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983B1 -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 Google Patents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983B1
KR100603983B1 KR1020040091108A KR20040091108A KR100603983B1 KR 100603983 B1 KR100603983 B1 KR 100603983B1 KR 1020040091108 A KR1020040091108 A KR 1020040091108A KR 20040091108 A KR20040091108 A KR 20040091108A KR 100603983 B1 KR100603983 B1 KR 10060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user
boot logo
boo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512A (ko
Inventor
송명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9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G06F11/326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for error or online/offline st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후 정상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 전원이 켜져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소자를 부가하여 온 시키고 아울러 부트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티브이 온 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여 느끼는 불안함을 제거하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시,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에서 엠펙 디코더를 리셋 시킨 후, 부팅이 수행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발광소자를 깜박이도록 점등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엠펙 디코더의 SIO(System Input/Output Unit)가 초기화되는 즉시, 그 엠펙 디코더의 내부 씨피유를 통해 플래시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부트 로고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발광소자 점등 제어와 부트 로고 디스플레이를 티브이의 부팅 완료 후 실제 방송 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부트로그, 디지털 티브이,

Description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DIGITAL TELEVISION CAPABLE OF BOOT LOGO DISPLAY}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수신기 일체형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시 부팅 과정을 보인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시 티브이 화면 출력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마이컴 102 : 엠펙 디코더
103 : 메모리 104 : 플래시메모리
105 : DDR 메모리 201 : 발광소자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내장된 일체형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후 정상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 전원이 켜져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소자를 부가하여 온 시키고 아울러 부트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티브이 온 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여 느끼는 불안함을 제거하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의 전원을 온 시키면, 티브이 세트에 전원이 공급되고 대기(Stand-by) 전원으로 마이컴(101)이 동작되면서, 마이컴은 엠펙(MPEG) 디코더(102)를 리셋 시킴과 아울러, 메모리(103)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데이터를 읽게 된다.
다음, 상기 리셋이 완료된 엠펙 디코더(102)에서는 통신할 수 있다는 준비 완료(Ready) 신호를 마이컴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은 상기 통신 준비 완료(Ready)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엠펙 디코더 내에 있는 CPU(미도시)와 통신을 시작하고, 플래시메모리(104)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용 코드가 아닌 다른 데이터로 SIO(System Input/Output Unit)를 초기화한 후, 다른 모든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부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디지털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는 티브이에서는 전원 스위치 를 누른 후 화면이 출력될 때까지 티브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10초 정도의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 스위치의 입력 시간과 최종 화면이 출력되는 시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원이 켜져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가 없어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디지털 디코더가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티브이에서 초기 화면이 출력되기까지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파워 온 절차(Power on Sequence)를 빠르게 수행하도록 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플래시메모리에 저장 해놓는 프로그램의 용량을 적게 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제품 동작에 관련된 기본 프로그램과, 차후에 서비스 발생 시 리모콘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모드 프로그램을 저장해야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용량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후 정상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 전원이 켜져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소자를 부가하여 온 시키고 아울러 부트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티브이 온 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여 느끼는 불안함을 제거하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시,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에서 엠펙 디코더를 리셋 시킨 후, 부팅이 수행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발광소자를 깜박이도록 점등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엠펙 디코더의 SIO(System Input/Output Unit)가 초기화되는 즉시, 그 엠펙 디코더의 내부 씨피유를 통해 플래시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부트 로고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발광소자 점등 제어와 부트 로고 디스플레이를 티브이의 부팅 완료 후 실제 방송 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파워 스위치가 온 되어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티브이 전면(前面)에 구비된 발광소자(LED)를 깜박이게 하고, 디지털 수신기측에 전원이 인가되면 엠펙 디코더에서 플래시메모리에 기 저장해 놓은 특정 패턴(예:로고 이미지)을 로딩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실제 방송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 아무런 정보가 표시되지 않아 답답해하던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브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1에 도 시된 기존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종래의 구성을 크게 바꾸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전원인가 후 파워 온 절차(Power on Sequence)에서 있어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에 대하여 첨부된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엠펙 디코더(102)는 마이컴(101)에 의해 리셋된 후, 초기에 자신의 내부 SIO(System Input/Output Unit)를 깨우기 위해 마이크로 코드를 필요로 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코드를 통해 엠펙 디코더 내부의 SIO 부분중에 MCU(Micro controller) 블록은 엠펙 디코더 내부의 모든 인터럽트를 막고, 로컬 버스 어드레스 라인을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핀(Pin)의 설정 상태를 리드한다.
상기 핀들의 '하이/로우' 조합에 따라 어떤 장치에서 마이크로 코드를 가져올 것인지 결정하게 되는데, 정의에 의해 모두 '하이'일 경우 플래시메모리(104)를 액세스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플래시메모리(104)에는 마이크로 코드와 실제 응용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마이크로 코드가 SIO를 동작시킨 후에야 엠펙 디코더의 CPU 리셋이 풀리면서 CPU(미도시)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때, 기존에 기억시킨 일정 패턴(예 : 회사 로고 또는 광고, 이하, 부트 로고로 칭함)을 불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부트 로고는 정상적인 방송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만 출력하고 사라지게 하는데, 티브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파워 온 시 약 4초 정도 부트 로고 를 항상 표시하게 된다. 이로써, 전체 약 10초 정도의 파워 온 후 무화면 출력 구간의 후반 4초 정도를 부트 로고가 출력되게 하여, 무화면 출력 구간을 6초 정도로 단축하였다.
그러나, 상기 6초라는 시간도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와 비교해볼 때 매우 긴 시간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시간 동안에 도2의 LED(201)를 깜박이도록 점등함으로써, 전원이 온되어 부팅되고 있는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트 로고는 티브이 제작 단계에서 플래시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지만, 프로그램 수정에 의해 서비스 모드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플래시메모리의 사용자 영역에 저장해 두고, 그 이미지를 부트 로고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참고로, 상기 부트 로고가 표시되는 중에도 마이컴과 엠펙 디코더간에는 약속된 접속규격에 따라 SPI 통신 또는 UART 통신을 통해서 비디오 정보(사용자 제어, 비디오 모드, 컬러 모드 등), 오디오 모드(EQ, 볼륨, 음성다중 모드), 타이머 모드, 공장 조정 모드, 서비스 모드 등의 정보를 교환한 후 실제 방송 수신 화면을 디코딩하여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파워 온 시 부팅 과정을 보인 타이밍도로서,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된 후('하이'로 상태 천이), 소정 시간후에 마이컴에서 엠펙 디코더를 리셋 시킴으로써, 혹시 있을지 모를 엠펙 디코더의 에러를 방지한다.
이때, 마이컴은 LED를 깜박이도록 점등하여 부팅이 수행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리셋이 완료된 엠펙 디코더(102)에서는 통신할 수 있다는 준비 완료(Ready) 신호를 마이컴에 출력하여, 마이컴과 엠펙 디코더 내의 CPU(미도시)와 통신을 시작한 후, SIO(System Input/Output Unit)가 초기화시킨다.
상기 SIO의 초기화가 완료되는 엠펙 디코더의 내부 CPU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부트 로고를 소정시간 표시하게 되고, 각종 정보 교환한 후 실제 방송 수신 화면을 디코딩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는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후 정상 화면이 출력되기 전까지, 전원이 켜져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파워 온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소자를 부가하여 온 시키고 아울러 부트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티브이 온 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여 느끼는 불안함을 제거하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파워 온 시,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에서 엠펙 디코더를 리셋 시킨 후, 부팅이 수행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발광소자를 깜박이도록 점등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엠펙 디코더의 SIO(System Input/Output Unit)가 초기화되는 즉시, 그 엠펙 디코더의 내부 씨피유를 통해 플래시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부트 로고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발광소자 점등 제어와 부트 로고 디스플레이를 티브이의 부팅 완료 후 실제 방송 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계속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며, 사용자의 눈에 쉽게 보일 수 있는 티브이 세트의 전면(前面)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로고는 티브이 제작 단계에서 플래시메모리에 기 저장해둔 회사 로고나 광고 같은 소정 패턴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로고는 플래시메모리의 사용자 영역에 사용자 개인의 이미지를 저장해 두고, 서비스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부트 로고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KR1020040091108A 2004-11-09 2004-11-09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KR10060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08A KR100603983B1 (ko) 2004-11-09 2004-11-09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08A KR100603983B1 (ko) 2004-11-09 2004-11-09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12A KR20060042512A (ko) 2006-05-15
KR100603983B1 true KR100603983B1 (ko) 2006-07-24

Family

ID=3714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108A KR100603983B1 (ko) 2004-11-09 2004-11-09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12B1 (ko) * 2006-02-15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부팅 시간 단축방법
KR100894993B1 (ko) * 2007-02-22 200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트로고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N103702166A (zh) * 2013-12-02 2014-04-02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开机图标的显示方法及智能电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48A (ko) * 1995-07-26 1997-02-24 김광호 기업 홍보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
KR19980062643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텔레비젼의 초기화면 표시방법
KR19990024903A (ko) * 1997-09-09 1999-04-06 윤종용 컴퓨터의 로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8975A (ko) * 1997-11-08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고변경 장치 및그 방법
KR20000020190A (ko) * 1998-09-18 2000-04-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시스템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48A (ko) * 1995-07-26 1997-02-24 김광호 기업 홍보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
KR19980062643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텔레비젼의 초기화면 표시방법
KR19990024903A (ko) * 1997-09-09 1999-04-06 윤종용 컴퓨터의 로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8975A (ko) * 1997-11-08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고변경 장치 및그 방법
KR20000020190A (ko) * 1998-09-18 2000-04-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시스템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12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2093B1 (ja) 表示装置及びイルミネーション制御方法
JP5132274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0574389C (zh) 一种具有数码相框功能的数字电视的实现方法
CN101976170A (zh) 一种多媒体终端开机界面的显示方法及其装置
US7937598B2 (en) Method for operating TV tuner card
US20090150928A1 (en) Video apparatus with picture/text messaging function
KR100603983B1 (ko) 부트 로고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US200701393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capable of automatically turning off a backlight source and method therefor
US96027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795369B (zh) 电视设备的宣传标注
JP2003202851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10122222A1 (en) Active display standby mode system and method
JP200812935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06379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1164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US20040150756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2007251776A (ja) Tvおよびtv用データ転送制御方法
JP2005189364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940272B2 (ja) 表示装置及びイルミネーション制御方法
JP4675185B2 (ja) 電子機器
KR100576235B1 (ko) 디지털 티브이
JP6641555B2 (ja) システム起動回路、電気機器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CN117201849A (zh) 开机启动方法及电子设备
JP2002157169A (ja) Eepromアクセス装置、不揮発性メモリアクセス装置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アクセス方法
JP2010166172A (ja) 表示装置及びイルミネーショ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