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187B1 -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187B1
KR100600187B1 KR1020040051304A KR20040051304A KR100600187B1 KR 100600187 B1 KR100600187 B1 KR 100600187B1 KR 1020040051304 A KR1020040051304 A KR 1020040051304A KR 20040051304 A KR20040051304 A KR 20040051304A KR 100600187 B1 KR100600187 B1 KR 10060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are tire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02334A (en
Inventor
정동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187B1/en
Publication of KR2006000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따라 스패어 타이어의 고정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여 거친 노면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도 스패어 타이어가 노면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 액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15), 상기 로드(15)의 단부에는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0), 상기 코일 스프링(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 하중에 따라 유압관(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50), 상기 유압관(4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50)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관(60a, 60b)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화물 적재 정도에 따라 외부로 공급하는 유압량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유압 조절부(30),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양에 따라 동작하는 실린더(80), 상기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의 단부에 연결되어 실린더(80)와 연동되고 일측으로는 스패어 타이어(1)가 연결되는 체인(90)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30)에서 출력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패어 타이어(1)의 고정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70)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so that the fixed height of the spare ti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oad load of the freight vehicle so that the spare tire does not collide with the road surface even when the vehicle runs on a rough road surface. In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a rod 15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a coil spring 20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d 15, and the coil spring 20. Sliding bar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slides in the hydraulic tube 40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loa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ydraulic tube 40 is opened or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bar 50 And second and second hydraulic supply pipes 60a and 60b to change the amount of oil supply, and the oil pressure to be output by varying the amount of oil suppli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oad level of the vehicle. Adjuster 30, the cylinder 80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80 is interlocked with the cylinder 80, one side spare tire Consists of a chain 90 is connected to (1)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ing portion 70 to change the fixed height of the spare tire (1) by the hydraulic pressure output from the hydraulic pressure adjusting portion (30).

스패어 타이어, 적재하중, 높이 조절Spare Tire, Load Load, Height Adjustment

Description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Spare tire fix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pare tire of the vehicle by a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의 동작 상태도. 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리어 액슬 15 : 로드10: rear axle 15: rod

20 : 코일 스프링 30 : 유압 조절부20: coil spring 30: hydraulic control unit

40 : 유압관 50 : 슬라이딩 바40: hydraulic tube 50: sliding bar

60a, 60b :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관60a, 60b: 1st and 2nd hydraulic supply pipe

70 : 높이 조절부 80 : 실린더70: height adjustment portion 80: cylinder

90 : 체인90: chain

본 발명은 스패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차량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따라 스패어 타이어의 고정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여 거친 노면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도 스패어 타이어가 노면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in particular, so that the fixed height of the spare tire changes according to the load load of the cargo vehicle, so that the spare tire does not collide with the road surface even when the vehicle runs on a rough road surface. A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퀴는 타이어와 휘일로 이루어져 있다. 휘일은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전 중량을 분담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구동 또는 제동시의 토오크 및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Generally, wheels of automobiles consist of tires and wheels. The wheels share the entire weight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tires and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torque transmitted during driving or braking and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타이어는 휘일에 끼워져 휘일과 일체로 회전하며, 주행 중에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타이어는 제동 및 구동시 그리고 자동차가 선회할 때 노면과의 미끄러짐이 작은 것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타이어는 주행 중에 노면에 깔려 있는 못이나 금속체에 의해, 또는 공기압의 부족에 의한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생기며, 이때에는 신속히 타이어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The tire is fitted to the wheel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heel, absorbing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In addition, the tire has a small slippage with the road surface during braking and driving and when the vehicle is turning to help drive safely. However, the tire may be damaged by nails or metal bodies laid on the road while driving, or due to a standing wave phenomenon due to lack of air pressure, and the tire should be replaced with a new one quickly.

따라서, 승용차와 같이 별도의 트렁크가 구비된 차량의 경우에는 트렁크의 저면에 스패어 타이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별도의 트렁크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 중 RV 차량의 차체의 외측면에 설치하고, 트럭은 차체의 저면에 스패어 타이어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vehicle having a separate trunk, such as a passenger car, spare tires are built in the bottom of the trunk, and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of the RV vehicle among the vehicles that do not have a separate trunk, and the truck It is common to attach a spare tire to the bottom of the car.

상기 승용차와 RV 차량은 스패어 타이어의 보관 및 인출이 비교적 간편하지만 트럭의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의 저면에 구동수단(2)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수단(2)에는 스패어 타이어(3)가 결합되는 캐리어(4)가 체인(5)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2)의 일 측면에는 그 구동수단(2)을 작동시키는 회전암(6)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passenger car and the RV vehicle, storage and withdrawal of spare tires is relatively simple, but in the case of a truck, a driving means 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 as shown in FIG. The carrier 4 to which the spare tire 3 is coupled is installed through the chain 5, an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2, the rotary arm 6 for operating the driving means 2. Is installed.

따라서 종래에는 회전암(6)에 별도의 공구(도면 미도시)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은 구동수단(2)으로 전달되어 체인(5)을 감거나 풀면서 캐리어(4) 및 스패어 타이어(3)를 분리/고정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rotates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e tool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otary arm 6,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means 2 to wind or unwind the chain 5 to carry the carrier 4. ) And the spare tire (3).

상기한 바와 같이 트럭과 같은 화물 차량의 경우에는 스패어 타이어가 차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어 다량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거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스패어 타이어와 노면이 부딪혀 스패어 타이어가 손상되어 스패어 타이어가 필요한 순간에 사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argo vehicles such as trucks, spare tir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and when driving on rough roads with a large amount of cargo, the spare tires collide with the road surface to damage the spare tire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when the spare tire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트럭과 같은 화물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스패어 타이어의 고정 위치가 상승되도록 하여 다량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거친 노면의 도로를 주행하여도 스패어 타이어가 손상되지 않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loaded on a cargo vehicle such as a truck increases, the fixed position of the spare tire is raised so that a rough road surface is loaded in a state where a large amount of cargo is loa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cargo vehicle in which the spare tire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road is drive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 액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15), 상기 로드(15)의 단부에는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0), 상기 코일 스프링(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 하중에 따라 유압관(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50), 상기 유압관(4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50)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관(60a, 60b)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화물 적재 정도에 따라 외부로 공급하는 유압량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유압 조절부(30),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양에 따라 동작하는 실린더(80), 상기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의 단부에 연결되어 실린더(80)와 연동되고 일측으로는 스패어 타이어(1)가 연결되는 체인(90)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30)에서 출력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패어 타이어(1)의 고정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7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 rod 15 is installed above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A coil spring 20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d 15, a sliding bar 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20 to slide in the hydraulic pipe 40 according to a vehicle load, and the hydraulic pipe (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supply pipes (60a, 60b)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40 is opened or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bar 50 to change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argo loading of the vehicle Hydraulic control unit 30 for changing the output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output, the cylinder 80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cylinder ro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 Work with 80)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70 is composed of a chain 90 to which the spare tire 1 is connected so that the fixed height of the spare tire 1 is chang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utput from the hydraulic adjustment unit 30. It is composed of).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화물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화물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력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물 차량의 리어 액슬(10)의 상부에 로드(15)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15)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2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0)의 타단부에는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유압관(4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유압 공급관(60a) 및 제 2 유압 공급관(60b)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바(50)가 연결되어 있다. The brake system of a freight vehic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rake actuation force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go loaded on the freight vehicle. That is, as shown in FIG. 3A, the rod 15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r axle 10 of the freight vehicle, and the coil spring 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d 1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20, the sliding bar for sliding the first hydraulic supply pipe 60a and the second hydraulic supply pipe 60b by sliding the inside of the hydraulic pipe 40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mount of the cargo. 50 are connected.

따라서 화물 차량의 화물을 싣지 않은 경우 또는 화물의 적재량이 적은 경우 에는 차량의 리어 액슬(10)에 인가되는 하중이 적기 때문에 일측이 복원 로드(35a)와 리턴 스프링(35b)에 의해 로드(15)와 코일 스프링(20)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드 바(50)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유압 공급관(60a)은 폐쇄되도록 하고, 제 2 유압 공급관(60b)은 개방되도록 한다. Accordingly, when the cargo of the freight vehicle is not loaded or the load of the cargo is small,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is small, one side is loaded by the restoring rod 35a and the return spring 35b. And the sliding bar 50 connected to the coil spring 20 moves in the a direction as shown in FIG. 3A so that the first hydraulic supply pipe 60a is closed, and the second hydraulic supply pipe 60b is Make it open.

제 1 유압 공급관(60a)의 폐쇄에 의해 높이 조절부(70)로는 더 이상의 유압이 공급되지 않고, 제 2 유압 공급관(60b)의 개방에 의해 높이 조절부(70)로 공급되었던 유압은 배출된다. No mor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70 by closing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supply pipe 60a, and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70 is discharged by opening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supply pipe 60b. .

높이 조절부(70)의 유압이 저하되므로,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는 aa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80a)와 연동되는 체인(90)에 연결된 스패어 타이어(1)에 연결되어 있는 스패어 타이어(1)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Sinc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70 is lowered,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80 moves in the aa direction, and thus the spare tire 1 connected to the chain 90 interlocked with the piston rod 80a. ), The height of the spare tire (1) connected to the lower.

반대의 경우 즉, 화물 차량의 화물의 적재량이 많은 경우에는 차량의 리어 액슬(10)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복원 로드(35a)와 리턴 스프링(35b)에 의해 로드(15)와 코일 스프링(20)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바(50)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유압 공급관(60a)은 개방되도록 하고, 제 2 유압 공급관(60b)은 폐쇄되도록 한다. On the contrary, that is, when the load of the cargo vehicle is large, the load applied to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increases, so that the rod 15 and the coil spring are provided by the restoring rod 35a and the return spring 35b. The sliding bar 50 connected to the 20 moves in the b direction as shown in FIG. 3B to open the first hydraulic supply pipe 60a and close the second hydraulic supply pipe 60b.

제 1 유압 공급관(60a)의 개방에 의해 높이 조절부(70)로는 유압이 공급되고, 제 2 유압 공급관(60b)의 폐쇄에 의해 높이 조절부(70)에서의 유압 배출은 정지된다.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part 70 by opening of the 1st hydraulic supply pipe 60a, and hydraulic discharge from the height adjustment part 70 is stopped by closing of the 2nd hydraulic supply pipe 60b.

높이 조절부(70)의 유압이 증가되므로,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는 bb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80a)와 연동되는 체인(90)에 연결된 스 패어 타이어(1)에 연결되어 있는 스패어 타이어(1)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Sinc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eight adjuster 70 is increased,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80 moves in the bb direction, and thus the spare tire 1 connected to the chain 90 interlocked with the piston rod 80a. The height of the spare tire 1 connected to) becomes high.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량에 따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의 높낮이를 변화시켜 스패어 타이어가 노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pare tire of the vehic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go loaded on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spare tire from being damaged by hitting the road surface.

Claims (3)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에 있어서, In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차량의 리어 액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15), 상기 로드(15)의 단부에는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0), 상기 코일 스프링(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 하중에 따라 유압관(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50), 상기 유압관(4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50)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관(60a, 60b)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화물 적재 정도에 따라 외부로 공급하는 유압량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유압 조절부(30), A rod 15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a coil spring 20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d 15, and a hydraulic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20, according to a vehicle loa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bars 50 that slide in the interior and the side of the hydraulic pipe 40 are opened or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bar 50 to change the supply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control unit (30) composed of hydraulic supply pipe (60a, 60b) to change and output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oad level of the vehicle,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양에 따라 동작하는 실린더(80), 상기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의 단부에 연결되어 실린더(80)와 연동되고 일측으로는 스패어 타이어(1)가 연결되는 체인(90)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30)에서 출력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패어 타이어(1)의 고정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The cylinder 80,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80, interlocked with the cylinder 80, and the spare tire 1 is connected to one side. It is composed of a chain 90 of the cargo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70 to change the fixed height of the spare tire (1) by the hydraulic pressure output from the hydraulic adjustment unit 30 Spare tire fix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조절부(30)는 차량의 리어 액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15), 상기 로드(15)의 단부에는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0), 상기 코일 스프링(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 하중에 따라 유압관(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50), 상기 유압관(4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50)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관(60a, 6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30 is a rod 15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axle 10 of the vehicle, a coil spring 2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d 15, the coil spring The sliding bar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20 and slides in the hydraulic pipe 40 according to the vehicle load,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ydraulic pipe 40 to be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bar 50. Or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supply pipes (60a, 60b) which are closed to change the supply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7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양에 따라 동작하는 실린더(80), 상기 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0a)의 단부에 연결되어 실린더(80)와 연동되고 일측으로는 스패어 타이어(1)가 연결되는 체인(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7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80 and the end of the piston rod (80a) of the cylinder 80,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pare tire fixing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in 90 is interlocked and the spare tire (1) is connected to one side.
KR1020040051304A 2004-07-01 2004-07-01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KR100600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304A KR100600187B1 (en) 2004-07-01 2004-07-01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304A KR100600187B1 (en) 2004-07-01 2004-07-01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334A KR20060002334A (en) 2006-01-09
KR100600187B1 true KR100600187B1 (en) 2006-07-12

Family

ID=3710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304A KR100600187B1 (en) 2004-07-01 2004-07-01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1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334A (en)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946B2 (en) Lift axle drag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182922A1 (en) Air bag system for lifting trailer platforms
US5536036A (en) Locking mechanism for air suspension
US20030057663A1 (en) Self-Loading Vehicle for Shipping Containers
CN101372240B (en) Cargo access and retention system for a passenger vehicle
US9533712B2 (en) Wheel catcher assembly
US20090289426A1 (en) Air storage system for an air suspension system in a heavy vehicle
US10040386B2 (en) Vacuum truck tank securement system and method
JP2023509199A (en) A vehicle containing an undercarriage whose vertical position is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lowered into a low ground supported position
KR100600187B1 (en) An apparatus for spare tire fixing
EP1580045A1 (en) Upper mount
US20140265412A1 (en) Adjustable Bedliner Ballast System For Vehicles
US20080236437A1 (en) Axle Suspension System For Trucks
US6988754B1 (en) Vehicle bumper
KR20090059739A (en) Height controlling adjuster of special vehicle with air spring
CN205417690U (en) Liftable formula medical equipment transfer device
RU29701U1 (en) Cargo trailer
US20080105159A1 (en) Reinforced Bi-Modal Open Top Trash/Refuse Trailer
RU35763U1 (en) Device to prevent slipping of the wheels of the vehicle (options)
KR101599151B1 (en) A Tow truck
US20080053718A1 (en) System & method to provide a variable traction to a drive wheel for a vehicle
CN211001049U (en) Dumper tail door locking device and dumper
JP2562714B2 (en) Automotive wheel anti-slip device
DE102016211261A1 (en) Level adjust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0691425B1 (en) the apparatus for not transmitting force to springs of suspension system during parking of a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