(24-1)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관통홈(23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체결수단은 상기와 같이 이음볼트(24)와 너트(24-1)로 이루어진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하거나, 핀고정 방식으로 구성할수가 있다.
원통형 프레임(3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제1베이스판(10)의 안내판(13)에 형성된 홈과 맞물리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홈(31)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홈(31)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홈(32)이 형성되어 제1·2하부트러스트(70,8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이음볼트(71,81)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면서 체결된다.
제1각형프레임(4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제2베이스판(20)의 삽입부(23)가 슬라이드되도록 안내레일홈(41)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안내레일홈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나사홈(42)이 형성된다.
제2각형프레임(5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제1각형프레임(40)의 안내레일홈(41)과 나사홈(42)에 볼트(50a)와 너트(51b)를 통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홈(51)이 형성되고, 그 나사홈(51)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홈(52)이 형성되어 제1각형프레임의 나사홈(42)과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일측에 판형프레임(60)과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받침부(53)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제1·2하부트러스트(70,80)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를 지지하면서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부의 돌출부(54)와, 상기 제1·2하부트러스트(70,80) 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의 측면하단일측에 형성된 나사홈(74,94)이 연결되는 체결수단은 이음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하거나, 핀고정 방식으로 구성할수가 있다.
판형프레임(60)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2베이스판(10,20)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연결되어 탄력성있게 유지되도록 상하단부 일측에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61)가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하부트러스트 (70,80)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복수개로 연결되도록 상하단부 일측에 나사홈(62)이 형성되어 볼트(62a)와 너트(62b)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제1·2각형프레임(40,50) 및 판형프레임(60)을 통해 조립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탄력성 있게 지지됨으로서, 실내공간의 중 간기둥을 세우지 아니하고도 대형의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다음은 제1·2하부트러스트 (70,80) 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의 구조를 기술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하부트러스트(70) 및 제3상부트러스트(90)의 구조만을 기술한다.
제1하부트러스트(7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원통형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홈(7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복수개의 관통홈(72a)이 형성된 연결판(73)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연결판(72) 일측에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이 삽입되어 트러스트 내부측면 둘레에 탄력성있게 고정와이어(200)가 연결되도록 아이볼트(73a)와 아이너트(73b)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하단일측에 가로방향의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61)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나사홈(7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하부트러스트(70)는 내측에 마련되는 제1·2아치바(75,76)에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하여 소정곡률의 호형구조를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텐션바(77)가 설치되어 고강도를 유지하며 연결된다.
한편, 제2하부트러스트의 구조는 상기 제1하부트러트스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제3상부트러스트(9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복수개의 관통홈(92a)이 형성된 연결판(92)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1연결보조판(400)을 통해 제1·2하단트러스트(70,80)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제2연결보조판(500), 보강판(600)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91a)이 형성된 연결판(91)이 일체로 형성되며, 측면 하단일측에 가로방향의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61)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나사홈(9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연결판 일측에 트러스트 내부측면 둘레에 탄력성있게 와이어연결체(200) 및 와이어로프(200a)가 연결되도록 아이볼트(103a)와 아이너트(103b)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보조판(400)은 도11 및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의 구조로 두개가 짝을 이루며 구성되고, 제1하부트러스트 상단부의 연결판(72)과 제3상부트러스트 하단부의 연결판(92), 및 제2하부트러스트 상단부의 연결판(82)과 제4상부트러스트 하단부의 연결판(102)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102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 일측에 제1하부트러스트(70)의 제1·2아치바(75,76)와 제3상부트러스트(90)의 제1·2아치바(95,96) 및 제2하부트러스트(80)의 제1·2아치바(85,86)와 제4상부트러스트(100)의 제1·2아치바(105,106)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연결봉(45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연결보조판(400)의 상·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봉(450)을 엇갈리게 형성하여 트러스트의 아치바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한편, 제4하부트러스트의 구조는 상기 제3하부트러트스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보조판(500)은 도 12 및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상부트러스트(90)와 제4상부트러스트(100)를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탄력성있게 연결되도록 중앙을 기준으로 1~60°(a)로 절곡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3하부트러스트(90) 상단부의 연결판(91)과 제4상부트러스트(100) 하단부의 연결판(101)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501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 일측에 제3상부트러스트(90)의 제1·2아치바(95,96), 및 제4상부트러스트(100)의 제1·2아치바(105,106)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연결봉(55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보조부재(110)의 상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연결부와 각각 대응되어 연결되도록 이음판(56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550)은 양쪽이 관통된 100~300mm의 파이프로서, 제3상부트러스트(90)의 제1·2아치바(95,96), 및 제4상부트러스트(100)의 제1·2아치바(105,106)가 삽입하고 연결함으로서, 외압에 의해 제3상부트러스트(90)와 제4상부트러스트(100)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연결보조판(500)의 상·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봉(550)을 엇갈리게 형성하여 트러스트의 아치바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제3상부트러스트(90)와 제4상부트러스트(100)를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2 연결보조판(80) 일측에 복수개의 관통홈(601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보강판(600)을 덮부쳐서 연결함으로서, 강한 바람 또는 적설등 외력에 의해 연결부위가 뒤틀어져 쉽게 구부러지거나 절단되지 않아 고강도 및 탄력성을 유지할 수가 있고, 사용자가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1 및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부트러스트(70)와 제3상부트러스트(90)), 제4상부트러스트(100)와 제2하부트러스트(80)를 연결시 복수개의 관통홈(401a)이 형성된 제1연결보조판(400)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연결시킴으로서 고강도 및 탄력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연결보조부재(1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2하부트러스트 (70,80)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를 상호 연결하여 탄력성 있게 지지토록 상하단부 일측에 각각 일홈으로 형성된 두개의 연결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11)는 상기 제1·2하부트러스트(70,80) 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와 상호 연결되는 제2연결보조판의 이음부(560)와 상호 연결되어 탄력성 있게 지지되는데, 이때 연결되는 체결수단은 이음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하거나, 핀고정 방식으로 구성할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와 연결되는 연결보조부재(110)의 일측에 송풍기 및 환풍기 (300)를 설치하여 겨울철 결로현상 및 여름철 막 시설물안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일측에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미세먼지를 흡입·배출시키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및 환풍기(300)의 형상은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조립식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장방형의 콘크리트 바닥 측면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제1·2베이스판(10,20)을 설치한다.
이때, 제1베이스판(10)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제1·2하부트러스트와 연결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제2베이스판(20)은 제1·2하부트러스트와 연결된 부위를 세로방향으로 탄력성을 있게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1베이스판(10)에 형성된 두개의 안내판(13)를 따라 두개의 원통형 프레임(30)을 삽입하고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한다.
그리고, 제2베이스판(20)에 형성된 삽입부(23)를 따라 제1각형프레임(40)을 삽입하고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한다.
다음으로, 제1하부트러스트(70)와 제3상부트러스트(90), 제2하부트러스트(80)와 제4상부트러스트(10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제1,2아치바를 제1연결 보조판의 연결봉에 삽입한 뒤, 연결판(72,82,91,92,101,102)을 제1연결보조판(400)의 연결봉(450)에 삽입한 뒤 덮부쳐서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한다.
이렇게 연결된 제1하부트러스트(70)/제3상부트러스트(90)와, 제2하부트러스(80)트/제4상부트러스트(100)를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1차로 제2연결보조판(500)의 연결봉(550)에 삽입한 뒤, 2차로 제3상부트러스트의 연결판(91)과 제4상부트러스트의 연결판(101)를 덮부쳐서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한 후, 3차로 삼각형상의 보강판(600)을 덮부쳐서 체결한다.
다음으로, 복수개의 제2연결보조판(500)과 보강판(600)을 통해
Figure 112005018585859-pat00001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하부트러스트(제1·2하부트러스트, 제3·4상부트러스트)를 대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베이스판(10)의 원통형프레임(30)에 삽입하여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한다.
다음으로, 제2베이스판(20)에 형성된 제1각형프레임(30) 상단부쪽으로 제2각형프레임(40)을 삽입하여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하고, 그 제2각형프레임(4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54)를
Figure 112005018585859-pat00002
형상의 상하부트러스트 측면 일측에 형성된 나사홈(74)과 연결하여 세로방향으로 탄력성 있게 지지하고, 제2각형프레임(50) 일측면에 형성된 받침부(53)를 판형프레임(60)과 연결하여 가로방향으로 탄력성 있게 지지토록 한다.
이때, 바닥의 일부면이 고르지 않아
Figure 112005018585859-pat00003
형상의 상하부트러스트 내측과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각형프레임(50)의 높낮이가 맞지 않을 경우, 1차적으로 제1베이스판(10)의 안내부(13)에 형성된 설치홈(13b)을 통해 그 안내부(13)의 설치홈(13b)에 연결되는 원형프레임(30) 나사홈(31)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2차적으로 원형프레임(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설치홈(32)을 통해 그 원형프레임의 설치홈(32)에 연결되는 제1·2하부트러스트(70,8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리고, 3차적으로 제2각형프레임(5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제1각형프레임(40)의 슬라이드부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세로방향으로 탄력성 있게 지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1·2베이스판, 원형프레임, 제1·2각형프레임을 통해 조립후,
Figure 112005018585859-pat00004
형상의 상하부트러스트를 단시간내에 10~100cm 단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Figure 112005018585859-pat00005
형상의 상하부트러스트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소정간격으로 나열한 뒤, 복수개의 연결보조부재와 고정와이어를 통해 탄력성 있게 연결하여 대형 조립식 구조물을 만들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조작이 간단하여 조립후에도,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높이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하부트러스트의 연결부위가 복수개의 연결판, 연결보조판, 보강판으로 연결됨으로서, 강한 바람 또는 적설등 외력에 강하고 탄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장방형의 콘크리트 바닥 측면을 따라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2베이스판(10,20)과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베이스판에 결합되어 하부트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원통형 프레임(30)과,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상부트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2각형 프레임(40,50)과,
    상기 복수의 제1·2베이스판, 원통형 프레임, 제1·2각형 프레임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연결되어 탄력성있게 유지하는 판형 프레임(60)과,
    호형구조로 이루어져, 하단부는 원통형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상부트러스트와 연결되는 제1·2하부트러스트(70,80)와,
    일자구조로 이루어져, 하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제1·2하부트러스트와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을 통해 두개의 상부트러스트가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와,
    상기 복수의 제1·2하부트러스트 및 제3·4상부트러스트를 상호 연결하여 탄력성 있게 지지하는 연결보조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1베이스판(10)은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관통홈(11)이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판형 프레임(60)이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12)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전단 일측에 원통형 프레임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두개의 안내판(1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전단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안내판과 대응되어 후단 일측에 두개의 안내판(13)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판(13)은 상단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나사홈(13b)이 형성되고, 일측에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13a,1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제2베이스판(20)은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판형 프레임(60)이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22)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중앙에 제1각형 프레임(40)이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체결되도록 삽입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삽입부(23)는 상단부에 제1각형 프레임(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구(40a)가 연결된 후 안전하게 체결되도록 관통홈(23a)이 측면 일측으로 형성되어 이음볼트(24)와 너트(24-1)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프레임(30)은 하단부에 제1베이스판(10)의 안내판(13)에 형성된 홈과 맞물리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홈(31)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홈(31)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홈(32)이 형성되어 제1·2하부트러스트(70,8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이음볼트(71,81)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제1각형프레임(40)은 일측면에 제2베이스판(20)의 삽입부(23)가 슬라이드되도록 안내레일홈(41)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안내레일홈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나사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제2각형프레임(50)은 하단부에 제1각형프레임(40)의 안내레일홈(41)과 나사홈(42)에 볼트(50a)와 너트(51b)를 통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홈(51)이 형성되고, 그 나사홈(51)의 (±)90°방향으로 상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홈(52)이 형성되어 제1각형프레임의 나사홈(42)과 체결되고;
    측면 일측에 판형프레임(60)과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받침부(53)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1·2하부트러스트(70,80)및 제3·4상부트러스트(90,100)를 지지하면서 연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돌출부(54)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제1하부트러스트(70)는 하단부에 원통형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홈(7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복수개의 관통홈(72a)이 형성된 연결판(73)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연결판(72) 일측에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이 삽입되어 트러스트 내부측면 둘레에 탄력성있게 고정와이어(200)가 연결되도록 아이볼트(73a)와 아이너트(73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측면 하단일측에 가로방향의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61)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나사홈 (74)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제3상부트러스트(90)는 하단부에 복수개의 관통홈(92a)이 형성된 연결판(92)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1연결보조판(400)을 통해 제1·2하단트러스트(70,80)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제2연결보조판(500), 보강판(600)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91a)이 형성된 연결판(91)이 일체로 형성되며;
    측면 하단일측에 가로방향의 판형 프레임(60) 및 제2각형 프레임(5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61)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일홈으로 형성된 나사홈(94)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연결판 일측에 트러스트 내부측면 둘레에 탄력성있게 와이어연결체(200) 및 와이어로프(200a)가 연결되도록 아이볼트(103a)와 아이너트(103b)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연결보조판(400)은 장방형의 구조로 두개가 짝을 이루어져 제1하부트러스트 상단부의 연결판(72)과 제3상부트러스트 하단부의 연결판(92), 및 제2하부트러스트 상단부의 연결판(82)과 제4상부트러스트 하단부의 연결판(102)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102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 일측에 제1하부트러스트(70)의 제1·2아치바(75,76)와 제3상부트러스트(90)의 제1·2아치바(95,96) 및 제2하부트러스트(80)의 제1·2아치바(85,86)와 제4상부트러스트(100)의 제1·2아치바(105,106)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연결봉(45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제2연결보조판(500)은 제3상부트러스트(90)와 제4상부트러스트(100)를 'ㅅ'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며 탄력성있게 연결되도록 중앙을 기준으로 1~60°(a)로 절곡되어 이루어져서 제3하부트러스트(90) 상단부의 연결판(91)과 제4상부트러스트(100) 하단부의 연결판(101)이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501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 일측에 제3상부트러스트(90)의 제1·2아치바(95,96), 및 제4상부트러스트(100)의 제1·2아치바(105,106)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연결봉(55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보조부재(110)는 복수의 제3·4상부트러스트(90,100)와 연결된 대형 조립식 구조물의 일측면에 송풍기 및 환풍기(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KR1020050029648A 2005-04-08 2005-04-08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KR10060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48A KR100605063B1 (ko) 2005-04-08 2005-04-08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48A KR100605063B1 (ko) 2005-04-08 2005-04-08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740U Division KR200387968Y1 (ko) 2005-04-08 2005-04-08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063B1 true KR100605063B1 (ko) 2006-07-28

Family

ID=3718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648A KR100605063B1 (ko) 2005-04-08 2005-04-08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1B1 (ko) * 2009-04-14 2010-03-26 (주)서울텐트 조립성과 탄력성이 개량된 tf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092A (ko) * 1990-11-19 1992-06-26 박기석 트러스 응력변형을 최소화한 구조물 설치방법
KR970007100Y1 (ko) * 1995-01-06 1997-07-16 류성춘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중벽 온실용 트러스
KR200180118Y1 (ko) 1999-11-25 2000-04-15 양충모 무기둥 조립식 비닐하우스의 구조
US6293057B1 (en) 1997-02-19 2001-09-25 Gary David Amos Hays Lightweight pre-engineered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system
KR20010103324A (ko) * 2000-05-09 2001-11-23 김종모 온실의 기초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092A (ko) * 1990-11-19 1992-06-26 박기석 트러스 응력변형을 최소화한 구조물 설치방법
KR970007100Y1 (ko) * 1995-01-06 1997-07-16 류성춘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중벽 온실용 트러스
US6293057B1 (en) 1997-02-19 2001-09-25 Gary David Amos Hays Lightweight pre-engineered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system
KR200180118Y1 (ko) 1999-11-25 2000-04-15 양충모 무기둥 조립식 비닐하우스의 구조
KR20010103324A (ko) * 2000-05-09 2001-11-23 김종모 온실의 기초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1B1 (ko) * 2009-04-14 2010-03-26 (주)서울텐트 조립성과 탄력성이 개량된 tf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056196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1167507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MX2010014321A (es) Clip sismico para junta de control de perfiles en t para enrejados.
CA2740870A1 (en) Faceted metal suspended ceiling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142230B1 (ko)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KR200387968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AU2006312798B2 (en) Connection node for a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particular for a geodesic structure
KR100605063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대형 조립식 구조물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CN110107000B (zh) 一种装配式建筑隔墙轻金属骨架
SK500262018U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954703B1 (ja) ボルト支持金具
KR101715681B1 (ko) 센터프레임에 대한 다방향 지지프레임의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보강형 막 구조물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100950091B1 (ko) 조립성과 탄력성이 개량된 tfs
WO2008000747A1 (en) Supporting frame for covering elements and clamping element used in the supporting frame
KR20130094056A (ko) 돔 구조물용 프레임 구조
KR200362896Y1 (ko) 천장판 고정장치
KR20200045266A (ko) 모듈러주택의 지붕 형성용 구조물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JP2018178708A (ja) 吊り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