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853B1 -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853B1
KR100602853B1 KR1019997011648A KR19997011648A KR100602853B1 KR 100602853 B1 KR100602853 B1 KR 100602853B1 KR 1019997011648 A KR1019997011648 A KR 1019997011648A KR 19997011648 A KR19997011648 A KR 19997011648A KR 100602853 B1 KR100602853 B1 KR 10060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dy current
current brake
braking
gbb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638A (ko
Inventor
자움베버르엑카르트
렘만헨리
그라우트슈턱하인리치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1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61H7/06Skids
    • B61H7/08Skid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B61H7/083Skid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working with eddy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61H7/06Skids
    • B61H7/08Skid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궤도 차량에 장착된 와전류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의 속도(V)를 탐지하는 단계와, 적어도 주행 속도에 의존하여 와전류 브레이크에 의한 운전 제동의 한계 온도(GBB)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한계 온도에 도달될 때에 운전 제동을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운전 제동을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METHOD FOR CONTROLLING AN EDDY-CURRENT BRAKE, CONTROL DEVICE FOR EDDY-CURRENT BRAKE, AND EDDY-CURRENT BRAKE}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여 와전류 브레이크, 특히 궤도 차량에 있는 와전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와전류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에서의 논의의 대상이 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모가 전혀 없고 노면 점착의 중요성과는 상관이 없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현대적인 차륜/레일 기술에서는 그러한 형식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노면 점착의 중요성과는 상관이 없는 비접촉식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는 매우 효과적인 급제동 및 상용 제동(service brake)에 사용된다. 그러한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는 다수의 극 코어(pole core)를 구비한 강철 요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 스풀은 브레이크를 자기적으로 여기시켜 교대로 자기 N극 및 S극을 생성한다. 와전류 브레이크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시간에 따른 전기 공급의 변동으로 인해 전압 및 와전류가 발생된다. 그러한 와전류의 2차 자계는 브레이크의 자계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향한다. 그로부터 주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작용하는 힘 성분, 즉 제동력이 생기게 된다.
와전류 브레이크에서는 전류 여기에 의해 전술한 N극 및 S극을 생성하는 극 코어가 빔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된다. 그러한 빔은 작동 상태에서 보기 대차의 차륜 쌍 베어링 하우징 상에 지지되고, 그에 의해 레일의 상측 연부에 대해 5 내지 7 ㎜의 간극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구성에 관해서는 다음의 문헌들을 참조하면 된다:
- 궤도 차량용 브레이크, 브레이크 기술 용어 및 의의 핸드 북, Knorr-Bremse AG Munchen, 1990
- Dr. Wolfgang Schlosser "혁신적인 차량 개념의 통합 구성 부품으로서의 신규 브레이크 시스템", ZEV + DET Glasers 연보, 제2/3호 1997, 제121-128면
- DE 196 18 903 C2
- Saumweber, E., Krofer, U., Berndt, P. J.: "궤도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 University of York에서 개최된 철도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국제 회의 행사 중의 연설, 1997. 9. 26-27
- Saumweber, E., Gerun, E., Berndt, P. J.: "궤도 차량 브레이크의 기초", AET Archiv fur Eisenbahntechnik 43, Hestra-Verlag, 1990
- Hendrichs, W.: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실험 - 기계적 변량의 측정", ZEV Glasers 연보 109 (1985), 제9호 (제375-381면)
- Hendrichs, W.: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실험 - 전기 부품", EB 83 (1985), 제10호
- Hendrichs, W.: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열 거동", EB 84 (1986), 제5호
- Dobler, R.: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 - 독일 연방 철도에서의 시험 사용으로부터의 통찰", ETR 37 (1988), 제1/2호
- Kroger, U.: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원리, 전개 및 제작", ZEV Glasers 연보 109 (1985), 제9호
- Kroger, U.: "ICE의 브레이크 장치", ETR 38 (1989), 제9호
- Hendrichs, W.: "고속 ICE-Vaus의 브레이크 기술 실험", ETR 37 (1989), 제1/2호
- Schlosser, W.: "독일 국영 철도 고속 'ICE' 객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공압 브레이크 협회, 제79회 연간 기술 회의, 시카고 1987
- Cauwel, Ph., Frechede, L.: "푸코 전류 브레이크", 철도의 일반적인 검사, 10 (1996), 제5면
- van Oostveen, H., Siezen, R.: "영구 자석 궤도 브레이크의 실무 경험", ZEV + DET Glasers 연보 121 (1997), 제12호 (제613-617면)
전술된 문헌에 개시된 내용은 전반적으로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전기 와전류 브레이크, 소위 "EWB"의 일 실시예는 2년 전부터 프랑스 국영 철도의 TGV 동력 헤드에 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와전류 브레이크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 지지대가 스풀용 자기 쇼트를 형성하는 동시에 기동 견인력(starting tractive power)을 지지 암에 의해 차축 베어링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한다. 레일을 따라 평행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일체형 지지대와 함께 강성의 브레이크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궤간 유지기가 마련된다. 제동력 은 양쪽에 조인트식으로 장착된 제동력 지지대를 경유하여 보기 대차에 전달된다.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4개의 공기 벨로우즈가 압축 공기에 의해 브레이크 프레임을 높은 위치로 유지한다. 제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프레임이 차축 베어링 상으로 하강하는데, 그 경우에 여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와 레일과의 사이에 7 ㎜의 간극이 설정된다.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은 간극이 일정하고 여기 전류도 일정할 경우에는 높은 속도 대역 전체에 걸쳐 이상적인 일정한 경과 추이를 나타내고, 속도가 50 ㎞/h 미만이 되어야 비로소 저하된다. 그 반면에, 기동 견인력은 속도가 떨어질수록 점차 증대된다. 따라서, 일체형 지지대의 강성이 유한함으로 인해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다. 즉, 일체형 지지대에 매우 높은 기계적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레일과의 접촉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속도가 떨어짐에 따라 200 내지 100 ㎞/h의 속도 대역에서 지속적으로 벨로우즈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사용 가능성은 제동 시에 특히 여기 스풀에서 발생되는 온도 상승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즉,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를 급제동 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제동에 대비한 소위 온도 여유를 상시적으로 미리 유지해 두어야 한다. 즉, 상용 제동으로 인해 가열되는 온도를 상용 제동 시스템의 한계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술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 일정한 온도 미만으로 항상 유지시키는 정도의 제동력만으로 상용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온도 여유를 미리 유지해 두는 것에 기인하여, 전술한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무엇보다도 고속에서 단지 불충분하게만 상용 제동에 사용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는 속도 대역 전체에 걸쳐 최적으로 상용 제동에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한 목적은 적어도 차량 속도에 의존하여 와전류 브레이크를 제어 또는 조정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라 와전류 브레이크에 대해 미리 결정된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한계 온도에 도달될 때에 상용 제동을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상용 제동을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낮춤으로써 달성된다.
상용 제동이 순차적으로 여러 번 이루어질 때에 온도 상승이 단지 서서히만 해소된다는 것을 감안하여,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를 각각의 상용 제동 전에 및/또는 각각의 상용 제동 중에 새로이 산출하여 새로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가 속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속도의 감소 시에는 한계 온도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상용 제동 시에 상승된 제동력 및/또는 제동 시간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후의 시점에 현저히 높아지는 차량 속도도 역시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하려는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에 대한 종속 파라미터인 차량 속도 이외에도 차축 간격, 온도 구배 및 외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한 제어/조정 장치는 주행 속도를 탐지하는 수단, 제동 요구를 탐지하는 수단, 제동 요구에 의해 생긴 온도 상승을 탐지하는 수단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조정 장치는 주행 속도에 의존하여 제어 장치에 한계 온도가 설정되고, 상용 제동에 의해 생긴 온도 상승으로 인해 한계 온도에 도달될 때에 제어 장치가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및 제어/조정 장치 이외에도 적어도 궤도 차량의 속도에 의존하여 극 코어를 통한 자속을 한정하거나 단절시키는 제어/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매우 콤팩트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조정 장치가 와전류 브레이크에 직접 통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사이리스터와 같은 전력 반도체 소자로 형성되는 전류 제어기가 제어 또는 조정 장치로서 마련될 수 있다. 전류 제어기는 실제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회로와, 전류 세기를 예컨대 한계 온도에 의존하여 미리 주어진 목표치로 제어하는 폐쇄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속도에 따른 전기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 및 출발 견인력의 이론적 경과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속도에 따른 제동력, 기동 견인력 및 간극의 측정된 경과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속도에 따른 벨로우즈 압력 및 여기 전류의 경과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시간에 따른 상용 제동 시의 온도 경과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주행 속도에 따른 급제동에 필요한 온도 여유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속도에 따른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간극 및 여기 전류가 일정할 때의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 및 기동 견인력의 이론적 특성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실험적 방법에서 측정된 경과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은 높은 속도 대역 전체에 걸쳐 이상적인 일정한 경과 추이를 나타내고, 속도가 50 ㎞/h 미만이 되어야 비로소 저하된다. 그 반면에, 기동 견인력은 속도가 떨어질수록 점차 증대된다. 따라서, 일체형 지지대의 강성이 유한함으로 인해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즉, 일체형 지지대에 매우 높은 기계적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레일과의 접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가 떨어짐에 따라 200 내지 100 ㎞/h의 속도 대역에서 지속적으로 벨로우즈 압력(P_WB)을 형성하고, 100 ㎞/h 미만에서 여기 전류(I_WB)를 약간 낮추게 된다. 그에 의해, 일체형 지지대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전체 속도 대역에서 간극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실현된다.
도 4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용 제동의 온도 경과 추이(1)가 도시되어 있다.
그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개시한 후에 레일에서의 와전류로 인해 온도가 상승된다. 그러한 온도 상승은 도면 부호 "3"으로 지시되어 있다. 미리 주어진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에 도달하면,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이 정지되어 온도가 "5"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한계 온도(TGBB)로 지속되다가 "7"의 대역에서 다시 제동 이전의 값으로 떨어진다. 상용 제동 시의 한계 온도에 도달한 후에 급제동이 개시되면, 온도는 도시된 온도 여유(TRes)만큼 상승하여 급제동의 한계 온도(TGr)로 되는데, 그러한 급제동의 한계 온도는 브레이크의 기술적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상용 제동의 한계치가 상수로서 고정적으로 미리 제공된다. R =U/I(저항 = 전압/전류)의 관계에 의거하여 일정한 전압 수준 또는 온도 수준에 도달하는 즉시, 상용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의 작동이 정지되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제동에 필요한 예비 온도(TRes)는 속도가 상승할수록 함수 "20"을 따라 급격히 커진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모든 속도에서 충분한 온도 여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TGBB"를 최대 주행 속도에 맞춰 설정해야만 한다. 즉, 낮은 주행 속도에서는 한계 온도(TGBB)가 매우 큰 온도 여유(TRes)로 인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출력 능력이 단지 불충분하게만 활용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치의 "TGBB" 대신에 속도에 의존하는 "TGBB"의 값이 미리 주어진다.
낮은 속도에서는 급제동을 위해 비축해야 하는 온도 예비분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용 제동의 한계치(TGBB)는 50 ㎞/h에서 예컨대 195℃에 이르고,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속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하락하여 예컨대 350 ㎞/h의 속도에서 TGBB = 100℃로 떨어진다.
예컨대 개시된 내용이 전반적으로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전술한 Dr. Wolfgang Schlosser의 "혁신적인 차량 개념의 통합 구성 부품으로서의 신규 브레이크 시스템", ZEV + DET GLASERS 연보, 제2-3호, 1997, 제128면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형 와전류 시스템은 50 ㎞/h 이상의 속도일 때에 비로소 사용된다. 그 이유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속도에서는 기동 견인력이 수직적으로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지 빔 및 보기 대차를 불필요하게 높은 기동 견인력에 맞춰 설계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낮은 속도에서는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를 속도의 1차 함수로서 미리 설정하는 것과 함께 다른 상관 변량을 감안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다른 상관 변량으로는 예컨대 차축 간격, 온도 구배 및 외기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성 곡선 "f(v)"는 그러한 상관 변량에 상응하여 비선형으로 연장되거나 해칭선으로 도시된 구역(1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성 곡선 "f(v)"가 비선형으로 연장될 경우, 함수 "f(v)"는 적어도 상당한 속도 대역에 걸쳐 음의 기울기를 갖는 부분을 나타낸다.
다음의 n차 다항식이 비선형 특성 곡선의 특히 바람직한 함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수학식 1]
f(v) = a + bv + cv2 + …
수학식 1의 함수에서 파라미터 a, b, c를 다음의 특성 중에서 선택된 특성에 의존하여 산출할 수 있다:
- 열차의 가속 능력
- 브레이크의 온도 거동(가열, 냉각)
- 급제동 시의 감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조정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라인(112)을 경유하여 주행 속도 센서(114)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1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행 속도 센서(114)는 궤도 차량의 보기 대차(118)의 차륜(116)에 배치된 회전 속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한 주행 속도 센서(114)에 의해 주행 속도 신호가 제어 장치(110)에 전달된다. 그러한 주행 속도에 의존하여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가 설정된다. 이제 상용 제동이 요구되면,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전류 전원 장치(122)에 의해 전류가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120)의 자계를 여기시키는 스풀에 공급된다.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에 도달된 것이 확인되면, 전류 공급이 단절된다. 즉,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이 정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대신에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를 여기시키는 스풀의 전류 세기를 제어하는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러한 조치는 특히 미리 주어진 상용 제동의 온도 한계(TGBB)가 초과되지 않도록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상시 제어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제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예컨대 폐쇄 제어 회로에 의해 또는 구배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제어 장치(ASG) 및 브레이크 제어 장치(BSG)에서 전기 와전류 브레이크(EWB)의 작동에 필요한 조정 및 제어 기능과 진단이 실시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다기능 차량 버스(MVB)를 경유하여 정보가 교환되어 그에 상응하게 최종 제어 요소(전류, 압력)가 제어된다. "ASG" 및 "BSG"에서는 스풀 온도의 모사 및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의해, 상용 제동이 빈번한 경우에도 속도에 의존하는 한계 온도에 도달될 때에 본 발명에 따라 상용 제동을 위한 "EWB"의 제동력이 감소됨으로써 "EWB" 자체가 한번 이상의 급제동에 가용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즉, 본 발명은 운전 제동의 온도 한계(TGBB)를 주행 속도의 함수로서 설정함으로써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의 출력 능력을 종래에 비해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와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가 최초로 제공하고 있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온도 경과 추이
3 : 온도 상승부
5 : 일정한 온도 구역
7 : 온도 하강부
20 : 함수 "TRes(v)"
100 : 특성 곡선 구역
110 : 제어 장치
112 : 제어 라인
114 : 주행 속도 센서
116 : 차륜
118 : 보기 대차
120 : 선형 와전류 브레이크
122 : 전류 전원 장치
TGBB : 운전 제동의 한계 온도
TRes : 온도 예비분
TGr : 기술적 조건에 의해 급제동 시에 도달되어도 무방한 것으로 결정된 한계 온도

Claims (12)

  1. 궤도 차량에 있는 것과 같은 와전류 브레이크(120)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1.1) 차량의 속도를 탐지하는 단계와;
    1.2) 와전류 브레이크에 의한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를 적어도 주행 속도의 함수로서 설정하는 단계와;
    1.3) 설정 한계 온도(TGBB)에 도달한 때에 상용 제동을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를 차단하거나 경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는 각 상용 제동 전에 또는 상용 제동 중에 검출되고 새로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는 외기 온도와 주행 구간의 최대 허용 속도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온도(TGBB)를 결정하는 함수는 다항식 또는 1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속도 대역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음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6. 삭제
  7.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114), 제동 요구를 검출하는 수단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는 제어 장치(110)에서 주행 속도의 함수로서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동 요구에 의해 생긴 온도 상승으로 인해 한계 온도(TGBB)에 도달한 때에 와전류 브레이크를 차단하거나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동 요구에 의해 생긴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9. 레일 헤드의 상부에서 궤도 차량에 배치되고, 다수의 극 코어 및 이들 극 코어와 레일 헤드를 통한 자속을 여기시키기 위한 스풀을 구비하는 와전류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브레이크(120)는 자속을 적어도 속도에 따라서 특정된 상용 제동의 한계 온도(TGBB)의 함수로서 변경하거나 단절시키는 제어 장치(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장치는 열차측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력 반도체 전자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전류 세기 또는 평균 전류 세기를 폐쇄 제어 회로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브레이크.
KR1019997011648A 1998-04-17 1999-04-15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 KR100602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7233.8 1998-04-17
DE19817233A DE19817233C1 (de) 1998-04-17 1998-04-17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r Wirbelstrombremse
PCT/EP1999/002537 WO1999054184A1 (de) 1998-04-17 1999-04-15 Verfahren zur steuerung oder regelung einer wirbelstrom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638A KR20010013638A (ko) 2001-02-26
KR100602853B1 true KR100602853B1 (ko) 2006-07-20

Family

ID=786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648A KR100602853B1 (ko) 1998-04-17 1999-04-15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88206B1 (ko)
JP (1) JP4444379B2 (ko)
KR (1) KR100602853B1 (ko)
AT (1) ATE249354T1 (ko)
AU (1) AU3817099A (ko)
DE (2) DE19817233C1 (ko)
WO (1) WO1999054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7962B1 (de) * 2000-08-01 2004-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Überwachen des Zustands einer Wirbelstrombremse an einem Schienenfahrzeug
DE10049678B4 (de) * 2000-10-07 2006-06-14 Siemens Ag Scheibentemperatur-optimiertes Bremsmanagement eines Schienenfahrzeuges
US8727078B2 (en) 2004-05-28 2014-05-20 Velocity Magnetics, Inc. Selectively incrementally actuated linear eddy current braking system
DE102007034799A1 (de) * 2007-07-23 2009-02-05 Siemens Ag Verfahren zum statischen Überprüfen eines Bremssystems eines Fahrzeugs
DE102012013520A1 (de) 2012-07-06 2014-01-09 Knorr-Brems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Magnetschienenbremsvorrichtung eines Schienenfahrzeugs
CN114043876B (zh) * 2021-11-09 2024-01-26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基于涡流制动的列车制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5781B2 (de) * 1970-07-18 1974-08-29 Max 5060 Bensberg Baermann Wirbelstrom- und Hysteresebremse für Schienenfahrzeuge
FR2699344B1 (fr) * 1992-12-15 1995-03-10 Labavia Equipement de ralentissement à courants de Foucault.
DE19503365C2 (de) * 1995-02-02 2000-11-02 Knorr Bremse Systeme Lineare Wirbelstrombrems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linearen Wirbelstrombremse
DE29506374U1 (de) * 1995-04-13 1996-10-02 Funex Ag Belustigungsvorrichtung
DE19618903C2 (de) 1996-05-10 1998-03-19 Knorr Bremse Systeme Magnetische Bremse, insbesondere lineare Wirbelstrom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05637A (ja) 2002-02-19
KR20010013638A (ko) 2001-02-26
EP0988206A1 (de) 2000-03-29
JP4444379B2 (ja) 2010-03-31
ATE249354T1 (de) 2003-09-15
WO1999054184A1 (de) 1999-10-28
EP0988206B1 (de) 2003-09-10
DE19817233C1 (de) 2000-01-05
DE59906932D1 (de) 2003-10-16
AU3817099A (en) 199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564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track-bound vehicle
US9616770B2 (en) Electric vehicle drive apparatus, method of driving an electric vehicle, and program
CN114734826B (zh) 一种永磁电动悬浮系统及其导向方法
KR20030017991A (ko) 회생 브레이크
KR100602853B1 (ko) 와전류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와전류 브레이크용 제어 장치 및 와전류 브레이크
EP2070759B1 (en) Vehicle traction control system
TW201921207A (zh) 剎車控制系統
US3881578A (en) Apparatus for braking railway vehicles
JP2000041304A (ja) 磁気浮上式鉄道の軌道装置
GB2037507A (e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for a transit vehicle
JP3383114B2 (ja) 磁気浮上式鉄道車両用台車制御装置
US3653329A (en) Electromagnetic traction increasing assembly
JP2005261095A (ja) 鉄道車両制御方法
JP2957110B2 (ja) 磁気浮上走行システムにおける磁気レールの取付機構
JP4955493B2 (ja) 車両走行制御システム
KR20120072501A (ko) 철도차량용 견인 및 제동 보조장치
JPH04501950A (ja) 磁気鉄道輸送システム
Sone et al. An innovative trac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braking
JP3265154B2 (ja) 鉄道車両の軌間可変台車及び軌間変更装置
KR10027870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제동장치
CN105073482A (zh) 具有纵向轮组的轨道车辆的不对称的驱动
JPH05139309A (ja) ハイブリツドブレーキ装置
SU9430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тормозной силы электро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SU248747A1 (ru) ТЯГОВ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с ТОРМОЖЕНИЕМ ПА ЗАДАППОМ УЧАСТКЕ ПУТИ
JPS5889005A (ja) 列車自動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