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953B1 -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953B1
KR100600953B1 KR1019990055811A KR19990055811A KR100600953B1 KR 100600953 B1 KR100600953 B1 KR 100600953B1 KR 1019990055811 A KR1019990055811 A KR 1019990055811A KR 19990055811 A KR19990055811 A KR 19990055811A KR 100600953 B1 KR100600953 B1 KR 10060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network
failure
path
sub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827A (ko
Inventor
홍원규
윤성숙
황우선
윤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9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7Fault tolerance and recovery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애 복구 장치에 대한 관리 용이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대규모 비동기식 전송 모드 (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망을 관리 영역에 따라 분할한 계층적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망에서의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 구간을 통과하는 연결에 대한 신속한 복구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장애 발생 연결에 대한 신속한 복구를 통해 비동기식 전송 모드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에게는 장애 발생에 따른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하고, 망 사업자 관점에서는 신속한 연결 복구를 통해 이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을 만족 시켜 줌으로써 사업자의 위상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장애 발생에 따른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망 사업자의 수익 증대시킨다.
비 동기식 전송망, 장애 복구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ology for Fault Restoration in ATM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망의 관리 용이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관리 영역에 따라 망을 분할한 모습을 나타낸 망 형상 도면.
도 2a는 분할된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연결 관리 모습을 표현한 연결 관리 도면.
도 2b는 도 2a에서의 연결 관리 모습을 표현한 설명도.
도 3a는 링크장애 따른 장애 발생 구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분분망 연결장애에 따른 발생구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애 복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장애 발생시 결정된 우회 대상을 경유하는 않는 대체 경로 선택 방법과, 기존 장애 발생 경로와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
100 : 장애 복구 장치 10 : 망형상 관리모듈
10a : 망형상 정보테이블 20 :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
20a : 라우팅 테이블 20b : 연결수락 제어부
30 : 연결 관리 모듈 30a : 연결 및 경로정보 테이블
40 : 대체경로 설정모듈
본 발명은 대규모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망을 관리의 용이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관리 영역에 따라 부분망(관리 영역) 으로 분할한 계층적 망 구조에서,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 구간을 통과하는 연결을 파악하고 이의 신속한 복구를 통해 지속적인 연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식 전송모드 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통신망은 관리의 용이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몇 개의 관리 영역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관리 영역을 부분망(Subnetwork)이라 하고 각 부분망에서는 자신의 관리 영역에 속하는 스위치 및 스위치 간의 링크 만을 관리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와 이들을 상호 연결한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링크로 구성된다.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망을 통칭하여 계층망이라 하고, 계층망은 관리 영역에 따라 5개의 부분망으로 분할 하였다. 따라서 계층망에서는 부분망과 부분망 간의 링크만을 관리하고,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는 부분망의 관리 영역이므로 해당 부분망에서 관리하게 된다.
임의의 송/수신점 간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연결을 통칭하여 "트레일(Trail)"이라 하고, 이는 계층망 레벨에서 송/수신점 간에 존재하는 연결을 논리적으로 표 현한 것이다. 또한 관리영역을 표현하는 부분망 내부의 논리적인 연결을 부분망 연결(Subnetwork Connection)이라 한다.
따라서 계층망 레벨의 논리적인 연결인 트레일은 하나 이상의 부분망 및 링크를 경유하여 연결되고, 트레일이 경유하는 부분망 및 링크를 트레일의 라우팅 정보라 하고, 특히 부분망이 경유하는 부분망 내부의 논리적인 연결을 부분망 연결이라 하므로, 한 트레일은 하나 이상의 부분망 연결과 링크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2b에 따르면 비동기식 전송모드 망을 5개의 관리 영역인 부분망으로 분할하고, 송/수신점 사이의 트레일 연결이 부분망1, 부분망 3 및 부분망 5와 링크 2와 링크 9를 경유하는 경우, 부분망 1의 논리 연결을 부분망 연결 1이라하고, 부분망 2의 논리 연결을 부분망 연결 3이라 하고, 부분망 5의 논리 연결을 부분망 연결 5라한다. 따라서 계층망 레벨의 논리 연결을 표현하는 트레일의 라우팅 경로는 부분망1, 링크2, 부분망 3, 링크5, 부분망5를 경유하고 트레일 연결은 부분망 연결1 ,부분망 연결3, 부분망 연결5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3와 같이 계층망 내부의 트레일 연결과 부분망 내부의 부분망 연결이 구성된 경우, 링크 2 혹은 부분망연결 3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ATM 계층망 레벨의 트레일 연결은 송/수신점 사이에 데이터/트래픽을 전송할 수 없고, 이용자 입장에서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 연결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통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망 사업자 관점에서는 장애 발생으로 인한 연결 서비스 중단 시간 동안에는 통신 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할 수 없으므로 수입의 저하를 초래한다.뿐만 아니라, 무한 경쟁시대에 망 사업자의 위상이 실추 됨으로 인해 장기적인 관 점에서 통신 사업자의 수익 창출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리 영역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성된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망에서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으로 인한 통신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애 발생 링크 혹은 장애 발생 부분망 연결을 경유하는 트레일 연결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 발생 구간을 통과하는 트레일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트레일 연결 복구를 통해 최단 시간 내에 통신 서비스를 재개토록 한 비동기식 전송모드 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애 발생 구간을 경유하는 트레일 연결 식별을 위해 트레일 연결에서 부분망과 링크로 구성되는 라우팅경로 정보와 부분망 내부의 부분망 연결 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과, 장애 발생구간에 따른 대체 경로 선택과정에서 배제된 우회 대상 링크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과, 우회 대상링크를 배제한 대체 경로가 선택된 경우 기존 라우팅 경로와 대체경로의 비교 분석을 통한 부분망 연결 관리모드(Subnetwork Connection Manipulation Mode : SMT)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망연결 관리 모드는 "부분망 연결 경로 재설정", "부분망 연결 삭제" 및 "부분망 연결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비동기식 전송 모드 연결의 특성상 트레일 연결이 종단되는 가입자 종단점에 대한 삭제 후 재 생성 시에는 기존 가상 경로 연결(Virtual Path Connection : VPC)에 존재하는 가상 채널 연결(Virtual Channel Connection)의 연결도 동시에 삭제된다. 따라서 가입자 종단점에 대한 삭제는 수행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연결 생성 및 삭제 모드 이외에 경로 재설정 모드를 추가 하였다.
또한, 대체 경로와 기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가 결정되면 대체 경로의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에 따라 대체 경로에 따른 부분망 연결 제어 (경로 재설정, 삭제, 혹은 생성)를 수행한 후, 대체 경로에 대한 연결 제어 작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장애 발생 구간을 경유하는 기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제어(삭제)를 수행하여, 대체 경로 생성에 실패한 경우에도 기존의 라우팅 경로를 그대로 유지하여 장애 발생 구간(링크 혹은 부분망 연결)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지면 트레일 레벨의 데이터/트래픽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 복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체경로 설정모듈(40),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 망형상 관리모듈(10) 및 연결 관리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라우팅테이블(20a) 및 연결수락제어부(20b)를 포함한다.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은 망형상정보 테이블(10a)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리모듈(30)은 연결 및 경로정보 테이블(3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은 부분망과 부분망간의 링크로 구성되는 망형상을 관리하며, 링크장애 발생이 통보되면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로 망상태 변경통보를 하고 연결관리모듈(30)로 장애발생 통보를 한다.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이 관리하는 망 형상정보 테이블(10a)를 기반으로 라우팅테이블(20a)을 생성하고 연결수락 제어부(20b)를 탑재한다. 상기 연결 관리모듈(30)은 연결 및 경로정보테이블(30a)을 관리하고 장애 발생 대상(링크 혹은 부분망 연결)에 따라 복구할 트레일 연결을 선택하며 장애 복구를 위해 선택된 대체경로에 따라 연결을 재 설정한다.
상기 대체경로 설정모듈(40)은 장애 발생 위치에 따라 대체 경로시 우회 하여야 할 우회 대상을 선정하고,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서 제공하는 대체 경로에 따라 기존장애 발생경로와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관리 모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링크 혹은 부분망 연결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복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부분망 간의 링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은 장애발생을 통보 받는다. 그러면 링크장애 발생을 통보 받은 상기 망형상 관리 모듈(10)은 망형상 정보테이블에서 장애 발생 링크를 장애 상태로 변경하고,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 해당 링크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이에 라우팅 테이블관리모듈(20)은 자신이 관리하는 라우팅테이블(20a)에서 장애 발생 링크의 상태를 "장애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링크를 경유하는 라우팅 경로가 배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은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게 링크에 대한 장애 발생을 통보한 후, 연결 관리모듈(30)에게 링크에 대한 장애 발생을 통보한다. 그러면 링크에 대한 장애 발생을 통보 받은 상기 연결 관리모듈(30)은 도 100에 도시된 바와같은 계층망 연결 정보와 계층망 연결의 라우팅 정보에서 장애 발생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트레일 연결을 식별하여 장애 복구 대상 트레일 연결을 파악한다.이때, 장애복구 대상 트레일 연결이 식별되면 연결 관리모듈(30)은 해당 트레일에 대한 라우팅 정보와 장애 발생 링크를 대체경로 설정모듈(40)에게 제공하면서 대체 경로 설정요청을 보낸다.
그러면 이 대체경로 설정요청을 받은 대체경로 설정모듈(40)은 연결 관리모듈(30)에서 제공한 장애발생 링크를 가지고 계층망 연결 라우팅 정보에서 도 4의 링크 장애 발생시 우회 대상 선택방법에 따라 우회 대상 링크를 선정한다. 이때 우회 대상 링크 선정이 완료되면 대체경로 설정모듈(40)은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게 "우회 대상"을 제공하면서 대체경로 선택을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게 요청한다. 대체경로 선택 요청을 받은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대체경로 설정모듈(40)에 지정한 우회 대상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경로를 선택한다.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대체경로 선택과정에서 지정된 우회 대상을 포함하지 않는 대체 경로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연결 수락제어 즉, 요청한 대역폭을 선택된 대체 경로에서 지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된 대체 경로가 요청한 대역폭을 수용할 수 있으면,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에게 대체 경로 에 대한 망 상태(대역폭)변경을 요청한다. 만일 선택된 대체 경로가 지정한 대역폭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라우팅 테이블에서 또 다른 대체 경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연결 수락 제어를 통과하는 대체 경로 선택 시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선택된 대체 경로에 대한 연결 수락 제어 및 이에 따른 망 형상 정보 변경이 완료되면 라우팅 테이블 관리 모듈은 선택된 대체 경로를 대체경로 설정모듈(40)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대체경로 설정모듈(40)은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서 제공한 대체 경로와 연결 관리모듈(30)에서 제공한 장애 발생 경로를 비교 분석 후, 도 30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장애발생 경로와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부분망 연결관리 모드 설정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 발생 경로와 대체 경로가 동일한 부분망을 경유하고 부분망이 송/수신 가입자 접속점을 포함하고 링크가 다른 경우, 예를 들어 도 5에서 부분망 연결1과 부분망 연결5의 경우, 장애 발생 부분망 연결에 대한 관리 모드는 "없음"이고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는 "경로 재설정"으로 설정한다. 이때 경로 재설정이란 부분망 연결의 한쪽 종단점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쪽 종단점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고, "없음"이란 해당 부분망 연결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취도 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장애 발생 경로 상에 존재하는 부분망이 대체 경로에는 존재하는 않는 경우, 예로 도 5의 부분망 연결 3의 경우, 이의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는 "삭제"로 설정하고, 그리고 대체 경로 상에 존재하는 부분망이 장애 발생 경로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로 도 5의 부분망 연결 2의 경우, 대체 경로의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는 "생성"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장애 발생 경로 및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대체경로 설정모듈(40)에서는 연결 관리모듈(30)에게 경로 재설정 요청을 보낸다. 그러므로 경로 재설정 요청을 받은 연결 관리모듈(30)에서는 먼저 대체 경로에 존재하는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에 따라 부분망 연결 경로 재설정 혹은 생성 작업을 수행하고,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관리 작업이 완료되면 장애 발생 경로에 설정된 부분망 연결 관리 모드에 따라 부분망 연결 삭제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대체 경로와 장애 발생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 경로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서 장애 발생 이전의 부분망 연결은 모두 삭제 혹은 절체되고, 장애 복구를 위해 새롭게 생성된 부분망 연결이 새롭게 생성되어, 장애 발생에 의해 중단되었던 통신 서비스가 재개되어 장애가 복구된다.
한편, 부분망 연결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5에서 장애 발생 통보가 망 형상 관리모듈(1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연결 관리 모듈(30)로 부분망 연결 장애 발생이 통보된다. 따라서 링크장애 발생 통보 및 망상태 변경 통보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부분망 연결에 대한 장애 발생을 통보받은 연결 관리모듈(30)는 도 2의 부분 망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부분망 연결을 포함하고 있는 트레일 연결을 식별한다. 연결 관리 모듈이 부분망 연결 장애 발생에 따라 장애 발생 부분망 연결을 포함하는 트레일 연결 식별이 완료되면 장애 복구 과정은 링크 장애 발생의 장애 복구 절차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장애 복구 장치에 의하면, 망 관리의 용이성 및 확정성을 고려하여 계층적으로 구성된 대규모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망에서 링크 및 부분망 연결에 대한 장애 발생으로 인해 통신 서비스가 중단된 경우, 신속하게 대체 경로를 선택하여 연결을 복구 함으로써 최단 시간내에 통신 서비스를 재개한다. 통신 서비스 이용자 관점에서는 망 장애 발생으로 인한 통신 서비스 중단 시간으로 최소화 하여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고, 망 사업자 관점에서는 운용자의 개입없이 장애 복구장치에 의한 자동적인 장애 복구를 수행함으로써 운용자 업무 처리에 대한 효율성을 기할 수 있고, 장애 발생시 장애 복구 장치에 의한 신속한 연결 복구가 이루어 지므로, 무한 경쟁 시대에 망 사업자의 위상 확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비 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의 연결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비 동기식 전송 모드 계층망 레벨의 논리 연결인 트레일 연결이 부분망 연결 정보와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
    b) 트레일 연결이 경유하는 라우팅 정보를 부분망과 링크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트레일 연결에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
    c) 트레일 연결이 부분망 연결 정보와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여 링크 및 부분망 연결에 대한 장애 발생시 그 장애 발생 트레일의 식별 및 연결을 복구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과정은
    c1) 링크 및 부분망 연결에 대한 장애발생시 장애 발생구간을 통과하는 연결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장애 발생구간을 통과하는 연결이 존재할 경우 장애 발생 연결이 경유하는 라우팅 정보와 장애발생 구간의 조합에 의해 장애 발생에 따른 우회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
    c3) 상기 단계에서 우회 대상이 선정되면 해당 우회대상을 경유하지 않는 대 체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c4) 상기 단계에서 대체경로가 선택되면 기존의 장애 발생경로와 대체경로의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기존 장애 발생경로와 대체경로에 대한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부분망 연결 관리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2)단계에서 장애 발생에 따른 우회 대상의 선정은 링크 장애 발생시에 라우팅 정보에서 장애 발생 링크의 양 부분망에 존재하는 부분망 연결을 우회 대상으로 선정하고, 부분망 연결 장애 발생시에 부분망 연결의 양단에 존재하는 링크를 우회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3)단계에서 대체 경로에 따른 부분망 연결 제어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장애 발생 경로를 그대로 유지하여 향후 장애 발생 원인을 제거한 후, 통신 서비스가 재개 되도록 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4)단계의 부분망 연결관리모드는 부분망 연결경로 재설정, 부분망 연결삭제 및 부분망 연결생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방법.
  6. 비 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의 연결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a) 비 동기식 전송 모드 계층망 레벨의 논리 연결인 트레일 연결이 부분망 연결 정보와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
    b) 트레일 연결이 경유하는 라우팅 정보를 부분망과 링크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트레일 연결에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는 수단; 및
    c) 트레일 연결이 부분망 연결 정보와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여 링크 및 부분망 연결에 대한 장애 발생시 그 장애 발생 트레일의 식별 및 연결을 복구하는 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 장치.
  7. 부분망과 부분망간의 링크로 구성되는 망형상을 관리하며, 링크장애 발생으로 망상태 변경통보 및 장애발생을 통보하는 망형상 관리모듈(10);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로부터 망상태 변경을 통보받아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지정된 우회 대상을 포함하지 않는 대체경로를 선택 및 연결수락을 제어하는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
    상기 망형상 관리모듈(10)로부터의 장애발생 통보를 받아 연결 및 경로정보 테이블(30a)을 관리하고 장애발생 대상에 따라 복구할 트레일 연결을 선택하며 장애 복구를 위해 선택된 대체경로에 따라 연결을 재 설정하는 연결관리모듈(30); 및
    장애발생 위치에 따라 대체 경로시 우회하여야 할 우회 대상을 선정하고,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에서 제공하는 대체경로에 따라 기존장애 발생경로와 대체 경로에 대한 부분망 연결관리 모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대체경로 설정모듈(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테이블 관리모듈(20)은 상기 대체경로에 망상태 정보를 망형상 관리모듈(10)로 통보하는 라우팅테이블(20a) 및 우회 대상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경로의 선택 및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연결수락제어부(20b)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망에서의 장애 복구 시스템.
KR1019990055811A 1999-12-08 1999-12-08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KR10060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11A KR100600953B1 (ko) 1999-12-08 1999-12-08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11A KR100600953B1 (ko) 1999-12-08 1999-12-08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27A KR20010054827A (ko) 2001-07-02
KR100600953B1 true KR100600953B1 (ko) 2006-07-13

Family

ID=196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811A KR100600953B1 (ko) 1999-12-08 1999-12-08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071B1 (ko) * 2001-12-24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P게이트웨이의 인터넷망 장애시 발신호 경로재설정방법
KR101046009B1 (ko) * 2004-03-19 2011-07-01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장애 감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231A (ko) * 1998-12-17 2000-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KR20000043860A (ko) * 1998-12-29 2000-07-15 이계철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가상연결 자동복구장치 및 방법
KR20000060536A (ko) * 1999-03-17 2000-10-16 윤종용 교환기간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한 라우터 패킷 및 라우터 장애 처리 방법
KR20000073476A (ko) * 1999-05-11 2000-12-05 정선종 비동기전송모드망에서 공통 제어 경로를 이용한 장애 복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231A (ko) * 1998-12-17 2000-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KR20000043860A (ko) * 1998-12-29 2000-07-15 이계철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가상연결 자동복구장치 및 방법
KR20000060536A (ko) * 1999-03-17 2000-10-16 윤종용 교환기간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한 라우터 패킷 및 라우터 장애 처리 방법
KR20000073476A (ko) * 1999-05-11 2000-12-05 정선종 비동기전송모드망에서 공통 제어 경로를 이용한 장애 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27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Control plane design for reliable optical networks
US5646936A (en) Knowledge based path set up and spare capacity assignment for distributed network restoration
JP3700596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パス設定方法並びにパス設定用プログラム
JP2950369B2 (ja) Atm網における現用予備経路設定方式
EP10932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distributed resto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EP1679842A1 (en) Bandwidth management for MPLS fast rerouting
US20030210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hitless restart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US20030137932A1 (en) Path fault recovery method, switching-back method after recovery from fault, and node using the same
US7027388B2 (en) 1+1 Mesh protection
JP2002247038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ング形成方法及び障害回復方法並びにリング形成時のノードアドレス付与方法
US200800379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transmitting fine granularity services
US20030179716A1 (en) Virtual IP topology reconfiguration migration
KR20150002474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장애 복구 방법
JPH1168853A (ja) 同期デジタル階層型通信ネットワーク
US20030043427A1 (en) Method of fast circuit recovery using local restoration
US75900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aling a connec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1034592A (ja) ネットワーク構成管理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構成管理方法
KR100600953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망에서의 장애복구 장치 및 방법
CN112866833A (zh) 一种业务恢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1816804B1 (en) Failure recovery method and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US7283466B1 (en) Tracking physical route changes in optical switching network
Austin et al. Fast, scalable, and distributed restoration in general mesh optical networks
CN101800700A (zh) 一种基于mpls网络的lsp预删除方法和装置
KR100250454B1 (ko) 멀티포인트 통신 시스템 및 멀티캐스트 경로 오류 제어 및경로 재배정 방법
JP2001036587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