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79B1 -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79B1
KR100602279B1 KR1020030072126A KR20030072126A KR100602279B1 KR 100602279 B1 KR100602279 B1 KR 100602279B1 KR 1020030072126 A KR1020030072126 A KR 1020030072126A KR 20030072126 A KR20030072126 A KR 20030072126A KR 100602279 B1 KR100602279 B1 KR 10060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waveguide
electromagnetic waves
microwave ove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438A (ko
Inventor
이상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79B1/ko
Priority to PCT/KR2004/002635 priority patent/WO2005038349A1/en
Priority to US10/575,857 priority patent/US7820953B2/en
Priority to EP04793497.1A priority patent/EP1680621B1/en
Priority to AU2004282483A priority patent/AU2004282483B2/en
Publication of KR2005003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05B6/745Rotatable stirr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파관을 통해 케비티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는, 일측에 스크류홈(110a)이 형성되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110)과, 상기 도파관(110)에 의해 안내된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스티러팬(130)이 내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파에 의해 투입된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의 케비티(100)에 있어서; 상기 케비티(100)에는, 케비티(100)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유로가 좁아지지 않아 전자파가 원활하게 흐르게 됨은 물론 전자파 집중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케비티, 도파관, 전자파집중방지홈

Description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A structure of Upper-plate of Cavity for Microwave oven}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을 보인 부분단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비티의 상면이 그을린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 외면을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3: 마그네트론 33a: 안테나
100: 케비티 110: 도파관
110a: 스크류홈 130: 스티러팬
200: 전자파집중방지홈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파관을 통해 케비티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에서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전자파를 음식물 등의 피 가열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소형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가정용 전자레인지와, 대형 또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상업용 전자레인지로 구분된다.
또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 가정용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회전하는 글라스 트레이방식이 일반적이며,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주사되는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스티러팬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사용 빈도가 많은 편의점이나, 짧은 시간안에 음식물을 조리해야 하는 음식점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업용 전자레인지(이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비티의 상면이 그을린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Out Case)와, 케비티(Cabity 20)와, 전장실(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비티(2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40) 가 포함된다.
아웃케이스는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그 내부에 설치되는 케비티(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스는 소정의 강도를 지닌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아웃케이스는 케비티(20)를 중심으로 설치되는데, 케비티(20)의 상면과 양측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 11)와, 하면을 보호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3), 케비티(3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Front Plate 15), 그리고 케비티(30)의 배면을 보호하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 17)로 구성된다.
상기 케비티(20)는 실질적으로 음식물등의 조리물이 조리되는 공간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박스로 구성된다. 즉 개구된 전방을 통해 음식물이 투입되며, 조리 완료된 음식물이 취출된다.
상기 케비티(20)의 상방, 즉 외측 상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전자파를 케비티(20) 내부로 안내하는 도파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파관(21)의 일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스티러팬을 구동시키는 동기모타(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파관(21)은 케비티(20)의 외측 상면뿐 아니라, 외측 하면에도 설치된다. 따라서 케비티(20)의 상하면에 도파관(21)이 각각 설치되면, 케비티 (20)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는 상방으로부터 하방,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주사된다.
상기 전장실(30)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 우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케비티(20)를 구동하는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장실(30) 내부에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31)와 마그네트론 (Magnetron 33), 블로워팬(Blower Fan 35), 캐패시터(Capacitor 37)등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장실(30) 내부, 즉 트랜스포머(31)와 블로워팬(35) 사이에는 베리어(3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포머(31)와 블로워팬(35), 캐패시터(37), 베리어(39)는 서브플레이트(S)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플레이트(S)는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 특히 트랜스포머(31)와 마그네트론(33)은 상기 케비티(20)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이 과정에서 상기 전장 부품은 고온의 열을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전장실(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뜨거워진 전장실(30)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블로워팬(35)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비티(20)의 상측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비티(20)의 우측에는 마그네트론(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론(33)의 상측에는 그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송출하는 안테나(33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33a)의 돌출 외부에는 상기 안테나(33a) 에서 송출되는 전자파를 케비티(20)로 안내하는 도파관(21)이 설치된 상태이다.
상기 도파관(21)의 좌측 상면에는 동기모터(M)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기모터(M)에는 스티러팬(50)이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동기모터(M)는 모터고정브라켓에 의해 도파관(2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모터고정브라켓에는 체결공이 천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파관(21)의 좌측 내부에는 상기 동기모터(M)를 고정하는 스크류의 단부가 도파관(21)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홈(2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스크류홈(21a)이 형성되는 것은, 스크류와 체결공 사이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티러팬(50)의 하방에는 상부카바(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33)의 안테나(33a)에서 송출되는 전자파는 도파관(21)을 통해 이동하는데, 상기 도파관(21)은 우측에 비해 좌측의 높이가 낮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도파관(21)의 좌측은 상기 스크류홈(21a)에 의해 유로가 좁아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테나(33a)에서 전자파가 송출되면, 전자파는 도파관(21)의 좌측,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홈(21a) 주위에서 집중된다.
이와 같이 집중된 상태의 전자파는 케비티(20) 내부로 주사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자파에 의해 상기 케비티(20)의 상면이 검게 그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비티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가 집중된 상태로 케비티로 주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는, 일측에 스크류홈이 형성되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의해 안내된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스티러팬이 내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파에 의해 투입된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에 있어서; 상기 케비티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크류홈과 대응되는 전자파집중방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파관은 케비티의 외면 상하에 형성되고, 상기 스티러팬은 내벽면 상하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은 상기 케비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은 스티러팬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케비티 상측 내벽면 내지 하측 내벽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도파관의 유로가 줄어들지 않아 안내되는 전자파가 집중되지 않음은 물론 전자파 집중에 따른 케비티 내벽면이 검게 그을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케비티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비티의 상측 외면을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먼저 전자레인지는 아웃케이스와,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그리고 조리물이 투입 조리되는 케비티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같이, 케비티(100)의 우측에는 마그네트론(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33)은 트랜스포머(도시되지 않음)에서 고전압을 공급받아 전자파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상방에는 안테가(33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론(33)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파는 상기 안테나(33a)에 의해 외부로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33)의 안테나(33a) 상측은 도파관(110)에 의해 복개되어 있다. 상기 도파관(110)은 안테나(33a)에서 송출되는 전자파를 안내하는 일종의 통로이며, 그 좌측 단부는 케비티(100)의 대략 중간부분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도파관(110)은 케비티(100)의 상측 외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도파관(110)의 좌측 상방에는 동기모터(M)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동기모터(M)는 이하에서 설명할 스티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티러팬과 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동기모터(M)에 의해 스티러팬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동기모터(M)는 모터고정브라켓에 의해 도파관(1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모터고정브라켓에는 체결공이 천 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파관(110)의 좌측 내부에는 상기 동기모터(M)를 고정하는 스크류의 단부가 도파관(110)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홈(1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스크류홈(110a)은 스크류와 체결공 사이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파관(110)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케비티(100)의 상측 내벽면에는 스티러팬(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티러팬(130)은 도파관(110)에 의해 안내되는 전자파가 케비티(100)로 분산되는 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기모터(M)에 의해 회전한다. 즉 전자파가 회전하는 스티러팬(130)에 의해 분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티러팬(130)이 회전하는 것은 상기 동기모터(M)와 축결합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스티러팬(130)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비티(100)의 상측에는 상부카바(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카바(150)는 스티러팬(130)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비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케비티(100) 상측 외면에는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은 상기 케비티(100)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파관(110)의 스크류홈(110a)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도파관(110)의 스크류홈(110a)과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케비티(100) 상측 외면에 형성되면, 상기 도파관(110)의 좌측,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홈(110a)이 형성된 부분의 유로가 확장된다. 즉, 상기 도파관(110) 우측의 내부높이(H)와, 스크류홈(110a)의 하단과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의 저면까지의 거리(h)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파관(11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까지의 유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파관(110)의 우측 상면의 경사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스크류홈(110a)과 전자파집중방지홈(200) 사이까지의 유로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크류홈(110a)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좁아진 도파관(110) 내부의 유로가,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함몰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파관(110)에 의해 안내되는 전자파는 일정하게 유지된 도파관(110) 내부유로를 통해 케비티(100)로 전달된다.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 2곳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동기모터(M)의 양단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스크류홈(110a)이 2곳 형성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스크류홈 (110a)이 3곳이 되면,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의 갯수도 그에 대응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도파관(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비티(100)의 상측 외면에만 형성되지 않고 하측 외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은 케비티(100)의 하측 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야 하며, 물론 도파관(110)의 스크류홈(110a)과 대응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비티(100)의 상측 외면에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케비티(100)는 여러장의 철판을 서로 접합하여 형성되거나, 장형의 철판물을 수회 절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여러장의 철판을 접합하여 케비티(100)를 이루는 경우, 여러장의 철판은 금형이 설치된 프레스로 타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철판중 상측철판을 위한 금형을 일부 수정한 상태에서 타발하면,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상측철판이 이루어진다. 물론 여러장의 철판은 서로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케비티(100)를 완성한다.
그리고 장형의 철판물을 절곡하여 케비티(100)를 이루는 경우에는, 철판물을 타발한 다음 절곡하거나, 타발과 절곡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철판물을 타발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은 철판물을 타발하는 금형에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 형상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은 타발된 상태의 상측철판 또는 철판물을 펀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전자파 집중이 해소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마그네트론(33)에서 생성된 전자파는 안테나(33a)를 통해 도파관(110) 내부 로 송출된다. 그리고 송출된 전자파는 도파관(110)에 의해 좌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도파관(110)의 좌측 유로는 스크류홈(110a)이 돌출된 것에 의해 좁아지고, 그에 따라 전자파가 집중된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홈(110a) 하방에 전자파집중방지홈(200)이 더 형성되면, 스크류홈(110a)에 의해 축소된 유로가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도파관(110) 내부를 흐르는 전자파가 간섭없이 흐를 수 있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파관의 내부로 스크류홈이 돌출되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전자파 집중현상을 전자파집중방지홈으로 해소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케비티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스크류에 의해 동기모터가 도파관 외측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스크류와 체결공 사이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홈이 도파관 내부에 형성되면, 상기 도파관의 유로가 축소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홈의 하측에 전자파집중방지홈이 더 형성되면, 유로가 원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유로가 좁아지지 않음은 물론 전자파가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파가 집중되지 않으면, 전자파가 통과하는 케비티의 내벽면이 그 을리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과, 케비티 내부로 주사되는 전자파가 골로루 퍼져 그 내부에 투입되는 조리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는 이점도 있다.
한편 조리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은,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어 제품의 인지도가 향상되는 것도 기대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일측에 스크류홈이 형성되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의해 안내된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스티러팬이 내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파에 의해 투입된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의 내측에는 상기 스티러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를 고정하는 스크류의 단부가 상기 도파관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홈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비티에는 상기 스크류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케비티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파관 내부의 전파집중을 방지하는 전자파집중방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집중방지홈은 스티러팬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5. 삭제
KR1020030072126A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KR10060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26A KR100602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PCT/KR2004/002635 WO2005038349A1 (en) 2003-10-16 2004-10-15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US10/575,857 US7820953B2 (en) 2003-10-16 2004-10-15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EP04793497.1A EP1680621B1 (en) 2003-10-16 2004-10-15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AU2004282483A AU2004282483B2 (en) 2003-10-16 2004-10-15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26A KR100602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38A KR20050036438A (ko) 2005-04-20
KR100602279B1 true KR100602279B1 (ko) 2006-07-14

Family

ID=3723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126A KR100602279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38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3682A (en) Microwave oven feed system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KR100602279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US4412117A (en) Microwave oven feed system
EP2844034B1 (en) Microwave oven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EP1437923B1 (en) Microwave oven
KR100582295B1 (ko) 전자레인지의 백 플레이트구조
US6781102B1 (en) Microwave feed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toroidal-shaped waveguide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100635661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KR19980023366U (ko) 전자렌지용 히터 커버
KR20024328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선 지지판
KR200213184Y1 (ko) 전자렌지의 냉각팬용 분산판
KR100621253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KR101052154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KR100556379B1 (ko) 전자 레인지용 보조 용기
KR200153346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940005376Y1 (ko) 전자렌지의 도파덕트구조
KR100582305B1 (ko) 전자레인지의 백 플레이트구조
KR19990023521U (ko) 전자렌지의 흡기장치
KR960004459Y1 (ko)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