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571B1 -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571B1
KR100600571B1 KR1020040015017A KR20040015017A KR100600571B1 KR 100600571 B1 KR100600571 B1 KR 100600571B1 KR 1020040015017 A KR1020040015017 A KR 1020040015017A KR 20040015017 A KR20040015017 A KR 20040015017A KR 100600571 B1 KR100600571 B1 KR 10060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product
lay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540A (ko
Inventor
최명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로
최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로, 최명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to KR102004001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5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57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통신를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식별 태그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상품 식별 태그를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판독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는 제1 상품 정보, 상기 상품과 연관된 제1 계층 코드 정보, 및 제1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그들로 송신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제2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계층 코드를 상기 저장된 제1 계층 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제2 태그와의 계층 상위 여부를 판단하는 계층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판단 결과 제2 태그보다 하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 상기 제1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태그보다 상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태그의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한 제2 상품 정보 및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계층화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식별 태그의 판독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품 정보, 계층 코드 정보, 계층화 정보, 최상위 계층, RFID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 방법{THE GOODS IDENTIFICATION TAG AND THE METHOD FOR MANAGING THE GOODS BASED O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RFID 태그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그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데이터그램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동종 상품의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이종 상품의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을 도 시한 도면.
도 6b는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최상위 RFID 태그 220: 상위 RFID 태그
230: 최하위 RFID 태그 240: RF 안테나
250: 판독기 260: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통신를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태그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RFID 태그를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판독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지니스 시스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은 기술, 비지니스, 산업의 접목과 융합에 의한 새로운 가치와 재화의 창출을 그 특성으로 한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기반으로 일상 생활의 사물들, 어플라이언스, 상품들, 기업의 생산, 물류, 판매, 고객관리 등의 비지니스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기기나 시스템들이 모두 지능화되고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매우 다양한 새로운 비즈니스를 출현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비즈니스는 단순한 상거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업경영, 공급관리, 고객관계관리, 자산관리, 현장인력관리, 지식관리, 유통관리, 안전관리 등 거의 모든 비즈니스 활동에 혁신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기술과 상품이 미래 IT 시장을 주도할 것이다. 이 모든 유비쿼터스 컴퓨팅 혁명의 단초가 되는 핵심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다.
RFID는 초소형 반도체에 상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넣고, 무선 신호(또는 무선 주파수 통신)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상품이나 사물, 사람 등을 판독, 추적, 관리 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이다. 주파수 대역별로 인식 거리, 데이터 전송 속도, 가격 등에서 차이가 나는데 13.56 MHZ 대역은 교통카드, 신분증 등에서 이미 실용화 되었다.
또한, RFID를 활용한 응용 서비스의 예로서 쇼핑센터의 도난방지, 맹인을 위 한 말하는 약품과 같은 안전 시스템, 위조 방지 장치, 동물 추적장치, 자동차 안전 장치, 개인 출입 및 접근 허가 장치,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생산관리, 운송 컨테이너 화물 추적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가 가능하며 일부는 이미 산업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를 사용하는 시스템(100)의 일반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RFID 태그(110), RFID 안테나(120), 리더기(130), 호스트 컴퓨터(140)로 구성되고, 상기 리더기는 본 발명에서는 "판독기"로 총칭한다.
RFID 태그(110)는 초소형 반도체 칩(IC 칩)으로 얇은 평면 형태를 지니며, 또한 무선 접속을 위하여 안테나를 포함한다. IC 칩은 데이터의 저장을 위하여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태그가 부착된 상품에 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식별 정보라 함은 태그가 부착된 상품 고유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품의 품목, 갯수, 가격, 생산 일시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는 RFID 안테나(120)를 통해 판독기(130)로 전송된다. RFID 태그는 상품 식별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품 식별 태"로 불리기도 한다.
RFID 안테나(120)는 무선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발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이다. RFID 안테나(120)는 전파를 발신 또는 수신하여 RFID 태그(110)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품 식별 정보를 판독기(130)로 전송 한다.
판독기(리더기)(130)는 상기 RFID 태그로(110)부터 상기 RFID 안테나(120)를 통해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를 읽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서버 또는 컴퓨터 장치(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태그의 상품 식별 정보를 판독 및 해독하여 상품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호스트 컴퓨터(140)는 판독기(130)로부터 수신한 상품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상품 판매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품 식별 정보를 수신한 호스트 컴퓨터(140)는 상품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RFID 태그의 종합 상품 식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트(판매점)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결제할 때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최종 가격을 종합적으로 산출하여 결제 과정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일례로서, 상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에서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품의 제고 현황을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시스템 구성에 따르면, 판독기는 각각의 태그와 1대 1로 무선 주파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태그에 저장된 상품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추가적 일례로서, 활성화 모드 및 휴식 모드를 설명한다. RFID 태그(110)는 RF 안테나(120)를 통하여 판독기(130)로부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라는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활성화 모드는 RFID 태그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품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명령이다. 명령을 수신한 RFID 태그(110)는 모드 전환 명령을 수행한 후, 판독기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RFID 태그(11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판독기(130)는 데이터 전송 명령을 RFID 태그(1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명령을 수신한 RFID 태그는 데이터(식별 정보)를 판독기로 전송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판독기는 RFID 태그를 휴식 모드로 전환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휴식 모드 전환 명령은 RFID 태그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 받았으므로, 더 이상 통신하지 않아도 되는 RFID 태그에게 전원 인가를 해지하는 명령이다. 해지 명령을 수신한 RFID 태그는 휴식 모드로 전환된다.
RFID 태그는 비접촉의 사용 방법으로 인한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상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RFID를 사용하는 지금의 대형 매장에서는 고객이 대량의 상품(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구매하였을 경우, 상품 가격 결제를 위하여 가격대에 자신이 구입하려는 상품들을 모두 올려놓고, 계산대의 직원이 상품의 RFID 태그를 하나하나 체크함으로 인하여 계산대에서 장시간의 대기 시간을 초래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계산대에 많은 고객이 집중되는 경우, 직원의 실수로 인하여 고객의 상품들이 서로 섞여서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대량의 RFID 태그를 이용한 효과적인 상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용이하지 않았다. 더구나, 판독기에서 읽을 수 있는 RFID 태그의 개수가 제한을 받거나 또는 RFID 판독 횟수의 증가에 따른 판독 오류가 빈번해지는 문제점들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RFID 태그를 이용하여 RFID 태그의 데이터 및 RFID 태그가 부착된 상 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상품 식별 태그,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량의 RFID 태그를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RFID 태그의 데이터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의 RFID 태그들을 판독함에 있어, RFID 태그와 판독기 간의 통신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량의 RFID 태그 판독 시 최상위 계층을 이용하여 상품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및 관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상품 정보, 상기 상품과 연관된 제1 계층 코드 정보, 및 제1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그들로 송신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제2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계층 코드를 상기 저장된 제1 계층 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제2 태그와의 계층 상위 여부를 판단하는 계층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판단 결과 제2 태그보다 하위 계 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 상기 제1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태그보다 상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태그의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한 제2 상품 정보 및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제1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과 연관된 제1 계층 코드 정보를 제1 태그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그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상기 제2 태그의 제2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계층 코드를 상기 저장된 제1 계층 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제1태그와 제2 태그의 계층 상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태그가 제2 태그보다 하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태그가 상기 제2 태그보다 상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태그의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태그의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RFID 태그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시스템(200)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최상위 RFID 태그(210), 상위 RFID 태그(220), 최하위 RFID 태그(230), RF 안테나(240), 판독기(250), 및 호스트 컴퓨터(260)를 포함한다.
각각의 RFID 태그는 고유의 계층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계층 코드에 따라서 서로 간에 상하위 계층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계층의 상하위 여부는 계층 코드의 상대적 비교에 따라서 결정된다.
최상위 RFID 태그(210)는 계층 코드가 제일 높은 태그로서 하위 모든 계층 태그의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위 RFID 태그(210)는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여러 RFID 태그와 통신한다. 이러한 통신을 통하여 복수의 태그 상호간에는 계층화 과정이 수행되며, 그 결과로서 각각의 태그는 계층 코드와 연관된 계층화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계층화가 완료된 후의 최상위 RFID 태그(210)는 하위 계층의 복수의 RFID 태그에 관한 상품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판독기(250)는 최상위 RFID 태그의 계층화 정보를 판독하면 일일이 모든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지 아니하고도 모든 RFID 태그를 판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량의 RFID 태그 판독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최상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판독하는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의 품목 정보, 상기 상품의 품목과 연관된 수량 정보, 상품의 가격, 상품의 생산 일시, 상품의 생산자 표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품목 정보는 상품의 종류를 카테고리 별로 표시해주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연필, 지우개, 만년필의 경우 "문구류"라는 동일한 품목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품의 품목이 같아도 즉, 같은 문구류라도 상품에 따라 계층 코드가 상이할 수 있고, 상품의 품목이 다르더라도 계층 코드가 동일할 수 있다.
상품의 수량 정보는 계층 코드가 같은 상품의 개수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또달리, 수량 정보는 동일한 상품 품목 중에서 계층 코드가 같은 상품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달리, 이종의 품목들이 서로 혼재할 경우에는 먼저 동일한 품목으로 분류하고 다음으로 계층 코드를 조사하여 계층 코드가 같은 상품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최상위 RFID 태그(210)는 상위 RFID 태그(220)와 최하위 RFID 태그(230)와 통신하여 상위 RFID 태그, 최하위 RFID 태그의 계층화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의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갱신한다. 갱신된 최상위 계층화 정보는 RF 안테나(240)를 통해 판독기(250)로 전송된다. 또달리, 상위 RFID 태그(220)가 최하위 RFID 태그(230)와 통신하여 최하위 RFID 태그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계층화 정보로서 이미 저장하고 있으면, 최상위 RFID 태그(210)는 최하위 RFID 태그(230)와 통신할 필요 없이 상위 RFID 태그(220)와의 통신만으로 최하위 RFID 태그(230)의 상품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계층화 정보는 초기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 정보만을 포함하지만, 계층화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하위 계층의 RFID 태그와의 통신을 통하여 다른 RFID 태그의 상품 정보가 추가되어 계속 업데이트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하위 계층의 모든 상품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판독기와 각각의 RFID 태그와의 1대 1 통신이 굳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판독 속도 및 판독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3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RFID 태그(300)는 데이터 저장부(310), 데이터 송수신부(320), 및 계층 판단부(3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310)는 상품 정보, 상기 상품과 연관된 계층 코드 정보 및 계층화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310)는 다른 RFID 태그의 상품 정보 및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자신의 계층화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다른 RFID 태그로 송신하고, 다른 태그로부터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계층 판단부(3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자신의 계층이 다른 RFID 태그보다 하위 계층인 경우 자신의 상품 정보 및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다른 RFID 태그로 전송하고, 반대로 자신의 계층이 다른 RFID 태그보다 상위 계층인 경우 다른 RFID 태그의 상품 정보 및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다른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층 판단부(330)는 데이터 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다른 RFID 태그 의 계층 코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자신의 계층 코드와 비교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RFID 태그 상호간의 계층 상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 결과는 데이터 송수신부(320)에 전달되어 계층화 정보의 송수신 결정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자신보다 계층 코드가 낮은 태그로부터 계층 코드에 관한 RF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계층 코드가 낮은 태그로 계층화 정보를 전송하라고 요청하여 계층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위 계층 태그에게 휴식 모드 명령을 전송하여 하위 계층 RFID 태그의 전원 동작을 중지시킨다(또는 전원을 해지시킨다). 또달리, 자신보다 계층 코드가 높은 RFID 태그로 계층화 정보를 전송한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상위 RFID 태그로부터 휴식 모드 전환 명령을 수신하고, 계층화 정보의 전송 후 휴식 모드 명령을 수행하여 전원을 해지한다. 이와 같이, 휴식 모드 명령의 전송 및 수신을 통하여 계층화 정보의 전송이 완료된 하위 RFID 태그는 계층 코드 정보 및 계층화 정보 전송을 포함하는 계층화 과정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게 되므로 중복적으로 계층 코드 정보 또는 계층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RFID 상호간의 통신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에서 서로 주고 받는 데이터 그램(datagram)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그램(400)은 동기 코드(410), 헤더 정보(420), 계층 코드(430), 예비영역(440), 데이터 영역(450), 및 CRC(460)를 포 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기 코드(410)는 RFID 태그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태그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동기를 판단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데이터의 이진수 코드(binary code)가 "0"이 10번 계속되는 경우, 동기 코드로 "0"이 10번 지난 다음에 헤더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동기 코드는 데이터그램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코드이다.
헤더 정보(420)는 상품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품 정보를 구조화 하기 위해 이진수 코드를 이용하는데 품목 정보, 가격 정보 등의 상품 정보를 이진수로 표시하여 상품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한다.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다른 태그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헤더 코드를 비교해서 상품의 품목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계층 코드(430)는 RFID 태그의 계층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계층 코드는 이진수를 이용하여 코드화 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이진수 숫자가 낮은 경우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고 높은 경우 상위 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비 영역(440)은 RFID 태그 상호간의 송수신 데이터의 증가를 예상하여 예비로 설정해놓은 것이다. 계층화 정보의 양이 많아 데이터 영역(450)에 저장할 수 없는 경우, 예비 영역을 활용하여 계층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450)은 계층화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한 것이다. 상기 헤더 정보와 계층 코드를 연관하여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다른 태그의 상품 정보를 수합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 계층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CRC(460)는 데이터 전송의 오류를 검출하는 코드이다.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각각의 태그들이 통신하는 경우,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CRC 코드를 비교한다. 전송될 데이터 블록에 16 비트 또는 32 비트 다항식을 적용하여, 그 결과로 얻어진 코드를 그 블록에 덧붙인다. 일례로서, 하나의 태그에서 데이터에 같은 다항식을 적용하여 전송한 결과를 수신 태그로부터 수신한 결과와 비교한다. 만약 두 개가 일치하면, 그 데이터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데이터 그램을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데이터그램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그램은 프리앰블 검출 영역(Preamble Detect), 프리앰블 영역(Preamble), 구분자 영역(Delimiter), 명령어 영역(Command), 패러미터 영역(Parameter), 데이터 영역(Data), CR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계층화된 각각의 태그에 저장되는 계층화 정보의 구성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동종 상품의 계층화 정보(태그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로서 도 5a에서는 "태그 정보"라 칭함)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일한 품목을 가진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들 상호간에는, 계층화 과정의 수행 결과 도 5a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각각의 태그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최하위 태그 정보(530a)는 가장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며, 계층화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된다. 상품 정보의 일례로서, 품목 정보 및 상세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가격, 상품의 생산 일시, 상품의 생산자 표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품목 정보는 상품의 특성 또는 상품 관리 방법에 따라 보다 세분화되거나 또는 포괄적으로 자유로이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필", "지우개" 각각이 품목 정보의 단위가 되거나 또는 연필, 지우개를 포괄하는 "문구류"가 품목 정보의 단위가 될 수 있다. 최하위 태그는 복수의 태그와 통신하면서 상위 계층의 태그로 자신의 태그 정보(530a)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위 태그는 복수의 최하위 태그로부터 최하위 태그 정보(530a)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계층화 정보로서의 상위 태그 정보(520a)를 형성하게 된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위 태그 정보(520a)는 최하위 태그 정보에 추가하여, 수량 정보를 포함하며 "A"라는 품목에 대하여 모두 N개의 품목을 포함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상위 태그는 복수의 상위 태그로부터 상위 태그 정보(520a)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계층화 정보로서의 최상위 태그 정보(510a)를 형성하게 된다. 최상위 태그 정보는 복수의 상위 태그 정보(520a)의 수량 정보를 합산한 수량(M)을 수량 정보로 저장한다. 또달리, 최상위 태그는 복수의 최하위 태그로부터 복수의 최하위 태그 정보(530a)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최상위 태그 정보(510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따르면 동일한 품목에 대하여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상위 계층의 태그는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들이 누적된 계층화 정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이종 상품들의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하위 태그 정보(550b, 560b, 570b)는 가장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며 계층화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된다. 도 5b에서는 각기 다른 품목 A, B, C에 대한 상품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위 태그는 복수의 최하위 태그로부터 최하위 태그 정보(550b, 560b, 570b)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계층화 정보로의 상위 태그 정보(520b, 530b, 540b)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도 5b에서는 각기 다른 품목 A, B, C에 대하여 상품 정보를 저장하며, 추가로 N, N', N"의 수량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최상위 태그 정보(510b)는 여러 가지 상이한 품목들에 대한 상품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최상위 계층의 계층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품목이 A이고 M개의 개수를 갖는 태그 정보, 품목이 B이고 M'개의 개수를 갖는 태그정보, 품목이 C이고 M"개의 개수를 갖는 태그 정보를 계층화 정보로서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5b에 따르면, 상이한 품목들에 대하여도 일련의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상위 계층의 태그는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들이 누적된 계층화 정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계층화 정보는 상품 품목별로 분류되어 계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을 도 시한 도면이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 관리 시스템(600)은 RF 인터페이스부(610), 연산 제어부(620), 및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630)를 포함한다.
상품 관리 시스템(600)은 RFID 태그(상품 식별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복수의 상품을 식별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동작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RF 인터페이스부(610)는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들로부터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RF 인터페이스부(610)는 연산 제어부(6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부터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수신한다.
연산 제어부(620)는 RF 인터페이스부(610)으로부터 수신된 계층 코드를 참조하여 최상위 계층 코드를 판별한다. 앞서 설명한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최상위 계층화 정보에는 하위 계층의 상품 식별 태그의 상품 정보가 계층적으로 모두 저장되어 있다. 연산 제어부(620)는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부터 계층화 정보(최상위 계층화 정보)의 수신을 위하여, 상기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 활성화 모드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630)는 RF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하여 수신한 최상위 계층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 상품 식별 정보는 계층 코드를 고려하여 계층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상품 식별 정보는 상품의 품목, 상품의 수량, 및 기타 상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630)는 도5a 및 도5b와 유사한 형태를 가 질 수 있다. 또달리,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도 6b와 같은 상품 식별 정보의 계층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품목별로 계층 코드 및 수량, 제조연월일, 기타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상위 계층 태그가 하위 계층의 상품 식별 태그의 계층화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품 관리 시스템은 최상위 계층 태그의 계층화 정보만 수신하여 모든 태그의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의 상품 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RFID 태그 각각과의 통신 트래픽을 회피하고 상품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710)는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가 각각 자신의 상품 정보 및 상품과 연관된 계층 코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상품 정보라 함은 태그가 부착된 상품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로서, 품목 정보, 수량 정보, 기타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하고, 계층 코드라 함은 각 식별 태그의 계층을 판별할 수 있는 코드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단계(S720)에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 상호간에 계층화 과정을 수행하여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계층화 과정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단계들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b에서는 편의상 제1 태그 및 제2 태그의 2개의 태그를 예로 들어 계층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계층 화 과정은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 상호간에 걸쳐서 모두 수행되는 일례에 지나지 않음은 자명하다.
먼저, 단계(S721)에서는 제1 태그로부터 제1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2 태그로부터 제2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수신한다(S722).
다음 단계(S723)에서는 제1 태그의 계층 코드와 단계(S722)에서 수신한 제2 계층 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제1 태그와 제2 태그의 계층 상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제1 태그가 제2 태그보다 하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1 상품 정보를 제2 태그로 전송하게 된다(S724). 또달리, 이미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를 토대로 구축해 놓은 제1 계층화 정보를 제2 태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23)의 판단 결과 제1 태그가 제2 태그보다 상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2 태그의 제2 상품 정보 또는 제2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한다(S725). 또한, 제1 태그는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한 제2 상품 정보 또는 제2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726).
계층화 과정의 보다 상세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앞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성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술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다시 도 7a의 단계(S730)에서는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부터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수신한다. 최상위 계층화 정보의 수신을 위하여, 복 수의 상품 식별 태그로부터 계층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계층 코드로부터 최상위 계층 코드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720)의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최상위 계층의 상품 식별 태그는 하위 계층의 상품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품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S740)에서는 단계(S730)에서 수신한 최상위 계층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계층적으로 저장한다. 상품 식별 정보는 단계(S730)에서 수신한 최상위 계층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품 식별 정보는 계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계층화 과정은 3비트의 계층 코드로서 총 8개의 계층을 가지는 태그들 사이에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최상위 RFID 태그(810), 상위 RFID 태그(820), 최하위 RFID 태그(830) 등의 순으로 계층화된다.
앞서 도 4에서 설명하였듯이 헤더 정보는 상품의 품목을 표시할 수 있다. 계층 코드가 같아도 상품의 품목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복수의 상위 RFID 태그는 서로 상이한 헤더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층 코드를 참조하여 계층을 구분하였다.
최상위 RFID 태그(810)는 계층 코드가 "111"인 하나의 태그를 포함한다. 상기 계층 코드는 이진수로 표시하여 계층의 상하 여부 판단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최상위 RFID 태그(810)는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상위 RFID 태그(820), 최하위 RFID 태그(830)으로부터 수신한 계층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하위 계층의 계층화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의 계층화 정보를 갱신한다.
상위 RFID 태그(820)는 계층 코드가 "001"인 태그이고 자신의 계층 코드보다 낮은 코드를 갖는 복수의 태그들에 관한 상품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상위 RFID 태그(820)는 최하위 RFID 태그(830)의 계층화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의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계층화 정보를 최상위 RFID 태그(810)로 전송할 수 있다.
최하위 RFID 태그(830)는 계층 코드가 "000"인 복수의 태그를 포함한다. 최하위 RFID 태그(830)는 자신의 계층화 정보를 전송하고 휴식 모드 명령을 실행하여 전원을 해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 과정에 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상품 품목별로 먼저 분류를 하고 이어서 계층 코드에 따라 계층화 과정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품 품목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에 따라서, "000"인 태그(910), "001"인 태그(950), "010"인 태그(960)의 세 가지 그룹으로 먼저 분류할 수 있다.
동일한 헤더 정보를 가진 태그 그룹(910)내에서의 계층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000" 헤더 정보를 가진 태그 그룹(910)은 다시 계층 코드에 따라서 3가지의 세부 그룹, 즉 "000"의 계층 코드를 가진 태그(920), "010"의 계층 코드를 가진 태그(930), "001"의 계층 코드를 가진 태그(940)로 분류될 수 있다. 세 가지의 세부 태그 그룹(920, 930, 940)내에서는 서로 계층 코드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계층화 과정이 시작되고, 이어서 계층화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결국, 도 9에서 데이터 전송 흐름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계층 코드를 기준으로 가장 하위 계층 그룹(920)의 상품 정보(또는 계층화 정보)가 상위 계층 그룹(930)으로 전송되어 계층화 정보로 형성되고, 다시 상위 계층 그룹(930)의 계층화 정보는 최상위 계층(940)의 태그로 전송되어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형성하게 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층화 과정을 위하여 헤더 정보(또는 상품 품목)들이 참고될 수 있으며,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품목별로 계층화 과정을 분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계층화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가지 종류의 박스 안에 상품들이 포장되어 담겨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작은 박스들에는 태그 A가, 다음 크기의 박스들에는 태그 B가, 가장 큰 박스에는 태그 C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가장 큰 박스 안의 상품들을 모두 식별(판독)하려면 가장 최소 단위인 복수의 태그 A를 모두 판독해야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C와의 1회의 통신을 통하여 전체 상품을 모두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태그A(1010), 태그B(1020), 태그C(1030)가 서로 통신하여 계층화 과정을 수행한다. 상위 계층 태그인 경우 하위 계층의 계층화 정보를 수신하고, 하위 계층인 경우 상위 계층에게 계층화 정보를 송신한다. 하위 계층은 송신이 완료하면 휴식 모드 명령을 수행하여 전원을 해지한다. 상기 송수신한 정보에는 상품 정보, 계층 코드 정보, 계층화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계층화 과정이 완료되면, 태그 C는 태그 B 및 태그 A의 계층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형성하고, 따라서 태그 C만 판독기로 해석하면 전체적으로 상품 판독이 가능하게 되는 효율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계층화 과정은 상품 식별 태그의 추가, 삭제, 및 정정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계층화 과정이 완료된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들 사이에 새로운(신규) 상품 식별 태그들이 추가되는 경우, 신규 상품 식별 태그들은 최상위 계층의 상품 식별 태그와 통신하여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간단히 갱신함으로써 추가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계층화 과정이 완료된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들 사이에서 임의로 상품 식별 태그들이 삭제 또는 정정되는 경우에도 최상위 계층의 계층화 정보에서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를 삭제 또는 정정함으로써 전체 상품들에 대한 삭제 또는 정정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에 부착된 상품 식별 태그에 한정하여 계층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한정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RFID 태그를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태그 저장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다른 분야에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달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공간 인식 및 X-ray를 이용한 물체 인식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100)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1120)과 롬(ROM: Read Only Memory)(11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1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11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1120) 및 롬(11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1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1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1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1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식별 태그의 데이터 정보를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데이터 관리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식별 태그와 판독기간의 통신 트래픽을 감소시킴으로써, 판독 오류 및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RFID 태그 판독 시 최상위 계층을 이용하여 상품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및 관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제1 상품 정보, 상기 상품과 연관된 제1 계층 코드 정보, 및 제1 계층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 송신하고, 상기 제2 태그의 제2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계층 코드를 상기 저장된 제1 계층 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제2 태그와의 계층 상위 여부를 판단하는 계층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태그보다 하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상품 정보 및 상기 제1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태그보다 상위 계층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태그의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상기 제2 태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한 제2 상품 정보 및 제2 계층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계층화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 정보는 상기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품목 정보 및 상기 상품과 연관된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3. 제1항의 상품 식별 태그가 부착된 복수의 상품을 식별하여 관리하기 위한 상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 식별 태그들로부터 계층 코드 정보에 관한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계층 코드로부터 최상위 계층 코드를 판별하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상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RF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의 판별 결과,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부터 최상위 계층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신된 계층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휴식 모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휴식 모드 명령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계층 코드에 관한 RF 신호 송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최상위 계층 코드와 연관된 상품 식별 태그로 활성화 모드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15017A 2004-03-05 2004-03-05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KR10060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17A KR100600571B1 (ko) 2004-03-05 2004-03-05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17A KR100600571B1 (ko) 2004-03-05 2004-03-05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255A Division KR20060020730A (ko) 2006-02-20 2006-02-20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540A KR20050089540A (ko) 2005-09-08
KR100600571B1 true KR100600571B1 (ko) 2006-07-13

Family

ID=3727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017A KR100600571B1 (ko) 2004-03-05 2004-03-05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160A (ja) * 2004-08-26 2006-03-09 Fujitsu Ltd 無線タグシステム、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無線タグ
KR100800023B1 (ko) * 2007-05-18 2008-02-01 대한민국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540A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095B2 (en) Context-driven RFID tag and system content
US80369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dise retail management and portable terminal
Yu RFID implementation and benefits in libraries
US9536215B2 (en) Real-time and offline location tracking using passive RFID technologies
US77776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baggage using RFID
EP3441929A1 (en) Electronic price label system and method
KR20130037837A (ko) Rfid 태그와 바코드를 이용한 종합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80302871A1 (en) RFID Key Rotation System
Tsai et al. An RFID-based manufacture process control and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KR20060020730A (ko)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CN106124017A (zh) 一种基于rfid的智能称重方法
KR100600571B1 (ko)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El Khaddar et al. Rfid middleware design and architecture
JP2009009521A (ja) 無線タグの読み落し防止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タグ情報管理システム
BR112020013189A2 (pt) aparelho e método de múltipla interação de tecnologia rfid para dar informações adicionais, segurança e desempenho
JP2001134724A (ja) データ読み出し/書き込み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Su et al. On the creation of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infrastructure via RFID
CA2761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smart rfid handicap tracking network
CN210571049U (zh) 一种无线检验试剂单体温度集中监控系统
JP2008094588A (ja) 物品管理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物品管理システム
Ahmed et al. Conference on Intelligent Manufacturing & Sustainable Energy Systems (IMSES 2016)-Pakistan
KR20060036138A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정보 관리시스템
Kou et al. RFID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JP3644953B1 (ja) 電子タグ情報処理装置及びpos端末並びに電子タグ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086865B2 (ja) レンタル商品のネットワーク予約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