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388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388B1
KR100600388B1 KR1020040103704A KR20040103704A KR100600388B1 KR 100600388 B1 KR100600388 B1 KR 100600388B1 KR 1020040103704 A KR1020040103704 A KR 1020040103704A KR 20040103704 A KR20040103704 A KR 20040103704A KR 100600388 B1 KR100600388 B1 KR 10060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iel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001A (ko
Inventor
김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셀(Battery Cell)의 팽창 특성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 경로를 온/오프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전압이나 과전류를 감지하여 해당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보호 칩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셀이 팽창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 팽창 감지부와; 상기 셀 팽창 감지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한 번 팽창한 셀에 대해서 다시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내부를 보호하고 나아가 해당 배터리에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Apparatus of Protecting a Batter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Battery) 보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있어 셀 감지 스위치(Battery Cell Sensing Switch)의 설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2에 있어 셀 감지 스위치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1 ~ C5 : 커패시터(Capacitor) R1 ~ R4 : 저항
FET1 ~ FET3 :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1 : 보호 칩(Protection Chip) SW : 셀 감지 스위치
THERM : 서미스터(Thermistor) 31 : 배터리 케이스
32 : 배터리 셀(Battery Cell) 33 : PCB(Printed Circuit Board)
34 : 팽창 감지 커넥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셀의 팽창 특성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는 리튬 이온(Li-ion) 배터리인데, 해당 리튬 이온 배터리의 특성 중 하나는 과충전(Overcharge) 및 과방전(Overdischarge)되었을 경우에 배터리 셀 자체가 팽창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충전할 시 또는 방전할 시에 정상적인 수준보다 과도하게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터리 자체의 셀이 부풀어 오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내부에 보호 회로를 구현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커패시터(C1 ~ C5)와, 다수 개의 저항(R1 ~ R3)과, 2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와, 보호 칩(11)과, 서미스터(THERM)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해당 보호 칩(11)은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거나, 배터리의 과전류(Overcurrent)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결과에 따라 해당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해당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는 해당 보호 칩(11)의 2 개 출력을 이용하여 충전 경로(Path)를 실제로 온/오프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 칩(11)에 의한 보호 회로의 구성은 배터리 팩 내부 회로만으로 정상 동작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배터리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서미스터(THERM)의 저항 값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과열과 과냉 시에 충전 유무를 결정하는 장치도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그어진 화살표 부분은 배터리가 충전되기 위해서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은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해당 연결 부분 중간에 스위치(Switch)의 역할을 수행하는 2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를 구현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2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를 제어(즉, 온/오프 동작 제어)하는 부분은 게이트(Gate) 측의 전압이고 해당 게이트 측 단자는 보호 칩(11)과 연결되어진다.
이에, 상기 보호 칩(11)은 3 개의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과충전, 과방전 및 과전류를 감지하여 2 개의 출력 단자로 제어 신호인 '하이' 또는 '로우' 전압을 출력해 줌으로써, 충전 경로를 연결시켜 주거나, 끊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서미스터(THERM)를 이용한 배터리 온도를 감지하는 동작은 배터리 팩 자체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구현해 주는 방법에 따라 동작 원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변화되어지는 전압을 MSM(Mobile Station Modem)(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단자로 판독하여 그 허용 범위를 정해 놓고서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도록 한다.
그리고, 리튬 이온 셀은 비정상적인 상태가 유지되어지면 발열하면서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셀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서미스터(THERM)를 이용하여 해당 열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보호하고 나중에 해당 배터리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해당 셀이 팽창하게 되면 해당 셀의 상태가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되는데, 해당 셀의 온도만을 감지하는 것으로는 이를 보장해 주지 못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셀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적인 장치는 과전압, 과전류 등의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는 보호 IC(Integrated Circuit)인데, 이때 해당 보호 IC 하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중의 보호 장치인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한 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아무런 소용이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반도체 IC의 경우에는 외부의 정전기에 의해 손실(Damage)을 입을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은 자주 착탈하게 되면서 사용자에 의한 정전기 충격을 받기 쉬우며, 또한 서미스터를 이용한 배터리 온도 가짐 기능 역시도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부가적인 회로 설계가 필요하고 서미스터의 저항 값 오차로 인해서 잘못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는 배터리 자체에 설계되어 있는 보호 회로로 특정 칩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 만약에 해당 칩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망가지게 되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곧 보호 회로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셀의 팽창 특성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팽창 특성을 이용하여 배터리와 해당 배터리에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배터리 셀 자체의 특징인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셀 팽창 성질을 이용하여 배터리 내부를 보호하고 나아가 비정상적인 배터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보호 장치에서 사용되는 보호 IC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서미스터를 이용한 온도 감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배터리 셀 팽창 성질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 자체 내에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될 경우에 해당 셀의 부피가 증가하는 본연의 특징을 이용하여 배터리 보호 기능을 보조하는데, 이때 해당 셀의 팽창이 다시 수축하는 정도는 거의 미미하므로, 한 번 팽창한 셀의 경우에는 배터리를 다시 충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팽창된 셀의 재사용을 막아 해당 셀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경로를 온/오프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전압이나 과전류를 감지하여 해당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보호 칩을 구비하는 이 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셀이 팽창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 팽창 감지부와; 상기 셀 팽창 감지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 팽창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 보호 장치가 구비된 PCB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의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단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팽창 감지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 팽창 감지부는 비정상적인 충전 상황으로 상기 배터리 셀이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표면이 상기 팽창 감지 커넥터에 닿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특정 칩에 의한 배터리 보호 기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당 배터리 보호 기능을 보조하도록 리튬 이온 셀이 비정상적으로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될 경우에 배터리 셀의 부피가 증가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배터리 보호 회로를 설계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커패시터(C1 ~ C5)와, 다수 개의 저항(R1 ~ R4)과, 3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 FET3)와, 셀 감지 스위치(SW)와, 보호 칩(21)과, 서미스터(THERM)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는 배터리 충전 경로 스위칭 부분으로 N-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데, 배터리의 충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소스 측 단자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일반 도선과 동일하게 셀 마이너스 단자(CELL-) 측에 연결시켜 해당 배터리 충전 경로를 형성한 상태로 있다가, 리듐 이온 배터리 셀의 팽창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면 상기 셀 감지 스위치(SW)의 제어에 따라 해당 배터리 충전 경로를 단락시켜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셀 감지 스위치(SW)는 셀 팽창 감지 부분으로서,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의 팽창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셀 감지 스위치(SW)는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의 팽창을 감지할 수 있는 팽창 감지 커넥터(34)를 구비하는데, 해당 팽창 감지 커넥터(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진다. 또한, 배터리의 내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충전되어지는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과 배터리 보호 회로가 구비된 PCB(33)를 서로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배치시키며, 이것을 배터리 케이스 (31)가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해당 배터리 케이스(31)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표면은 일반 금속에 의해 마이너스 전위로 접지되어 있다. 이에, 해당 팽창 감지 커넥터(34)는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일반 전도성 금속으로 해당 PCB(33)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마주 볼 수 있도록 해당 배터리 케이스(31)의 윗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과 팽창 감지 커넥터(34) 사이에는 어는 정도의 간격이 있도록 설계하여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서로 접지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PCB(33)와 연결된 팽창 감지 커넥터(34)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31)의 윗면에 형성시켜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과 마주 보도록 설치해 줌으로써,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하여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팽창하게 되면, 일반 전도성 금속인 팽창 감지 커넥터(34)가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일반 금속 표면에 접지되어,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팽창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호 칩(21)에서는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거나, 배터리의 과전류를 감지한 후에, 해당 감지된 결과에 따라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는 배터리가 충전되기 위해서 연결되어야 하는 배터리 충전 경로 상에 형성되어 있는 이중 보호 장치로, 각 게이트 측 단자가 상기 보호 칩(11)의 출력 단자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상기 보호 칩(21)의 제어 신호인 2 개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배터리 충전 경로를 실제로 온/오프시켜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칩(21)에서 3 개의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과충전, 과방전 및 과전류를 감지하여 2 개의 출력 단자로 제어 신호인 '로우'전압을 상기 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로 출력해 주게 되면, 상기 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FET2)는 상기 보호 칩(21)으로부터 인가되는'로우' 전압에 의해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차단시켜, 더 이상 배터리로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 주게 된다.
그런데, 비정상적인 충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전 회로가 오동작 또는 배터리의 보호 회로(예로, 상기 보호 칩(21))가 손상되거나, 그 외에 배터리의 잦은 충격으로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 측의 단자가 접촉 불량이 될 때 등과 같은 수많은 원인에 의해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과충전, 과방전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가 될 경우, 해당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배터리로의 충전이 계속 수행되어지면,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은 내부 자체에서 열을 발생시키면서 팽창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 충전하게 되면 해당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폭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의해서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상단 케이스(31)에 설치되어 있는 팽창 감지 커넥터(34)가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과의 사이에 일정한 틈이 있어 회로적으로 오픈(Open)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때 비정상적인 충전 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점차 팽창하기 시작하게 되면, 해당 팽창된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일반 금속 표면이 일반 전도성 금속인 팽창 감지 커넥터(34)와 닿게 되어, 해당 팽창된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접지되며, 이에 회로적으로 쇼트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팽창 감지 커넥터(34)와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일반 금속 표면을 셀 감지 스위치(SW)로 활용하여,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팽창을 감지하여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소스 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일반 도선과 동일하게 셀 마이너스 단자(CELL-) 측에 연결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형성한 상태로 있다가,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팽창 시에는 상기 셀 감지 스위치(SW)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단락시켜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해 주게 된다.
왜냐 하면,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팽창은 추후에 다시 수축하는 정도가 거의 미미하므로,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한 번 팽창하여 상기 팽창 감지 커넥터(34)와 닿아 있는 배터리의 경우에는 다시 충전되지 않도록 함으로 써, 상기 팽창된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재사용을 막아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의 주요 부분인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와 셀 감지 스위치(SW)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로의 완전한 충전이 이루어지려면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BATT-)에서 셀 마이너스 단자(CELL-)까지의 경로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비정상적인 충전 상황의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리듐 이온 배터리 셀(32)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셀 감지 스위치(SW)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동작에 의해 닫히게 되고 이에 상기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G) 전압을 접지시켜 주게 되며, 이로 인해 게이트(G) 측의 전압이 소스(S) 측의 전압보다 낮게 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오픈시켜 주게 된다.
이 때, 상기 제3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3)인 N-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성은 게이트(G) 측의 전압이 소스(S) 측의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소스(S) 측에서 드레인(D) 측으로 전류를 흐르게 해 주며, 게이트(G) 측의 전압이 소스(S) 측의 전압보다 낮게 되면 소스(S)와 드레인(D)이 오픈되어 소스(S) 측에서 드레인(D)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보호 장치에서 사용되는 보호 IC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서미스터를 이용한 온도 감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배터리 셀 팽창 성질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 자체 내에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 팽창한 셀에 대해서 다시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내부를 보호하고 나아가 해당 배터리에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4)

  1. 배터리의 충전 경로를 온/오프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전압이나 과전류를 감지하여 해당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보호 칩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셀이 팽창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 팽창 감지부와;
    상기 셀 팽창 감지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를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팽창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 보호 장치가 구비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의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단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팽창 감지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 팽창 감지부는 비정상적인 충전 상황으로 상기 배터리 셀이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표면이 상기 팽창 감지 커넥터에 닿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 경로 상에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KR1020040103704A 2004-12-09 2004-12-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KR10060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04A KR100600388B1 (ko) 2004-12-09 2004-12-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04A KR100600388B1 (ko) 2004-12-09 2004-12-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01A KR20060065001A (ko) 2006-06-14
KR100600388B1 true KR100600388B1 (ko) 2006-07-18

Family

ID=3716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704A KR100600388B1 (ko) 2004-12-09 2004-12-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62B1 (ko) * 2010-09-03 2012-06-15 (주)열린기술 이차전지 폭발방지장치
KR20120136826A (ko) 2011-06-10 201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845A (ko) * 2004-05-10 2004-06-23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형 단말기의 외부 충전단자 단락시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845A (ko) * 2004-05-10 2004-06-23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형 단말기의 외부 충전단자 단락시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01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7118B (zh) 通过检测电池组件中感测电阻器的损坏来保护电池组件的装置及方法
CN106058330B (zh) 电池保护电路
US6714882B1 (en) Second battery control circuit
KR101162792B1 (ko) 충방전 보호 회로 및 전원 장치
KR1011748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64428B1 (ko) 배터리 팩
KR101729730B1 (ko) 과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
KR20070105219A (ko) 배터리 팩의 보호 회로
KR101305468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US6570364B2 (en) Circui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rechargeable lithium cells
KR101274227B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 배치구조
KR20180047178A (ko) Csr 지원 ic 소자 공용화를 위한 배터리 보호회로
JP3948435B2 (ja) 2次電池保護用icとそれを用いた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KR100781794B1 (ko) 배터리 보호 회로
KR1006003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보호 장치
JP3676935B2 (ja) 電池パック
KR101093986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KR100553525B1 (ko) 배터리 보호회로
KR100844541B1 (ko) 배터리 보호회로
KR100763772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제품용 배터리
KR100580381B1 (ko) 2차전지의과충전방지회로
JPH10150721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KR100656178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용 배터리 및 그 방수방법
KR200280002Y1 (ko) 리튬이온 배터리 보호회로
JP5187725B2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