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550B1 -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50B1
KR100598550B1 KR1020040053356A KR20040053356A KR100598550B1 KR 100598550 B1 KR100598550 B1 KR 100598550B1 KR 1020040053356 A KR1020040053356 A KR 1020040053356A KR 20040053356 A KR20040053356 A KR 20040053356A KR 100598550 B1 KR100598550 B1 KR 10059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river
underwater beam
underwat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297A (ko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5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 수중보 구간의 하천수 방류구에 하천수 상부 유도틀과 하부 유도틀을 조립식으로 체결시켜 수중보로 방류되는 하천수를 처리함과 아울러, 물고기들이 원활하게 하천의 수중보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중보(100); 상기 수중보(100)의 매설 볼트(120)에 체결되는 하천수 유도판(150); 상기 수중보(100)의 설치홈에 체결되는 회전 고정볼트(300); 상기 수중보(100)의 설치홈에 체결되는 처짐 방지봉(400); 상기 수중보(100)의 하천수 방류구(1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부 유도틀(200); 상기 상부 유도틀(200)과 하부 유도틀(500)의 볼트홀(210)(5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베어링(360);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방류구(250)에 설치되는 다른 하천수 유도판(350); 상기 상부 유도틀(200)에 베어링(360)으로 체결되는 하부 유도틀(500); 상기 하부 유도틀(500)에 형성된 연결 고리와 고정 앵커(650)의 사이에 연결되는 코팅 와이어(600); 상기 코팅 와이어(60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코팅 와이어를 지지하고 수중보(100)에 고정되는 다른 회전 고정볼트(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하천, 수중보, 물고기 이동시설

Description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FISH MOVEMENT APPARATUS OF SLUICE GATES FOR RIVER}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 수중보에 물고기 이동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수중보에 물고기 이동시설이 설치된 측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하천 수중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중보 110: 하천수 방류구
150: 하천수 유도관 200: 상부 유도틀
300: 회전 고정볼트 400: 처짐 방지봉
500: 하부 유도틀 600: 코팅 와이어
700: 회전 고정볼트 800: 물고기 이동시설
본 발명은,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 수중보 구간의 하천수 방류구에 하천수 상부 유도틀과 하부 유도틀을 조립식으로 체결시켜 수중보로 방류되는 하천수를 처리함과 아울러, 물고기들이 원활하게 하천의 수중보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하천 폭을 가로지르도록 수중보가 설치되어 담수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가뭄 등과 같은 자연 재해에 농경수로 이용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 수중보는 콘크리트 옹벽으로 설치되므로 물고기의 이동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하천 수중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천(40)에는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수중보(30)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보(30)에는 물고기 이동 통로(20)가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물고기 이동통로(20)는, 도면과 같이, 계단식 형태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하천(40)의 수중보(30)에는, 중앙에 물고기 이동 통로(20)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러한 물고기 이동 통로(20)를 설치시, 공사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과다한 공사 기간에 의해 많은 비용이 소용되며, 한편 계단식으로 형성된 물고기 이동통로(20)는 하류에서 상류로 가로지는 물고기들의 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있어 수중 생태계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하천(40)에는 수중보(30)가 설치되는 경우, 물고기 이동 통로가 없는 상태로 종래에는 많이 시공된 바, 물고기들이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이 불가능할 정도의 수중보(30)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천 수중보 구간의 하천수 방류구에 하천수 상부 유도틀과 하부 유도틀을 조립식으로 체결시켜 수중보로 방류되는 하천수를 처리함과 아울러, 물고기들이 원활하게 하천의 수중보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하천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중보; 상기 수중보의 매설 볼트에 체결되는 하천수 유도판; 상기 수중보의 설치홈에 체결되는 회전 고정볼트; 상기 수중보의 설치홈에 체결되는 처짐 방지봉; 상기 수중보의 하천수 방류구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부 유도틀; 상기 상부 유도틀과 하부 유도틀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베어링; 상기 상부 유도틀의 방류구에 설치되는 다른 하천수 유도판; 상기 상부 유도틀에 베어링으로 체결되는 하부 유도틀; 상기 하부 유도틀에 형성된 연결 고리와 고정 앵커의 사이에 연결되는 코팅 와이어; 상기 코팅 와이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코팅 와이어를 지지하고 수중보에 고정되는 다른 회전 고정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 수중보에 물고기 이동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수중보에 물고기 이동시설이 설치된 측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천의 수중보(100)에는, 하천수 방류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천수 방류구(110)에 연접되어 물고기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물고기 이동시설(800)이 수중보(100)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물고기 이동시설(800)은, 상부 유도틀(200), 회전 고정볼트(300), 베어링(360), 처짐 방지봉(400), 하부 유도틀(500), 코팅 와이어(600)로 구성된다.
상기 물고기 이동시설(800)은, 수중보(100)의 하천수 방류구(110)에 매설 볼트(120)가 설치되고, 상기 매설 볼트(120)에 하천수 유도판(150)이 체결된 측면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수중보(100)에는 하천수 방류구(110)에 연접되게 다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유도틀(200)은,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양측에 볼트홀(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패널 조정 스프링(230)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유속 저감 패널(220)이 설치되며, 바닥에 방류구(25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유도틀(200)은 일측 볼트홀(210)에 회전 고정볼트(300)가 관통되어 설치홈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유도틀(200)에는 하부 바닥면에 처짐 방지봉 (400)이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유도틀(200)에는, 타측 볼트홀에 베어링(360)이 체결되어 하부 유도틀(500)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유도틀(200)에는 방류구(250)에 베어링(360)에 다른 하천수 유도판(350)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천수 유도판(150)(350)은, 계단 형태로, 하천수가 수월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유도틀(500)은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유도틀(200)에 베어링(360)으로 고정되는 반대측이 오픈되어 하천수가 수월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편, 다수개의 볼트홀(510)이 형성되고, 일측 볼트홀(510)에 3개의 부력봉(560)이 설치되어 하천 수위에 따라 높이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 유도틀(500)은 부력봉(560)이 형성된 측 연결 고리에 코팅 와이어(600)가 연결되어 수중보 단턱부에 매설된 고정 앵커(6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코팅 와이어(600)는, 일측이 하부 유도틀(500)의 부력봉(560)이 형성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수중보(100)의 단턱부에 매설된 고정 앵커(650)에 스프링(610)을 매개로 고정되며, 상기 코팅 와이어(600)는, 수중보(100)에 고정된 다른 회전 고정볼트(700)에 의해 지지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물고기 이동시설(800)은, 수중보(100)의 하천수 방류구(110)가 형성된 측에 체결되는 하천수 유도판(150), 상기 하천수 방류구(1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상부 유도틀(200),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일측을 수중보(100)에 고정시키는 회전 고정볼트(300),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일측 하부를 지지는 처짐 방지봉(400),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타측에 베어링(360)으로 고정되는 하부 유도틀(500), 상기 하부 유도틀(500)에 체결되고 타측에 고정 앵커(650)와 연결되는 코팅 와이어(600), 및 상기 코팅 와이어(60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다른 회전 고정볼트(700)로 구성되어, 각 부재들이 유기적으로 하천수의 이동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방류구(250)를 물고기와 하천수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부 유도틀(500)의 부력봉(560)과 코팅 와이어(600)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610)에 의해, 하천 수위에 따라 하부 유도틀(500)이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중보에 설치되는 물고기 이동시설은, 수중보 구간의 하천수 방류구에 하천수 상부 유도틀과 하부 유도틀을 조립식으로 체결시켜 수중보로 방류되는 하천수를 처리함과 아울러, 물고기들이 원활하게 하천의 수중보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물고기 이동시설에 의하여, 하천의 수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하천 수중보에 설치되는 유도틀을 통해 물고기의 이동시설을 제공하는 시설문에 있어서,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부면에 형성되는 하천수 방류구(110)에는 다수 개의 매설볼트(120)를 통해 계단식 형태의 하천수 유도판(150)이 설치되고, 단턱부에는 고정 앵커(650)가 매설되는 수중보(100)와;
    박스 형태로 양측에 볼트홀(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패널 조정 스프링(230)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유속 저감 패널(220)이 설치되며, 바닥에 방류구(250)가 형성되어, 볼트홀(210)을 관통하는 회전고정볼트(300)를 통해 상기 수중보(100)의 설치홈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수중보(100)의 설치홈에 체결되고, 상부 유도틀(200)의 하부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처짐 방지봉(400)을 통해 지지되는 상부 유도틀(200)과;
    상기 상부 유도틀(200)의 방류구(250)에 설치되는 다른 하천수 유도판(350)과;
    박스 형태로, 베어링(360)으로 고정되는 반대측이 오픈되고, 다수개의 볼트홀(510)이 형성되고, 일측 볼트홀(510)에 3개의 부력봉(560)이 설치되어 하천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상부 유도틀(200)과 하부 유도틀(500)의 볼트홀(210)(5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베어링(360)을 통해 상기 상부 유도틀(200)에 체결되는 하부유도틀(500)과;
    상기 하부 유도틀(500)에 형성된 연결 고리와 고정 앵커(650)의 사이에 연결되고, 고정 앵커(650)와 스프링(610)을 매개로 연결되는 코팅 와이어(600)와;
    상기 코팅 와이어(60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코팅 와이어를 지지하고 수중보(100)에 고정되는 다른 회전 고정볼트(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중보의 계단식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KR1020040053356A 2004-07-09 2004-07-09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KR10059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56A KR100598550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56A KR100598550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587U Division KR200364407Y1 (ko) 2004-07-09 2004-07-09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97A KR20060004297A (ko) 2006-01-12
KR100598550B1 true KR100598550B1 (ko) 2006-07-13

Family

ID=3711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356A KR100598550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9B1 (ko) 2008-12-30 2010-05-04 이지현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790145B1 (ko) * 2017-02-08 2017-10-25 장경식 어도가 구비된 수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60Y1 (ko) * 2003-03-07 2003-06-18 (주)화신엔지니어링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의 수중보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60Y1 (ko) * 2003-03-07 2003-06-18 (주)화신엔지니어링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의 수중보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9B1 (ko) 2008-12-30 2010-05-04 이지현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790145B1 (ko) * 2017-02-08 2017-10-25 장경식 어도가 구비된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97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5428A (en) Water intake fish diversion apparatus
KR20110019114A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JPH0781257B2 (ja)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KR101609774B1 (ko)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KR100598550B1 (ko)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KR20030041900A (ko)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구성방법
JPH0447723B2 (ko)
KR200364407Y1 (ko)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시설의 설치구조
KR100530273B1 (ko) 교각기초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대
JP3500116B2 (ja) 自動可動式魚道水路設備
KR100638485B1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KR100578256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을 위한 가동보
KR100566604B1 (ko) 소하천의 수로 보호용 시설물의 구조
JP2007205212A (ja) 発電装置付きゲート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KR20030077521A (ko) 가동형 어도
KR200418616Y1 (ko) 복단면어도블록
KR100579487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101534193B1 (ko) 가변형데크를 포함하는 가변형징검다리 가동보
JPH09209342A (ja) 景観転倒堰
KR200364488Y1 (ko) 하천의 방류량 조절기구를 갖춘 제방축조물
KR101056537B1 (ko) 생태계 보호용 호안 시설물
JP2003301510A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