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390B1 -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390B1
KR100600390B1 KR1020040081426A KR20040081426A KR100600390B1 KR 100600390 B1 KR100600390 B1 KR 100600390B1 KR 1020040081426 A KR1020040081426 A KR 1020040081426A KR 20040081426 A KR20040081426 A KR 20040081426A KR 100600390 B1 KR100600390 B1 KR 10060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older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473A (ko
Inventor
최승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힌지부 내부에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구조물을 설치하여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방향과 각도에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각기 구비하는 본체부 및 폴더부와,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폴더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 내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는 접촉레일; 및 상기 폴더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촉레일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360도 회전, 접촉부재, 접촉핀, 탄성부재, 접촉레일

Description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capable of 360 degrees lateral rot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재와 접촉레일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21 : 인쇄회로기판
12 : 제1연결부 20 : 폴더부
22 : 제2연결부 30 : 힌지부
40 : 접촉부재 41 : 접촉핀
42 : 탄성부재 43 : 수용부
50 : 접촉레일 51 : 절연재
본 발명은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측방향으로 360도 회전되어도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의 내부 회로가 지속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방향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측방향 회전하는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폴더부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PC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션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단말기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한다.
이러한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는 기구적으로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폴더부의 상향개방 또는 측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적으로 커넥션에 의해 연결되어 본체부로부터의 신호를 폴더부가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션(connection)은 일반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이나 와이어를 사용되어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하여도 각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션은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반드시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원위치로 복귀되었고, FPCB나 와이어의 파손을 막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본체부와 폴더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던 커넥션은 최대 180도 혹은 270도 정도를 회전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기타 구조에서 360도 회전하는 커넥션 구조가 절실하게 필요할 전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의 힌지부 내부에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구조물을 설치하여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방향과 각도에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각기 구비하는 본체부 및 폴더부와,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폴더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2연결 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 내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는 접촉레일; 및 상기 폴더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촉레일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접촉레일에 접촉되는 접촉핀; 상기 폴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핀이 유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핀과 수용부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레일은 상기 접촉부재와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그 접촉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개의 접촉레일은 그 경계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절연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재와 접촉레일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21)을 각기 구비하는 본체부(10) 및 폴더부(20)와, 상기 폴더부(20)가 본체부(10)에 대해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30)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인쇄회로기판(1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2); 상기 폴더부(20)의 인쇄회로기판(21)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2);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0) 내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는 접촉레일(50); 및 상기 폴더부(20)에 대하여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22)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촉레일(50)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12)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레일(50)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전기신호를 접촉레일(50)로 전달한다.
상기 제2연결부(22)는 일단은 상기 폴더부(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부재(40)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재(40)로 전달된 전기신호를 폴더부(20)로 전달한다.
상기 접촉부재(40) 및 접촉레일(50)은 상기 힌지부(30)에 내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22)를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10)와 폴더부(20)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40)는 상기 접촉레일(50)에 접촉되는 접촉핀(41); 상기 폴더부(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핀(41)이 유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2); 및 상기 접촉부재(40)와 탄성부재(42)를 수용하는 수용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핀(41)은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레일(50)의 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연결부(12)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접촉핀(41)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핀(41)이 상기 폴더부(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접촉레일(50)과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43)는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핀(41) 및 탄성부재(4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핀(41)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접촉레일(50)은 일면에 상기 접촉부재(40)의 접촉핀(41)이 접촉하고, 타면에 상기 제2연결부(22)가 연결되어 접촉핀(41)을 통해 전달된 폴더부(20)의 신호를 제2연결부(22)로 전달하거나, 제2연결부(22)를 통해 전달된 본체부(10)의 신호를 접촉핀(41)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접촉레일(50)은 상기 접촉핀(41)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그 접촉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접촉핀(41)과의 접촉범위를 넓게 확장하며, 상기 폴더부(20)가 방향 및 각도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폴더부(20)가 회전하는 경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개의 접촉레일(50)은 그 경계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절연재(51)를 구비하여, 각각의 접촉레일(50)에 전달된 신호 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회전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0)에 대해 폴더부(20)를 회전시키면, 힌지부(30) 상측에 구비된 접촉부재(40)가 함께 회전하고, 접촉핀(41)은 힌지부(30) 하측에 구비된 접촉레일(50)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접촉핀(41)과 접촉레일(50)의 접촉은 상기 접촉레일(50)의 접촉면 상태에 따라 상기 접촉핀(41)이 그 상부에 구비된 탄성부재(42)에 의해 유동적으로 움직여 지속적인 유지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힌지부 내부에 본체부와 폴더부의 전기적 연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접촉구조물을 설치하여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양방향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반복적인 폴더부의 회전에도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접촉구조물의 접촉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각기 구비하는 본체부 및 폴더부와,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하 힌지부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폴더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 내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는 접촉레일; 및
    상기 폴더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촉레일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접촉레일에 접촉되는 접촉핀;
    상기 폴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핀이 유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과 수용부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레일은 상기 접촉부재와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그 접촉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접촉레일은 그 경계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절연재를 구비하는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1426A 2004-10-12 2004-10-12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426A KR100600390B1 (ko) 2004-10-12 2004-10-12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426A KR100600390B1 (ko) 2004-10-12 2004-10-12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473A KR20060032473A (ko) 2006-04-17
KR100600390B1 true KR100600390B1 (ko) 2006-07-18

Family

ID=3714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426A KR100600390B1 (ko) 2004-10-12 2004-10-12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3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473A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2820A1 (en) Signal transmission cable adapted to pass through hinge assembly
DE60204640D1 (de) Koaxial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erplatten
US7180001B1 (en) Foldable signal transmission cable assembly
KR100875321B1 (ko) 전자 장치용 힌지
KR100678187B1 (ko)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간 연결 케이블 장치
EP1079466A3 (en) Board connection structure, electronic device with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used therein
KR20030073335A (ko) 유에스비 결합구조
US64715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feature
US7374426B2 (en) Card-edge board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wo boards
JP4435490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及び接続部材
KR100600390B1 (ko)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6312264B1 (en) Connecting device
KR102165737B1 (ko)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6373716B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surface conne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7050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칩과 메모리 칩을 연결하는 연결인쇄회로
KR1010249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커넥터 구조
KR100628632B1 (ko) 스윙회전식 힌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21957A (ko) 콘넥터 유니트
KR20050080645A (ko) 가변형 커넥터
JP2001119775A (ja) スピーカの接続構造
KR100505650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KR20050013010A (ko) 가요성 인쇄회로의 접지 패턴
KR20190064986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435773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及び接続部材
KR20060083572A (ko) 전기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