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297B1 -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297B1
KR100601297B1 KR1019990052344A KR19990052344A KR100601297B1 KR 100601297 B1 KR100601297 B1 KR 100601297B1 KR 1019990052344 A KR1019990052344 A KR 1019990052344A KR 19990052344 A KR19990052344 A KR 19990052344A KR 100601297 B1 KR100601297 B1 KR 10060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lyamide
draw
supply roller
fin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926A (ko
Inventor
한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9005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2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8Stretching in two or more steps, with or without intermediate ste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로울러와 드로우로울러 사이에서 미연신사를 연신시킬때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들이 형성된 공급로울러를 사용하므로서 아래 조건들을 만족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 아 래 -
3.5% ≤ 평균 U% ≤ 8.5%
30kg/㎟ ≤ 10% 신장점의 모듈러스 ≤ 105kg/㎟
20% ≤ 신도표준편차 ≤ 130%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는 주로 의류용 원사로 사용된다.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섬도 불균일, 태세부, 연신, 공급로울러, 장방형 홈, 신도표준편차

Description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A thick and thin polyamide filament,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공급로울러(2)의 단면 확대도 이다.
도 3은 도 1 중 공급로울러(2)의 사시도 이다.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폴리아미드 미연신사 2 : 공급로울러 3 : 제1드로우로울러
4 : 제2드로우로울러 5 : 연신사 권취보빈 6 : 가이드로울러
2a : 공급로울러 주면상에 형성된 장방형의 홈(Slit)
a : 공급로울러의 홈(2a) 넓이 b : 공급로울러의 직경
본 발명은 마와 같이 포지 표면상에 우수한 요철효과를 부여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가공된 포지상에 자연스러운 이염(異染) 효과 또는 마와 같이 까실까실한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직용 원사로서 섬유 축 방향으로 섬도가 굵은 부분(이하 "태부"라고 한다)과 섬도가 가는 부분(이하 "세부"라고 한다)이 불규칙하게 반복되는, 다시말해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사용해 오고 있다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개소 58-36210호에서는 이차전이점(Tg)이 80℃ 이상인 열가소성 중합체와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 방사한 다음, 방사된 섬유의 이차전이점(Tg) 이하 온도에서 저배율로 연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방사 장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59-157310호에서는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합성섬유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레이져 광을 투사하여 섬유의 복굴절율을 0.005 이상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설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원가가 비싸 상업적 생산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99-7915호에서는 미연신사를 공급로울러와 드로우로울러 사이에서 가연처리한 후 저배율 연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가연장치가 복잡하고 제조원가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고 특허 90-4910호에서는 미연신사를 공급로울러와 드로우로울러 사이에서 연신시,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Slit)들이 일정조건으로 형성된 드로우로울러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방법의 경우 장치는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된 원사가 최종 가공지 상에서 자연스러운 이염효과를 충분하게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므로서 간단한 장치로 가공지 상에 우수한 요철효과를 부여 할수 있는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직 및 염가공시 포지상에 자연스러운 이염(異染)효과 및 요철효과를 발현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간단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염가공지 상에서 자연스러운 이염(異染)효과 및 요철효과를 발현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섬유 축 방향으로 섬도가 굵은 부분(태부)과 섬도가 가는 부분(세부)이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며, 아래 조건들을 만족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 아 래 -
3.5% ≤ 평균 U% ≤ 8.5%
30kg/㎟ ≤ 10% 신장점의 모듈러스 ≤ 105kg/㎟
20% ≤ 신도표준편차 ≤ 130%
또한 본 발명은 90 이하의 방사드라프트로 방사된 폴리아미드계 미연신사(1)를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2a)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급로울러(2)와 제1드로우로울러(3) 사이에서 3.0~4.5배의 연신비로 연신한 후, 계속해서 1차 드로우로울러(3)와 2차 드로우로울러(4) 사이에서 1.01~1.8배의 연신비로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아 래 -
10mm ≤ a ≤ 50mm
0.4 ≤
Figure 111999015493686-pat00001
≤ 2.7
[여기서,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의 넓이 이고,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들의 전체넓이 이고, b는 공급로울러의 직경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90 이하의 방사드라프트로 방사된 폴리아미드계 미연신사(1)를 도 1과 같이 공급로울러(2)와 제1드로우로울러 (3) 사이에서 3.0~4.5배의 연신비로 연신한 후, 계속해서 1차 드로우로울러(3)와 2차 드로우로울러(4) 사이에서 1.01~1.8배의 연신비로 연신한다. 상기 방사와 연신은 연속적인 1공정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때 공급로울러(2)로서는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2a)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 아 래 -
10mm ≤ a ≤ 50mm
0.4 ≤
Figure 111999015493686-pat00002
≤ 2.7
[여기서,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의 넓이 이고,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들의 전체넓이 이고, b는 공급로울러의 직경이다]
이때 90을 초과하는 방사드라프트로 방사된 미연신사를 사용하면 연신추별로 연신효과가 서로 상이하게 되어 제품 관리상 문제가 발생된다.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의 넓이(a)가 50mm를 초과하면 태부의 길이가 너무 길게 형성되고, 10mm 미만이면 태부의 길이가 너무 짧고 약하게 형성되어 표면 요철효과가 나빠진다. 또한 공급로울러 상에 형성된 홈들의 전체 넓이/공급로울러의 직경 (∑a/b)이 2.7을 초과할 경우에는 연신시 슬립이 과다하여 태부와 세부의 주기가 불균일하게 되고, 0.4 미만인 경우에는 태부의 갯수가 너무 적어 표면 요철효과가 저하된다.
여기서 제1드로우로울러(3)는 고배율연신으로 요철이 우수한 태세사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 제2드로우로울러는 필요한 섬도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제1드로우로울러의 연신비가 3.0 미만의 경우 연신비가 낮아 태세부의 차이가 크지않아 요철 및 이염효과가 크지 않고, 4.5를 초과할 경우 연신비가 너무 높아 태세효과가 저하된다.
제1드로우로울러에서의 적정 연신비(3.0~4.5)에서 제2드로우로울러로 연신할 경우 섬도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하며, 연신비 1.8을 초과할 경우 제1드로우로울러에서 발생한 태부가 너무 많이 연신되어 요철 및 태세효과가 저하되고 1.0배 이하로 연신할 경우 태세효과는 양호하나 섬도를 낮출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홈이 형성된 공급로울러(2)와 제1드로우로울러(3) 사이에서 고배율연신 되므로서 미연신사는 연신시 슬립작용과 연신작용을 교호로 반복하게 되어 요철효과가 우수하고 섬도가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제2드로우로울러(4)에서 적정배율로 연신되어 필요한 섬도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로는 폴리아미드 6 필라멘트, 폴리아미드 66 필라멘트 등이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는 섬유 축 방향으로 태부와 세부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며 아래 조건의 특성을 갖는다.
- 아 래 -
3.5% ≤ 평균 U% ≤ 8.5%
30kg/㎟ ≤ 10% 신장점의 모듈러스 ≤ 105kg/㎟
20% ≤ 신도표준편차 ≤ 130%
10% 신장점의 모듈러스가 105kg/㎟를 초과할 경우에는 태부와 세부 발생이 적어 이염효과(얼룩효과) 및 표면 요철효과가 저하되고, 30kg/㎟ 미만인 경우에는 원사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도표준편차가 130%를 초과할 경우에는 태부와 세부의 주기 길이가 너무 길어 이염효과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20% 미만일 경우에는 태부와 세부의 주기 길이가 너무 짧고 약하여 표면 요철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는 10% 이상 굵기 변동 피크수가 2.0개/m 이상이고, 신도가 200~380% 이고, 태부와 세부의 단면적비(태부 단면적/세부 단면적)가 1.3~1.8이고, 태부와 세부의 복굴절율비(세부 복굴절율/태부 복굴절율)가 1.2~3.0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사 물성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한다.
a. 평균 U%
유스터 테스터(USTER-TEST : KEISOKKI 社 KET-80C 타입)로 측정한다. 실의 속도 25m/분, 차트 스피드 25cm/분, 트위스트(TWIST) Z 1.5, 실의 장력 1.5g/d, 측정모드 하프 이너트(HELF INERT), 범위(Range) 12.5%, 측정시간 3분으로 데이터와 차트를 기록한다. 평균 U% 는 각기 다른 샘플 5개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b. 10% 이상 굵기 변동 피크수
a항 U% 차트에서 10% 이상 굵기 변동 피크수를 측정하여 실 길이 1m 당 피크수를 산출한 후 샘플 5개의 평균치를 계산한다.
c. 연신사 표준편차
각기 다른 10개의 원사 시료를 인스트롱 인장력 시험기(INSTRON-4301 TYPE)로 시료길이 5cm로 하여 측정한 신도의 표준편차를 산출한다.
d. 10% 신장점의 모듈러스
인스트롱 인장시험기로 시료길이 5cm의 하중-신장곡선(Stress-Strain Curve)을 차트에 기록하고 10% 신장점에서 모듈러스를 계산한다. 이때 인스트롱 인장조건은 시료길이 5cm, 인장속도 250mm/분으로 한다. 시료 5개의 평균 데이터를 이용한다.
모듈러스(kg/㎟) =
Figure 111999015493686-pat00003
× 102.6
e. 태세부 복굴절율비
염가공지의 태부(농염부)와 세부(담염부)의 각각 임의의 5개소를 샘플링하여 컴펜세이터 법으로 측정한다. 태부 복굴절율 데이터 5개를 평균하고, 세부 복굴절율 데이터 5개를 평균한 후, 세부복굴절율을 태부복굴절율로 나눈값을 나타낸다.
f. 태세부 단면적비
염가공지의 태부(농염부)와 세부(담염부)의 각각 임의의 5개소를 샘플링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한다. 태부 단면사진에서 멀티 필라멘트 중 가장 큰 단면 5개를 선정하여 단면적을 산출하여 평균하고, 세부 단면사진에서 멀티 필라멘트 중 가장 작은 단면 5개를 선정하여 단면적을 산출하여 평균한다. 태세부 단면적비는 태부 단면적을 세부 단면적으로 나눈값을 나타낸다. 단 정확한 단면적 계산에 어려움이 있는 이형 단면은 그 외접원의 단면적을 산출하여 계산한다.
g. 방사 드라프트
방사드라프트는 하기 식으로 계산한다.
방사드라프트=(방사 사속 × 구금 홀 단면적 × 폴리머 비중)/ 홀당 토출량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대점도가 2.55인 폴리아미드 6 폴리머를 260℃에서 방사드라프트가 90인 폴리아미드 6 미연신사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연신사를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로울러(2)와 제1드로우로울러(3) 사이에서 3.5배의 연신배율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제1드로우로울러(3)와 제2드로우로울러(4) 사이에서 1.3배의 연신배율 및 700m/분의 연신속도로 연신한 후 권취하여 연신사를 제조한다.
상기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의 넓이(a)는 10mm이고 공급로울러 상에 형성된 홈의 전체넓이/공급로울러의 직경 [∑a/b]은 0.4 이다.
상기 연신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평직으로 직물을 제직(경사 밀도 : 113본/인치, 위사 밀도 : 66본/인치) 한 다음 정련 및 염가공하여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연신사 및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 실시예 13 및 비교실시예 1 ~ 비교실시예 8
미연신사의 방사드라프트, 연신배율, 공급로울러 상에 형성된 홈의 넓이(a) 및 ∑a/b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연신사 및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연신사 및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 분 방사 드라프트 연신속도 (m/분) 제1연신 배율(배) 제2연신 배율(배) 공급로울러 홈(a) 넓이(mm) 공급로울러 홈 개수 상수(∑a)
실시예 1 90 700 3.5 1.3 10 0.4
실시예 2 90 700 3.5 1.3 20 0.9
실시예 3 90 700 3.5 1.3 30 1.6
실시예 4 90 700 3.5 1.3 40 2.1
실시예 5 90 700 3.5 1.3 50 2.7
실시예 6 90 700 3.0 1.3 30 1.6
실시예 7 90 700 4.0 1.3 30 1.6
실시예 8 90 700 4.5 1.3 30 1.6
실시예 9 80 700 3.5 1.3 30 1.6
실시예 10 70 700 3.5 1.3 30 1.6
실시예 11 90 700 3.5 1.1 30 1.6
실시예 12 90 700 3.5 1.5 30 1.6
실시예 13 90 700 3.5 1.8 30 1.6
비교 실시예 1 90 700 4.55 1.3 10 0.2
비교 실시예 2 90 700 4.55 1.3 30 2.8
비교 실시예 3 90 700 3.5 1.3 60 1.6
비교 실시예 4 90 700 2.6 1.3 30 1.6
비교 실시예 5 90 700 5.0 1.3 30 1.6
비교 실시예 6 100 700 3.5 1.3 30 1.6
비교 실시예 7 90 700 3.5 2.0 30 1.6
비교 실시예 8 90 700 3.5 1.0 30 1.6
물성측정 결과
구 분 연신사 신도 (%) 연신사 신도 표준 편차(%) 평균 (U%) 10% 이상 평균굵기 변동 Peak 수(개/m) 태세부 단면적 비(배) 10%신장 점의 모듈러스(kg/㎟) 태세부 복굴절 율비 (배) 가공지상표면요철 효과 가공지상 자연스러 운얼룩감
실시예 1 200 20 4.5 2.0 1.3 95 1.3 양호 양호
실시예 2 210 60 2.5 2.5 1.4 75 1.7 양호 양호
실시예 3 260 85 6.5 2.7 1.5 65 2.1 양호 양호
실시예 4 320 110 7.5 3.0 1.6 55 2.8 양호 양호
실시예 5 380 120 8.5 4.0 1.7 30 3.0 양호 양호
실시예 6 260 55 5.5 2.5 1.5 70 1.6 양호 양호
실시예 7 250 95 7.5 3.0 1.7 50 2.2 양호 양호
실시예 8 300 95 7.5 3.0 1.7 50 2.2 양호 양호
실시예 9 300 120 7.5 3.0 1.5 80 2.2 양호 양호
실시예10 340 130 8.5 4.2 1.8 55 2.4 양호 양호
실시예11 320 120 6.0 3.0 1.7 50 2.3 양호 양호
실시예12 210 60 5.5 2.5 1.4 75 2.0 양호 양호
실시예13 200 25 5.0 2.4 1.3 78 1.8 양호 양호
비교실시예1 160 10 3.5 0.5 1.2 110 1.2 보통 불량
비교실시예2 440 140 5.5 1.0 1.8 25 3.5 불량 보통
비교실시예3 450 180 5.0 1.0 2.0 25 3.5 보통 보통
비교실시예4 140 4 2.5 1.5 1.2 90 1.1 불량 불량
비교실시예5 400 150 5.5 1.0 1.9 25 2.4 보통 불량
비교실시예6 160 60 5.0 0.5 1.4 110 1.1 불량 불량
비교실시예7 180 15 2.0 1.5 1.2 80 1.3 불량 불량
비교실시예8 380 130 7.0 3.2 1.7 30 2.5 양호 양호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조장치가 간단하며 생산성이 매우 높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는 제직 및 염가공시 포지 상에 자연스러운 이염(異染)효과 및 표면 요철효과를 발현하여 마섬유와 같이 까실까실한 촉감을 나타낼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90 이하의 방사드라프트로 방사된 폴리아미드계 미연신사(1)를 주면상에 장방형의 홈(2a)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급로울러(2)와 1차 드로우로울러(3) 사이에서 3.0~4.5배의 연신비로 연신한 후 계속해서 1차 드로우로울러(3)와 2차 드로우로울러(4) 사이에서 1.01~1.8배의 연신비로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아 래 -
    10mm ≤ a ≤ 50mm
    0.4 ≤
    Figure 111999015493686-pat00004
    ≤ 2.7
    [여기서,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의 넓이 이고, ∑a는 공급로울러에 형성된 홈(2a)들의 전체넓이 이고, b는 공급로울러의 직경이다]
  7. 6항에 있어서, 방사 및 연신공정이 연속적인 1공정으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9990052344A 1999-11-24 1999-11-24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344A KR100601297B1 (ko) 1999-11-24 1999-11-24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344A KR100601297B1 (ko) 1999-11-24 1999-11-24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926A KR20010047926A (ko) 2001-06-15
KR100601297B1 true KR100601297B1 (ko) 2006-07-13

Family

ID=1962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44A KR100601297B1 (ko) 1999-11-24 1999-11-24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2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748A (en) * 1987-07-21 1989-01-30 Kuraray Co Thick and thin processed yarn and its production
KR890013249A (ko) * 1988-02-13 1989-09-22 이상철 섬도가 불규칙한 나일론 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JPH0241433A (ja) * 1988-07-28 1990-02-09 Unitika Ltd ポリアミド太細斑系及びポリアミド系嵩高加工糸の製造法
JPH04361609A (ja) * 1991-06-07 1992-12-15 Kanebo Ltd 太細を有する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07915A (ko) * 1996-02-21 1999-01-25 히라이카쯔히코 굵고 가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748A (en) * 1987-07-21 1989-01-30 Kuraray Co Thick and thin processed yarn and its production
KR890013249A (ko) * 1988-02-13 1989-09-22 이상철 섬도가 불규칙한 나일론 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JPH0241433A (ja) * 1988-07-28 1990-02-09 Unitika Ltd ポリアミド太細斑系及びポリアミド系嵩高加工糸の製造法
JPH04361609A (ja) * 1991-06-07 1992-12-15 Kanebo Ltd 太細を有する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07915A (ko) * 1996-02-21 1999-01-25 히라이카쯔히코 굵고 가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926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071B2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ament having high tenacity for industrial use
TWI496966B (zh) 聚酯單絲、及其製造方法、及使用其之網版用紗之製造方法
EP0370111A1 (en) Polyester-cotton blended yarns and staple fibers of polyester used therefor
US4517149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fiber
EP0095712B1 (en) Easily dyeable polyethylene terephtalate fibr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GB2056362A (en) Self-crimping polyamide fibers
JP2005527714A (ja) 高速紡糸による高い引張強度のポリアミド・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6524501B1 (en) Pitch fiber bundle and pitch type carbon fiber bundl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3305699B1 (en) Drum-shaped package formed of poly(lactic acid)-based monofilament
KR100601297B1 (ko)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626531B2 (en) Multifilament and braid using same
US5087401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ester filamentary material
US6492021B1 (en) Elastane fiber
US4983448A (en) Polyamide filaments having improved properties and method of preparation
KR100601296B1 (ko) 섬도가 불균일한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6650B1 (ko) 폴리에스테르 태세사의 제조방법
TWI841993B (zh) 具有改善的後加工性之聚乙烯紗線以及包括其之布料
US4539242A (en) Pile fabric with non-mushroom shaped cut ends
US20050233144A1 (en) High tenacity polyester yarns
KR20030006773A (ko) 고수축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KR960011590B1 (ko) 박리분할형 이형단면, 이섬도 복합섬유
JPS5949337B2 (ja) 合成繊維マルチフイ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法
CA1050366A (en) Textured polyester yarn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7259200B2 (ja) ポリエステル仮撚糸
JP3898784B2 (ja) ポリアミド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