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604B1 -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604B1
KR100599604B1 KR1020040078647A KR20040078647A KR100599604B1 KR 100599604 B1 KR100599604 B1 KR 100599604B1 KR 1020040078647 A KR1020040078647 A KR 1020040078647A KR 20040078647 A KR20040078647 A KR 20040078647A KR 100599604 B1 KR100599604 B1 KR 10059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signal
func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802A (ko
Inventor
이선락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6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수신부는 리모콘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 및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인 방향정보신호를 수신하고, 마이컴은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이면,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포인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표시 장치는 메인 영상과 상기 포인터를 이동해가며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하나의 리모콘으로 리모콘 기능과 포인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PDP, 리모콘, 포인터, OSD

Description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Remote controller having pointer function and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at}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리모콘의 외형도이다.
도 4는 포인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중에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각 화소 안에서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화소 내벽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물질을 여기시켜 원하는 색을 구현하게 된다.
요즘,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비롯한 대형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서 회의실에서 회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회의시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적색 계열의 적외선으로 해당 위치를 지시하면서 설명을 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리모콘과 포인터 2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절하면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지시를 하다 보니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포인터는 크기가 작아서 분실의 위험이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포인터를 구비할 필요 없이 리모콘으로 포인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방향정보 및 기능정보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 및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인 방향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이면,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포인터 구동부;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포인터를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과, 다수의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상기 합성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구동신호, 주사전극 구동신호 및 유지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구동부;
상기 주사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전극 구동부 및
상기 유지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유지전극에 인가하는 유지전극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리모콘은,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방향정보 및 기능정보를 송신하는 리모콘으로서,
포인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기능키;
상기 포인터 영상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포인터 조정키;
상기 포인터 기능키 및 포인터 조정키의 눌림을 감지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 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리모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 제어부(200),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 주사 전극 구동부(이하 'Y 전극 구동부'라 함)(400), 유지 전극 구동부(이하 'X 전극 구동부'라 함)(500), 영상신호 처리부(610), 신호 합성부(620), 포인터 구동부(630), 수신부(640), 마이컴(650), 리모콘(700)을 포함한다.
수신부(640)는 리모콘(700)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 및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인 방향정보신호를 수신한다. 마이컴(650)은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이면,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포인터 구동부(630)는 상기 마이컴(6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부(610)는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한다. 신호 합성부(620)는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630)에서 생성되는 포인터를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은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A1-Am), 그리고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유지 전극(이하 'X 전극'이라 함)(X1-Xn) 및 주사 전극(이하 'Y 전극'이라 함)(Y1-Yn)을 포함한다. X 전극(X1-Xn)은 각 Y 전극(Y1-Yn)에 대응해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그 일단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은 X 및 Y 전극(X1-Xn, Y1-Yn)이 배열된 유리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어드레스 전극(A1-Am)이 배열된 유리 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두 유리 기판은 Y 전극(Y1-Yn)과 어드레스 전극(A1-Am) 및 X 전극(X1-Xn)과 어드레스 전극(A1-Am)이 각각 직교하도록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때, 어드레스 전극(A1-Am)과 X 및 Y 전극(X1-Xn, Y1-Yn)의 교차부에 있는 방전 공간이 방전 셀을 형성한다. 제어부(200)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구동신호, X 전극 구동신호 및 Y 전극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X 전극 구동부(500)는 제어부(200)로부터 X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X 전극(X1-X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Y 전극 구동부(400)는 제어부(200)로부터 Y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Y 전극(Y1-Y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 제어부(200),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 주사 전극 구동부(400) 및 유지 전극 구동부(500)는 표시장치중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성이며, 필요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리모콘(70))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리모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리모콘(700)은, 포인터 조정키(710), 포인트 기능키(720), 일반기능키(730), 신호 발생부(740) 및 적외선 송신부(750)를 포함한다.
포인터 기능키(720)는 사용자가 포인터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이를 선택받는다. 포인터 조정키(710)는 조이스틱 또는 볼 마우스의 볼처럼 포인터가 움직여야할 방향을 선택받는다. 일반 기능키(730)는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의 일반적인 기능을 선택받으며,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발생부(740)는 상기 포인터 기능키(720) 및 포인터 조정키(710)의 눌림을 감지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적외선 송신부(750)는 상기 신호 발생부(740)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 즈마 표시 장치 본체로 송신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리모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리모콘(700)의 포인터 기능키(720)를 이용하여 포인터 기능을 선택한다.
그러면, 신호 발생부(740)는 상기 포인터 기능키(720)의 눌림을 감지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적외선 송신부(750)는 상기 신호 발생부(740)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부(640)로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부(640)는 리모콘(700)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65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마이컴(650)은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인 것을 판단하고,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포인터 구동부(630)는 상기 마이컴(6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영상신호 처리부(610)는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 합성부(620)는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630)에서 생성되는 포인터를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00)는 영상 신호를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특성에 맞도록 감마 보정하여 X전극 구동신호, Y전극 구동신호 및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는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그리고, X 전극 구동부(500)는 X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X 전극(X1-X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Y 전극 구동부(400)는 Y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Y 전극(Y1-Y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플라즈마 패널(100)에는 도 4와 같이 메인 화면의 영상과 같이 포인터가 표시된다. 여기서 포인터는 화살표 모양으로 표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OSD(on screen display) 기능과 유사하게 구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포인터 조정키(710)를 조작하여 포인터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이스틱 또는 볼 마우스의 볼처럼 생긴 포인터 조정키(710)를 전후좌우로 움직여 포인터가 움직여야할 방향을 선택한다. 이때, 필요요 따라서는 일반 기능키(730)중에서 방향조절키를 사용하여 포인터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면, 신호 발생부(740)는 상기 포인터 기능키(720) 및 포인터 조정키(710)의 변화를 감지하고, 변화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일반 기능키(730) 중에서 방향조절키가 눌렸을 경우에는 눌린시간동안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신호 발생부(740)는 상기 포인터 기능키(720)의 변화량 또는 방향조절키의 눌림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적외선 송신부(750)는 상기 신호 발생부(740)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부(640)로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부(640)는 리모콘(700)으로부터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65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마이컴(650)은 현재 포인터의 위치에서 수신된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포인터 구동부(630)는 상기 마이컴(6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영상신호 처리부(610)는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 합성부(620)는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630)에서 생성되는 포인터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00)는 영상 신호를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특성에 맞도록 감마 보정하여 X전극 구동신호, Y전극 구동신호 및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는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그리고, X 전극 구동부(500)는 X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X 전극(X1-X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Y 전극 구동부(400)는 Y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Y 전극(Y1-Y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플라즈마 패널(100)에는 메인 화면의 영상과 같이 이동된 위치에 포인터가 표시된다.
이후,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포인터의 위치를 변화해 가며 해당 사항을 지시하면서 회의나 교육 등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 기능을 해제하면 원래의 리모콘(700)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리모콘 하나로 리모콘 기능뿐만 아니라 포인터 기능까지 구현하여 포인터 구입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로 사용하므로 보관이 편리한 리모콘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방향정보 및 기능정보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 및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인 방향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이면,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포인터 구동부;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포인터를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포인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기능키;
    상기 포인터 영상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포인터 조정키;
    상기 포인터 기능키 및 포인터 조정키의 눌림을 감지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포인터 조정키의 조정방향 및 양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과, 다수의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상기 합성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구동신호, 주사전극 구동신호 및 유지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구동부;
    상기 주사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전극 구동부 및
    상기 유지전극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유지전극에 인가하는 유지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5.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방향정보 및 기능정보를 송신하는 리모콘으로서,
    포인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기능키;
    상기 포인터 영상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포인터 조정키;
    상기 포인터 기능키 및 포인터 조정키의 눌림을 감지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포인터 기능의 선택여부에 대한 기능정보 및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인 방향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정보가 포인터 기능을 설정한 신호이면, 포인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포인터 구동부;
    외부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포인터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포인터를 영 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리모콘.
KR1020040078647A 2004-10-04 2004-10-04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9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47A KR100599604B1 (ko) 2004-10-04 2004-10-04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47A KR100599604B1 (ko) 2004-10-04 2004-10-04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02A KR20060029802A (ko) 2006-04-07
KR100599604B1 true KR100599604B1 (ko) 2006-07-13

Family

ID=3714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647A KR100599604B1 (ko) 2004-10-04 2004-10-04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6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02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226B1 (ko) 잔상소거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의 잔상소거방법
US6346972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on-screen display pivoting function
US83306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056675A (ja) 画面重畳表示型情報入出力装置
JP200531814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US8558757B2 (en) Display system
KR20160030629A (ko) 곡면 디스플레이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US20130113725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833466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40026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36666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KR100599604B1 (ko) 포인터 기능을 갖는 리모콘 및 그를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US669768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udio output control means in accordance with image signal type
US20060125783A1 (en)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housing
JP4681932B2 (ja) タッチパネル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装置
JP2005122393A (ja) 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737863B (zh) 图像显示装置、外部设备、图像显示方法及图像显示系统
KR100560525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96224B1 (ko)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0570780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잔상 방지 방법
KR100579599B1 (ko) Tv튜너가내장된휴대용컴퓨터및휴대용컴퓨터에서텔레비전영상의표시방법
KR200434597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325805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JPS6275834A (ja) 表示ユニツトの切換え制御方式
KR20040103303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노트북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