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067B1 -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067B1
KR100599067B1 KR1020017003472A KR20017003472A KR100599067B1 KR 100599067 B1 KR100599067 B1 KR 100599067B1 KR 1020017003472 A KR1020017003472 A KR 1020017003472A KR 20017003472 A KR20017003472 A KR 20017003472A KR 100599067 B1 KR100599067 B1 KR 10059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elt index
weight
styren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187A (ko
Inventor
밀러래리
브레인델레이몬드
위클리미첼
Original Assignee
오웬스 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스 코닝 filed Critical 오웬스 코닝
Publication of KR2001007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7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blow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05Use of one or more blowing agents tog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의 구현으로서, 본 발명은 (A) (1) 높은 용융지수를 갖는 다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2)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소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및 (3)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발포제의 발포성 혼합물을, 혼합물의 예비발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압력하에서 형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을 감압 구역에 발포시켜 발포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 판 또는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ODUCING EXTRUDED FOAM PRODUCTS HAVING POLYSTYRENE BLENDS WITH HIGH LEVELS OF CO2 AS A BLOWING AG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상기 생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출된 합성 수지계 발포물은 단열, 장식적 목적, 포장 등의 많은 응용에 유용한 물질이다. 단열은 스티렌 중합체 발포물의 특히 중요한 하나의 응용이다. 이 응용에서, 가능한 오랫동안 발포물의 단열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발포물이 치수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요구된다. 바람직한 특성은 균일한 기포 크기를 가지는 발포물을 제공하여,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다.
상당한 기간의 시간 동안, 스티렌 중합체 발포물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플루오로탄화수소 또는 클로로플루오로탄화수소(이름이 함축하는 바처럼,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포함하며 "연질 CFC", "HCFC" 및 "HFC"로 언급되어온 것)를 포함하는, 메틸 클로라이드, 에틸 클로라이드, 클로로카본, 플루오로카본(HFC 포함)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 (CFC)과 같은 다양한 할로-카본을 발포제로서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할로-카본의 예는 일반적으로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인 CFC-11, 디클로 로디플루오로메탄인 CFC-12, 및 1,2,2-트리플루오로-1,1,2-트리클로로에탄인 CFC-13과 같은 (CFC), 연질 CFC,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F-22),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F-123),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F-142b).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F-134a), 및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F-141b)과 같은 HCFC 및 HFC를 포함한다.
근래에, 전자 공학 및 항공 우주 산업에서 에어로졸, 냉매, 발포제 및 특수 용매를 포함하는 응용을 위해 할로-카본을 사용하는 것은 정부의 통제에 의해 종결되어졌으며 또는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할로-카본이 성층권 내의 오존층을 파괴한다고 믿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로-카본을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스티렌 중합체에서의 발포제의 낮은 용해도, 저질의 발포물 생성 등의 비할로-카본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압출된 합성 수지계 발포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단계와 관련된다. 폴리스티렌 수지와 같은 수지를 열 가소화하고, 발포제가 가소화된 수지에 완전히 혼합되게 하고 혼합물의 발포를 예방하는 조건하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 발포제를 가소화된 수지에 혼입하고 완전하게 혼합시킨다. 수지, 발포제 및 임의의 첨가제의 혼합물을 냉각하고, 혼합물에의 압력을 감압시켜 혼합물이 발포되어 목적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게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발포체는 수지, 발포제 및 임의의 첨가제의 냉각된 가소화 혼합물을 낮은 압력의 구역으로 압출시켜 수득하는 것이다.
상기 약술한 일반적인 절차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No. 5,422,378 및 독일 특허 공보 DE 19637366에 있다. 이들 참조 모두가 두 상이한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의 압출을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소위 "압출된 발포물"인 중합성 발포물에 관한 것이다. 압출된 발포물은 상당히 균일하고, 비교적 작은 평균 기포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특히 단열에 유용하다. 또한 압출된 발포물은 비교적 저밀도이며 따라서 단열에 특히 더욱더 유용하다. 압출된 발포물의 또 다른 양상은 고도의 치수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결국, 압출된 발포물은 CFC, HCFC, HFC 및 연질 CFC와 같은 발포제없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태양은 발포성 혼합물에 용해되는 발포제의 양을 최대화하여 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로 이루어진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1) 높은 용융지수를 갖는 다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2)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소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및 (3)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발포제의 발포성 혼합물을, 혼합물의 예비발포(발포성 혼합물이 감압 구역에 도달하기 전에 발포성 혼합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성숙 발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압력하에서 형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을 감압 구역에 발포시켜 발포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또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로 이루어진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1) 50,000 내지 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다량의 폴리스티렌, (2) 225,000 내지 4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소량의 폴리스티렌, 및 (3) 폴리스티렌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16 중량% 인,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발포제의 발포성 혼합물을, 혼합물의 예비발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압력하에서 형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을 감압 구역에 발포시켜 발포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또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은 높은 용융지수를 갖는 다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및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소량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발포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물 기포에 할로겐 발포제가 없다.
바람직한 구현의 설명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발포 생성물, 예를 들어 발포 판, 발포 시트 및 이외의 발포 구조물로 압축 및 발포된 발포성 혼합물은 두 가지 상이한 스티렌계 중합체 및 발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성 혼합물은 다른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높은 용융지수를 가지며 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스티렌 및 하나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다른 하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낮은 용융지수를 가지며 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스티렌 및 하나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두 스티렌계 중합체 어떤 것도 다른 단량체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없거나, 둘 중 하나 또는 둘다가 다른 단량체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있다.
높은 용융지수 스티렌계 중합체 및 낮은 용융지수 스티렌계 중합체 모두는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스티렌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특징되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Ar-CH=CH2 (Ⅰ)
(식중, Ar은 벤젠 계열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및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모두는 스티렌 단량체 및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스티렌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스티렌 단량체와 중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단량체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상기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이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 공중합체 내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양은 0.1% 내지 10%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기를 포함하는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화학식 Ⅱ의 방향족 화합물이다:
Figure 112001005872119-pct00001
(Ⅱ)
(식중, R1,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염소, 브롬,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단, 단량체 중의 탄소 원자의 총수가 20을 넘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R4, R5 및 R6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염소, 브롬,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으로, R4, R5 및 R6 중 하나 이상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으로, R4, R5 및 R6 중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R4, R5 및 R6 중 둘이 수소이다).
화학식 (Ⅱ)에 따라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예는 3-메틸 스티렌, 4-메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2,5-디메틸 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메틸 스티렌, 3-클로로메틸 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3-브로모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알파-2-디메틸 스티렌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기를 포함하는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페닐렌 에테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의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 부타디엔, 말레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톨루엔, 및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중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압출되고 발포되는 발포성 혼합물은 높은 용융지수를 갖는 다량의 스티렌계 중합체 및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소량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량이란 발포성 혼합물이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량이란 발포성 혼합물이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은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50 내지 90 중량% 및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은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55 내지 85 중량% 및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7.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은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65 내지 80 중량% 및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대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중량으로) 95:5 내지 55:45 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대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80:20 내지 60:40이다.
용융된 중합체의 오리피스 (orifice)를 통한 유량이 용융 유동 지수(MFI) 또는 간단히 용융지수이다. MFI의 측정은 비용이 저렴하고, 손쉽게 수행하는 기술이다. 상세한 사항은 많은 간행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ry, P.J.Flory 저,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1953]이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10 내지 35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15 내지 30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17.5 내지 25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하나의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0.5 내지 5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0.75 내지 4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1 내지 3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MFI는 예를 들어, ISO 1133:1997(E) (3rd Edition)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두 스티렌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분자량을 가진다. 이러한 중합체의 분자량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몇몇 방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고유점도, 광산란, 및 초원심분리 침전과 같은 것이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175,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200,000 내지 4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225,000 내지 4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250,000 내지 3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30,000 내지 1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40,000 내지 125,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50,000 내지 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60,000 내지 9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75% 내지 100%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80% 내지 99%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85% 내지 95%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75% 내지 100%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80% 내지 99%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낮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85% 내지 95%의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한다.
유용한 스티렌 수지(이하, 폴리스티렌으로 칭함) 및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수지는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시판되며, 상기 수지는 용융 유동지수, 분자량 등과 같은 상이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은 ARCO Chemical Company로부터 일반 명칭 "DYLENE", 예를 들어 DYLENE D-8으로; Polysar Ltd., Sarnia, Ontario로부터; 및 Chevron Chemical Co.로부터, 예를 들어 EB-3100으로 이용가능하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의 용융지수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한 압출, 팽창되고 발포된 생성물의 성질은 수지의 분자량의 선택에 의해 조절 및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밀도 발포체의 제조는 보다 낮은 분자량 또는 보다 높은 점도의 수지를 사용하여 스티렌계 중합체의 용융지수를 증가시킴으로서 용이해지는 반면에 고밀도 폴리스티렌 발포체의 제조는 보다 높은 분자량의 수지를 사용하여 스티렌계 중합체의 용융지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용이해진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의 용융지수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한 압출, 팽창되고 발포된 생성물의 성질은 사용되는 추가의 임의 단량체의 상대적인 양에 의해 조절 및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티렌계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는 중합체가 (전술한 것 중 하나와 같은) 바람직한 용융 유동지수를 가지는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발포성 혼합물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은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1 중량% 내지 16 중량%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은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2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은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3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은 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4 중량% 내지 8 중량%이다. 발포제 혼합물의 구성성분에 어느 정도 의존하여,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되는 발포제의 양의 변화량을 상이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 압출된 발포체를 제조하기위해 활용할 수 있다.
다량의 이산화탄소란, 발포제가 50 중량% 초과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제는 60% 초과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특히 65% 내지 100%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제는 70% 내지 90%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제는 100%의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발포제는 이산화탄소와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저급 알콜이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알콜이다. 저급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및 발포제 혼합물은 또한 추가, 임의 및 보충 발포제, 가장 특히는 하기에 개시될 공기, 질소 및 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발포제의 혼합물은 다음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51∼90%의 이산화탄소 및 10∼49%의 에탄올; 60∼80%의 이산화탄소 및 20∼40%의 에탄올; 51∼90%의 이산화탄소 및 10∼49%의 메탄올; 60∼80%의 이산화탄소 및 20∼40%의 메탄올; 51∼90%의 이산화탄소 및 10∼49%의 물; 및 60∼80%의 이산화탄소 및 20∼40%의 물. 이산화탄소와 조합하는 저급 알콜의 임의 사용은 저급 알콜없이 이산화탄소와 함께 생성되는 유사한 밀도의 물체와 비교할 경우, 보다 큰 기포 크기(1% 내지 25% 더 큰 크기)의 압출되고 팽창된 발포 생성물 또는 발포체를 제공한다.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발포제 배합물은 압출되고 팽창된 발포체가 비교가능한 밀도에서 향상된 압축 강도를 가지도록 해줄 수 있다. 만족스러운 특성의 압출 팽창된 폴리스티렌 물체는 상기 발포제 및 발포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할로-카본 발포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발포제는 할로겐 발포제가 없다. 할로겐 발포제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플루오로카본, 연질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플루오로탄화수소, 및 (전형적으로는 메탄 및 에탄의) 클로로플루오로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할로겐 발포제의 구체적인 예는 그 중에서도 메틸클로라이드, 에틸클로라이드,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2,2-트리플루오로-1,1,2-트리클로로에탄,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및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한다. 할로겐 발포제가 환경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방법에서 사용되는 발포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제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발포제는 중합반응 전, 중합반응 동안 또는 이후에 (두 스티렌계 중합체와 조합된)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제는 압출기와 같은 열 가소화 및 혼합 기구에서 발포성 혼합물로 직접 주입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발포제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발포제는 개별적으로 열 가소화 및 혼합 기구로 주입될 수 있다.
발포성 혼합물은 발포성 혼합물 또는 생성되는 발포체의 특정한 특성 및 성질을 개질하기 위해 공중합체 및 발포제 이외에 일반적으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핵체가 기본 기포 크기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기핵체는 활석, 칼슘 실리케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점토, 실리카, 티타늄 산화물, 바륨 술페이트, 규조토, 인디고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기핵체 0.01 내지 1 부가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기핵체 0.05 내지 0.5부가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가소제가 또한 압출기에서의 발포성 혼합물의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가소제는 낮은 분자량 수지(20,000 미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가소제는 15,000 미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낮은 분자량 수지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가소제는 10,000 미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낮은 분자량 수지이다. 가소제의 예로 액체 파라핀 또는 화이트 오일, 수소첨가 코코넛유, C4-C20 모노알콜의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을 갖는 디올 글리세린, 스티렌 수지, 비닐 톨루엔 수지, 알파-메틸스티렌 수지, 저급 알콜(탄소수 1 내지 4)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가소제 0.1 내지 20부가 발포성 혼합물에 혼입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가소제 1 내지 15부가 발포성 혼합물에 혼입된다.
탄성 고무(elastomeric rubber)가 또한 압출기에서의 발포성 혼합물의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및 생성되는 발포체의 이완을 강화하기 위하여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탄성 고무는 스티렌계 중합체에 가용성이다. 탄성 고무의 예로서, 스티렌계 고무,
Figure 112001005872502-pct00005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0.1 내지 10부의 탄성 고무가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0.5 내지 5부의 탄성 고무가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난연성 화학물질이 또한 생성된 발포체에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포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난연성 화학물질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및 펜타브로모시클로헥산, 브롬화된 페닐 에테르, 테트라브로모프탈산의 에스테르, 및 이의 조합체와 같은 브롬화된 지방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0.1 내지 5부의 난연성 화학물질이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또 다른 구현으로, 스티렌계 중합체 100부 당 0.5 내지 3부의 난연성 화학물질이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이외의 유용한 첨가제는 안정화제, 안료, 압출 보조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정전기방지제, UV 흡수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외의 첨가제는 발포성 혼합물 또는 생성된 발포체의 목적하는 특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첨가제는 중합반응 전, 중합반응 동안 또는 이후에 (두 스티렌계 중합체 및 발포제와 조합된)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발포성 혼합물의 구성 성분은 조합 및 혼합되고, 이어서 및/또는 동시에 제 1 압력하에서 제 1 온도까지 가열되어 가소화된 발포성 혼합물을 형성한다. 압출기로부터, 가소화된 발포성 혼합물을 제 2 온도(일반적으로 다이 용융 온도로 칭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구역에서 압출하여 발포 생성물을 형성시킨다. 제 2 온도는 제 1 온도보다 낮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혼합물로부터 발포물을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제 1 온도는 혼합물을 가소화 또는 용융하기에 충분해야만 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제 1 온도는 135℃ 내지 240℃ (240℃ 미만)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제 1 온도는 145℃ 내지 210℃ (210℃ 미만)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제 1 온도는 150℃ 내지 165℃ (165℃ 미만)이다. 하나의 구현으로, 제 2 온도 또는 다이 용융 온도는 140℃ 내지 105℃ (140℃ 미만)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제 2 온도 또는 다이 용융 온도는 130℃ 내지 110℃ (130℃ 미만)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제 2 온도 또는 다이 용융 온도는 125℃ 내지 115℃ (125℃ 미만)이다.
제 1 압력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혼합물이 예비발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해야만 한다. 예비발포된다는 것은 감압 구역에 다다르기 전에 발포성 혼합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미성숙한 발포를 하는 것이다(발포를 원하기 이전에 발포성 혼합물이 발포하는 것). 따라서, 제 1 압력은 발포성 혼합물에서의 발포제의 독자적 특성 및 양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하나의 구현으로, 제 1 압력은 696 Kpa(700 psia (pound per square inch absolute))내지 31.02 Mpa(4500 psia)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제 1 압력은 277 Kpa(840 psia) 내지 27.57 Mpa(4000 psia)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제 1 압력은 7928 Kpa(1150 psia) 내지 24.13 Mpa(3500 psia)이다. 제 2 압력은 발포성 혼합물의 발포체로의 전환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으로, 제 2 압력은 0 Kpa(0 psia) 내지 193 Kpa(28 psia)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제 2 압력은 9.65 Kpa(1.4 psia) 내지 144.8 Kpa(21 psia)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제 2 압력은 19.3 Kpa(2.8 psia) 내지 103.4 Kpa(15 psia)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체(발포 판, 발포 시트, 발포 절연재 및 이외의 발포 구조물을 포함하는 발포 생성물)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되어진다.
생성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밀도, 일반적으로 48 kg/㎥(3 lbs/ft3) 미만의 밀도는 가진다. 밀도는 예를 들어, ASTM D1622-88로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체는 1.60 내지 48 kg/㎥(0.1 내지 3 lbs/ft3) 의 밀도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체는 8.00 내지 44.00 kg/㎥(0.5 내지 2.75 lbs/ft3) 의 밀도를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발포체는 16.0 내지 41.6 kg/㎥(1 내지 2.6 lbs/ft3) 의 밀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으로, 발포체는 24 내지 40 kg/㎥(1.5 내지 2.5 lbs/ft3) 의 밀도를 가진다.
생성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평균 기포 크기, 일반적으로 0.4 mm 미만의 크기를 가진다. 평균 기포 크기는 예를 들어, ASTM D3576-77로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발포체는 0.01 내지 0.4 mm의 평균 기포 크기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발포체는 0.05 내지 0.35 mm의 평균 기포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발포체는 0.1 내지 0.325 mm의 평균 기포 크기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으로, 발포체는 0.15 내지 0.25 mm의 평균 기포 크기를 가진다.
생성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균일한 평균 기포 크기, 일반적으로 기포의 50% 초과가 평균 기포 크기 0.06 mm 내의 크기를 가진다. 하나의 구현으로, 60% 초과의 기포가 평균 기포 크기 0.06 mm 내의 크기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50% 초과의 기포가 평균 기포 크기 0.05 mm 내의 크기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50% 초과의 기포가 평균 기포 크기 0.045 mm 내의 크기를 가진다.
생성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다량의 닫힌 기포 및 소량의 열린 기포를 포함한다. 닫힌 기포의 상대적인 양은 예를 들어, ASTM D2856-A로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으로, 생성된 발포체 기포의 70% 초과가 닫힌 기포이다. 또 다른 구현으로, 생성된 발포체 기포의 80% 초과가 닫힌 기포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생성된 발포체 기포의 90% 초과가 닫힌 기포이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으로, 생성된 발포체 기포의 95% 초과가 닫힌 기포이다.
하나의 구현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성된 발포체는 임의 방향의 5% 이하인 치수안정성을 가진다. 또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 생성된 발포체는 임의 방향의 4% 이하인 치수안정성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 생성된 발포체는 임의 방향의 3% 이하인 치수안정성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 생성된 발포체는 임의 방향의 2% 이하인 치수안정성을 가진다.
치수안정성은 ASTM D-2126/C578 로 검사한다. 표본들의 치수는 대략 10.16 cm ×10.16 cm ×2.54 cm(4 인치 ×4 인치 ×1 인치)이다. 시료들을 하룻밤 이상 둔다. 표본들의 주축 (수직축, 수평축 및 압출축)의 치수를 ±0.1% 근처까지 측정한다. 시료를 상대 습도 97% ±3%에서 70℃±2°의 온도로 7 일 동안 노출시킨다.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표본들의 3 주축 (수직축, 수평축 및 압출축)의 치수를 ±0.1% 근처까지 측정한다. 그 후 3 주축 각각에서의 양 또는 음 (절대값)의 치수 변화 백분율을 0.1% 근처까지 측정한다. ASTM C-578-87A에 의해 나타난 예비 형성된 기공성 폴리스티렌 단열재의 치수안정성에 대한 산업표준은 임의 방향에서 2% 이하의 변화이다.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의 방법 및 이에 의해 수득한 발포체를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일반적인 절차 및 기구는, 다른 지시가 없는한, 다음과 같다. 스티렌 공중합체, 기핵체 및 난연재의 가소화된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고, 발포제를 가소화된 수지 혼합물로 혼입하여 발포성 혼합물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기핵체 및 난연재는 발포성 혼합물로 혼입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회수된 발포된 판의 밀도, 평균 기포 크기, 압축 강도, 등을 본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측정한다. 평균 기포 크기는 X, Y 및 Z 방향으로 측정한 기포 크기의 평균이다. "X" 방향이란 압출의 방향이며; "Y" 방향이란 교차 기계 방향이며; "Z" 방향이란 두께이다. 본 발명의 발포체 의 압축 강도는 "Measuring Compressive Properties of Thermal Insulation"인 제목의 ASTM Test C165-83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방법 및 기구의 구체적 예에 대한 남은 상세한 기술은 실시예의 설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
81.73 중량%의 낮은 분자량 스티렌 수지, 14.42 중량%의 높은 분자량 스티렌 수지 및 3.85 중량%의 폴리-알파 메틸 스티렌의 배합물을 기핵체, 난연재 및
Figure 112006019049531-pct00003
와 함께 스크류 직경 132 mm 인 이중 스크류 압출기로 공급한다. 고체를 용융시킨 후, 3.0 중량% 이산화탄소 및 1.9 중량% 에탄올과 혼합한다. 그 후 혼합물을 발포가 일어나도록 46.7℃(116℉)까지 냉각하고 폭 27 ㎝ 및 높이 1.2 mm의 다이 개구를 통해 발포시킨다. 생성된 발포물은 밀도 49.02 kg/㎥(3.06 lbs/ft3), 평균 기포 크기 0.327 mm, 수직 방향의 압축 강도 693.4 Kpa(101 psi), 두께 5.25 cm(2.066 in) 및 폭 73.99 cm(29.13 in)이다.
실시예 2
86.54 중량%의 낮은 분자량 스티렌 수지, 9.61 중량%의 높은 분자량 스티렌 수지 및 3.85 중량%의 폴리-알파 메틸 스티렌의 배합물을 기핵체, 난연재 및
Figure 112006019049531-pct00006
와 함께 스크류 직경 132 mm인 이중 스크류 압출기로 공급한다. 고체를 용융시킨 후, 3.0 중량% 이산화탄소 및 1.9 중량% 에탄올과 혼합한다. 그 후 혼합물을 발포가 일어나도록 47.2℃(117℉)까지 냉각하고 폭 27 ㎝ 및 높이 1.2 mm의 다이 개구를 통해 발포시킨다. 생성된 발포물은 밀도 45.65 kg/㎥(2.85 lbs/ft3), 평균 기포 크기 0.356 mm, 수직 방향의 압축 강도 634.3 Kpa(92 psi), 두께 6.39 cm(2.516 in) 및 폭 86.99 cm(34.25 in)이다.
상기 설명 및 실시예에서 명백하듯이, 이산화탄소 및, 임의로, 저급 알콜, 공기, 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판 및 빌릿과 같은 발포된 폴리스티렌 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 아래의 영역으로 발포성 혼합물을 압출한 경우 만족스러운 특징 및, 일부 예에서, 향상된 특징을 가진 발포체를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발포성 혼합물과 관련한 하나의 장점은 구성 성분(및 각 구성 성분의 양)이 발포성 혼합물 내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이론에 속하지는 않을 것지만, 높은 용융지수의 스티렌계 중합체 내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발포성 혼합물 내의 이산화탄소의 양이 최대화된다고 믿는다.
본 발명이 그 바람직한 구현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를 읽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이의 다양한 변형이 있을 것이라고 이해된다. 따라서, 여기 개시된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주에 속하는 변형도 포함할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1)

  1. 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A) (1) 용융지수 10 내지 35 인 제 1 중합체를 50 중량% 이상, (2) 용융지수 0.5 내지 5 인 제 2 중합체를 50 중량% 미만, 및 (3) 50 중량%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발포제를 중합체에 대해 1 내지 16 중량% 로 함유하는 발포성 혼합물을, 혼합물의 예비발포를 충분히 방지하는 압력하에서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제 1 및 제 2 중합체 모두는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동종중합체이다), 및
    (B) 상기 혼합물을 감압 구역에 발포시켜 발포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75,000 내지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두 중합체를 기초로 하여, 제 1 중합체가 55 내지 95부의 양으로 존재하고 제 2 중합체가 5부 내지 45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성 혼합물이 20,000 미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의 가소제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스티렌, 비닐 톨루엔 또는 알파 메틸스티렌에서 유도된 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에탄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성 혼합물이 탄성 고무 (elastomeric rubber)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탄성 고무가 스티렌계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되는 온도가 1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용융지수가 10 내지 35인, 중량으로 다량의 제 1 중합체, 및 용융지수가 0.5 내지 5인, 중량으로 소량의 제 2 중합체를 함유하며, 발포물 기포에 할로겐 발포제가 없는 발포 생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발포물이 48 kg/㎥(3 lbs/ft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생성물.
  21. 제 19 항에 있어서, 발포 생성물의 평균 기포 크기가 0.4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생성물.
KR1020017003472A 1998-09-16 1999-08-12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KR10059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54,367 US6123881A (en) 1998-09-16 1998-09-16 Process for producing extruded foam products having polystyrene blends with high levels of CO2 as a blowing agent
US09/154,367 1998-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187A KR20010075187A (ko) 2001-08-09
KR100599067B1 true KR100599067B1 (ko) 2006-07-12

Family

ID=2255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472A KR100599067B1 (ko) 1998-09-16 1999-08-12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23881A (ko)
EP (1) EP1114084A1 (ko)
KR (1) KR100599067B1 (ko)
AU (1) AU759122B2 (ko)
CA (1) CA2344228C (ko)
WO (1) WO2000015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1063A1 (en) 2000-12-21 2002-10-31 Duffy John D. Blowing agent composition and polymeric foam containing a normally-liquid hydrofluorocarbon and carbon dioxide
JP3934552B2 (ja) 2000-12-21 2007-06-2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ヒドロフルオロカーボン及び低沸点アルコール及び/又は低沸点カルボニル化合物を含む発泡剤組成物
US9359481B2 (en) * 2003-11-26 2016-06-0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hermoplastic foams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ing nano-graphite
US8568632B2 (en) * 2003-11-26 2013-10-29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Method of forming thermoplastic foams using nano-particles to control cell morphology
US20080287560A1 (en) * 2004-12-31 2008-11-20 Loh Roland R Polymer foams containing multi-functional layered nano-graphite
ITMO20050135A1 (it) * 2005-06-03 2006-12-04 Coopbox Europ S P 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olistirolo espanso.
US9187608B2 (en) * 2005-09-08 2015-11-1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olystyrene foam containing a modifier-free nanoclay and having improved fire protection performance
BRPI0706060A2 (pt) * 2007-02-05 2011-03-22 American Fuji Seal Inc folha com espuma contraìvel por aquecimento e recipiente
US20080242752A1 (en) * 2007-03-28 2008-10-02 Yadollah Delaviz Polystyrene foams incorporating nanographite and HFC-134
IT1397297B1 (it) * 2009-11-25 2013-01-04 Polymtec Trading Ag Ora Polymtec Engineering Ag Articolo a base di polistirolo estruso,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ottenere tale articolo
US20110306689A1 (en) * 2010-06-09 2011-12-15 Fina Technology, Inc. Expandable Polystyren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120283345A1 (en) * 2011-05-05 2012-11-08 Basf Se Heat-resistant and flame-retardant extruded foam made of styrene copolymers
CN104231462B (zh) * 2014-09-30 2017-12-08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Gpes硬质泡沫复合塑料保温板及其制造方法
WO2017070006A1 (en) * 2015-10-21 2017-04-2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foams comprising nanocellular domains
CN106633451B (zh) * 2015-10-28 2019-05-31 河北五洲开元环保新材料有限公司 采用co2组合发泡剂挤出聚苯乙烯发泡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144A (en) * 1978-01-19 1979-11-27 Mobil Oil Corporation Block copolymers
WO1986006084A1 (en) * 1985-04-12 1986-10-2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e polymer foam and foam prepared thereby
US4636527A (en) * 1985-04-12 1987-01-1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e polymer foam and foam prepared thereby
US4764420A (en) * 1986-07-09 1988-08-16 The Celotex Corporation Foam insulation board faced with polymer-fibrous sheet composite
CA1309221C (en) * 1987-04-15 1992-10-27 Kyung W. Suh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e polymer foam, blowing agents for the preparation of such foam and styrene polymer foams prepared with such blowing agents
DE3741095A1 (de) * 1987-12-04 1989-06-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S5356944A (en) * 1988-06-27 1994-10-18 Mobil Oil Corporation High melt index polystytene foam and method
DE3829633A1 (de) * 1988-09-01 1990-03-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nd hohem waermedaemmvermoegen
DE3829632A1 (de) * 1988-09-01 1990-03-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DE3829630A1 (de) * 1988-09-01 1990-03-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nd hoher dimensionsstabilitaet
US5250577A (en) * 1989-08-02 1993-10-05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styrene foam made with only carbon dioxide as a blowing agent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DE3943265C2 (de) * 1989-12-29 1996-08-01 Gefinex Jacko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schaum
US5462794A (en) * 1990-03-16 1995-10-31 Amoco Corporation Foamed core-reclaim multi layer sheet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barrier film delamination
DE4011003A1 (de) * 1990-04-05 1991-10-10 Gerro 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aeumten polystyrolfolien
US5082608A (en) * 1990-06-14 1992-01-21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Polystyrene foam sheet manufacture
EP0464581B1 (de) * 1990-07-04 1995-02-22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S5110837A (en) * 1990-11-26 1992-05-05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molded polymeric product with multipass expansion of polymer bead with low blowing agent content
US5240657A (en) * 1990-11-26 1993-08-31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expanded polymeric product with low level of emission of blowing agent
US5110524A (en) * 1990-11-26 1992-05-05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molded polymeric product with multipass expansion of polymer bead with low blowing agent content
US5258415A (en) * 1991-11-14 1993-11-02 Basf Aktiengesellschaft Expandable styrene polymers containing carbon dioxide as blowing agent
DE4137405A1 (de) * 1991-11-14 1993-05-19 Basf Ag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enthaltend als treibmittel kohlendioxid
DE4138388A1 (de) * 1991-11-22 1993-05-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DE4217383A1 (de) * 1992-05-26 1993-12-02 Basf Ag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mit hoher Wärmeformbeständigkeit
US5218006A (en) * 1992-06-01 1993-06-08 Reedy Michael E Process for producing polystyrene foam
DE4236579A1 (de) * 1992-06-04 1993-12-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aus Styrolpolymerisaten
US5244927A (en) * 1992-06-09 1993-09-14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density styrene polymer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5332761A (en) * 1992-06-09 1994-07-26 The Dow Chemical Company Flexible bimodal foam structures
US5288740A (en) * 1992-10-23 1994-02-22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alkenyl aromatic foam packing bodies with carbon dioxide and/or ethane blowing agent systems
US5269987A (en) * 1992-12-22 1993-12-14 Reedy Michael E Process for producing alkenyl aromatic foams using a combination of atmospheric and organic gases and foams produced thereby
CA2163537A1 (en) * 1993-05-27 1994-12-08 Julien N. R. Callens Foam boards produced using halogen-free blowing agents
US5422378A (en) * 1993-06-04 1995-06-06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able styrenic polymer gel and resulting foam
US5389694A (en) * 1993-06-04 1995-02-14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able styrenic polymer gel having a carbon dioxide blowing agent and a process for making a foam structure therefrom
US5434195A (en) * 1994-06-23 1995-07-18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open-cell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and process for making
GB9420644D0 (en) * 1994-10-13 1994-11-30 Dow Chemical Co Non-linear styrenic polymer-based foams
DE4445140A1 (de) * 1994-12-17 1996-06-20 Basf Ag Mit Kohlendioxid getriebener Schaum aus Styrolpolymeren
US5824710A (en) * 1995-01-11 1998-10-20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open-cell foam and process for making
DE69610765T2 (de) * 1995-04-27 2001-05-03 Dow Chemical Co Extrudierte, offenzellige mikrozelluläre schaumstoff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615486A1 (de) * 1996-04-19 1997-10-23 Basf Ag Unter Verwendung halogenfreier Treibmittel hergestellte Schaumstoffplatten
DE19637366A1 (de) * 1996-09-13 1998-03-19 Basf Ag Schaumstoffplatten mit verbesserter Mineralölbeständigkeit und Expandierbar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3881A (en) 2000-09-26
CA2344228C (en) 2009-10-06
WO2000015698A1 (en) 2000-03-23
AU5897599A (en) 2000-04-03
EP1114084A1 (en) 2001-07-11
AU759122B2 (en) 2003-04-03
CA2344228A1 (en) 2000-03-23
KR20010075187A (ko)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067B1 (ko) 발포제로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배합물을 갖는 압출된 발포 생성물의 제조 방법
US6187831B1 (en) Process for producing extruded foam products with higher levels of CO2 as a blowing agent
KR100595337B1 (ko) 압출 발포체의 제조 방법
JP4794791B2 (ja) 広い分子量分布のモノビニル芳香族ポリマーをもつ断熱用押出し発泡体
EP1263850B1 (en) Extruded foam product with reduced surface defects
KR100626135B1 (ko) 스티렌계 발포물의 제조 방법
WO1998003581A1 (en) Closed cell thermoplastic foams containing hfc-134
NZ232719A (en) Extruding of foam plastics using hcfc or hfc blowing agent: extruded into vacuum
JPH11158317A (ja)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発泡体
WO2001040363A1 (en) Extruded polystyrene foam with vicat temperature over 100 °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