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16B1 -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16B1
KR100602216B1 KR1020050120691A KR20050120691A KR100602216B1 KR 100602216 B1 KR100602216 B1 KR 100602216B1 KR 1020050120691 A KR1020050120691 A KR 1020050120691A KR 20050120691 A KR20050120691 A KR 20050120691A KR 100602216 B1 KR100602216 B1 KR 10060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expansion module
rear side
casing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to KR102005012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전력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전력메터의 본체를 구성한 메터 본체(1)의 후방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모듈(2)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모듈(2)은 메터 본체(1)의 후방측과 확장모듈(2)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부(21)와; 상기 케이싱부(21)의 외측에 다수 구비되어 케이싱부(21)에 내장된 부가회로 기판부(2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제2 결선부(23)와 상기 부가회로 기판부(22)와 메터 기판부(15)의 사이와, 부가회로 기판부(22)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통신수단(24)으로 구성됨으로써 전압이나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피크 등을 실시간 계측하는 기본적인 계측 기능은 물론 상기 전압이나 전류, 전원의 결선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현장의 목적에 따라 아날로그 입출력, 디지털 입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메터 본체, 확장모듈, 케이싱부, 제2 결선부, 통신수단, 너트머리 보울트

Description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The expansion module device for digital electronic meter}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a,도 2b는 본 발명의 메터 본체와 확장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메터 본체의 배면도.
도 2b는 확장모듈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터 본체 2:확장모듈
11:프론트 커버 12:디스플레이부
13:리어 커버 14:제1 결선부
15:메타 기판부 21:케이싱부
22:부가회로 기판부 23:제2 결선부
24:통신수단 25:너트머리 보울트
211:고정턱 212:개방부
213:덮개판 241,241a:광통과공
242:광포트 242a:발광부
242b:수광부
본 발명은 디지털 전력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압이나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피크 등을 실시간 계측하는 기본적인 계측 기능은 물론 상기 전압이나 전류, 전원의 결선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현장의 목적에 따라 아날로그 입출력, 디지털 입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메터는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전력 사용량을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서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근래에는 디지털 방식에 의하여 그 사용량을 계측하여 표시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전력메터는 단독형(standalone)으로 형성되고, 전압이나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피크 등을 실시간 계측하는 기본적인 계측 기능만을 주로 하며, 구조적인 공간의 제한성으로 아날로그 입출력, 디스털 입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필요한 기능을 위한 확장이 어려워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압이나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피크 등을 실시간 계 측하는 기본적인 계측 기능은 물론 상기 전압이나 전류, 전원의 결선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현장의 목적에 따라 아날로그 입출력, 디지털 입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다수의 제1 결선부가 형성된 메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결선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메터 기판부가 장착된 디지털 전력메타에 있어서, 상기 메터 본체의 후방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모듈은 메터 본체의 후방측과 확장모듈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외측에 다수 구비되어 케이싱부에 내장된 부가회로 기판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제2 결선부와 상기 부가회로 기판부와 메터 기판부의 사이와, 부가회로 기판부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통신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는 후방측에 고정턱이 형성되고, 전방의 개방부에는 상기 고정턱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덮개판이 내측에 형성되어 일측 케이싱부의 고정턱에 타측 케이싱부의 개방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들은 너트머리 보울트의 체결에 의해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은 광통신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은 케이싱부의 일측 덮개판에 한 쌍의 광통과공을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광통과공은 동일한 광축을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발광부와 수 광부로 이루어진 광포트를 메터 본체의 리어 커버 및 타측 확장모듈의 케이싱부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 디지털 전력메터는 통상에서와 같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2)를 갖는 프론트 커버(11)와 다수의 제1 결선부(14)를 갖는 리어 커버(13)의 결합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 및 제1 결선부(14)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메터 기판부(15)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선부(1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커버(13)의 후방측 상부측과 양측과 같이 볼트로 결선되게 하거나 하부측과 같이 커넥팅 방식에 의해서 결선된다.
이러한 디지털 전력메터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리어 커버(13)의 후방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모듈(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확장모듈(2)은 리어 커버(13)의 후방측과 확장모듈(2)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부(21)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부(21)는 외측에 내장된 부가회로 기판부(2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 결선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결선부(23)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터 본체(1)와 같이 후방측 상.하부와 좌.우 양측에 배치 구성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21)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박스 형태로 리어 커버(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부(212)에는 내장된 부가회로 기판부(22)의 보호와 함께 메터 본체(1)의 제1 결선부(14)에 대한 덮개 기능을 갖도록 덮개판(213)이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213)은 리어 커버(13)의 후방측과 개방부(212)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턱(211)에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턱(211)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내측에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메터 본체(1)와 확장모듈(2)의 사이 또는 확장모듈(2)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수단(24)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 통신수단(24)은 기존의 일반 전기통신 커넥터의 적용시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의 문제점, 즉 커넥터의 돌출로 인한 감전 등의 전기적인 위험과 메터 본체(1)에 대한 확장모듈(2)의 착탈시 발생되는 작업의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광통신 기능의 탑재로 이루어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도 2a 및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터 본체(1)의 리어 커버(13)와 확장모듈(2)의 케이싱부(21) 배면 일측에 한 쌍의 발광부(242a)와 수광부(242b)로 구성되는 광포트(24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부(21)의 전면 개방부(212) 내측에 구비되는 덮개판(213)의 일측에는 상기 광포트(242)와 동일한 광축을 이루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메터 본체(1)를 구성하는 리어 커버(13)의 후방측 고정턱(211) 외측에 확장모듈(2)을 구성하는 케이싱부(21)의 개방부(212)를 끼워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메터 본체(1)에 형성된 광포트(242)의 발광부(242a) 및 수광부(242b)와, 케이싱부(21) 내부의 덮개판(213)에 형성된 한 쌍의 광통과공(241)(241a)이 서로 동일한 광축을 이루도록 일치되게 결합한다.
그런 다음, 너트머리 볼트(25)를 케이싱부(21)의 볼트 삽입공(214)을 통해 삽입하여 메터 본체(1)에 미리 체결된 다른 너트머리 볼트(25)에 체결함으로써 메터 본체(1)와 확장모듈(2)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확장모듈(2)에 다른 확장모듈(2)을 전기한 바와 같은 고정턱(211)에 대한 삽입과, 너트머리 볼트(25)의 체결에 의해서 확장모듈(2)을 계속적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메터 본체(1)와 확장모듈(2)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이들에 대한 데이터는 메터 본체(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며, 케이싱부(21)에 다수 형성된 제2 결선부(23) 및 부가회로 기판부(22)에 의해서 디지털 전력메타의 주기능과 함께 부가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메터의 결선부에 대한 덮개 역할을 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장된 부가회로 기판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결선부를 갖도록 하며, 광통신을 통하여 전력메터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전력메터의 주기능, 즉 전압이나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피크 등을 실시간 계측하는 기본적인 계측 기능은 물론 상기 전압이나 전류, 전원의 결선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현장의 목적에 따라 아날로그 입출력, 디지털 입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12)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다수의 제1 결선부(14)가 형성된 메터 본체(1)의 내부에, 상기 제1 결선부(14)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메터 기판부(15)가 장착된 디지털 전력메타에 있어서,
    상기 메터 본체(1)의 리어커버(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결선부(23)를 포함하는 케이싱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부(21)는 리어 커버(13)의 후방측과 타측 케이싱부(2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고정턱(211)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케이싱부(21)의 전방측 개방부(212)의 내측에 덮개판(213)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213)은 메타 본체(1)의 내부에 체결된 너트머리 보울트(25)에 케이싱부(21)의 후방측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214)을 통하여 덮개판(213)을 관통하는 다른 너트머리 보울트(2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메타 본체(1)의 후방측에 고정되며;
    상기 메타 본체(1) 및 타측 케이싱부(21)의 후방측에 발광부(242a)와 수광부(242b)로 이루어진 광포트(242)를 형성하고, 케이싱부(21)의 덮개판(213)에는 상기 발광부(242a) 및 수광부(242b)와 동일한 광축을 이루는 광통과공(241)(241a)으로 구성된 통신수단(24)을 갖는 확장모듈(2)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KR1020050120691A 2005-12-09 2005-12-09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KR10060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91A KR100602216B1 (ko) 2005-12-09 2005-12-09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91A KR100602216B1 (ko) 2005-12-09 2005-12-09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216B1 true KR100602216B1 (ko) 2006-07-20

Family

ID=3718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91A KR100602216B1 (ko) 2005-12-09 2005-12-09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89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남전사 Fnd 개별 단위 표출 및 자기 진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미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420A (en) 1989-09-25 1991-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construction for electronic energy meter
KR20000058952A (ko) * 2000-07-06 2000-10-05 이병세 지능형 계량 자동 검침 시스템
KR20040014100A (ko) * 2002-08-07 2004-02-14 (주)제론전자 모듈형 원격검침기능을 갖는 디지탈전력량계 개발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420A (en) 1989-09-25 1991-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construction for electronic energy meter
KR20000058952A (ko) * 2000-07-06 2000-10-05 이병세 지능형 계량 자동 검침 시스템
KR20040014100A (ko) * 2002-08-07 2004-02-14 (주)제론전자 모듈형 원격검침기능을 갖는 디지탈전력량계 개발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89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남전사 Fnd 개별 단위 표출 및 자기 진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5072A3 (en) Telecommunications patch panel
WO2006055506A3 (en) Equipment enclosure kit and assembly method
DE60325346D1 (de) Vollständig integrierter ethernet-verbinder
TW200518392A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04010717A3 (en)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ATE363822T1 (de) Steuergerät
SE9804427L (sv) Kavitetsfilter
KR100602216B1 (ko) 디지털 전력메터의 확장모듈 장치
CA2353742A1 (en) Slim profile indicating instruments
US20070194444A1 (en) Protecting apparatus of chip
JP7068920B2 (ja) 電力量計
DE69900463T2 (de) Gesicherte integrierte schaltungsanordnung durch verringerung der elektrischen charakeristiken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RU2344567C2 (ru) Корпус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ечатных плат, монтаж которых образует,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KR20030069807A (ko) 전원 장치
PT785706E (pt) Gaveta para cartas electronicas com juncao e separacao automaticas e gaveta e sua caixa e procedimento de desmontagem de cartas electronicas
JP2000348826A5 (ko)
US11419227B2 (en) Housing for receiving an electrical or electronic functional assembly
FI842212A0 (fi) Anordning foer foerbindning av kablar med absolutningarna pao ledarskivor.
WO2002025956A3 (en) Testing box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6338886A (ja) ブレーカユニット
DE69941077D1 (de) Integrierte Schaltung mit besonderer Anordnung der Verbindungsleiter
US11264756B2 (en) Connector mounting rack and patch panel system thereof
KR200153482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단자장치
CN102651952B (zh) 电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